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5 04:12:23

동구(대구광역시)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8837>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
파일:중구(대구광역시) CI.svg
[[대구광역시청/동인청사|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8837 21%, #ef7e20 21%, #ef7e20); font-size: 1em;"
]] 중구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서구(대구광역시) CI.svg
서구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남구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파일:북구(대구광역시) CI.svg
[[대구광역시청/산격청사|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8837 21%, #0062aa 21%, #0062aa); font-size: 1em;"
]] 북구
파일:수성구 CI.svg
수성구
파일:달서구 CI.svg
달서구
자치군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파일:달성군 CI.svg
달성군
파일:군위군 CI.svg
군위군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cf2026>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1d8441><colcolor=#fff> 공산동 내동 | 능성동 | 덕곡동 | 도학동 | 미곡동 | 미대동 | 백안동 | 송정동 | 신무동 | 신용동 | 용수동 | 중대동 | 지묘동 | 진인동
도평동 도동 | 평광동
동촌동 검사동 | 입석동 일부
방촌동 방촌동 일부
불로봉무동 불로동 일부 | 봉무동
신암1동 신암동
신암2동 신암동 | 신천동 일부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동구청(대구)|
구청
]] 신암동
신천1·2동
신천3동
신천4동
신천동 일부
안심1동 신기동 | 율하동
안심2동 매여동 | 상매동 | 용계동 | 율암동
안심3동 괴전동 일부 | 금강동 | 대림동 | 동호동 일부 | 사복동 일부 | 숙천동 일부 | 신서동 일부
안심4동 각산동 일부 | 동호동 일부 | 서호동 | 신서동 일부
지저동 지저동 | 불로동 일부 | 입석동 일부
해안동 둔산동 | 방촌동 일부 | 부동 | 신평동
혁신동 각산동 일부 | 괴전동 일부 | 내곡동 | 대림동 일부 | 동내동 | 사복동 일부 | 숙천동 일부 | 신서동 일부
효목1동
효목2동
효목동
}}}}}}}}} ||
대구광역시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동구
東區
Dong-gu
}}}
<colbgcolor=#cf2026> 구청 소재지 아양로 207 (신암동)
광역자치단체 대구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22[1]
면적 182.15㎢
인구 343,137명[2]
인구밀도 1,883.81명/㎢[3]
구청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윤석준 (초선)
구의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3석[4]

파일:zsdkl3gasdg.svg
2석[5]

파일:개혁신당 로고타입.svg
1석[6]

1석[7]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석[8]
국회의원
<colbgcolor=#cf2026>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최은석
(동·군위 갑 / 초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강대식
(동·군위 을 / 재선)
상징 구화 철쭉
구목 고로쇠나무
구조 까치
지역번호 053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4. 인구5. 지역 특징
5.1. 행정구역 문제
6. 교통
6.1. 고속도로6.2. 대중교통
7. 경제
7.1. 금융
8. 교육9. 의료기관10. 정치11. 군사12. 하위 행정구역13. 나무위키에 등재된 동구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대구광역시 동부에 위치한 구. 면적은 대구광역시 7개 자치구 중 가장 넓다.[9]

동으로는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와촌면, 남으로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경상북도 경산시, 서로는 대구광역시 북구, 중구, 북으로는 대구광역시 군위군 부계면[10],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영천시 신녕면에 접한다.

행정구역이 넓지만 산지가 많은 편이어서 실질 시가지 면적은 그렇게 크지 않으며 산불이 자주 발생한다. 산불 중 최고는 설날 당일에 초례봉 언저리에서 산불이 났을 때. 사회복무요원들과 공무원들은 죽어라 불 끄고 다녔고 귀경객들은 고속도로에서 구경을 했다.

연근이 특산물이며 전국 생산량의 50~60%를 차지한다. 과거에는 전국 사과 생산의 80%를 책임졌지만, 기후변화로 인해 청송군, 안동시, 영주시, 문경시 등 경북 북부 지역으로 유명세가 옮겨졌다. 그나마 팔공산 자락의 평광동에 사과재배지가 일부 남아 명맥을 잇고 있다.

2. 상징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_상하.svg
심볼마크.[11] 팔공산의 일출과 금호강 등 동구의 수려한 자연경관을 형상화 하였으며 시각적으로 달려가는 인간형상을 취함으로써 미래 지향적인 동구민의 진취적 기상을 표현했다.

파일:external/www.dong.daegu.kr/symbol_character.gif
마스코트 팔공군과 금호랑. 동서남북 세계로 빛나고 미래지향적이며 많은 사람들이 동구로 모여들고 성스러운 곳을 의미한다.

파일:대구동구 구정슬로건.jpg

파일:external/www.dong.daegu.kr/sangjmul_pic1.jpg 파일:external/www.dong.daegu.kr/sangjmul_pic2.jpg 파일:external/www.dong.daegu.kr/sangjmul_pic3.jpg
  • 철쭉: 인내심이 강하고 양보ㆍ절제하는 구민정신
  • 고로쇠나무: 활기차고 풍요롭게 발전하는 구민기상
  • 까치: 진실되고 참된 삶을 전달하고 화합과 희망을 상징하는 구민기질

