{{{#!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8837><tablebgcolor=#008837><tablewidth=250>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자치구 | |||||||||||||||||||||||
| 동구 | 서구 | 남구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북구(대구광역시)| 산격청사 북구]] | 수성구 | 달서구 | |||||||||||||||||
자치군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달성군 | 군위군 | |||||||||||||||||||||
* 2023년 7월 1일 대구광역시로 편입 예정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62aa><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62aa>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9240> 구 대구군 지역의 법정동 | ||||||||||
검단동 | 검단동 | ||||||||||
고성동 | 고성동1가 | 고성동2가 | 고성동3가 | ||||||||
노원동 | 노원동1가 | 노원동2가 | 노원동3가 | ||||||||
대현동 | 대현동 | ||||||||||
| 동변동 | 서변동 | 연경동 | 조야동 | |||||||
| 복현동 | ||||||||||
| 산격동 | ||||||||||
| 칠성동1가 | 칠성동2가 | |||||||||
| 구청 침산동 |
||<-11><tablewidth=100%><colbgcolor=#009240><tablebgcolor=#fff,#1f2023> 칠곡지구의 법정동 ||
}}}}}}}}}}}} ||관문동 | 금호동 | 노곡동 | 매천동 | 사수동 | 팔달동 | |||||
관음동 | 관음동 | |||||||||
구암동 | 구암동 | |||||||||
국우동 | 국우동 | 도남동 | 동호동 | 학정동 | ||||||
동천동 | 동천동 | |||||||||
읍내동 | 읍내동 | |||||||||
| 태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 북구 北區 Buk District | }}} | |||
<colbgcolor=#0062aa> 구청 소재지 | 옥산로 65 (침산동) | |||||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
하위 행정구역 | 23동[1] | |||||
면적 | 93.98㎢ | |||||
인구 | 430,912명[2] | |||||
인구 밀도 | 4,593.56명/㎢ | |||||
구청장 | | 배광식 (3선) | ||||
구의회 | | 15석[3] | ||||
| 6석[4] | |||||
시의원 | | 5석[5] | ||||
| <colbgcolor=#0062aa> 갑 | | 양금희 (초선) | |||
을 | | 김승수 (초선) | ||||
상징 | 구화 | 목백일홍 | ||||
구목 | 은행나무 | |||||
구조 | 수리부엉이 | |||||
구가 | 희망의 노래를 | |||||
지역번호 | 053 | |||||
|
1. 개요2. 역사
2.1. 인구
3. 지역 특징3.1. 생활권
4. 교통5. 경제6. 관광7. 교육8. 의료기관9. 정치10. 하위 행정구역10.1. 구시가지 지역 (금호강 이남 + 무태조야동)
11. 공공기관12. 출신 인물10.1.1. 고성동 - 甲10.1.2. 칠성동 - 甲10.1.3.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 甲10.1.4. 노원동 - 甲10.1.5.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 甲10.1.6. 복현1동, 복현2동 - 甲10.1.7. 대현동 - 甲10.1.8. 검단동 - 甲10.1.9. 무태조야동 - 乙
10.2. 칠곡지구 지역 (금호강 이북) - 乙10.3. 북구 행정구역 변천사[clearfix]
1. 개요
북구의 경관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7px -1px -11px" | | | |
엑스코 | 경북대학교 | ||
| | ||
금호강 하중도 | DGB대구은행파크 | ||
| | ||
대구 삼성 창조 캠퍼스 | 칠곡지구 | }}}}}}}}} |
2. 역사
북구 행정구역 변화 | ||||
<rowcolor=#0062aa> 1914 | | 1938 | | 1963 |
| | | ||
| | |||
<rowcolor=#0062aa> 1981 | | 1995 | ||
| |
2.1. 인구
(1970년~현재) |
1963년 대구시 북구 설치 |
1970년 132,851명 |
1975년 236,485명 |
1980년 273,146명 |
1981년 대구시 → 대구직할시 승격 분리, 칠곡군 칠곡읍 편입 |
1985년 332,175명 |
1990년 321,541명 |
1995년 379,805명 |
2000년 409,353명 |
2005년 464,559명 |
2010년 452,505명 |
2015년 443,119명 |
2020년 440,263명 |
2022년 12월 430,912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0만 명 |
행정동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관문동 36,010명 |
무태조야동 35,013명 | |
구암동 34,402명 | |
복현2동 30,998명 | |
국우동 29,892명 | |
동천동 27,416명 | |
읍내동 26,267명 | |
태전2동 24,099명 | |
칠성동 23,053명 | |
태전1동 22,122명 | |
침산3동 19,425명 | |
침산2동 18,403명 | |
대현동 17,115명 | |
관음동 16,071명 | |
노원동 11,165명 | |
산격2동 10,594명 | |
산격3동 9,471명 | |
산격1동 8,868명 | |
산격4동 8,269명 | |
복현1동 7,526명 | |
검단동 6,298명 | |
고성동 4,738명 | |
침산1동 3,972명 | |
2022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3. 지역 특징
지리적으로 금호강을 경계로 생활권이 남북으로 분할되어 있다. 금호강 남쪽은 오래 전부터 대구의 일부였으며 현재도 주요 시설이 많이 있는 중구, 동구, 서구와 연계된 생활권인 반면, 북쪽은 옛 칠곡군 칠곡읍 지역[6]으로 팔달교 등 몇 개의 다리를 지나야만 갈 수 있을 정도로 대구 시내와 지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그래서 금호강 북쪽(이른바 칠곡)에 사는 사람들이 시내의 친구를 데려와 노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웠다. 왜냐하면 시내의 친구가 집에 가기 힘들다고 화내기 때문이다. 시내까지 버스로 적어도 30분은 걸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이 있어서 이 문제는 해결되었다. 참고로 칠곡에서 팔달교를 건너면 서구 비산동이다.[7]그래서 장기적으로 북구를 금호강(과 함지산)을 경계로 분리하여 칠곡 지역을 강북구(가칭)로 신설할 계획도 있는 모양인데 실제로 칠곡3지구에 구청 부지가 마련되어 있고, 생활권도 북구의 다른 지역들과는 떨어져 있다.[8] 그러나 실제로 정부의 행정구역 통합 위주 정책과 인구 50만명 이상이라는 분구 기준이 아직 안 되어서 아직까지는 가능성이 없다.[9] 그래도 대구광역시의 자치구 중에서는 달서구에 이어 2번째로 인구가 많다. 대신 치안 안정을 위해 칠곡 지역에 북부경찰서와 별개로 2013년 5월 구암동 칠곡3지구 시내버스 공영차고지 뒷편에 대구강북경찰서를 개서했다.[10] 또한, 2022년까지 경찰서 바로 앞 공영차고지 위치에 대구강북소방서를 개서한다.[11][12]
함지산이 나름 유명하다. 함지산에는 신라의 유적인 팔거산성과 구암동 고분군이 위치하고 있다. 각급 지자체 및 정치권에서 이 일대를 사적으로 등재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으며 역사 테마파크화하겠다는 계획을 수립중에 있다.
여담으로 대구광역시 소재의 메가박스는 북구에만 2개(직영 1/위탁 1)가 있었다. 하지만 2016년 12월 동구 신천4동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에 대구신세계가 개점하면서 메가박스 대구신세계(동대구)도 함께 들어왔다. 이로써 대구에는 총 3개의 메가박스가 영업 중이었다가 이마트 칠성점의 메가박스 대구(칠성로)가 폐점하며 2개가 되었다.
3.1. 생활권
대구광역시 내에선 수성구, 달서구 다음 가는 입지를 자랑한다. 다만 구 내에서도 편차가 있는데, 침산2동, 침산3동, 칠성동, 고성동 일대는 노후 주택가와 공장들이 계속 재개발되어 중대형 평수 위주 아파트가 들어서고 공공기관과 상업시설, 편의시설이 대거 자리잡으며 중산층 ~ 상류층의 거주지로 자리매김했지만, 산 하나를 사이에 둔 침산1동, 노원동은 낙후된 공업지대와 노후 주택가가 혼재되어 있고, 산격·복현권은 경북대학교, 영진전문대학교의 영향으로 상권이 형성되어 있고 대단지 아파트가 들어선 곳과 노후 주택가, 산업단지가 혼재되어 있다. 금호강 이북의 경우 관문동, 관음동, 읍내동 일부를 제외하면 대체적으로 1990년대 이후 개발된 신도시 지역으로 나름 발전되어 있으나 아파트의 노후화와 낮은 도심 접근성으로 인하여 최근 들어 점차 쇠퇴하고 있다.이러한 내용을 감안하고 볼 때, 북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생활권이 나뉜다. 우선 금호강을 기준으로 남북이 나뉘며, 남쪽은 신천을 경계로 동서로 나뉜다.
신천의 북동쪽은 산격동, 대현동, 복현동, 검단동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대구에서 "'북구"'라고 하면 떠올리는 지역이 바로 이 지역이다. 지역거점국립대학인 경북대학교와 영진전문대학교가 위치하고 있고, 복현오거리를 중심으로 상권이 크게 발달해 있다. 또한 종합유통단지가 위치해 있어 EXCO를 비롯하여 거대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신천을 두고 침산동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 경북도청사가 위치하고 있으며 도청 산하 일부 사업소들과 대구광역시청 별관이 이 곳에 있지만 사업소들은 중장기적으로 안동시나 경상북도의 다른 지역으로 모두 이전할 예정이고 시청 별관도 달서구 두류동 신청사에 통합이전할 예정이다. 이 부지는 대구도심융합특구로 개발될 예정이다. 산격2동과 복현2동의 경우 대규모 아파트단지들이 들어서 있어 중산층, 전문직들이 주로 거주하고 있으며, 경북대학교와 영진전문대학교가 위치한 특성상 교수, 대학생도 많이 거주하고 있다.
신천의 남서쪽에는 침산동과 칠성동 등이 위치하고 있는데, 경부선을 경계로 중구와 마주 보고 있어 사실상 도심 생활권으로 분류된다. 그러다 보니 자체 상권은 크게 발달하지 않았고 대신 대구 중심부에 위치에 있어 대구 어디든지 접근성이 좋고, 구 제일모직, 대한방직 공장 부지를 재개발해 들어선 도심 내의 신시가지[13]라 북구 내에서 상대적으로 소득 수준도 높은 편이라서 전문직, 중산층들과 부유층들이 거주하며[14] 생활환경이 쾌적하다. 아파트 단지가 많은 침산동을 중심으로 생활권이 형성되어 있다. 북구청과 북부도서관, 북부경찰서 등 관공서들이 모여있고[15], 칠성시장도 이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대구 도심과 가까운 데다 개발할 수 있는 땅은 많이 있어서 최근 들어 여러 개발 호재가 있다. 최근 대구은행 제2본점이 지어졌고, 삼성그룹의 모체인 제일모직의 최초 공장 터에는 삼성그룹이 주도하여 대구창조경제단지가 들어섰다. 대구시민운동장은 DGB대구은행파크를 비롯하여 체육시설들이 대거 재정비되었고, 이 지역에는 이마트 칠성점, 홈플러스, 롯데마트가 도보로 5분 거리의 간격을 두고 위치해 있었으나 롯데마트가 2020년을 끝으로 주상복합을 짓기 위해 폐점하고 홈플러스도 노조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2021년을 끝으로 영업 부진으로 인해 폐점했다. 대구에서 이렇게 할인점이 밀집한 곳도 드물었다. 또한 고성동 일대의 노후 주택가들이 재개발되고 있어 도심 배후 주거지로서 더욱 발전할 예정. 이 지역의 서쪽인 금호강변에는 침산[16]을 경계로 3공단이 주거지역과 분리되어 들어서 있다.
금호강 북쪽에는 칠곡이 거대 주거도시로 멀리 자리 잡고 있다.[17] 지도를 보면 알겠지만, 단순히 강을 보고 마주한 것이 아니라, 강 안쪽 계곡에 도시가 건설되어 있어 다른 북구 지역과는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과거에는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읍이었으나 대구직할시 승격 당시 북구에 편입된 후 신도시로 개발된 곳이다. 북구 전체 인구의 절반이 이 동네에 모여 사는 인구 최밀집 지역으로 북구청 입장에서는 중요한 지역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그래서 각종 축제나 문화시설들을 이쪽으로 중점 지원하는 편이어서 북구 내 지역 차별 논란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칠곡3지구쪽 지역의 아파트들이 노후화되고 있는 데 반해 금호강 이남 지역에 대대적인 재개발이 이뤄지고 각종 사업들이 추진되며 오히려 역전된 느낌. #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이 계곡을 따라 지나가고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고는 하나 3호선이 도심을 빗겨가는 노선으로 건설되어 대구 시내인 동성로로의 접근성은 좋지 않다.
4. 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67bc><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67bc> | }}} | |
{{{#!wiki style="color: #0067bc;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colbgcolor=#0067bc> 3 | <colbgcolor=#ffffff,#191919> 3공단로 | |
ㄱ | 검단공단로 · 검단동로 · 검단로 · 검단북로 · 경대로 · 경진로 · 고성로 · 고성북로 · 공평로 · 공항로 · 관음동로 · 관음로 · 관음중앙로 · 구리로 · 구암로 · 구암서로 | ||
ㄴ | 낙산로 · 내곡로 · 노곡로 · 노원로 | ||
ㄷ | 대구체육관로 · 대동로 · 대불로 · 대천로 · 대학로 · 대현남로 · 대현로 · 도남중앙로 · 동변로 · 동북로 · 동암로 · 동천로 · 동화천로 | ||
ㅁ | 매전로 · 매천로 | ||
ㅂ | 복현로 | ||
ㅅ | 사수로 · 산격로 · 서변남로 · 서변로 · 서재로 · 성북로 · 신암로 · 신천동로 | ||
ㅇ | 연경중앙로 · 연경지묘로 · 연암공원로 · 연암로 · 영송로 · 오봉로 · 옥산로 · 원대로 · 유통단지로 | ||
ㅈ | 조야로 | ||
ㅊ | 칠성가구시장로 · 칠성남로 · 칠성로 · 칠성시장로 · 침산남로 · 침산로 | ||
ㅌ | 태암남로 · 태암로 · 태전로 | ||
ㅍ | 팔거천동로 · 팔거천서로 · 팔달로 · 팔달북로 | ||
ㅎ | 학남로 · 학정동로 · 학정로 · 한강로 · 호국로 · 호암로 | ||
대구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 |
북구의 철도역''' | |
| 대구역, 칠성시장역 |
| 칠곡경대병원역, 학정역, 팔거역, 동천역, 칠곡운암역, 구암역, 태전역, 매천역, 매천시장역, 팔달역, 만평역, 팔달시장역 |
금호강 이북 지역을 제외하고는 서구와 마찬가지로 도시철도가 스쳐 지나가는 선형이라 사실상 없는 거나 마찬가지라 교통 체증은 도심보다 심하다. 당장에 도심은 반월당역, 국채보상로 근처가 주로 정체에 시달리지만 북구는 구내 대부분의 도로가 정체에 시달리고 있다. 당장 대구 교통방송에 단골 출연하는 팔달교, 복현오거리, 신천대로 경대교~도청교 구간이 모두 이 동네에 있다. 1년 365일 정체에 시달리는 신천대로는 더 설명할 필요가 없다. 아래에도 나오지만 팔달교 일대와 복현오거리 일대의 지정체 또한 서울특별시 사대문안 싸대기 날릴 정도로 심하다. 저리가라 수준이다
팔달교 - 만평네거리 라인으로는 대구북부정류장과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이 있어서 터미널을 오고가는 고속/시외버스까지 합세하여 평리네거리까지 헬게이트가 기본이며, 3호선 모노레일 공사로 몇 년간 불난 데 기름 부은 꼴을 하고 있었다. 그렇다고 치더라도 복현오거리는 정말 구제불능 상태다. 특히 경대교 - 복현오거리 구간은 오후만 되면 무조건 막히는 것으로 유명하다.[18]
그나마 고성동, 칠성동, 침산동 일대는 노후 주택가와 공장 후적지들을 재개발해 계획적으로 만든 지역이라 도로가 격자형으로 넓게 구획되어 있어 북구의 다른 지역에 비해서는 소통이 원활하다.
주요 교통 시설로는 부산지방국토청 대구국토관리사무소가 태전동에 있으며, 대구광역시의 양대 고속버스 터미널이자 중간 승하차장인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이 노원동3가 만평역 바로 앞에 있다. 또한 대구북부화물터미널이 매천동에 있다. 대구 도시철도와 인연이 없었으나[19] 2015년 4월 23일에 3호선이 개통되어 팔달시장역, 팔달역, 매천시장역, 매천역, 태전역, 구암역, 칠곡운암역, 동천역, 팔거역, 학정역, 칠곡경대병원역이 북구에 생기면서 칠곡지구는 전철의 혜택을 제대로 받게 되었다. 공단역, 만평역, 원대역, 북구청역도 서구와의 경계를 스쳐 지나며 북구에도 전철의 혜택을 준다. 실제로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 이후의 팔달교 부근은 예전보다는 교통 체증이 조금 완화됐다.
하지만 산격동, 대현동, 복현동, 검단동과 같이 동구 신암동 및 불로동 쪽에 가까운 동네는 아직 지하철이 건설되지 않았다. 동서변동은 도로 교통마저 제한적. 해당 지역에서는 닥치고 동구청역, 동대구역, 신천역, 칠성시장역, 대구역으로 가야 한다. 순환선으로 계획된 순환선이 개통되면 개선된다. 일단 엑스코선의 착공 계획이 거의 확정된 상태라, 산격동과 경북대학교 일대 등 금호강 이남 지역도 교통이 비교적 편리해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엑스코선도 동대구역으로 꺾어서 시내로 가기에는 선형이 적합하지 않다.
침산동의 경우는 좀 많이 애매하다. 가까운 곳이라면 원대오거리 및 북구청네거리 근처나 대구역 이북의 침산2동 지역이 그나마 상대적으로 전철역에서 가까운 곳이지만, 침산동 중에서 3공단이나 산중턱의 경상여고[20] 일대라면 대구 도시철도 순환선 개통 이후에야 도시철도 접근성이 개선된다. 최근에는 대구도심융합특구와 대구역을 연결하는 중앙대로선 개통을 지역사회에서 요구하고 있다.
1호선 계획 당시 대구역에서 동침산네거리, 경북대북문, 복현오거리, 공항교, 불로동, 이시아폴리스에 이르는 노선이 검토됐으나 동구 국회의원들의 힘과[21] 동대구역의 존재로 해당 노선은 5호선으로 계승되었다가 외환위기로 백지화되었고 3호선도 원대역에서 분기해 침산네거리, 경대교, 공고네거리, 동대구역, 범어역을 거쳐 수성구민운동장역에서 다시 본선과 합류하는 3호지선 계획도 있었으나 분기기가 설치되지 않으며 백지화되었다. 금호강 이남 북구도 사실 계획 백지화로 서구 못지않게 피해를 본 지역이라 할 수 있다.
경부고속도로 북대구IC와 중앙고속도로 칠곡IC가 위치하고 있어 대구에서 경상북도 서북부,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충청북도, 강원도 영서 지역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적 특성상 대구 내에서 동구 안심지구, 수성구 시지지구와 더불어 인근 지역 출신 이주민이 많은 편이다.
5. 경제
침산동, 노원동에서 서구로 이어지는 공단은 과거 대구를 먹여살리는 성장동력이었다. 노원동뿐만 아니라 대구역 북쪽의 칠성동, 침산동 일대는 대구에서 최초로 조성된 공단이었다. 이 지역은 섬유·염색 공업 위주인 지역이었으나, 지금은 섬유공업의 쇠퇴로 큰 타격을 입은 상태이다. 그 외 노원동 대구제3산업단지에는 안경테 제조업이 발달하여 국내 생산량의 80%를 차지하고 있다.검단동에는 대구검단산업단지가 있다. 기계/전자공업 관련 중소기업이 많으며 바로 옆에 EXCO와 관련 시설들이 있어 인프라는 잘 갖춰져 있으며 경부고속도로 북쪽 미개발지도 금호워터폴리스 산업단지 개발 사업이 진행 중이다. 그 외 대구광역시청 별관과 경북대학교가 있어 이들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업도 경제활동의 한 축을 차지한다.
경북대학교 캠퍼스 내 운동장 부지, 경상북도청 후적지를 위주로 대구도심융합특구 사업이 실시되고 있으나 2022년 도청 후적지를 문화예술특구로 개발하는 계획이 발표되며 계획이 변경될 전망.
5.1. 구청사
|
5.2. 금융
6. 관광
- 대구종합유통단지
- 대구시민운동장
- 하중도
- 이태원길
- 옻골동산
- 팔거천
- 신천
- 대구삼성창조캠퍼스
- 대구제3산업단지
- 대구검단산업단지
- 칠성시장
- 팔달시장
- 대구 오페라하우스
- 대구실내체육관
- 대구북부도서관
- 구수산도서관
- 대구사격장
- 함지산
7. 교육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고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강북고등학교 | 경명여자고등학교 | 경상고등학교 |
경상여자고등학교 | 구암고등학교 | ▣ 대구국제고등학교 | |
▣ 대구체육고등학교 | ◈ 대중금속공업고등학교 | 매천고등학교 | |
성광고등학교 | 성화여자고등학교 | 영송여자고등학교 | |
영진고등학교 | 운암고등학교 | ⊙ 칠성고등학교 | |
학남고등학교 | 함지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교 틀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 강북중학교 | 경명여자중학교 | 관음중학교 | 관천중학교 |
구암중학교 | 대구북중학교 | 대구일중학교 | 대구체육중학교 | |
동변중학교 | 동평중학교 | 매천중학교 | 복현중학교 | |
사수중학교 | 산격중학교 | 서변중학교 | 성광중학교 | |
성화중학교 | 운암중학교 | 칠곡중학교 | 침산중학교 | |
팔달중학교 | 학남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교 틀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11px" | 대구강북초등학교 | 대구경진초등학교 | 대구관남초등학교 | 대구관문초등학교 |
대구관음초등학교 | 대구관천초등학교 | 대구교동초등학교 | 대구구암초등학교 | |
대구국우초등학교 | 대구달산초등학교 | 대구대산초등학교 | 대구대천초등학교 | |
대구도남초등학교 | 대구동변초등학교 | 대구동평초등학교 | 대구매천초등학교 | |
대구문성초등학교 | 대구복현초등학교 | 대구북부초등학교 | 대구사수초등학교 | |
대구산격초등학교 | 대구삼영초등학교 | 대구서변초등학교 | 대구성북초등학교 | |
대구신암초등학교 | 대구연경초등학교 | 대구옥산초등학교 | 대구운암초등학교 | |
대구조야초등학교 | 대구칠곡초등학교 | 대구칠성초등학교 | 대구침산초등학교 | |
대구태암초등학교 | 대구태전초등학교 | 대구태현초등학교 | 대구팔달초등학교 | |
대구학남초등학교 | 대구학정초등학교 | 대구함지초등학교 | 북대구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교 틀 둘러보기 |
8. 의료기관
상급종합병원인 칠곡경북대학교병원(953병상)이 있다. 이 병원은 일반적인 대학병원의 역할도 하지만 화순전남대학교병원처럼 암 치료에 특화된 부분이 있고, 어린이병원 건물이 별도로 있어 소아과도 특화되어 있다. 그 외 종합병원으로는 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가톨릭병원(159병상)이 있으며, 일반 병원급들은 상당히 많이 있다.재밌게도 대학병원 아닌 대학병원(?)이 하나 있는데, 바로 대구보건대학교병원(218병상)이다. 이 병원은 대구보건대학교 산하에 있는 병원이지만 의과대학의 부속병원은 아니며, 해당 대학 재단에서 세운 병원이다. 다만 의료 관련 학과가 강한 학교이니만큼 이러한 병원이 있는 것은 학교에 큰 도움이 된다.