3. 역사

동구 행정구역 변화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cf2026> 일자 금호강 이남 동촌 불로·봉무 팔공산 안심
<colcolor=#cf2026> 1896. 8. 4. 대구군 동상면
(大邱郡 東上面)
대구군 수북면
(大邱郡 守北面)
대구군 해동촌면
(大邱郡 解東村面)
대구군 해서부면
(大邱郡 解西部面)
대구군 해서촌면
(大邱郡 解西村面)
대구군 해북촌면
(大邱郡 解北村面)
경산군 북면
(慶山郡 北面)
하양군 안심면
(河陽郡 安心面)
1910. 10. 1. 대구부 동상면
(大邱府 東上面)
대구부 수북면
(大邱府 守北面)
대구부 해동촌면
(大邱府 解東村面)
대구부 해서부면
(大邱府 解西部面)
대구부 해서촌면
(大邱府 解西村面)
대구부 해북촌면
(大邱府 解北村面)
1911. 11. 14. 대구부 대구면
(大邱府 大邱面)
1914. 3. 1. 달성군 수성면
(達城郡 壽城面)
달성군 해안면
(達城郡 解顔面)
달성군 공산면
(達城郡 公山面)
경산군 안심면
(慶山郡 安心面)
1938. 10. 1. 대구부 동부출장소
(大邱府 東部出張所)
1940. 7. 1. 달성군 동촌면
(達城郡 東村面)
1949. 8. 15. 대구시 동부출장소
(大邱市 東部出張所)
1958. 1. 1. 대구시 동촌출장소
(大邱市 東村出張所)
대구시 공산출장소
(大邱市 公山出張所)
1963. 1. 1. 대구시 동구
(大邱市 東區)
달성군 공산면
(達城郡 公山面)
1973. 경산군 안심읍
(慶山郡 安心邑)
1981. 7. 1. 대구직할시 동구
(大邱直轄市 東區)
1995. 1. 1. 대구광역시 동구
(大邱廣域市 東區)
}}}}}}}}} ||
동구 지역은 금호강 이남, 불로·봉무, 동촌, 舊 공산면, 안심 등 크게 다섯 권역으로 나뉜다.

먼저 금호강 이남 지역은 동상면과 수북면 관할이었는데, 현재의 신암동과 신천동은 동상면 관할, 효목동은 수북면 관할이었다. 1911년 동상면이 서상면과 폐합되어 대구면으로 개편되었고, 이후 1914년 부군면통폐합으로 동상면 신암동·신천동이 수북면과 함께 신설되는 수성면[12]으로 편제되었다.

동촌, 불로봉무, 공산 지역은 원래 '해안현'이라고 하는 하나의 지역이었다가, 조선 숙종 대에 이 지역을 대구도호부의 영현으로 편입하면서 해동촌면(동촌), 해서부면(불로·봉무), 해서촌면(서촌·지묘), 해북촌면(공산면) 등 4개 면으로 분할·개편한 것이 구한말까지 이어져 왔다. 1914년 부군면통폐합이 단행되면서 해동촌면과 해서부면이 해안면으로, 해서촌면과 해북촌면이 공산면으로 폐합되었다.

1938년, 총독부령 제196호에 의거, 달성군 3개면[13]이 대구부로 환원되면서 수성면이 대구부로 환원되었다. 동시에 출장소가 설치되어 동부출장소가 되었다.

1940년, 해안면이 동촌면으로 개칭되었다.

1957년 달성군 공산면과 동촌면이 대구시로 편입되면서 각각 공산출장소, 동촌출장소가 설치된다.

1963년 구제 실시로 동부출장소와 동촌출장소를 합쳐 동구를 설치하는 한편, 공산출장소는 도로 달성군으로 환원시켰다.

1973년 안심면 일대가 안심읍으로 승격되었다.

1975년 신암동 일부가 북구에 편입되며 '대현동'이 되었다. 신암초등학교가 동구 신암동이 아닌 북구 대현동에 있는 것도 이 때문.

1980년 구 동부출장소 일대가 수성구로 분할되었다.

1981년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달성군 공산면과 경산군 안심읍을 편입하였고, 95년 직할시가 광역시로 개칭된 이래 오늘에 이른다.

4. 인구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대구광역시 동구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대구시 동구 설치
1966년 189,464명
1970년 269,834명
1975년 326,502명
1975년 10월 1일 대구시 동구 신암3,6동 → 대현1,2동 개칭 및 대구시 북구 편입
1980년 4월 1일 대구시 동구 남부 지역 → 수성구 승격 분리
1980년 248,860명
1981년 7월 1일 대구시 → 대구직할시 승격 분리, 달성군 공산면, 경산군 안심읍 편입
1985년 323,106명
1987년 1월 1일 대구직할시 동구 연경동 → 대구직할시 북구 편입
1990년 359,668명
1995년 353,823명
2000년 338,052명
2005년 344,082명
2010년 337,529명
2015년 349,728명
2020년 341,920명
2024년 10월 343,13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0만 명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안심1동 39,787명
안심4동 27,610명
안심3동 21,139명
공산동 20,997명
불로·봉무동 20,568명
방촌동 17,964명
혁신동 17,942명
신암4동 14,970명
동촌동 14,924명
신천3동 14,536명
해안동 14,369명
안심2동 13,613명
지저동 13,609명
효목2동 13,375명
효목1동 12,621명
신천1·2동 12,075명
신암2동 11,112명
신암3동 11,014명
신암1동 10,676명
신천4동 8,138명
신암5동 7,783명
도평동 3,805명
2023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