9. 정치
8회 지선 북구 개표 결과 | |||||||
대구광역시장 선거 | |||||||
정당 | |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서재헌 | 홍준표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28,966 (18.31%) | 123,952 (78.38%) | - 94,986 (▼60.06) | 160,433 (42.96%) | |||
고성동[A] | 17.37% | 79.65% | ▼62.27 | 47.85 | |||
칠성동[B] | 18.39% | 78.19% | ▼59.79 | 39.39 | |||
침산1동[C] | 11.56% | 86.00% | ▼74.44 | 45.71 | |||
침산2동 | 18.13% | 78.78% | ▼60.64 | 44.09 | |||
침산3동 | 17.00% | 80.00% | ▼63.00 | 44.85 | |||
노원동[D] | 13.08% | 83.99% | ▼70.99 | 45.55 | |||
산격1동 | 12.19% | 84.70% | ▼72.51 | 43.32 | |||
산격2동 | 16.08% | 81.24% | ▼65.16 | 43.70 | |||
산격3동[E] | 16.22% | 80.03% | ▼63.80 | 35.00 | |||
산격4동 | 14.83% | 81.66% | ▼66.82 | 44.15 | |||
복현1동[E] | 19.11% | 77.84% | ▼58.73 | 34.83 | |||
복현2동 | 20.40% | 76.73% | ▼56.32 | 39.74 | |||
대현동[E] | 18.21% | 78.53% | ▼60.32 | 42.27 | |||
검단동[F] | 12.74% | 84.52% | ▼71.77 | 46.71 | |||
무태·조야동[G] | 18.54% | 78.37% | ▼59.83 | 38.55 | |||
관문동[H] | 18.41% | 78.81% | ▼60.40 | 39.61 | |||
태전1동[I] | 15.62% | 81.46% | ▼65.84 | 35.83 | |||
태전2동 | 16.07% | 80.60% | ▼64.53 | 39.42 | |||
구암동 | 20.63% | 75.53% | ▼54.90 | 39.82 | |||
관음동 | 15.14% | 81.70% | ▼66.55 | 40.06 | |||
읍내동 | 16.81% | 79.34% | ▼62.53 | 38.35 | |||
동천동 | 21.32% | 74.44% | ▼53.12 | 41.18 | |||
국우동[J] | 21.15% | 75.21% | ▼54.05 | 37.07 | |||
후보 | 서재헌 | 홍준표 | 격차 | ||||
거소투표 | 20.04% | 75.15% | ▼55.11 | ||||
관외사전투표 | 22.85% | 73.58% | ▼50.73 | ||||
국회의원 선거구 | 서재헌 | 홍준표 | 격차 | 투표율 | |||
북구 갑[K][39] | 16.93% | 79.99% | ▼63.06 | 42.06 | |||
북구 을[L][41] | 18.48% | 78.08% | ▼59.59 | 38.90 | |||
북구청장 선거 | |||||||
정당 | | 무소속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배광식 | 구본항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121,281 (77.66%) | 34,882 (22.33%) | + 86,399 (△55.32) | 160,421 (42.95%) | |||
고성동[A] | 78.88% | 21.11% | △57.77 | 47.89 | |||
칠성동[B] | 77.36% | 22.63 | △54.72 | 39.57 | |||
침산1동[C] | 82.06% | 17.93% | △64.13 | 45.91 | |||
침산2동 | 78.18% | 21.81% | △56.36 | 44.14 | |||
침산3동 | 78.09% | 21.90% | △56.18 | 44.88 | |||
노원동[D] | 82.09% | 17.90% | △64.18 | 45.61 | |||
산격1동 | 75.03% | 24.96% | △50.07 | 43.35 | |||
산격2동 | 76.79% | 23.20% | △53.58 | 43.76 | |||
산격3동[E] | 74.22% | 25.77% | △48.45 | 35.02 | |||
산격4동 | 74.11% | 25.88% | △48.22 | 44.15 | |||
복현1동[E] | 79.40% | 20.59% | △58.80 | 34.82 | |||
복현2동 | 77.49% | 22.50% | △54.99 | 39.75 | |||
대현동[E] | 76.39% | 23.60% | △52.79 | 42.28 | |||
검단동[F] | 80.62% | 19.37% | △61.25 | 46.73 | |||
무태·조야동[G] | 78.68% | 21.31% | △57.36 | 38.55 | |||
관문동[H] | 76.94% | 23.05% | △53.89 | 39.61 | |||
태전1동[I] | 79.72% | 20.27% | △59.45 | 35.84 | |||
태전2동 | 78.77% | 21.22% | △57.55 | 39.41 | |||
구암동 | 76.21% | 23.78% | △52.43 | 39.82 | |||
관음동 | 81.13% | 18.86% | △66.20 | 40.06 | |||
읍내동 | 80.66% | 19.33% | △61.32 | 38.33 | |||
동천동 | 76.74% | 23.25% | △53.48 | 41.19 | |||
국우동[J] | 77.49% | 22.50% | △54.98 | 37.07 | |||
후보 | 배광식 | 구본항 | 격차 | ||||
거소투표 | 83.76% | 16.23% | △67.52 | ||||
관외사전투표 | 74.49% | 25.50% | △48.98 |
20대 대선 북구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66,469 (22.75%) | 215,861 (73.89%) | - 149,392 (▼51.14) | 294,832 (79.00%) | |||
고성동[A] | 22.30% | 74.46% | ▼52.16 | 83.26 | |||
칠성동[B] | 20.90% | 76.32% | ▼55.42 | 76.57 | |||
침산1동[C] | 16.63% | 80.03% | ▼63.40 | 75.59 | |||
침산2동 | 23.03% | 74.04% | ▼51.01 | 81.19 | |||
침산3동 | 21.16% | 75.73% | ▼54.57 | 79.97 | |||
노원동[D] | 16.71% | 80.49% | ▼63.78 | 78.42 | |||
산격1동 | 16.94% | 79.93% | ▼62.98 | 73.81 | |||
산격2동 | 19.39% | 77.87% | ▼58.48 | 80.80 | |||
산격3동[E] | 22.20% | 74.01% | ▼51.81 | 71.85 | |||
산격4동 | 20.16% | 76.47% | ▼56.31 | 76.86 | |||
복현1동[E] | 21.95% | 73.91% | ▼51.96 | 71.70 | |||
복현2동 | 22.59% | 74.13% | ▼51.54 | 76.38 | |||
대현동[E] | 20.55% | 76.34% | ▼55.80 | 75.82 | |||
검단동[F] | 19.24% | 77.90% | ▼55.86 | 76.92 | |||
무태·조야동[G] | 23.95% | 72.93% | ▼48.98 | 76.63 | |||
관문동[H] | 23.36% | 73.67% | ▼50.30 | 77.71 | |||
태전1동[I] | 20.66% | 75.74% | ▼55.09 | 74.31 | |||
태전2동 | 21.32% | 75.48% | ▼54.16 | 76.05 | |||
구암동 | 25.34% | 71.00% | ▼45.65 | 77.64 | |||
관음동 | 19.58% | 77.12% | ▼57.54 | 76.49 | |||
읍내동 | 20.67% | 75.86% | ▼55.19 | 74.89 | |||
동천동 | 26.10% | 70.15% | ▼44.05 | 80.35 | |||
국우동[J] | 26.72% | 69.87% | ▼43.15 | 76.87 |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23.39% | 67.81% | ▼44.43 | ||||
관외사전투표 | 26.43% | 69.52% | ▼43.09 | ||||
재외투표 | 48.89% | 47.47% | △1.42 |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격차 | 투표율 | |||
북구 갑[K][67] | 20.70% | 76.19% | ▼55.49 | 77.28 | |||
북구 을[L][69] | 23.42% | 73.22% | ▼49.80 | 76.90 |
21대 총선 북구 개표 결과 | |||||||||||||
국회의원 선거 (북구 갑)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 | 무소속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헌태 | 양금희 | 정태옥 | (1위/2위) | (선거7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27,395 (25.79%) | 52,916 (49.82%) | 21,160 (19.92%) | - 25,521 (▼24.03) | 107,834 (67.26%)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고성동[A] | 23.91% | 51.65% | 20.50% | ▼27.73 | 68.56 | |||||||
칠성동[B] | 26.20% | 47.74% | 22.18% | ▼21.54 | 64.47 | ||||||||
침산1동[C] | 18.55% | 57.13% | 20.53% | △36.59 | 66.98 | ||||||||
침산2동 | 30.52% | 46.08% | 18.93% | ▼15.56 | 69.13 | ||||||||
침산3동 | 25.74% | 50.76% | 18.58% | ▼25.02 | 68.09 | ||||||||
노원동[D] | 20.11% | 59.36% | 16.96% | ▼39.26 | 65.25 | ||||||||
산격1동 | 17.43% | 59.02% | 19.69% | △39.33 | 61.81 | ||||||||
산격2동 | 22.15% | 48.13% | 25.90% | △22.23 | 68.14 | ||||||||
산격3동[E] | 24.50% | 46.26% | 23.59% | ▼21.76 | 59.68 | ||||||||
산격4동 | 21.46% | 53.18% | 21.38% | ▼31.72 | 64.73 | ||||||||
복현1동[E] | 26.32% | 48.38% | 20.46% | ▼22.06 | 58.91 | ||||||||
복현2동 | 27.54% | 46.70% | 21.03% | ▼19.17 | 65.41 | ||||||||
대현동[E] | 24.98% | 54.03% | 16.89% | ▼29.04 | 64.80 | ||||||||
검단동[F] | 19.66% | 51.88% | 24.78% | △27.10 | 64.59 | ||||||||
후보 | 이헌태 | 양금희 | 정태옥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35.30% | 29.62% | 25.18% | △5.68 | |||||||||
관외사전투표 | 38.18% | 41.63% | 13.86% | ▼3.45 | |||||||||
재외투표 | 53.84% | 29.48% | 11.53% | △24.36 |
국회의원 선거 (북구 을)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홍의락 | 김승수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45,891 (33.54%) | 84,378 (61.68%) | - 38,487 (▼28.14) | 139,043 (66.90%)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무태·조야동[G] | 31.30% | 64.48% | ▼33.18 | 63.66 | |||||||
관문동[H] | 32.78% | 63.19% | ▼30.41 | 65.43 | ||||||||
태전1동[I] | 28.77% | 67.15% | ▼38.38 | 62.68 | ||||||||
태전2동 | 30.21% | 65.87% | ▼35.65 | 64.43 | ||||||||
구암동 | 35.42% | 59.49% | ▼24.07 | 65.31 | ||||||||
관음동 | 28.30% | 67.55% | ▼39.25 | 65.15 | ||||||||
읍내동 | 30.13% | 65.54% | ▼35.41 | 64.09 | ||||||||
동천동 | 37.03% | 56.88% | ▼19.85 | 68.55 | ||||||||
국우동[J] | 36.41% | 57.67% | ▼21.26 | 64.59 | ||||||||
후보 | 홍의락 | 김승수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37.65% | 51.85% | ▼14.20 | |||||||||
관외사전투표 | 43.93% | 50.21% | ▼6.27 | |||||||||
재외투표 | 53.84% | 45.05% | △8.79 |
비례대표 선거 | |||||||||||||||
정당 |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 |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 | 격차 | 투표율 | ||||||||
득표수 (득표율) | 126,781 (53.53%) | 40,426 (17.07%) | 17,490 (7.38%) | 20,505 (8.65%) | 6,980 (2.94%) | + 86,355 (△36.47) | 246,877 (67.03%)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고성동[A] | 57.53% | 14.42% | 5.35% | 6.92% | 2.75% | △43.11 | 68.56 | |||||||
칠성동[B] | 55.11% | 15.96% | 6.75% | 9.54% | 2.96% | △39.14 | 64.47 | ||||||||
침산1동[C] | 62.51% | 12.17% | 4.43% | 6.75% | 2.39% | △50.34 | 66.98 | ||||||||
침산2동 | 51.91% | 17.98% | 7.62% | 10.78% | 3.27% | △33.93 | 69.14 | ||||||||
침산3동 | 55.18% | 15.86% | 6.68% | 9.47% | 2.88% | △39.32 | 68.09 | ||||||||
노원동[D] | 63.84% | 13.02% | 4.99% | 6.23% | 1.78% | △50.82 | 65.24 | ||||||||
산격1동 | 64.17% | 11.76% | 4.73% | 5.01% | 2.01% | △52.41 | 61.82 | ||||||||
산격2동 | 58.98% | 14.26% | 6.37% | 8.28% | 2.29% | △44.73 | 68.15 | ||||||||
산격3동[E] | 53.76% | 16.01% | 6.65% | 8.11% | 2.99% | △37.75 | 59.67 | ||||||||
산격4동 | 59.59% | 14.78% | 5.31% | 5.66% | 2.68% | △44.82 | 64.75 | ||||||||
복현1동[E] | 52.45% | 16.25% | 7.16% | 9.50% | 3.24% | △36.20 | 58.93 | ||||||||
복현2동 | 53.41% | 17.03% | 7.20% | 9.45% | 3.04% | △36.39 | 65.41 | ||||||||
대현동[E] | 56.25% | 15.28% | 6.09% | 8.67% | 2.75% | △40.97 | 64.80 | ||||||||
검단동[F] | 60.68% | 13.88% | 4.85% | 6.68% | 1.76% | △46.79 | 64.59 | ||||||||
무태·조야동[G] | 54.79% | 16.85% | 7.30% | 8.79% | 3.37% | △37.94 | 63.65 | ||||||||
관문동[H] | 52.43% | 17.81% | 7.36% | 9.38% | 2.74% | △34.62 | 65.43 | ||||||||
태전1동[I] | 56.19% | 15.08% | 7.07% | 8.23% | 2.06% | △41.12 | 62.69 | ||||||||
태전2동 | 56.34% | 16.11% | 6.59% | 7.61% | 2.70% | △40.23 | 64.43 | ||||||||
구암동 | 51.44% | 18.73% | 8.69% | 9.12% | 2.92% | △32.71 | 65.32 | ||||||||
관음동 | 57.17% | 14.81% | 6.32% | 7.90% | 2.28% | △42.36 | 65.14 | ||||||||
읍내동 | 56.07% | 15.68% | 6.92% | 7.90% | 2.90% | △40.39 | 64.09 | ||||||||
동천동 | 47.79% | 20.32% | 9.81% | 9.72% | 3.25% | △27.47 | 68.54 | ||||||||
국우동[J] | 48.66% | 20.37% | 8.91% | 9.16% | 3.43% | △28.29 | 64.59 | ||||||||
정당 |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 |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40.83% | 17.48% | 8.53% | 9.37% | 2.37% | △23.36 | |||||||||
관외사전투표 | 41.77% | 22.33% | 10.03% | 9.08% | 4.34% | △19.44 | |||||||||
재외투표 | 31.44% | 26.41% | 14.46% | 5.03% | 14.46% | △5.03 |
대구광역시 북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 ||
구분 | 선거구명 | 지역 |
국회의원 | 북구 갑 | 고성동, 칠성동,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노원동,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대현동, 복현1동, 복현2동, 검단동 |
북구 을 | 무태조야동, 관문동, 태전1동, 태전2동, 구암동, 관음동, 읍내동, 동천동, 국우동 | |
시의원 | 북구1 | 고성동, 칠성동,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노원동 |
북구2 |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복현1동, 복현2동, 대현동, 검단동 | |
북구3 | 무태조야동, 관문동, 태전1동 | |
북구4 | 태전2동, 구암동, 국우동 | |
북구5 | 관음동, 읍내동, 동천동 |
북구는 신천과 금호강을 경계로 침산·칠성 생활권과 복현·산격 생활권과 칠곡 생활권으로 나눠져 있는데, 침산·칠성 생활권과 복현·산격 생활권은 노년층 인구 비율이 높기에 보수세가 강한 반면, 칠곡 생활권엔 신도시를 중심으로 3040대 통근자 비율이 높아서 보수세가 약하고 지방선거에서 진보정당 소속 당선자가 배출되기도 하였다.[94]
공교롭게도 선거구도 생활권에 따라 나눠져 있다. 다만 원래부터 선거구가 처음부터 이렇게 나뉜 것은 아니고, 칠곡의 발전이 상대적으로 늦은 까닭에 19대 총선까지는 금호강 남쪽의 복현1동, 복현2동, 검단동이 을 선거구로 묶여 생활권과 선거구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았다. 그러나 2016년 20대 총선 선거구 획정 과정에서 북구 을 선거구가 인구 상한선을 넘기자, 그 일부를 분리하여 북구 병 선거구를 신설하자는 주장도 제기됐으나[95] 인구 및 타지역과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복현동과 검단동을 북구 갑으로 넘겨주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북구 을에서 이변이 발생하는데, 바로 더불어민주당에서 컷오프 논란으로 탈당한 홍의락 후보가 새누리당 양명모 후보를 큰 표차로 누르고 당선되어서 수성구 갑의 김부겸과 같이 이변의 주인공이 되었다. 이렇게 된 요인으론 당시 새누리당에 대한 심판 여론이 대구에도 있었던데다, 특히 북구 을 지역은 동서변지구, 칠곡3지구를 중심으로 3040대 통근자 비율이 높았기 때문이다. 이에 더해 홍의락 후보가 무소속으로 나와서 정치혐오층에서도 일정 부분 지지를 받은 것도 있었다. 반면 북구 갑 지역에선 정태옥 후보가 넉넉한 격차로 이겼다.
그리고 이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후 치른 지방선거인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최고조에 이렀는데, 비록 바른미래당 후보가 표를 잠식했다지만, 민주당 이헌태 후보가 40% 이상을 얻어서 불과 9%p 격차로 석패하였고, 1명의 도의원, 8명의 시의원을 확보하는 데 성공하였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의 각종 실책과 코로나19 대구 집단 감염 때의 일부 더불어민주당 인사들의 TK 비하 발언등으로 인해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반감이 커졌고, 이는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구 북구 을에서 김승수 후보가 더블스코어 격차로 당선되는 데 영향을 미쳤다. 한편 북구 갑 지역은 양금희 후보가 당선되었고, 현역 정태옥 후보는 19.92%를 받는데 그쳐서 더불어민주당 이헌태 후보에게도 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구 을 지역은 더불어민주당 홍의락 후보가 33.54%를 얻어서 대구에서 2번째로 높았고[96], 북구 갑 지역은 악재 끝에서도 25.8%이란 나름 높은 득표율을 얻은 것이 민주당에게 위안을 줬을 뿐이다.
그러나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선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무려 73%를 받아서 22%를 받는데 그친 이재명 후보를 트리플 스코어 이상의 격차로 꺾음으로써 문재인과 민주당에 대한 심판여론을 그대로 드러냈다. 하지만 생활권마다 미묘한 격차는 있었는데, 실제로 북구에서 노년층 인구 비율이 높은 동네 중 한 곳인 노원동·침산1동에선 무려 80% 이상의 몰표를 쏟아부었던 반면[97], 3040대 비율이 높은 동천동, 국우동에선 이재명 후보가 26% 이상을 얻어서 비교적 선전하였다. 이재명 후보와 같은 안동시 출신이 많은 것도 요인으로 추정된다.
한편 여기에서 나온 유명 정치인으로는 김용태[98], 안택수, 서상기,
대구광역시 북구 국회의원 | |||||||
북구 | |||||||
13대 | 김용태 (3선) | ||||||
14대 | [[민주자유당| | ||||||
북구 갑 | 북구 을 | ||||||
15대 | [[자유민주연합| | [[자유민주연합| | |||||
박승국 (초선)[100] | |||||||
16대 | 박승국 (재선) | 안택수 (재선) | |||||
17대 | 이명규 (초선) | 안택수 (3선) | |||||
18대 | 이명규 (재선) | 서상기 (재선) | |||||
19대 | [[새누리당| | [[새누리당| | |||||
20대 | [[새누리당| | [[무소속| 무소속 ]] 홍의락 (재선) | |||||
21대 | [[미래통합당| | [[미래통합당| |
대구광역시 북구청장 | |||||||
1기(95~98) | [[무소속| 무소속 ]] 이명규 (초선) | ||||||
2기(98~02) | 이명규 (재선) | ||||||
3기(02~06) | 이명규 (3선)[101] | ||||||
이종화 (초선)[102] | |||||||
4기(06~10) | 이종화 (재선) | ||||||
5기(10~14) | 이종화 (3선) | ||||||
6기(14~18) | [[새누리당| | ||||||
7기(18~22) | [[자유한국당| | ||||||
8기(22~26) | 배광식 (3선) |
10. 하위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62aa><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62aa>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9240> 구 대구군 지역의 법정동 | ||||||||||
검단동 | 검단동 | ||||||||||
고성동 | 고성동1가 | 고성동2가 | 고성동3가 | ||||||||
노원동 | 노원동1가 | 노원동2가 | 노원동3가 | ||||||||
대현동 | 대현동 | ||||||||||
| 동변동 | 서변동 | 연경동 | 조야동 | |||||||
| 복현동 | ||||||||||
| 산격동 | ||||||||||
| 칠성동1가 | 칠성동2가 | |||||||||
| 구청 침산동 |
||<-11><tablewidth=100%><colbgcolor=#009240><tablebgcolor=#fff,#1f2023> 칠곡지구의 법정동 ||
}}}}}}}}}}}} ||관문동 | 금호동 | 노곡동 | 매천동 | 사수동 | 팔달동 | |||||
관음동 | 관음동 | |||||||||
구암동 | 구암동 | |||||||||
국우동 | 국우동 | 도남동 | 동호동 | 학정동 | ||||||
동천동 | 동천동 | |||||||||
읍내동 | 읍내동 | |||||||||
| 태전동 |
국회의원 선거구는 갑구와 을구로 분리되어 있으며, 행정동 옆에 부기한다. 옛 행정구역은 다음과 같다.
- 구 대구부: 고성동, 칠성동
- 구 달성군: 검단동(성북면), 노원동(달서면), 대현동(수성면), 무태조야동(달서면,성북면), 복현1~2동(성북면), 산격1~4동(성북면), 침산1~3동(성북면)
- 구 칠곡군 칠곡읍: 관문동, 관음동, 구암동, 동천동, 국우동, 읍내동, 태전1~2동
10.1. 구시가지 지역 (금호강 이남 + 무태조야동)
10.1.1. 고성동 - 甲
관할 법정동은 고성동1~3가이다. 행정복지센터는 고성광명아파트 남편에 있다. 인구는 4,699명.[P]원래 태평로4가동(고성1가동)과 태평로5·6가동(고성2·3가동)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104] 1975년에 괄호 안의 이름으로 바꾸었으며, 1980년에 합동되었다. 고성동3가에 이승엽 야구장, DGB대구은행파크, 고성동우체국이 있다. 북대구우체국이 칠곡3지구로 이전한 관계로 고성동우체국이 이 지역 집배 루트의 중간보스를 하고 있어서 택배나 등기우편을 자주 반송시킨다면 눈에 익은 지역일 것이다. 그 외에도 북구 중에서 강북 지역과 무태 지역, 그리고 신천 기준 동쪽지역(산격/복현/검단/대현)을 제외한 북구 일원의 전화 및 서구 원대동/비산동 일부 전화[105]를 관리하는 KT 북대구지사가 고성동3가 야구장 입구에 있다.
노후 주택가가 밀집한 지역이었으나 2020년대 들어 대대적인 아파트 재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북구청네거리 남쪽으로 3호선 북구청역이 고성동으로 통과하지만, 소재지는 길 건너 서구 원대동2가로 되어 있다. 어차피 서구와 양다리 걸친 위치이기 때문에, 낚시역명은 아니다.
- 1965년 행정동 태평로4가동, 태평로5·6가동 설치
- 1975년 태평로4가동을 고성1가동으로, 태평로5·6가동을 고성2·3가동으로 개칭
- 1980년 고성1가동, 고성2·3가동을 고성동으로 통합
10.1.2. 칠성동 - 甲
관할 법정동은 칠성동1~2가이다. 인구는 23,005명.[P]대구역 북쪽 지역에 넓게 분포한다. 제일모직 등의 공장이 있었으나 철수하고 아파트단지 등으로 재개발되었다. 다만 일반적인 칠성동의 이미지는 칠성동1가에 있는 칠성시장이다.
- 1965년 행정동 칠성1가동, 칠성2가1동, 칠성2가2동 설치
- 1998년 행정동 칠성1가동, 칠성2가1동을 칠성1동으로, 칠성2가2동을 칠성2동으로 개편
- 1999년 칠성1동, 칠성2동을 칠성동으로 통합
10.1.3.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 甲
관할 법정동은 침산동이다. 침산을 중심으로 서쪽에 1동이 있고 동쪽에 2,3동이 있다. 1965년 1,2동이 먼저 설치되었고 70년에 1동에서 3동이 분리되었다. 2,3동은 고성동, 칠성동과 함께 대규모 재개발이 이뤄진 주거지역인 반면 1동은 공단지역으로 노원동과 생활권을 공유한다.- 침산1동: 인구는 3,960명.[P] 공단지역이 넓게 있고 침산 밑에 주거단지가 형성되어 있다.
- 침산2동: 인구는 18,364명.[P] 신천에 접해 있으며 아파트가 많다. 옛 제일모직 공장 부지를 활용하여 대구삼성창조캠퍼스가 조성되어 있다.
- 침산3동: 인구는 19,342명.[P] 북구의 중심지로 북구청, 대구북부경찰서, 대구광역시립북부도서관, 북대구세무서, 대구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등의 공공기관과 한국전력공사 대구본부 등 공기업들이 있다. 성북로를 기준으로 남쪽은 대부분 아파트단지인 반면 북쪽은 주택과 빌라가 혼재되어 있다.
10.1.4. 노원동 - 甲
관할 법정동은 노원동1~3가이다. 인구는 11,098명.[P]1998년 노원1·2가동을 노원1·2동으로 개칭하고 노원3가1동, 노원3가2동을 노원3동으로 합동했으며 2009년 노원1·2동, 노원3동을 노원동으로 합동하였다. 지금 행정복지센터는 원래 노원1·2동 행정복지센터다. 노원3동 행정복지센터는 팔달시장역 옆에 있다가 합동으로 폐소된 후 재개발 지구에 들어가면서 철거되었으며, 현재 이쪽 주변으로 대구노원한신더휴아파트가 있다.
과거 달서면에 속했던 곳이다. 1975년에 서구 원대동2가(일부)·원대동4가·원대동5가·원대동6가가 북구에 편입되어 노곡동의 노와 원대동의 원을 따서 노원동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북구에 편입됐지만 여전히 침산(오봉산)으로 인하여 서구와 생활권 면에서 더 밀접하다. 노원로를 사이에 두고 북쪽은 3공단, 남쪽은 시가지가 펼쳐져 있다.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이 노원동3가에 있다. 동명과 전혀 일치하지 않는(그 대신 도로명과 일치하는) 팔달시장도 노원동3가에 있다.
3공단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일부분은 침산1동 관할이다. 2014년 12월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복현동에서 이전해 왔다.
- 1965년 행정동 원대1·2가동, 원대3가 1동, 원대3가 2동 설치
- 1966년 위 행정동들을 각각 폐지 및 개편하여 원대1·2·4가동, 원대3가동, 원대5·6가동으로 재설치
- 1975년 원대1·2·4가동의 법정동 원대동 4가와 원대동2가 일부, 원대5·6가동이 북구로 이관 및 노원1·2가동, 노원3가동으로 개칭
- 1979년 노원3가동을 노원3가1동, 노원3가2동으로 분리
- 1998년 노원1·2가동을 노원1·2동으로 개칭, 노원3가1동, 노원3가2동을 노원3동으로 통합
- 2009년 노원1·2동, 노원3동을 노원동으로 통합
10.1.5.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 甲
관할 법정동은 산격동이다. 1965년 1~3동이 설치되었고 92년 1동에서 4동이 분리되었다.- 산격1동: 인구는 8,784명.[P] 대략 연암산 서쪽이라고 보면 되지만 딱 맞지는 않다. 연암산을 공원화한 연암공원이 있으며 그 안에 구암서원이 있다.
- 산격2동: 인구는 10,527명.[P] 동북로 북쪽이 모두 해당된다. 대구종합유통단지와 EXCO가 있으며 향토기업인 인터불고 엑스코, 그리고 NC아울렛 엑스코점, 코스트코 대구점이 있다.
- 산격3동: 인구는 9,375명.[P] 경북대학교 캠퍼스의 2/5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경북대학교 북문이 있어 그 앞쪽은 이른바 경대북문이라는 제법 큰 상권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만큼 원룸도 많다. 대구교육박물관이 있다.
- 산격4동: 인구는 8,214명.[P] 대구광역시청 별관이 있다. 이 부지는 원래 경상북도청이 있던 자리였으나 안동으로 이전한 뒤 지금과 같이 사용되고 있다. 추후 대구광역시청이 두류동으로 통합 이전하게 되면 이 부지는 대구도심융합특구 문화산업허브로 사용될 예정이다. 바로 옆에 대구실내체육관이 있으며, 나머지 지역은 평범한 주거지역이다.
10.1.6. 복현1동, 복현2동 - 甲
관할 법정동은 복현동이다. 1990년 1,2동으로 분동되었다.- 복현1동: 인구는 7,469명.[P] 경북대학교 캠퍼스의 1/10 정도가 해당된다. 만성 정체가 발생하는 복현오거리가 있다. 복현오거리 막창골목이 있으며 빌라와 저층 아파트가 굉장히 많다.
- 복현2동: 인구는 31,038명.[P] 마찬가지로 복현오거리에 접해 있으며 1동과 달리 아파트단지가 굉장히 많다. 이 지역도 개발된 지가 오래되었기 때문에 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가장 최근에 재개발이 완료된 아파트단지로 복현 푸르지오, 복현 아이파크, 복현자이의 3대장이 있다. 영진전문대학교가 있다.
10.1.7. 대현동 - 甲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과거 수성면에 속했던 곳이다. 인구는 17,052명.[P]1975년 10월 1일, 동구 신암3동·신암6동이 북구에 편입되면서 대현1동·대현2동으로 이름을 바꾸었다.[118] 1979년 5월 1일, 대현2동이 대현2·3동으로 분할되었으나 인구 감소로 1998년 10월 12일 부로 대현2동에 다시 흡수되었으며, 2011년 7월 4일에 대현1·2동이 합동되었다.
원래 동구에 속했던 곳이라 상수도 등 기반 시설들은 대부분 동구 쪽과 공유하고 있으며 전화 국번도 동구와 공용한다. 칠성교, 공고네거리에서 경대교로 가는 길목에 있는 동네다. 경북대학교 공과대학과 재정 기숙사[119]가 대현동 소재이며, 흔히 쪽문이라고 불리는 곳이 대현동이다. 동대구시장과 농협중앙회 경북지역본부 쪽으로 대현3지구의 재개발이 진행 중이며, 경북대학교에 붙은 쪽은 빠른 속도로 원룸촌이 되고 있다.
버스 정류장 이름이 될 정도로 역사가 오래 된 강남약국/강남당약국이 있다. 둘 중 원조는 길 건너 동구 신암2동의 강남약국으로, 버스정류장 이름을 보면 대현동 강남당약국 앞은 '강남약국 건너'이며, 맞은편 동구 신암2동의 강남약국 앞은 '강남약국 앞 1,2'정류장이다. 하지만 지금은 대현동 동대구시장 입구의 강남당약국이 성업 중이다.
전철노선이 직접 지나가는 동네가 아니지만, 대현동 중에서 동대구시장 일대 및 칠성교와 만나는 쪽에는 신천(칠성교)을 건너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칠성시장역을 이용할 수 있다. 공고네거리 쪽에서는 신천역도 이용할 수 있다. 신천역에서는 경북대학교 셔틀버스 정류장이 있다.