현존하는 6개 광역시동구들 중 인구가 가장 많다. 다른 광역시의 동구들은 광역시 내에서 최하위권의 인구수를 보유하고 있는데 비해 대구광역시 동구는 다른 광역시 동구와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인구가 매우 많고,[14] 순위도 군 지역까지 합칠 경우 중상위권이다.[15] 거기다 서구보다 인구가 많은 유일한 동구이다.[16][17]
===# 행정동별 인구 #===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신암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신암동 →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분리
1966년 17,932명
1970년 7월 1일 신암1동신암1동, 신암5동 분동
1970년 15,550명
1975년 23,632명
1980년 26,729명
1985년 27,033명
1990년 26,110명
1995년 22,282명
2000년 17,648명
2005년 13,931명
2010년 14,334명
2015년 11,943명
2020년 7,684명
2023년 7월 8,68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신암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신암동 →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분리
1966년 16,700명
1970년 18,463명
1975년 12,883명
1980년 13,064명
1985년 12,088명
1990년 9,400명
1995년 9,429명
1998년 9월 1일 신암2동 + 신천2동 일부 → 신암2동 합동
2000년 12,372명
2005년 10,902명
2010년 11,066명
2015년 12,581명
2020년 10,673명
2023년 7월 10,04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신암3동[18] 인구 추이
(1970년~현재)
1970년 7월 1일 신암1동 → 신암1동, 신암5동 분동
1970년 9,550명(신암5동)
1975년 10월 1일 신암5동 → 신암3동 개칭
1975년 17,023명
1980년 21,289명
1985년 20,818명
1990년 21,060명
1995년 16,212명
2000년 12,607명
2005년 9,636명
2010년 10,573명
2015년 8,320명
2020년 9,821명
2023년 7월 11,21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만 명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신암4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신암동 →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분리
1966년 11,825명
1970년 13,594명
1975년 17,351명
1980년 25,445명
1985년 30,590명
1990년 6월 1일 신암4동신암4동, 신암5동 분동
1990년 26,660명
1995년 23,904명
2000년 21,079명
2005년 20,034명
2010년 19,954명
2015년 17,817명
2020년 13,001명
2023년 7월 13,52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신암5동[19]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90년 6월 1일 신암4동 → 신암4동, 신암5동 분동
1990년 14,687명
1995년 13,649명
2000년 12,062명
2005년 10,751명
2010년 9,504명
2015년 8,311명
2020년 6,572명
2023년 7월 7,77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신천1·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신천동 → 신천1동, 신천2동, 신천3동, 신천4동, 신천5동 분리
1966년 23,625명(신천1동 12,167명 + 신천2동 11,458명)
1970년 28,249명(신천1동 15,763명 + 신천2동 12,486명)
1975년 32,182명(신천1동 20,730명 + 신천2동 11,452명)
1980년 32,996명(신천1동 22,703명 + 신천2동 10,293명)
1985년 28,873명(신천1동 20,101명 + 신천2동 8,772명)
1990년 26,644명(신천1동 18,101명 + 신천2동 8,543명)
1995년 17,485명(신천1동 12,195명 + 신천2동 5,290명)
1998년 9월 1일 신천1동 + 신천2동 일부 → 신천1·2동 합동
2000년 18,019명
2005년 16,620명
2010년 12,306명
2015년 14,748명
2020년 13,210명
2023년 7월 12,19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신천3동[20]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신천동 → 신천1동, 신천2동, 신천3동, 신천4동, 신천5동 분리
1966년 14,274명(신천4동)
1970년 17,935명(신천4동)
1975년 18,552명(신천4동)
1980년 4월 1일 신천4동 → 신천3동 개칭 및 일부 지역을 범어2동에 이관
1980년 18,618명
1985년 20,136명
1990년 18,394명
1995년 15,541명
2000년 12,896명
2005년 10,189명
2010년 13,439명
2015년 12,186명
2020년 12,460명
2023년 7월 14,63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신천4동[21]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신천동 → 신천1동, 신천2동, 신천3동, 신천4동, 신천5동 분리
1966년 7,430명(신천5동)
1970년 5,927명(신천5동)
1975년 15,164명(신천5동)
1980년 4월 1일 신천5동 → 신천4동 개칭
1980년 11,965명
1985년 17,444명
1990년 17,936명
1995년 15,652명
2000년 12,874명
2005년 11,306명
2010년 10,096명
2015년 9,588명
2020년 7,492명
2023년 7월 8,25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8만 명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효목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효목동(법정동) → 효목동(행정동)
1966년 4,548명
1970년 6,334명
1975년 14,935명
1979년 5월 1일 효목동 → 효목1동, 효목2동 분동
1980년 19,875명
1985년 25,854명
1990년 28,365명
1995년 24,479명
2000년 23,755명
2005년 20,602명
2010년 17,415명
2015년 15,729명
2020년 14,171명
2023년 7월 12,79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효목2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9년 5월 1일 효목동 → 효목1동, 효목2동 분동
1980년 21,759명
1985년 26,215명
1990년 25,823명
1995년 19,340명
2000년 16,147명
2005년 20,066명
2010년 18,232명
2015년 16,701명
2020년 14,038명
2023년 7월 13,42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6만 명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도평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평광동, 도동(법정동) → 평광동, 도동(행정동)
1966년 3,056명(평광동 1,263명 + 도동 1,793명)
1970년 3,497명(평광동 1,168명 + 도동 2,334명)
1975년 10월 1일 검사1동 → 대구공항 확장으로 인하여 주민 이주 및 행정동 말소
→ 도동으로 편입(주민은 없음)
1975년 4,624명(평광동 1,131명 + 도동 3,493명)
1980년 6,051명(평광동 1,255명 + 도동 4,796명)
1985년 6,058명(평광동 935명 + 도동 5,123명)
1990년 7,117명(평광동 903명 + 도동 6,214명)
1995년 7,733명(평광동 707명 + 도동 7,026명)
1998년 9월 1일 도동 일부 + 평광동 → 도평동 합동
2000년 7,755명
2005년 7,015명
2010년 5,899명
2015년 5,059명
2020년 4,183명
2023년 7월 3,84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불로·봉무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봉무동, 불로동(법정동) → 봉무동, 불로동(행정동)
1966년 4,714명(봉무동 1,343명 + 불로동 3,371명)
1970년 5,533명(봉무동 1,370명 + 불로동 4,163명)
1975년 6,980명(봉무동 1,513명 + 불로동 5,467명)
1980년 10,236명(봉무동 1,766명 + 불로동 8,470명)