- 1965년 행정동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설치
- 1970년 행정동 신암1동에서 신암5동이, 신암3동에서 신암6동이 분리
- 1975년 신암3동과 신암6동이 북구로 이관, 신암3동을 대현1동으로, 신암6동을 대현2동으로 각각 개칭[120]
- 2011년 대현1동과 대현2동을 대현동으로 통합
10.1.8. 검단동 - 甲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과거 성북면에 속했던 곳이다. 인구는 6,261명.[P]금호강이 곡류하는 모퉁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검단일반산업단지가 위치해 있지만 서구 비산동에 있는 비산염색공단과 달서구에 있는 성서산업단지에 밀려 인지도가 듣보잡이다.
경부고속도로가 지나가며, 강 건너가 동구 불로동이기 때문에 대구국제공항과 인접하여 소음 피해가 큰 곳이다. 금호강 건너편으로 북구 동변동과 동구 불로동이 바로 보이지만, 검단동과 불로동을 연결해 주는 다리가 없다.[122] 따라서 공항교로 우회하여 불로삼거리로 가던지, 혹은 공항교 끝에 있는 금호강변로를 이용해야 한다. 검단동에서 무태로 가려면 대구종합유통단지나 산격대교로 우회해야 한다.
북쪽에 있는 검단들은 거의 허허벌판이지만 주변에 대구종합유통단지가 있고 금호강 건너편에는 이시아폴리스가 있으며 무엇보다 대구 도심 지역에 남은 몇 안 되는 노른자 땅으로 손꼽힌다. 대구시는 1974년 검단제2산업단지 조성 계획을 발표했으나 무산됐고, 1995년 종합물류단지 계획도 영남권 내륙화물기지가 경북 칠곡군에 건립되는 것으로 확정되면서 민자투자 유치 실패로 흐지부지됐다. 이후 대규모 테마파크 조성, 로봇산업클러스터 부지,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이전지, 시외버스터미널 부지[123]로 거론된 바 있지만 구체화되지 못했다. 검단들에서 농사를 짓고 있는 주민들은 개발 계획에 대한 불확실성과 실내골프연습장, 시내버스 차고지[124], 검단동CNG충전소, 자동차재활용정비공장 건립으로 농경 환경의 악화에 대한 문제 제기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무엇보다 대구시의 개발 계획이 확정된 것도 아니고 무산된 것도 아닌 애매한 상황이라 농사를 포기해야 할 지, 계속해야 할 지 문제라고 한다.
결국 대구광역시는 뒤늦게 검단들의 난개발을 막기 위해 2013년 4월부터 2016년 4월까지 3년간 개발행위 허가 제한[125]을 내용으로 한 고시를 발표한 바 있다. 대구시는 2013년 9월부터 2014년 5월까지 검단들 개발을 위한 타당성조사 연구 용역을 진행했는데 연구용역 완료를 한 달 앞둔 2014년 4월 용역을 일시 정지했다. 그 이유는 검단교(가칭)와 대구종합유통단지와 이시아폴리스를 잇는 도로[126]에 대한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 완료 후 검단들 타당성조사 재시작 시기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인데 예비타당성 조사를 8월 중에 마무리 짓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지만 기획재정부의 검토 결과에 따라 지연될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도축장도 이 동네에 있는데, 현재의 서구 중리동 퀸스로드 자리에 있다가 이쪽으로 이전했다. 버스 정류장 이름도 "검단동대구축협"이다.
- 1965년 행정동 검단동 설치(법정동:검단동)
10.1.9. 무태조야동 - 乙
관할 법정동은 동변동·서변동·연경동·조야동이다. 인구는 35,818명.[P]조야동만 유일하게 과거 달성군 달서면에 속했으며, 나머지는 달성군 성북면에 속했던 곳이다. 조야동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들은 옛 지명인 "무태"라고 부르기도 한다. 조야동의 경우 1938년에 편입한 이후 줄곧 대구시에 속했으며, 1963년에 일반구가 설치되면서 서구에 소속되었다가 1975년 북구에 편입되었다. 하지만 조야동은 동변동, 서변동과 함께 전화 국번을 동구와 공용한다. 동변동·서변동·연경동은 1938년에 성북면에서 공산면으로 넘어갔다가 1957년 동변동과 서변동이 대구시에 편입되었다. 1963년 일반구가 설치되면서 북구에 소속되었다. 처음부터 독립된 행정동으로 출범했었으나 1975년에 동서변동으로 합동하였다. 연경동의 경우 한동안 공산면에 속했다가 1981년 대구직할시의 출범과 동시에 공산면 자체가 통째로 달성군에서 동구로 편입되면서 덩달아 동구에 속했다가, 1987년 북구에 편입되었다.[128] 이 때 동서변동이 연경동을 포함하게 되면서 무태동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98년 무태동과 조야동이 합동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조야동은 무태 쪽과 이격되어 있어서 시내버스 종점 근처에 민원분소가 있다.(옛 조야동사무소다.) 연경동은 농촌으로 개발제한구역이었다가 연경지구로 개발 중에 있다.
동화천을 건너 동변동까지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가 끝난 후 분양한 선수촌 아파트 단지가 있다. 경부고속도로 북대구IC와 크고 아름다운 신천수질환경사업소 또한 서변동에 있다. 대구국제공항과 거리상 멀지 않은 곳에 있는 관계로 서변동과 동변동 일대로도 아파트 위로 대구국제공항을 오가는 여객기들이 다니기 때문에 아파트 층수가 대부분 15층으로 낮은 편이다. 특히 연경동에서는 여객기가 대구국제공항으로 착륙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면 비행기가 날아오며, 게다가 보너스로 가끔 날아다니는 F-15 K는 덤.[129][130] 항공기들은 연경동을 항공 루트로 사용해서, 연경동은 무태조야동 일대 중에서 비행기 소음이 매우 심하다.
조야동에는 대구 기독교방송의 AM 라디오 송신소가 있다.[131]
- 1965년 행정동 동변동, 서변동, 조야동[132] 설치
- 1975년 행정동 조야동이 북구로 이관, 동변동, 서변동을 동서변동으로 통합
- 1987년 동구 공산동 소속의 법정동 연경동을 북구 동서변동에 편입함과 동시에 무태동으로 개칭
- 1998년 무태동과 조야동을 무태·조야동으로 통합
10.2. 칠곡지구 지역 (금호강 이북) - 乙
아래 행정동은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읍이 1981년 7월 1일에 출범한 대구직할시에 편입된 곳이다. 대구에서 칠곡이라 하면 보통 이 곳을 가리킨다.[133] 이 지역은 간간히 강북구로 분구해야 한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북구에서도 금호강 이북에 따로 떨어져있는 곳이라 사실상 별개의 지역이기 때문. 그래서 달서구 성서(城西)와 마찬가지로 개별 문서로 만들어졌고 행정 구역 역시 북구이긴 하지만 치안 수요가 증가하고 원거리로 인한 신속 대응을 해결하기 위해 대구강북경찰서가 존재한다.[134]10.2.1. 관문동
관할 법정동은 금호동·노곡동·매천동·사수동·팔달동이다. 인구는 35,862명[P]으로 북구에서 인구가 가장 많다.동네가 크게 세 곳으로 나뉘는데, 칠곡지구에 속하는 매천동과 팔달동 일대, 최근 금호지구로 개발되고 있는 금호동과 사수동 일대, 그리고 특별한 개발 없이 근대화된 자연부락이 있는 노곡동으로 나뉜다. 그래서 행정복지센터도 사수동과 노곡동에 분소를 설치하고 있는 상태이다.
조야동 옆에 외따로이 있는 노곡동은 원래 달성군 달서면에 속한 곳이었다. 일찌감치 대구부에 편입되었으며, 일반구 설치 후 서구에 소속되었다가 1975년에 북구에 편입되었다. 한동안 독립된 행정동으로 존재했었으나 1998년 칠곡2동에 합병되었고, 2003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정작 강북 지역보다 노원동의 3공단에 가깝다. 그런데 노곡동 쪽 전화 국번은 칠곡 지역 국번 중 하나인 310국을 쓴다.[136] 이 동네는 말이 관문동이지 버스를 타면 노곡교를 타고 노원동, 침산동 투어를 한 다음에 칠곡지구로 넘어가기 때문에 같은 칠곡지구로 분류하기는 어려운 동네이다. 그리고 관광명소로 유명한 금호강의 하중도가 노곡동에 있다.
매천동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가장 아래쪽에 있는 팔달동은 대구와 칠곡을 잇는 관문인 팔달교가 있는데 그래서 행정동 이름도 관문동이다. 매천동에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이 있다. 그리고 태전고가차도를 통해 칠곡1지구로 곧바로 연결된다.[137]
금호동은 중앙고속도로 옆에 기다랗게 끼여 있는 동네이며, 아래쪽에 금호JC가 있다. 금호동에는 동구 봉무동의 봉무사격장을 이전한 대구국제사격장이 있다. 서쪽 끝에 있는 사수동은 금호택지지구로 지정되어 개발이 진행 중이며, 북구에서 유일하게 달성군과 만나는 곳이다. 여기서 조금만 더 나가면 경부선 지천역이 나오고, 금호지구 교차로에 와룡대교가 개통하여 서구 상리동 및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와 연결된다.
- 1965년 행정동 노곡동,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읍 일부
- 1975년 서구 노곡동이 북구로 이관
- 1981년 대구직할시 북구 노곡동, 칠곡출장소
- 1982년 칠곡출장소 관할구역에 칠곡1동과 칠곡2동 설치
- 1983년 칠곡출장소 관할구역에 칠곡3동 추가설치
- 1998년 칠곡2동에 노곡동 편입
- 2003년 행정동 칠곡2동을 관문동으로 개칭
10.2.2. 태전1동, 태전2동
관할 법정동은 태전동이다. 칠곡중앙대로를 기준으로 서쪽이 1동, 동쪽이 2동이다. 인구는 1동 21,984명, 2동 24,007명.[P]
칠곡지구에서 가장 먼저 개발된 곳으로 칠곡지구 남쪽에 해당된다. 4번 국도가 들어오는 곳이다. 아파트단지와 저층 주거지역이 혼재되어 있다. 대구보건대학교가 1동에 있다.
- 1965년 칠곡군 칠곡읍 태전동
- 1981년 대구직할시 북구 칠곡출장소
- 1982년 칠곡출장소 관할구역에 칠곡1동, 칠곡2동설치
- 1983년 칠곡출장소 관할구역에 칠곡3동 설치
- 1995년 칠곡1동에서 태전동 분리
- 2003년 태전동을 태전1동으로 개칭, 칠곡1동을 태전2동과 구암동으로 분리, 칠곡3동을 읍내동과 동천동으로 분리
10.2.3. 구암동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구암동 행정복지센터는 강북중학교 건너편에 있다. 인구는 34,216명[P]원래 구암동은 칠곡1동의 일부였으나 2003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칠곡의 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칠곡3지구의 개발로 아파트가 많다. 칠곡3지구의 개발로 인해 구암동은 칠곡2지구와 칠곡3지구에 걸쳐 소재하며 동 행정복지센터는 칠곡3지구 쪽에 있다.
북구를 관할하는 북대구우체국과 강북경찰서가 구암동에 있으며[140] 북대구우체국은 고성동에서 이전해 왔다. 대신 구 청사는 고성동우체국으로 변경되었다.
칠곡3지구 개발로 아파트가 상당히 많다. 소형평수 아파트인 동화골든빌부터 중대형 평수 아파트인 화성그랜드파크까지 정말 많다. 전자는 전용면적 7~8평밖에 안 되는 경우도 있으며 후자는 전용면적 37평이 되는 경우도 있다. 다만 황금동 대우트럼프월드마냥 50~90평대를 기대하진 말자. 거의 블록 단위로 초등학교가 있다. 즉, 아파트 단지 한 두 개마다 초등학교가 딸려있다.
- 1965년 칠곡군 칠곡읍 구암동
- 1981년 대구직할시 북구 칠곡출장소
- 1982년 칠곡출장소 관할구역에 칠곡1동, 칠곡2동설치
- 1983년 칠곡출장소 관할구역에 칠곡3동 설치
- 1995년 칠곡1동에서 태전동 분리
- 2003년 칠곡1동을 태전2동과 구암동으로 분리
10.2.4. 관음동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1994년 칠곡1동에서 분리되었으며, 아파트보다 빌라 혹은 일반주택이 많은 곳이다. 인구는 15,957명.[P]옆에 중앙고속도로가 지나가며, 칠곡IC가 있다. 2009년 7월 관음변전소 남쪽에 관음공영차고지가 설치되었으나,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해 2010년 9월부터 가동이 시작됐다. 신전뮤지엄이 있다.
- 1965년 칠곡군 칠곡읍 관음동
- 1981년 대구직할시 북구 칠곡출장소 관음동(법정동)
- 1982년 칠곡출장소 관할구역에 칠곡1동 설치
- 1994년 칠곡1동에서 관음동 분리
10.2.5. 읍내동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26,156명.[P]칠곡3동의 일부였으나 2003년에 분리되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과거 칠곡읍의 중심지 역할을 했던 곳이며, 그 흔적으로 칠곡초등학교, 칠곡중학교, 칠곡향교[143], 교동초등학교, 교동중학교가 있다.[144] 지금도 칠곡 지역의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한다. 읍내동은 칠곡네거리부터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까지 칠곡1지구와 3지구 입구를 아우르며 굉장히 넓게 뻗어 있는 동이다. 남쪽 끄트머리의 칠곡네거리에는 동아아울렛 강북점이 있다.
2011년 11월에 국내 최다 마애암각군이 발견되었다. 대구 칠곡중앙대로 129길에 있는 안양마을에 있는 한 절에서 발견된 것으로 추정. 절벽 아래에 불상과 탑을 여럿 새긴 것인데 삼국시대 말기 작품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곳의 안양마을은 강북지역어서 도남동과 함께 유일한 시골의 풍경을 가지고 있다.