1985년 10,252명(봉무동 1,693명 + 불로동 8,559명)
1985년 12월 1일 봉무동 + 불로동 → 불로·봉무동 합동
1990년 15,139명
1995년 17,956명
2000년 16,347명
2005년 15,716명
2010년 14,450명
2015년 25,562명
2020년 7월 6일 불로·봉무동 일부 → 지저동 일부와 맞교환
2020년 21,729명
2023년 7월 20,76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6만 명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지저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지저동(법정동) → 지저동(행정동)
1966년 1,375명
1970년 2,440명
1975년 3,892명
1980년 6,529명
1985년 7,727명
1990년 11,475명
1995년 14,676명
2000년 13,516명
2005년 13,134명
2010년 12,164명
2015년 10,872명
2020년 7월 6일 지저동 일부 → 불로·봉무동 일부와 맞교환
2020년 14,949명
2023년 7월 13,77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동촌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입석동(법정동) → 입석동(행정동)
검사동 → 검사1동, 검사2동 분리
1966년 6,585명(입석동 1,093명 + 검사1동 600명 + 검사2동 4,892명)
1970년 9,849명(입석동 1,692명 + 검사1동 606명 + 검사2동 7,551명)
1975년 10월 1일 검사1동 → 대구공항 확장으로 인하여 주민 이주 및 행정동 말소
→ 도동으로 편입(주민은 없음), 검사2동 → 검사동으로 개칭
1975년 10,981명(입석동 2,798명 + 검사동 8,183명)
1980년 14,898명(입석동 4,813명 + 검사동 10,085명)
1985년 16,219명(입석동 5,286명 + 검사동 10,933명)
1990년 18,065명(입석동 6,007명 + 검사동 12,058명)
1995년 17,729명(입석동 7,157명 + 검사동 10,572명)
1998년 9월 1일 입석동+ 검사동 + 도동 일부 → 동촌동 합동
2000년 15,129명
2005년 15,581명
2010년 14,625명
2015년 15,568명
2020년 15,919명
2023년 7월 15,01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방촌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방촌동(법정동) → 방촌동(행정동)
1966년 4,179명
1970년 5,693명
1975년 9,004명
1980년 12,976명
1985년 17,785명
1990년 25,525명
1995년 29,920명
1998년 9월 1일 방촌동 일부 → 방촌동[22]으로 축소
2000년 24,662명
2005년 24,337명
2010년 21,835명
2015년 20,536명
2020년 18,274명
2023년 7월 18,12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해안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둔산동, 부동, 신평동(법정동) → 둔산동, 부동, 신평동(행정동)
1966년 4,805명(둔산동 2,092명 + 부동 1,352명 + 신평동 1,361명)
1970년 5,063명(둔산동 2,376명 + 부동 1,239명 + 신평동 1,448명)
1975년 5,596명(둔산동 2,412명 + 부동 1,303명 + 신평동 1,881명)
1980년 6,448명(둔산동 2,327명 + 부동 1,404명 + 신평동 2,717명)
1985년 6,196명(둔산동 2,025명 + 부동 1,287명 + 신평동 2,884명)
1985년 12월 1일 둔산동 + 부동 → 둔산·부동 합동
1990년 5,605명(둔산·부동 2,828명 + 신평동 2,777명)
1995년 6,357명(둔산·부동 2,416명 + 신평동 3,941명)
1998년 9월 1일 방촌동 일부 + 둔산·부동 + 신평동 → 해안동 합동
2000년 18,333명
2005년 19,051명
2010년 18,942명
2015년 17,476명
2020년 15,214명
2023년 7월 14,55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안심1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2년 9월 1일 안심출장소 中 신기동 + 율하동 → 안심1동 신설
1985년 11,366명
1990년 25,218명
1995년 31,823명
2000년 27,897명
2005년 25,141명
2010년 37,324명
2015년 45,832명
2020년 43,500명
2023년 7월 40,23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안심2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2년 9월 1일 안심출장소 中 매여동 + 상매동 + 용계동 + 율암동 → 안심2동 신설
1985년 7,649명
1990년 7,941명
1995년 12,323명
2000년 13,867명
2005년 12,842명
2010년 11,061명
2015년 10,509명
2020년 11,343명
2023년 7월 13,34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안심3동[안]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2년 9월 1일 안심출장소 中 동내동·괴전동·금강동·대림동·사복동·숙천동·내곡동 → 안심3동 신설
1985년 5,730명
1990년 4,865명
1995년 5,243명
1998년 9월 1일 안심3동 + 안심4동 → 안심3·4동 합동
2000년 -명
2005년 -명
2010년 -명
2015년 -명
2020년 7월 6일 안심3·4동 → 안심3동, 안심4동, 혁신동 분동
2020년 21,359명
2023년 7월 21,36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만 명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안심4동[안]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8,361명
1970년 23,023명
1973년 7월 1일 경산군 안심면 → 안심읍 승격
1975년 31,346명
1980년 37,956명
1981년 7월 1일
경산군 안심읍 → 대구직할시 동구 편입 및 안심출장소 전환
1982년 9월 1일
안심출장소 신기동 + 율하동 → 안심1동 신설
안심출장소 매여동 + 상매동 + 용계동 + 율암동 → 안심2동 신설
안심출장소 동내동·괴전동·금강동·대림동·사복동·숙천동·내곡동 → 안심3동 신설
1983년 3월 15일 안심출장소 中 서호동 + 동호동 + 각산동 + 신서동 → 안심4동 신설
1985년 14,335명
1990년 14,723명
1995년 18,406명
1998년 9월 1일 안심3동 + 안심4동 → 안심3·4동 합동
2000년 -명
2005년 -명
2010년 -명
2015년 -명
2020년 7월 6일 안심3·4동 → 안심3동, 안심4동, 혁신동 분동
2020년 29,482명
2023년 7월 27,76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혁신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2020년 7월 6일 안심3·4동 → 안심3동, 안심4동, 혁신동 분동
2020년 18,878명
2021년 18,752명
2022년 18,590명
2023년 7월 18,13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공산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281명
1970년 10,852명
1975년 11,405명
1980년 10,673명
1981년 7월 1일 경상북도 달성군 공산면 → 대구직할시 동구 편입 및 공산출장소 전환
1982년 9월 1일 공산출장소 中 능성동·진인동·도학동·백안동·미곡동·용수동·신무동 → 공산1동 신설
1983년 3월 15일 공산출장소 폐지 및 공산2동 신설[관할법정동]
1985년 10,786명(공산1동 5,095명 + 공산2동 5,691명)
1987년 1월 1일 공산2동 中 법정동 연경동 → 북구 동서변동 편입 및 무태동으로 개칭
1990년 8,955명(공산1동 4,489명 + 공산2동 4,466명)
1992년 10월 14일 공산2동 中 법정동 미대동·내동 → 공산1동 이관
1995년 13,723명(공산1동 4,788명 + 공산2동 8,935명)
1998년 9월 1일 공산1동 + 공산2동 → 공산동 합동
2000년 15,863명
2005년 17,577명
2010년 16,992명
2015년 15,809명
2020년 17,968명
2023년 7월 21,09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만 명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안심3·4동 인구 추이
(2000년~2015년)
1998년 9월 1일 안심3동 + 안심4동 → 안심3·4동 합동
2000년 21,924명
2005년 39,867명
2010년 47,318명
2015년 54,581명
2020년 7월 6일 안심3·4동 → 안심3동, 안심4동, 혁신동 분동 및 폐지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5만 명

5. 지역 특징

금호강 동쪽의 지역은 팔공산과, 팔공산 기슭의 경산시까지 금호강을 따라가는 긴 평지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평지 지역, 불로동, 봉무동, 지저동 일대에도 많은 인구가 살고 있다.

금호강을 경계로 금호강 서쪽과 동쪽으로 분할된 구조를 가지는데, 선거구는 딱 동구 갑/을로 나뉘었었지만, 인구 문제로 검사동, 입석동 일대가 갑구로 넘어갔다. 시내와 인접한 서쪽은 대구 교통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다.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와 동대구역이 이 곳에 자리한다.

시내에서 신천을 건너 금호강 이전까지에 해당하는 지역은 6.25 이후 피난민들이 모여살며 발전한 곳으로, 1970년대 시영아파트들을 시작으로 아파트가 지어지기 시작해 최근까지 쭉 아파트 대단지로 재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피난민촌이 집중적으로 발달했던 신천 둔치 주변의 신암동과 신천동에는 모두 아파트가 들어서 있다. 신천대로를 따라 지나보면 북구 대현동부터 수성구 중동까지 신천을 따라 길게 늘어선 아파트를 구경할 수 있다. 그 뒷편 대구파티마병원 일대와 동대구역 일대는 아직까지 오래된 주택들이 가득하다. 다만 동대구터미널 건너편에도 호텔과 오피스텔이 들어서고 있다. 그러다가 금호강 부근에 들어서면 다시 아파트 대단지가 나타난다.

금호강 동북쪽으로 다리를 넘으면 길게 펼쳐진 평지와 고도 제한으로 인한 낮은 건물들 때문에 갑자기 시야가 확 트이는 신기한 경험을 할 수 있다. 같은 동구임에도 전혀 다른 도시인 마냥 느껴질 정도다. 아파트도 15층 정도로 고도 제한이 되어 있다. 용계역 근처에서 착륙하는 비행기를 볼 수 있을 정도니.[26] 율하지구와 동호지구의 아파트들이 대부분 15층대로 낮다. 비행장에서 동쪽으로 더 이격되어 있는 안심 쪽은 아파트 높이가 조금 더 높은 편이다.

팔공산 일대 및 군위군, 칠곡군 경계 지역은 철저한 오지로 분류된다. 반야월 지역 중 저탄장(안심연료단지) 북쪽의 상매동과 매여동, 경산시 하양읍과 경계가 있는 숙천동 북쪽의 내곡동 역시 철저한 오지다. 동내동도 철저한 오지였지만 대구신서혁신도시가 들어서면서 오지에서 벗어났다.

현재 각산동, 신서동, 동내동 일대에 대구신서혁신도시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가 있다.

구의 넓이가 아주 넓은 만큼 한 구 내에서도 생활권이 다르다.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금호강 서쪽 지역(신천과 금호강 사이 지역)은 시내 생활권(또는 동대구역권), 금호강 동쪽 지역은 팔공산 생활권, 동촌 생활권, 안심(반야월) 생활권으로 각각 나뉜다.

5.1. 행정구역 문제

신천 동쪽의 대구 지역을 거의 관할하고 있었으나 많은 부분을 수성구에 떼 주었다. 그러다 수성구가 잘 나가서 인구가 너무 많아지자[27][28] 몇몇 동(수성동4가와 범어3동)을 반환받으려 했지만, 해당 동에 사는 학부모들이 자녀들을 동구에 있는 중ㆍ고등학교에 보내는 것을 기피하는 바람에 무산되었다. 이는 대구의 수성 학군은 대구광역시의 강남 8학군이라 불릴만큼 학구열이 높은 지역인데 반해 동구 학군은 그냥 딱 평범한 수준이기 때문이다.

참고로 수성구와 동구는 같은 학군이다.[29] 그런데 동구에서 수성구 학교로 써 내면 경찰에게 걸려서 튕기는 상황이 발생한다. 실제로 중고등학교 원서 쓰는 시기가 되면 교육청과 경찰에서 일일이 실제 수성구 내 거주 여부를 조사한다. 위장전입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이 덕분에 동구 집값은 매년 제자리걸음인 반면 수성구 집값은 고공행진이다.

금호강을 기준으로 생활권이 나뉘는 관계로 1992년 14대 총선 당시 박준규국회의장동구 을에 출마하며 금호강 동쪽 지역의 강동구 분구를 공약하기도 했다.

6. 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cf2026><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cf2026>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cf2026> <colbgcolor=#ffffff,#191919> 갓바위로 · 경대로 · 경안로 · 공항로 · 과학로 · 국채보상로 · 금강로 · 금호강변로
내동로
대경로 · 대림로 · 대현로 · 도평로 · 동내로 · 동대구로 · 동부로 · 동북로 · 동촌로 · 동촌역사로 · 동호로 · 동화천로 · 둔산로
매여로 · 메디밸리로
반야월로 · 반야월북로 · 방천로 · 방촌로 · 범안로
사복로 · 서촌로 · 송라로 · 숙천로 · 신덕로 · 신서로 · 신성로 · 신암남로 · 신암로 · 신암북로 · 신천동로 · 신평로
아양로 · 안심로 · 연경지묘로 · 옻골로 · 용계로 · 용천로 · 위남로 · 율암로 · 율하동로 · 율하서로 · 이노밸리로 · 이시아강변로 · 인산로 · 입석로
장등로
첨단로 · 첨복로 · 초례로
큰고개로
파계로 · 팔공로 · 팔공산로 · 평화로
해동로 · 화랑로 · 효동로 · 효목로 · 효서로 · 효신로
대구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대구광역시에 오는 대부분의 외지인이 가장 처음 마주하게 되는 그야말로 대구의 관문인 동네다. 전국 열차이용객 순위 2위이자 정차순위 1위인 동대구역, 고속버스터미널인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동대구터미널, 전국 5대 흑자공항인 대구국제공항이 있다.