대중금속공업고등학교가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에서 학정동으로 들어가는 진흥교 근처 산 쪽에 2015년 3월 2일에 이전하였다.
북구립 구수산도서관이 있다.
- 1965년 칠곡군 칠곡읍 읍내동
- 1981년 대구직할시 북구 칠곡출장소
- 1983년 칠곡출장소 관할구역에 칠곡3동 설치
- 2003년 칠곡3동을 읍내동, 동천동으로 분리
10.2.6. 동천동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하며, 동천동 행정복지센터는 동천역 인근에 있다. 인구는 27,294명.[P]2003년 이전까지 행정동 칠곡3동으로 읍내동과 묶여있었으나 2003년에 분활되면서 원래 지명인 동천동으로 행정동이 바뀌었다. 2009년 동천동의 북쪽이 국우동으로 분리됐다.
구암동, 국우동과 함께 칠곡3지구로 불리는 곳이며, 팔거역 인근에 칠곡3지구 번화가가 있어 강북 지역의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한다. 홈플러스 칠곡점이 이곳에 있다. 같은 칠곡으로 묶이지만 팔거천을 사이에 두고 5번 국도가 지나가는 읍내동, 관음동, 태전동 등과는 생활권이 다소 동떨어져 있다. 팔거천 서쪽은 상대적으로 단독주택 비중이 높으며 동아아울렛이 있는 칠곡네거리가 상업 중심지인 반면, 동천동, 구암동, 국우동은 홈플러스~대구강북경찰서가 있는 상가 밀집지가 중심이다. 칠곡3지구 번화가의 규모가 꽤 큰 까닭에 국우터널 너머의 무태·조야동 시민들이 종종 찾기도 한다.
- 1965년 칠곡군 칠곡읍 동천동
- 1981년 대구직할시 북구 칠곡출장소
- 1982년 칠곡출장소 관할구역에 칠곡1동, 칠곡2동설치
- 1983년 칠곡출장소 관할구역에 칠곡3동 설치
- 2003년 칠곡1동을 태전2동과 구암동으로 분리, 칠곡3동을 읍내동과 동천동으로 분리
- 2009년 동천동에서 국우동 분리
10.2.7. 국우동
관할 법정동은 국우동·도남동·동호동·학정동이며, 국우동과 학정동에 시가지가 구성되어 있다. 인구는 30,430명.[P]2009년 동천동에서 분리되었으며, 법정동인 국우동에 행정복지센터가 있다. 학정동은 경상북도청 산하의 사업소[147]들이 밀집되어 있는 곳이며, 2015년 안동시, 예천군으로 경상북도청이 이전한 이후에도 마땅한 이전지를 찾지 못해 산격4동 옛 도청 청사로 임시 이전한 종합건설사업소 외에는 현재도 학정동에 남아 있다. 또한 칠곡경북대학교병원과 제50보병사단 사령부가 있다. 북구와 달서구 거주 예비군은 반드시 이 곳으로 와서 훈련받아야 한다.
학정동 위에 있는 동호동은 칠곡군 동명면과 인접해 있으며, 대구체육고등학교와 경상북도 공무원교육원이 있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칠곡경대병원역과 동호차량사업소 또한 이 곳에 들어섰다. 북동쪽 끄트머리에 있는 분지인 도남동은 대구의 강북 지역에서 안양마을과 더불어[148] 유일하게 농촌의 풍경을 간직하고 있다.
칠곡3지구의 개발로 도남초등학교가 칠곡3지구 아파트 단지 내 국우동행정복지센터 근처로 이전하게 되면서 도남동으로 들어가는 길목에 있는 옛 도남초등학교 건물은 영재교육원으로 사용하고 있다가, 영재교육원이 달서구 용산1동으로 이전한 후에는 대구예담학교로 이용하고 있다. 이후 이곳에 국제학교가 생길 예정이다.
연경동과 함께 대구국제공항과 대구 공군기지의 루트로 자주 활용되고 있고, 그래서 소음 피해가 검단동, 복현동, 연경동과 함께 매우 큰 지역들 중 하나로 꼽힌다.
- 1965년 칠곡군 칠곡읍 국우동, 도남동, 동호동, 학정동
- 1981년 대구직할시 북구 칠곡출장소
- 1983년 칠곡출장소 관할구역에 칠곡3동 설치
- 2003년 칠곡3동을 읍내동, 동천동으로 분리
- 2009년 동천동에서 국우동 분리
10.3. 북구 행정구역 변천사
- 1965년 행정동제 실시
행정동 설치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칠성동1가 | 칠성1가동 | 행정동제 실시 |
칠성동2가 | 칠성2가1동, 칠성2가2동 | ″ |
태평로4가 | 태평로4가동 | ″ |
태평로5가, 태평로6가 | 태평로5·6가동 | ″ |
침산동 | 침산1동, 침산2동 | ″ |
산격동 |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 ″ |
복현동 | 복현동 | ″ |
검단동 | 검단동 | ″ |
동변동 | 동변동 | ″ |
서변동 | 서변동 | ″ |
- 1970년 침산1동에서 침산3동 분리
- 1975년 행정동 개편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칠성1가동 | 칠성1가동 | 명칭유지 |
칠성2가1동 | 칠성2가1동 | ″ |
칠성2가2동 | 칠성2가2동 | ″ |
태평로4가동 | 고성1가동 | 명칭변경 |
태평로5·6가동 | 고성2·3가동 | ″ |
서구 원대1·2·4가동 일부, 원대5·6가동 전체 | 노원1·2가동, 노원3가동 | 명칭변경 및 관할 변경 |
산격1동 | 산격1동 | 명칭유지 |
산격2동 | 산격2동 | ″ |
산격3동 | 산격3동 | ″ |
동구 신암3동 | 북구 대현1동 | 명칭변경 및 관할 구 변경 |
동구 신암6동 | 북구 대현2동 | ″ |
서구 노곡동 | 북구 노곡동 | ″ |
서구 조야동 | 북구 조야동 | ″ |
복현동 | 복현동 | 명칭유지 |
검단동 | 검단동 | ″ |
동변동, 서변동 | 동서변동 | 행정동 통합 |
침산1동 | 침산1동 | 명칭유지 |
침산2동 | 침산2동 | ″ |
침산3동 | 침산3동 | ″ |
- 1979년 행정동 2차 개편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노원3가동 | 노원3가1동, 노원3가2동 | |
대현2동 | 대현2동, 대현3동 |
- 1980년 고성1가동, 고성2·3가동을 고성동으로 통합
- 1981년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읍 편입, 대구직할시 북구로 승격 및 칠곡출장소 설치
- 1982년 칠곡출장소 내에 칠곡1동, 칠곡2동 설치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칠곡출장소 태전동, 구암동, 관음동 | 칠곡1동 | |
칠곡출장소 사수동, 팔달동, 매천동, 금호동 | 칠곡2동 | |
칠곡출장소 동천동, 국우동, 도남동, 학정동, 동호동, 읍내동 | 칠곡출장소 |
- 1983년 위 개편사항 中 칠곡출장소로 존치된 법정동을 관할로 칠곡3동 설치
- 1987년 동구 연경동, 신암동 일부를 동서변동에 편입하고 무태동으로 개칭
- 1990년 복현동을 복현1동, 복현2동으로 분리
- 1992년 산격1동을 산격1동, 산격4동으로 분리
- 1994년 칠곡1동에서 관음동 분리
- 1995년 칠곡1동에서 태전동 분리
- 1997년 칠곡출장소→강북출장소로 개칭
- 1998년 강북출장소를 폐지함과 동시에 행정동 3차 개편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칠성1가동, 칠성2가1동 | 칠성1동 | 명칭변경 및 행정동 통합 |
칠성2가2동 | 칠성2동 | ″ |
노원1·2가동 | 노원1·2동 | ″ |
노원3가1동, 노원3가2동 | 노원3동 | ″ |
대현2동, 대현3동 | 대현2동 | 행정동 통합 |
무태동, 조야동 | 무태조야동 | ″ |
칠곡1동 | 칠곡1동 | 행정동 유지 |
칠곡2동, 노곡동 | 칠곡2동 | 행정동 통합 |
칠곡3동 | 칠곡3동 | 행정동 유지 |
산격1동 | 산격1동 | ″ |
산격2동 | 산격2동 | ″ |
산격3동 | 산격3동 | ″ |
산격4동 | 산격4동 | ″ |
침산1동 | 침산1동 | ″ |
침산2동 | 침산2동 | ″ |
침산3동 | 침산3동 | ″ |
고성동 | 고성동 | ″ |
태전동 | 태전동 | ″ |
관음동 | 관음동 | ″ |
복현1동 | 복현1동 | ″ |
복현2동 | 복현2동 | ″ |
검단동 | 검단동 | ″ |
- 1999년 칠성1동, 칠성2동을 칠성동으로 통합
- 2003년 행정동 4차 개편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태전동 | 태전1동 | 명칭변경 |
칠곡1동 | 태전2동, 구암동 | 행정동 분리 |
칠곡2동 | 관문동 | 명칭변경 |
칠곡3동 | 읍내동, 동천동 | 행정동 분리 |
- 2009년 노원1·2동, 노원3동을 노원동으로, 동천동을 동천동, 국우동으로 분리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노원1·2동, 노원3동 | 노원동 | |
동천동 | 동천동, 국우동 |
*2011년 대현1동, 대현2동을 대현동으로 통합
11. 공공기관
- 대구광역시청 별관: 2016년 5월 옛 경북도청 건물로 이전했다. 차후 달서구 두류동으로 통합 이전이 확정되었으며, 해당 부지는 대구도심융합특구로 개발될 예정이다.
- 경북도청 대구별관: 경상북도 유관기관이 북구에 많이 몰려있었는데, 도청이 북구 산격4동에 있었기 때문이다. 다만, 경북도청 산하의 사업소들(종합건설사업소, 농업기술원, 도립국악단, 공무원교육원)은 칠곡경대병원역 남쪽의 학정동에 몰려 있는데, 그 중 농업기술원은 상주시 사벌면으로 이전이 확정됐고 칠곡경대병원과 붙어 있는 종합건설사업소는 사업소 부지를 칠곡경대병원에 매각한 후 산격4동 청사로 이동했다. 2016년 2월 도청과 도교육청이 안동시로 이전하면서 비어버린 부지를 개발할 계획에 있다. 현재 후적지에는 대구광역시청 별관이 이전했다.
- 동북지방통계청: 팔거역 바로 옆에 있다. 통계청 소속으로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강원도 지방의 통계 조사를 담당한다. 참고로 부산광역시에는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를 관할하는 동남지방통계청이 있다.
- 대구우편집중국
- 부산지방국토관리청 대구국토관리사무소: 태전역 인근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 농수산물도매시장
- 보병50사단(강철부대)
- 북대구세무서
- 북구선거관리위원회
- 대구역
- 대구광역시경찰청 대구북부경찰서
- 대구광역시경찰청 대구강북경찰서
- 대구소방본부
- 대구소방본부 대구북부소방서
- 대구소방본부 대구강북소방서: 2023년 개서 예정, 북구 강북 지역(칠곡지구, 연경지구, 금호지구, 동서변동, 무태조야동, 노곡동 관할)
- 북구보건소
- 북구보건소 강북보건지소
- 칠곡경북대학교병원
- 근로복지공단 대구병원
- 도로교통공단 대구운전면허시험장
12. 출신 인물
- 강영식 - 야구 선수.
- 공혁준 - 인터넷 방송인.
- 김승관 - 야구인.
- 권은희 - 제19대 국회의원.
- 낸시 - 복수 국적이긴 하나 태어난 곳은 칠곡 출신이다.
- 배영수 - 야구 선수.
- 최범규 - 보이그룹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멤버. 태전동 출생.
- 서상기 - 제17~19대 국회의원. 산격동 출생.
- 슈가 - 이쪽도 칠곡 출신이다.
- 아이린 - 걸그룹 Red Velvet의 멤버. 칠곡에서 살았으며, 운암중학교, 학남고등학교를 나왔다.
- 퀸가현 - 인터넷 방송인.
- 장유인 - 유튜버.