6.1. 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안심IC[30], 동대구JC, 도동JC), 중앙고속도로(대구-부산)(동대구IC, 동대구JC, 도동JC),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파군재IC, 둔산IC, 상매JC), 새만금포항고속도로(팔공산IC, 도동JC)가 소재한다.

울산시와 경산시가 계획 중인 고속도로는 세부 노선에 차이가 있지만 자동차 부품 산업이 집적된 경산과 완성차 공장이 있는 울산과의 이동 거리 단축으로 경산 내 부품 기업의 물류비를 절감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경부·중앙 고속도로 사이 관통하는 울산~대구경북 직선 고속도로건설에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6.2. 대중교통

금호강 이남 지역인 신암, 신천, 효목동의 대중교통 인프라는 매우 훌륭한데, 북구와 동구의 경계인 신천 칠성교부터 금호강의 아양교까지 지나가는 버스 노선이 10여 개가 넘는다.

하지만 금호강을 건너면 대중교통 수단이 좀 미묘하다. 다른 주요 지역은 다 통하는데, 수성구까지 환승 없이 가는 시내버스는 빗자루질하는 노선인 814번뿐이었다.[31]

더구나 814번은 범물2동에서 반야월 방면으로 가고 오는데, 동대구역범어역을 거쳐 가기 때문에 50분 넘게 걸린다. 그런데 2006년 버스노선 개편으로 849(-1)번이 신설되어 만촌, 시지까지 가게 되었다. 그러나 849(-1)번은 배차간격이 25분이라 절망적이다. 그나마 2012년 2월 팔현-매여 지선이 독립하기 전까지는 지선노선이 오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2012년 2월 개편으로 대격변이 일어나면서 604번이라는 814번849(-1)번의 완벽한 상위호환 버스가 들어오게 되었다. 814번과 달리 604번연호역을 거쳐 범안로로 바로 쏘기 때문에 시간이 상당히 적게 소요된다. 2015년 개편으로 604번은 폐지되고, 현재는 단축판인 수성3(-1)번으로 변경되어 율하 - 연호 범안로 셔틀로 기능하고 있다. 그래서인지 주변에 아무것도 없어서 답이 없었던 연호역도 이용률이 아주 약간 늘어난 편이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구를 관통하는데, 무려 13개 역이 동구에 있다. 한 지하철 노선의 43%가 있다. 한 구(區)안의 단일노선의 역 개수로는 한국 최다.[32] 2번째는 부산광역시 사하구부산 도시철도 1호선인천광역시 연수구인천 도시철도 1호선으로 각각 12개. 전체 역수로는 연수구가 14개를 관할하며 1위. 하지만 안타깝게도 동대구역 이후 구간은 동촌 쪽 인구가 적은 관계로, 안심역을 제외하면 이용률이 낮은 편이다. 2024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한의대병원역이 개통할 예정.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cf2026><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cf2026>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노선명 역명
대구교통공사 파일:Daegu1.svg 대구 1호선 <colbgcolor=#fff,#000> 신천(경북대 입구)(134) · 동대구역(135) · 동구청(큰고개)(136) · 아양교(대구국제공항 입구)(137) · 동촌(동촌유원지)(138) · 해안(139) · 방촌(140) · 용계(141) · 율하(142) · 신기(143) · 반야월(144) · 각산(145) · 안심(혁신도시·첨복단지)(146)
한국철도공사 경부선 동대구역
{{{#!wiki style="word-break: keep-all; 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미개통 노선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한국철도공사 파일:대경선-로고-simple-2.svg 대경선 <colbgcolor=#fff,#000> 동대구역(K118)
대구교통공사 파일:Daegu1.svg 대구 1호선 대구한의대병원(147)
파일:Daegu4.svg 대구 4호선 동대구벤처밸리 · 대구파티마병원(평화시장) · 공고네거리 · 이시아폴리스(봉무) }}}}}}}}}
중구 · 서구 · 남구 · 북구 · 달서구 · 수성구 · 달성군 · 군위군
경산시 · 구미시 · 영천시 · 칠곡군
}}}}}}}}} ||


7. 경제

비록 수성구달서구와 같이 대구에서 경제력이 상위권은 아니지만, 대구 전체에서 살짝 중상위권 정도이다. 그럭저럭 경제력은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고 구민들 소득 수준도 나름 좋은 편.

7.1. 금융

대구 동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동대구우체국 (12)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1)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5)
시중은행
신한은행 (2) 우리은행 (3)
하나은행 (2) 국민은행 (4)
iM뱅크 (17)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동대구농협 (3) 대구축산농협 (5) 대구경북원예농협 (1) 대구경북능금농협 (2)
등촌농협 (5) 반야월농협 (8) 공산농협 (3)
새마을금고
반야월새마을금고 (5) 신평새마을금고 (2) 등촌새마을금고 (3) 방촌새마을금고 (2)
해안새마을금고 (1)
큰고개새마을금고 (2) 아양새마을금고 (2) 효목새마을금고 (1) 신암새마을금고 (1)
동구새마을금고 (1)
동신새마을금고 (2) 신천새마을금고 (2) 신천4동새마을금고 (2) 동대구새마을금고 (2)
불로봉무새마을금고 (2)
공산새마을금고 (1) 팔공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팔공신용협동조합 (4) 파티마신용협동조합 (1) 송라신용협동조합 (2) 효천신용협동조합 (2)
한아름신용협동조합 (1) 등촌신용협동조합 (1) 신암천신용협동조합 (1)
방촌신용협동조합 (4)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IBK저축은행 (1)

8. 교육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대구광역시 동구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대구강동초등학교 대구공산초등학교 대구덕성초등학교 대구동부초등학교
대구동신초등학교 대구동촌초등학교 대구동호초등학교 대구반야월초등학교
대구방촌초등학교 대구봉무초등학교 대구불로초등학교 대구새론초등학교
대구서촌초등학교 대구송정초등학교 대구숙천초등학교 대구신성초등학교
대구신천초등학교 대구아양초등학교 대구안일초등학교 대구용호초등학교
대구율금초등학교 대구율원초등학교 대구율하초등학교 대구입석초등학교
대구지묘초등학교 대구팔공초등학교 대구해서초등학교 대구해안초등학교
대구효동초등학교 대구효목초등학교 대구효신초등학교 동대구초등학교
영신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대구광역시 동구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강동중학교 공산중학교 대구팔공중학교 동촌중학교
불로중학교 새론중학교 신기중학교 신아중학교
안심중학교 영신중학교 율원중학교 입석중학교
청구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대구광역시 동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강동고등학교 달구벌고등학교 대구공업고등학교 대구관광고등학교
대구동부고등학교 대구일과학고등학교 대구일마이스터고등학교 영신고등학교
정동고등학교 조일고등학교 청구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9. 의료기관

대구파티마병원(633병상)이 중형 대학병원급의 규모로 신암동에 있으며 동구 유일의 종합병원이자 북구, 수성구를 포함하여 이 근방에서는 가장 큰 병원이다. 그 외 대구강남병원 의원들은 아파트단지가 많은 만큼 곳곳에 산재해 있다.
대림동 첨단의료복합단지에 대구한의대한방병원이 이전해 왔다.

10.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동구(대구광역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군사

대구 공군기지에서 10분이 멀다하고 이착륙하는 민항기와 전투기들 때문에 동촌 생활권은 정말로 사람이 살만한 곳이 못 된다. 이 지역의 비행기 소음은 영남에 있는 대도시 중에서 부산의 강서구와 함께 악명이 높다. 더군다나 다른 지역의 전투기는 엔진이 1개인 단발 전투기인데 반해 대구 공군기지에 배치된 F-15K는 엔진이 2개인 쌍발전투기라 더 심하다. 건물들 대부분이 이중창이지만 소음을 막기에는 역부족. 창이 문제가 아니라, 건물 벽으로도 소리가 전해지는 수준이다.[36] 참고로 전투기의 경우 밤낮 구분이 없다.[37] 평일 일과시간(08~17시)에는 날씨가 나쁘지 않는 이상 거의 매일 뜬다고 보면 된다. 거기에다 매주 평균 1~3회 정도 야간비행훈련도 있다.[38] 북한에서 약간이라도 움직임이 있으면 바로 뜬다. 드물지만 큰 일이 터지는 경우[39]에는 새벽 2~6시에도 전투기가 이륙한다. 또한 1월 1일 새해맞이 영토, 영해 비행 이벤트로 인해 연말(12월 20일 이후)에 새벽 6시 비행훈련도 몇차례 있을때가 있다.

심지어 북구 검단동, 동구 불로동, 용계동, 신평동에서는 주택 옥상에 올라가면 전투기 수직미익의 숫자가 눈으로 보이고 파일럿이 콕핏 안에서 손을 움직이는 것 역시 보일 정도. 몇몇 건물의 경우 헬리콥터 주기장과 매우 가까워서 헬기가 시동을 걸고 대기하고 있으면 소리가 방바닥으로 전해진다. 심지어 정동고등학교에서는 운동장에서 수업을 하던 중에 헬기가 바로 위로 지나가는 풍경도 볼 수 있으며 학생들은 그걸 보고 손을 흔들어 주기까지 한다. 사실상 부대내부 소음과 같은 수준. 이륙할 때 건물 외부에 서있으면 귀가 아닌 온몸으로 소리를 들을수 있다. 특히 이륙하고 첫 선회시 엔진의 직 후방에 위치할 때가 있는데(후부노즐이 딱 눈으로 향한다) 뱃속이 둘둘 떨린다.

이 때문에 근처 학교들은 비행기가 뜰 때 잠깐 수업을 멈췄다가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40] 그 덕에 이 주변 학교는 시설이 꽤 좋다. 모든 학교와 교실마다 에어컨이 있고, 대부분 2중창이 있다. 실제로 비행장에 가까운 학교들은 대부분 공군에서 학교에 소음에 대한 보상으로 맞춰 주었다고 한다.

대표적인 소음 권역은 행정동 기준으로 동구 도평동, 동촌동, 방촌동, 불로ㆍ봉무동, 신암5동,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4동, 지저동, 해안동, 효목1동과 북구 검단동, 복현2동으로 상당 수가 동구에 있으며, 이륙항로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전투기나 수송기가 지나가면 건물의 나무창이 부르르 떨리는 경우가 잦으며, 아주 간혹 손에 잡힐듯 저공비행을 하고, 비행기가 낮게 날아다닌다.[41]

심각한 소음으로 인해 동구 주민들이 국가를 대상으로 소음 피해 보상에 대한 소송을 걸었다. 현재 보상금이 지급된 상태이며 담당했던 변호사가 두 명이기 때문에 지연이자에 대한 문제는 확실하게 끝나지 않은 상태. 참고로 동촌 일대에 생긴 주거단지보다 비행장이 수십 년 먼저 생겼다.[42] 건축물 서류를 참고하면 바로 나오는데, 비행장 건설 당시 그 주변은 그냥 허허벌판이었다.