[1] 31개 법정동, 23개 행정동[2] 2022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현황[3] 북구 가선거구 (고성동, 칠성동, 노원동): 김순란, 임수환
북구 나선거구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김시현, 김상혁
북구 다선거구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대현동): 서상훈, 이성근
북구 라선거구 (복현1동, 복현2동, 검단동): 이현수
북구 마선거구 (무태조야동, 관문동, 태전1동): 최수열, 김현주
북구 바선거구 (태전2동, 구암동, 국우동): 허정수, 장영철
북구 사선거구 (관음동, 읍내동, 동천동): 김상선, 이상봉
비례대표: 이소림, 차대식[4] 북구 다선거구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대현동): 오영준
북구 라선거구 (복현1동, 복현2동, 검단동): 한상열
북구 마선거구 (무태조야동, 관문동, 태전1동): 최우영
북구 바선거구 (태전2동, 구암동, 국우동): 장윤영
북구 사선거구 (관음동, 읍내동, 동천동): 채장식
비례대표: 김종련[5] 북구 제1선거구 (고성동, 칠성동,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노원동): 류종우 (초선)
북구 제2선거구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복현1동, 복현2동, 대현동, 검단동): 김지만 (재선)
북구 제3선거구 (무태조야동, 관문동, 태전1동): 김재용 (초선)
북구 제4선거구 (태전2동, 구암동, 국우동): 하병문 (재선)
북구 제5선거구 (관음동, 읍내동, 동천동): 이동욱 (초선)[6] 다만 무태조야동은 옛 달성군 성북면에 속했다가 1938년 대구부에 편입된 지역이고, 연경동은 달성군 공산면에 속했다가 동구를 거쳐 1987년 북구에 편입되었다.[7] 엄밀히 말하자면 시내 방향이 서구 비산7동이고, 칠곡 방향은 북구 노원동3가다. 도로를 기준으로 나뉘어져 있다.[8] 금호강 이북 지역을 강북, 금호강 이남 지역은 강남이라고 한다. 다만 대구 시가지 대부분이 금호강 이남에 있어서 대구 강북이라는 말은 가끔씩 써도 대구 강남이라는 말은 거의 안 쓴다. A급 고등학교가 많이 있는 수성구를 대구의 강남이라고 말하기는 해도.[9] 역시 생활권이 성서와 월배로 분리되어 있고 인구가 50만 이상인 달서구 역시 분구는 감감무소식이다.[10] 금호강 이북지역(동서변동, 칠곡지구, 금호지구, 노곡동, 연경지구) 관할[11] 금호강 이북 지역(동서변동, 칠곡지구, 금호지구, 노곡동, 연경지구) 관할 예정.[12] 인구 50만 명을 넘겼고 월배와 성서로 생활권이 나뉜(이 쪽은 그래도 칠곡지구와 북구청이 3호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북구와는 달리 성서에서 월배의 달서구청으로 가려면 배차간격이 길고 굴곡이 심한 지선버스 말곤 답이 없다.) 달서구도 성서를 성서구(가칭)로 분구하려고 하는데 통합 위주 정책으로 인해 분구가 지지부진하며, 성서에는 대구달서경찰서와 별개로 이곡1동 이마트 성서점 건너편에 대구성서경찰서가 있다.[13] 서울특별시의 뉴타운과 비슷하다.[14] 북구 내에서 부동산 가격이 가장 비싸고 대구 전체적으로 봐도 중구, 달서구와 더불어 수성구 바로 다음 가는 곳이다.[15] 예전에는 대구지방국세청도 위치해 있었다. 지금은 달서구 대곡동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로 이전했다.[16] 주민들은 흔히 옛 이름인 오봉산이라 부른다. 실제로 산 아래에 오봉오거리가 위치해 있다.[17] 대구에서는 성서지구, 월배지구, 시지지구 등과 함께 주요 외곽 신도시이다.[18] 이유가 없는 것은 아니다. 복현오거리의 경우 다섯 갈래 길이 모두 대구 주요 시설 및 공단을 지난다(경북대학교, 3공단, EXCO, 코스트코 대구점, 대구국제공항 등). 3공단과 검단공단의 경우 영세 공장이 많은지라 자잘한 자재 이동이 항상 있고, 경북대의 경우 더 할 말이 없다. 출퇴근 시간 없이 항상 붐빈다는 뜻. 물론 복현오거리의 복잡한 도로 구조와 5방향 모두 다 직좌 동시 신호인 점도 한 몫 한다. 그나마 코스트코가 신서혁신도시에도 지점을 내 예전보단 통행량이 줄기는 했는데, 아파트들이 고층으로 재건축되고 있다.[19] 3호선 개통 전 북구에 있는 전철역은 대구역, 칠성시장역 2개뿐이었다. 그나마 둘 다 북구의 남쪽 끝에 중구 및 동구의 경계와 맞닿아 있어서 대구역은 중구, 칠성시장역은 동구 취급을 받았다. 이들은 북구 관내에서 유일한 지하역이다.[20] 경상여고 일대에서 학생들이 가장 많이 사는 침산네거리까지 걸어서 30분 정도지만, 버스는 칠곡2번 하나밖에 없는데 알다시피 칠곡2번은 감차당한 적이 한 번 있는 노선인지라 배차간격은 개판 5분 전이다.[21] 1호선이 계획되고 착공되던 당시 동구 단일 선거구의 13대 의원, 동구 을의 14대 의원을 지낸 박준규는 당시 7선, 8선의 국회의장만 두 번 지낸 거물이었고(15대에는 중구로 지역구를 옮기고 9선 의원, 3선 국회의장이 되었다.) 동구 갑의 14대 의원 김복동은(15대에는 자민련 소속으로 당선) 1호선 동구 구간이 확정되고 선거구가 획정되고 갓 당선된 당시만 해도 대통령 노태우의 처남이면서 김영삼과도 가까운 인사였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25] 강북중학교 내 위치.[A] 법정동 고성동1~3가[B] 법정동 칠성동1~2가. 칠성시장이 있는 동네[C] 대구섬유공단이 있는 동네[D] 법정동 노원동1~3가. 대구섬유공단이 있는 동네[E] 경북대학교가 있는 동네[E] [E] [F] 검단산업단지가 있는 동네[G] 법정동 동변동 · 서변동 · 연경동 · 조야동[H] 법정동 매천동 · 팔달동 · 금호동 · 사수동 · 노곡동[I] 대구보건대학교, 대구과학대학교가 있는 동네[J] 법정동 국우동 · 학정동 · 동호동 · 도남동. 제50보병사단이 있는 동네[K] 고성동, 칠성동,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노원동,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대현동, 복현1동, 복현2동, 검단동 (강남지역)[39] 지역구 국회의원: 양금희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L] 무태·조야동, 관문동, 태전1동, 태전2동, 구암동, 관음동, 읍내동, 동천동, 국우동 (강북지역)[41] 지역구 국회의원: 김승수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A] 법정동 고성동1~3가[B] 법정동 칠성동1~2가. 칠성시장이 있는 동네[C] 대구섬유공단이 있는 동네[D] 법정동 노원동1~3가. 대구섬유공단이 있는 동네[E] 경북대학교가 있는 동네[E] [E] [F] 검단산업단지가 있는 동네[G] 법정동 동변동 · 서변동 · 연경동 · 조야동[H] 법정동 매천동 · 팔달동 · 금호동 · 사수동 · 노곡동[I] 대구보건대학교, 대구과학대학교가 있는 동네[J] 법정동 국우동 · 학정동 · 동호동 · 도남동. 제50보병사단이 있는 동네[A] 법정동 고성동1~3가[B] 법정동 칠성동1~2가. 칠성시장이 있는 동네[C] 대구섬유공단이 있는 동네[D] 법정동 노원동1~3가. 대구섬유공단이 있는 동네[E] 경북대학교가 있는 동네[E] [E] [F] 검단산업단지가 있는 동네[G] 법정동 동변동 · 서변동 · 연경동 · 조야동[H] 법정동 매천동 · 팔달동 · 금호동 · 사수동 · 노곡동[I] 대구보건대학교, 대구과학대학교가 있는 동네[J] 법정동 국우동 · 학정동 · 동호동 · 도남동. 제50보병사단이 있는 동네[K] 고성동, 칠성동,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노원동,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대현동, 복현1동, 복현2동, 검단동 (강남지역)[67] 지역구 국회의원: 양금희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L] 무태·조야동, 관문동, 태전1동, 태전2동, 구암동, 관음동, 읍내동, 동천동, 국우동 (강북지역)[69] 지역구 국회의원: 김승수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A] [B] [C] [D] [E] [E] [E] [F] [G] [H] [I] [J] [A] [B] [C] [D] [E] [E] [E] [F] [G] [H] [I] [J] [94] 다만 2020년대에 들어 북구 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칠곡지구가 낮은 도심 접근성 및 신규 아파트의 공급 부족과 노후화로 서서히 고령화가 진행 중인데 비해 북구 갑 지역의 고성동, 칠성동, 침산동, 복현동 등지에서 대대적인 재개발, 재건축으로 토박이 고령층들이 떠나고 젊은 층들이 들어오고 있어 장기적으로 갑구와 을구의 정치 성향이 뒤바뀔 가능성도 있다. 구미시나 칠곡군 산업단지 통근도 대구권 광역철도가 개통하면 갑구나 을구 모두 소요시간 면에서 큰 차이도 없게 되고 갑구엔 경북대학교도 있다.[95] 대구광역시에서는 달서구가 유일하게 갑을병 3개의 선거구를 보유하고 있다.[96] 1위는 바로 수성구 갑 김부겸 후보, 여기는 40%에 육박하는 득표율을 얻었다.[97] 이 동네들은 섬유공단이 있는데, 서구와 구획이 딱 맞아 사실상 서구의 정치성향을 따라간다고 봐도 무리가 없다.[98] 민자당 원내총무, 내무부장관, 대통령비서실장을 지낸 북구 기반 정치인 중 가장 거물급 인사다.[99] 98.05.16. 의원직 사퇴 (대구광역시장 출마)[100] 98.07.21. 재보궐선거[101] 03.12.17. 구청장직 사퇴 (17대 총선 출마)[102] 04.06.05. 재보궐선거[P] 2022년 12월 주민등록인구통계[104] 태평로3가는 1964년에 일찌감치 중구로 편입되어 나갔다.[105] 341/350국번대[P] [P] [P] [P] [P] [P] [P] [P] [P] [P] [P] [P] [118] 신암초등학교가 학교명과 달리 북구 대현동 소재인 이유다. 신암초등학교 건너편이 동구 신암1동이다.[119] 경북대학교 기숙사 중에서 긍지관, 성실관, 협동관, 진리관, 화목관, 봉사관을 말한다. 또한 BTL 기숙사(첨성관, 향토관)은 복현1동에 있다. 건축물대장상에는 실 소재지와 관계 없이 학교의 대표 지번인 북구 산격동 1370번지 1호 소재로 표시된다.[120] 그래서인지 신암동 국번인 95X국번이 대현동으로 바뀌고 북구 행정구역에 남아있음에도 KT동대구지사에서 현재까지 관할중이다.[P] [122] 경부고속도로 금호2교가 있지만 말 그대로 고속도로라서 일반도로 전용 다리가 아니다. 다행히 검단교(가칭)를 만들기 위해 기획재정부 예타를 통과했다.[123] 동부정류장과 남부정류장 통합 터미널, 동부정류장과 북부정류장 통합 터미널, 동부·서부·남부·북부 4방면 통합 터미널#, 동대구고속버스터미널 이전지 등으로 거론됐다.[124] 성보교통. 영진교통은 북구 동호동으로 이전했다.[125] 기존 건축물의 재축, 개축, 증축, 표시변경은 제외[126] 6차선 도로로 총 길이는 3.4km이고 예타만 통과되면 2015년 착공에 들어가 2019년 완공한다고 한다.[P] [128] 조야동, 서변동, 동변동과 달리 연경동은 동구 동촌 지역의 국번(980국)을 공용한다. 연경동 바로 뒷편이 동구 지묘동(파계사 방향)이다.[129] 주로 남동풍이 부는 여름철에 이 방향으로 착륙한다. 참고로 이 착륙코스(13R)는 그 유명한 김해국제공항의 18R 서클링이나 제주국제공항 25번 착륙만큼은 아니지만, 칠곡지구의 함지산과 망일봉, 검단동 뒷산 같은 장애물들도 착륙항로 곳곳에 산재하고 있어 항공기 조종사들이나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동호인들 사이에서는 어려운 착륙코스들 중 하나로 손꼽힌다.[130] 남구 대명동과 봉덕동, 이천동과 수성구 수성1가, 중동, 그리고 중구 대봉동은 미군기지 캠프워커 비행장과 인접한 지역이다 보니 헬리콥터가 빌딩이나 아파트 옥상과 매우 가깝게 날아다닌다.[131] 본래는 매천동에 있었다가 1991년 조야동으로 이전했다.[132] 당시 서구 조야동[133] 예를 들어 칠곡 1, 2, 3지구 등.[134] 대구강북소방서는 여러 사정상 신설을 못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칠곡의 풍부한 소방 수요를 고려해 2022년까지 예산 150억원을 지원받아 대구강북소방서가 신설될 예정이다. 현재는 위치상으로 그나마 가까운 대구서부소방서가 소방을 담당한다.[P] [136] 여담으로 노곡동에는 아직도 일본인 소유 토지가 남아있기도 하다. 하지만 광복 이후 일존인 소유 토지들을 몰수한 것을 생각해 보면 사실상 국유지일 가능성이 높다.[137] 강원도 및 칠곡IC 이북에서 대구북부정류장으로 가는 시외버스를 타고 내려오면 관음동의 칠곡TG를 찍고 칠곡대백맨션 건너편에서 중간 하차한 후 이 고가차도를 통해 농수산물도매시장 뒷편을 거쳐 매천대교/팔금교 쪽으로 간다. 올라가는 방향은 시외버스가 이용하지 않고(서대구IC 이용), 그 대신 춘천행 고속버스가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여 이용한다.[P] [P] [140] 소방서는 여러 여건상 신설이 어려워 강북소방서 없이 서부소방서가 대신하고 있다. 하지만 서부소방서 역시 거리가 꽤 되기 때문에 동천동에 위치한 동천119안전센터에 서부소방서의 제2구조대 역할을 맡겨 동시에 운영하고 있다. 때문에 다른 119 안전센터보다 규모가 제법 크다.[P] [P] [143] 칠곡중학교 바로 옆에 있다.[144] 교동은 보통 향교가 있었거나 있는 지역에 많이 붙는 지명이다. 가령 대구 시내에 있던 교동도 대구향교가 남산동으로 이전하기 전 원래 있었던 곳이라는 것에서 유래된 곳이다.[P] [P] [147] 경상북도종합건설사업소, 경상북도도립국악단, 경상북도농업기술원.[148] 칠곡중앙대로 129길에 있는 동네
북구 나선거구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김시현, 김상혁
북구 다선거구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대현동): 서상훈, 이성근
북구 라선거구 (복현1동, 복현2동, 검단동): 이현수
북구 마선거구 (무태조야동, 관문동, 태전1동): 최수열, 김현주
북구 바선거구 (태전2동, 구암동, 국우동): 허정수, 장영철
북구 사선거구 (관음동, 읍내동, 동천동): 김상선, 이상봉
비례대표: 이소림, 차대식[4] 북구 다선거구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대현동): 오영준
북구 라선거구 (복현1동, 복현2동, 검단동): 한상열
북구 마선거구 (무태조야동, 관문동, 태전1동): 최우영
북구 바선거구 (태전2동, 구암동, 국우동): 장윤영
북구 사선거구 (관음동, 읍내동, 동천동): 채장식
비례대표: 김종련[5] 북구 제1선거구 (고성동, 칠성동,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노원동): 류종우 (초선)
북구 제2선거구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복현1동, 복현2동, 대현동, 검단동): 김지만 (재선)
북구 제3선거구 (무태조야동, 관문동, 태전1동): 김재용 (초선)
북구 제4선거구 (태전2동, 구암동, 국우동): 하병문 (재선)
북구 제5선거구 (관음동, 읍내동, 동천동): 이동욱 (초선)[6] 다만 무태조야동은 옛 달성군 성북면에 속했다가 1938년 대구부에 편입된 지역이고, 연경동은 달성군 공산면에 속했다가 동구를 거쳐 1987년 북구에 편입되었다.[7] 엄밀히 말하자면 시내 방향이 서구 비산7동이고, 칠곡 방향은 북구 노원동3가다. 도로를 기준으로 나뉘어져 있다.[8] 금호강 이북 지역을 강북, 금호강 이남 지역은 강남이라고 한다. 다만 대구 시가지 대부분이 금호강 이남에 있어서 대구 강북이라는 말은 가끔씩 써도 대구 강남이라는 말은 거의 안 쓴다. A급 고등학교가 많이 있는 수성구를 대구의 강남이라고 말하기는 해도.[9] 역시 생활권이 성서와 월배로 분리되어 있고 인구가 50만 이상인 달서구 역시 분구는 감감무소식이다.[10] 금호강 이북지역(동서변동, 칠곡지구, 금호지구, 노곡동, 연경지구) 관할[11] 금호강 이북 지역(동서변동, 칠곡지구, 금호지구, 노곡동, 연경지구) 관할 예정.[12] 인구 50만 명을 넘겼고 월배와 성서로 생활권이 나뉜(이 쪽은 그래도 칠곡지구와 북구청이 3호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북구와는 달리 성서에서 월배의 달서구청으로 가려면 배차간격이 길고 굴곡이 심한 지선버스 말곤 답이 없다.) 달서구도 성서를 성서구(가칭)로 분구하려고 하는데 통합 위주 정책으로 인해 분구가 지지부진하며, 성서에는 대구달서경찰서와 별개로 이곡1동 이마트 성서점 건너편에 대구성서경찰서가 있다.[13] 서울특별시의 뉴타운과 비슷하다.[14] 북구 내에서 부동산 가격이 가장 비싸고 대구 전체적으로 봐도 중구, 달서구와 더불어 수성구 바로 다음 가는 곳이다.[15] 예전에는 대구지방국세청도 위치해 있었다. 지금은 달서구 대곡동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로 이전했다.[16] 주민들은 흔히 옛 이름인 오봉산이라 부른다. 실제로 산 아래에 오봉오거리가 위치해 있다.[17] 대구에서는 성서지구, 월배지구, 시지지구 등과 함께 주요 외곽 신도시이다.[18] 이유가 없는 것은 아니다. 복현오거리의 경우 다섯 갈래 길이 모두 대구 주요 시설 및 공단을 지난다(경북대학교, 3공단, EXCO, 코스트코 대구점, 대구국제공항 등). 3공단과 검단공단의 경우 영세 공장이 많은지라 자잘한 자재 이동이 항상 있고, 경북대의 경우 더 할 말이 없다. 출퇴근 시간 없이 항상 붐빈다는 뜻. 물론 복현오거리의 복잡한 도로 구조와 5방향 모두 다 직좌 동시 신호인 점도 한 몫 한다. 그나마 코스트코가 신서혁신도시에도 지점을 내 예전보단 통행량이 줄기는 했는데, 아파트들이 고층으로 재건축되고 있다.[19] 3호선 개통 전 북구에 있는 전철역은 대구역, 칠성시장역 2개뿐이었다. 그나마 둘 다 북구의 남쪽 끝에 중구 및 동구의 경계와 맞닿아 있어서 대구역은 중구, 칠성시장역은 동구 취급을 받았다. 이들은 북구 관내에서 유일한 지하역이다.[20] 경상여고 일대에서 학생들이 가장 많이 사는 침산네거리까지 걸어서 30분 정도지만, 버스는 칠곡2번 하나밖에 없는데 알다시피 칠곡2번은 감차당한 적이 한 번 있는 노선인지라 배차간격은 개판 5분 전이다.[21] 1호선이 계획되고 착공되던 당시 동구 단일 선거구의 13대 의원, 동구 을의 14대 의원을 지낸 박준규는 당시 7선, 8선의 국회의장만 두 번 지낸 거물이었고(15대에는 중구로 지역구를 옮기고 9선 의원, 3선 국회의장이 되었다.) 동구 갑의 14대 의원 김복동은(15대에는 자민련 소속으로 당선) 1호선 동구 구간이 확정되고 선거구가 획정되고 갓 당선된 당시만 해도 대통령 노태우의 처남이면서 김영삼과도 가까운 인사였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25] 강북중학교 내 위치.[A] 법정동 고성동1~3가[B] 법정동 칠성동1~2가. 칠성시장이 있는 동네[C] 대구섬유공단이 있는 동네[D] 법정동 노원동1~3가. 대구섬유공단이 있는 동네[E] 경북대학교가 있는 동네[E] [E] [F] 검단산업단지가 있는 동네[G] 법정동 동변동 · 서변동 · 연경동 · 조야동[H] 법정동 매천동 · 팔달동 · 금호동 · 사수동 · 노곡동[I] 대구보건대학교, 대구과학대학교가 있는 동네[J] 법정동 국우동 · 학정동 · 동호동 · 도남동. 제50보병사단이 있는 동네[K] 고성동, 칠성동,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노원동,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대현동, 복현1동, 복현2동, 검단동 (강남지역)[39] 지역구 국회의원: 양금희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L] 무태·조야동, 관문동, 태전1동, 태전2동, 구암동, 관음동, 읍내동, 동천동, 국우동 (강북지역)[41] 지역구 국회의원: 김승수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A] 법정동 고성동1~3가[B] 법정동 칠성동1~2가. 칠성시장이 있는 동네[C] 대구섬유공단이 있는 동네[D] 법정동 노원동1~3가. 대구섬유공단이 있는 동네[E] 경북대학교가 있는 동네[E] [E] [F] 검단산업단지가 있는 동네[G] 법정동 동변동 · 서변동 · 연경동 · 조야동[H] 법정동 매천동 · 팔달동 · 금호동 · 사수동 · 노곡동[I] 대구보건대학교, 대구과학대학교가 있는 동네[J] 법정동 국우동 · 학정동 · 동호동 · 도남동. 제50보병사단이 있는 동네[A] 법정동 고성동1~3가[B] 법정동 칠성동1~2가. 칠성시장이 있는 동네[C] 대구섬유공단이 있는 동네[D] 법정동 노원동1~3가. 대구섬유공단이 있는 동네[E] 경북대학교가 있는 동네[E] [E] [F] 검단산업단지가 있는 동네[G] 법정동 동변동 · 서변동 · 연경동 · 조야동[H] 법정동 매천동 · 팔달동 · 금호동 · 사수동 · 노곡동[I] 대구보건대학교, 대구과학대학교가 있는 동네[J] 법정동 국우동 · 학정동 · 동호동 · 도남동. 제50보병사단이 있는 동네[K] 고성동, 칠성동,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노원동,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대현동, 복현1동, 복현2동, 검단동 (강남지역)[67] 지역구 국회의원: 양금희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L] 무태·조야동, 관문동, 태전1동, 태전2동, 구암동, 관음동, 읍내동, 동천동, 국우동 (강북지역)[69] 지역구 국회의원: 김승수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A] [B] [C] [D] [E] [E] [E] [F] [G] [H] [I] [J] [A] [B] [C] [D] [E] [E] [E] [F] [G] [H] [I] [J] [94] 다만 2020년대에 들어 북구 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칠곡지구가 낮은 도심 접근성 및 신규 아파트의 공급 부족과 노후화로 서서히 고령화가 진행 중인데 비해 북구 갑 지역의 고성동, 칠성동, 침산동, 복현동 등지에서 대대적인 재개발, 재건축으로 토박이 고령층들이 떠나고 젊은 층들이 들어오고 있어 장기적으로 갑구와 을구의 정치 성향이 뒤바뀔 가능성도 있다. 구미시나 칠곡군 산업단지 통근도 대구권 광역철도가 개통하면 갑구나 을구 모두 소요시간 면에서 큰 차이도 없게 되고 갑구엔 경북대학교도 있다.[95] 대구광역시에서는 달서구가 유일하게 갑을병 3개의 선거구를 보유하고 있다.[96] 1위는 바로 수성구 갑 김부겸 후보, 여기는 40%에 육박하는 득표율을 얻었다.[97] 이 동네들은 섬유공단이 있는데, 서구와 구획이 딱 맞아 사실상 서구의 정치성향을 따라간다고 봐도 무리가 없다.[98] 민자당 원내총무, 내무부장관, 대통령비서실장을 지낸 북구 기반 정치인 중 가장 거물급 인사다.[99] 98.05.16. 의원직 사퇴 (대구광역시장 출마)[100] 98.07.21. 재보궐선거[101] 03.12.17. 구청장직 사퇴 (17대 총선 출마)[102] 04.06.05. 재보궐선거[P] 2022년 12월 주민등록인구통계[104] 태평로3가는 1964년에 일찌감치 중구로 편입되어 나갔다.[105] 341/350국번대[P] [P] [P] [P] [P] [P] [P] [P] [P] [P] [P] [P] [118] 신암초등학교가 학교명과 달리 북구 대현동 소재인 이유다. 신암초등학교 건너편이 동구 신암1동이다.[119] 경북대학교 기숙사 중에서 긍지관, 성실관, 협동관, 진리관, 화목관, 봉사관을 말한다. 또한 BTL 기숙사(첨성관, 향토관)은 복현1동에 있다. 건축물대장상에는 실 소재지와 관계 없이 학교의 대표 지번인 북구 산격동 1370번지 1호 소재로 표시된다.[120] 그래서인지 신암동 국번인 95X국번이 대현동으로 바뀌고 북구 행정구역에 남아있음에도 KT동대구지사에서 현재까지 관할중이다.[P] [122] 경부고속도로 금호2교가 있지만 말 그대로 고속도로라서 일반도로 전용 다리가 아니다. 다행히 검단교(가칭)를 만들기 위해 기획재정부 예타를 통과했다.[123] 동부정류장과 남부정류장 통합 터미널, 동부정류장과 북부정류장 통합 터미널, 동부·서부·남부·북부 4방면 통합 터미널#, 동대구고속버스터미널 이전지 등으로 거론됐다.[124] 성보교통. 영진교통은 북구 동호동으로 이전했다.[125] 기존 건축물의 재축, 개축, 증축, 표시변경은 제외[126] 6차선 도로로 총 길이는 3.4km이고 예타만 통과되면 2015년 착공에 들어가 2019년 완공한다고 한다.[P] [128] 조야동, 서변동, 동변동과 달리 연경동은 동구 동촌 지역의 국번(980국)을 공용한다. 연경동 바로 뒷편이 동구 지묘동(파계사 방향)이다.[129] 주로 남동풍이 부는 여름철에 이 방향으로 착륙한다. 참고로 이 착륙코스(13R)는 그 유명한 김해국제공항의 18R 서클링이나 제주국제공항 25번 착륙만큼은 아니지만, 칠곡지구의 함지산과 망일봉, 검단동 뒷산 같은 장애물들도 착륙항로 곳곳에 산재하고 있어 항공기 조종사들이나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동호인들 사이에서는 어려운 착륙코스들 중 하나로 손꼽힌다.[130] 남구 대명동과 봉덕동, 이천동과 수성구 수성1가, 중동, 그리고 중구 대봉동은 미군기지 캠프워커 비행장과 인접한 지역이다 보니 헬리콥터가 빌딩이나 아파트 옥상과 매우 가깝게 날아다닌다.[131] 본래는 매천동에 있었다가 1991년 조야동으로 이전했다.[132] 당시 서구 조야동[133] 예를 들어 칠곡 1, 2, 3지구 등.[134] 대구강북소방서는 여러 사정상 신설을 못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칠곡의 풍부한 소방 수요를 고려해 2022년까지 예산 150억원을 지원받아 대구강북소방서가 신설될 예정이다. 현재는 위치상으로 그나마 가까운 대구서부소방서가 소방을 담당한다.[P] [136] 여담으로 노곡동에는 아직도 일본인 소유 토지가 남아있기도 하다. 하지만 광복 이후 일존인 소유 토지들을 몰수한 것을 생각해 보면 사실상 국유지일 가능성이 높다.[137] 강원도 및 칠곡IC 이북에서 대구북부정류장으로 가는 시외버스를 타고 내려오면 관음동의 칠곡TG를 찍고 칠곡대백맨션 건너편에서 중간 하차한 후 이 고가차도를 통해 농수산물도매시장 뒷편을 거쳐 매천대교/팔금교 쪽으로 간다. 올라가는 방향은 시외버스가 이용하지 않고(서대구IC 이용), 그 대신 춘천행 고속버스가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여 이용한다.[P] [P] [140] 소방서는 여러 여건상 신설이 어려워 강북소방서 없이 서부소방서가 대신하고 있다. 하지만 서부소방서 역시 거리가 꽤 되기 때문에 동천동에 위치한 동천119안전센터에 서부소방서의 제2구조대 역할을 맡겨 동시에 운영하고 있다. 때문에 다른 119 안전센터보다 규모가 제법 크다.[P] [P] [143] 칠곡중학교 바로 옆에 있다.[144] 교동은 보통 향교가 있었거나 있는 지역에 많이 붙는 지명이다. 가령 대구 시내에 있던 교동도 대구향교가 남산동으로 이전하기 전 원래 있었던 곳이라는 것에서 유래된 곳이다.[P] [P] [147] 경상북도종합건설사업소, 경상북도도립국악단, 경상북도농업기술원.[148] 칠곡중앙대로 129길에 있는 동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