허허벌판이었다고 거주민이 없었던건 아니다. 비행장에서 엎어지면 코닿을데 있는 대구동촌초등학교는 개교를 1945년도에 했으며 일본인 교육기관으로는 1921년도에 개교했다. 거주민이 없는데 학교가 있었을리가. 그리고 당시에는 거주민의 숫자가 적었겠지만 그때야 우리나라 인구 자체가 지금의 절반도 안되었던 시기였다. 마찬가지로 그때는 서울도 강북지역 빼면 다들 허허벌판이었다. 오죽하면 여의도에 비행장이 있었겠나. 거기도 사람들이 자꾸 늘어나니까 비행장을 옮겼지 사람들을 내보낸건 아니지 않나.[43] 대구광역시의 인구 증가로 인해 주거단지를 비행장 근처에도 개발하다 보니 해당 지역 거주자들이 소음을 들을 수밖에 없게 된 셈.

추가로 K-2가 전략적으로 중요한 이유는 대구광역시가 분지라서 북한의 레이더에 비행기가 뜨는 것이 안 잡혀서라고 한다. 일단 동남권 신공항 논란 때 여기서는 경상남도 밀양시 신공항 건설 계획을 밀었으나 신공항 자체가 무산됐지만, 박근혜 대통령이 K-2, 대구공항 통합 이전을 지시하면서 상황이 달라지게 됐으며 현재 K-2, 대구공항을 경북으로 통합 이전하는 방안이 추진중이다.

2017년 6월 중후반에 공개된 안종범 수첩 내용을 통해 박근혜 전 대통령이 K-2 이전이 유승민 의원의 공으로 부각되지 않도록 할 것을 지시한 것이 알려졌다.[44]

2020년 8월 28일 결국 '의성 비안.군위 소보' 공동후보지로 K-2, 대구공항 통합이전이 확정되었다.

12.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동구(대구광역시)/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나무위키에 등재된 동구 출신 인물



[1] 45법정동, 22행정동.[2]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3] 2024년 10월 기준.[4] 동구 가선거구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주형숙
동구 나선거구 (신암5동, 지저동, 동촌동): 김영화, 김재문
동구 다선거구 (신천1·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박종봉, 이연미, 이진욱
동구 라선거구 (도평동, 불로·봉무동, 방촌동, 해안동, 공산동): 김상호, 하중호
동구 마선거구 (안심1동, 안심2동): 김동규, 최건
동구 바선거구 (안심3동, 안심4동, 혁신동): 정인숙
비례대표: 김은옥, 배홍연
[5] 동구 라선거구 (도평동, 불로·봉무동, 방촌동, 해안동, 공산동): 노남옥
동구 바선거구 (안심3동, 안심4동, 혁신동): 안평훈
[6] 동구 가선거구(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김서희[7] 동구 바선거구 (안심3동, 안심4동, 혁신동) 한동기 의원 사직으로 인한 공석[8] 동구 제1선거구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지저동, 동촌동): 김재우 (재선)
동구 제2선거구 (신천1·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박소영 (초선)
동구 제3선거구 (도평동, 불로·봉무동, 방촌동, 해안동, 공산동): 권기훈 (초선)
동구 제4선거구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동, 안심4동, 혁신동): 이재숙 (초선)
[9] 일개 구지만 120만명이 사는 경기도 수원시보다 더 넓다. 당장 동구 산하 공산동만 해도 수성구, 달서구보다 더 넓다.[10] 다만 군위군과 접하는 지역은 전부 팔공산으로 막혀있어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득명리 팔공산터널을 거쳐서 가야 한다.[11] 해당 심볼마크는 2000년부터 사용하고 있다. 이전까지는 여느 대구광역시의 자치구와 마찬가지로 대구광역시 휘장을 그대로 사용.[12] 수동면, 수북면, 수현내면, 하수서면 등 4개 면이 폐합되어 신설된 면이다.[13] 달서면, 성북면, 수성면[14] 다만 대전광역시 동구는 대전 내에서는 최하위권이지만 인구는 20만명이 넘기 때문에 적은편은 아니다. 울산이랑 광주광역시 동구는 인구가 10만명대 초중반이고, 부산이랑 인천 동구는 10만명도 안될 정도로 매우 적다.[15] 달서구, 북구, 수성구에 이어 4위이다. 대구광역시의 기초자치단체는 군 지역까지 포함시 모두 9개이다.[16] 다른 광역시에서 부산이랑 대구를 제외한 나머지 3개의 서구는 인구가 상위권이다. 부산 서구는 부산 내에서 최하위권이긴 하지만 동구보다는 인구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대구광역시만이 유일하게 동구가 서구보다 인구가 많고, 그것도 2배 이상 차이가 난다. 추가로 울산은 서구가 없다.[17] 광역시 외에 특별시특례시 중에서 동구 인구가 서구 인구보다 많은 지역은 고양시 일산동구가 있다. 다만 2010년대 중반까지는 일산서구가 일산동구보다 인구가 더 많았고, 지금도 겨우 1만명 정도 밖에 차이나지 않는다.[18] 舊신암3동(1965.02.01~1975.09.30)과는 상관없음.[19] 舊신암5동(현 신암3동)과는 상관없음.[20] 舊신천3동(1965.02.01~1980.03.31)과는 상관없음.[21] 舊신천4동(1965.02.01~1980.03.31)과는 상관없음.[22] 동촌로 이남지역만으로 관할구역 축소, 동촌로 이북지역은 해안동으로 편입.[안] 안심3동과 안심4동의 2000년~2015년 인구는 안심3·4동으로 통합되어 있어 표기하지 않음.[안] [관할법정동] 미대동·내동·신용동·중대동·송정동·덕곡동·지묘동·연경동[26] 실제로 중앙고속도로(대구-부산) 동대구IC 부근에서 대구 공군기지로 착륙하는 F-15K의 랜딩기어 및 주익 파일런에 장착된 무기, 보조연료탱크까지도 보인다.[27] 다만 대구광역시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자치구는 달서구다.[28] 서구남구도 마찬가지 상황. 두 구 다 성서지구월배달서구 신설 당시 넘겨주었고, 서구는 두류동 등도 달서구에 떼 주었다. 그런데 달서구는 성서월배에 대규모 택지지구와 성서공단이 생기며 폭발적으로 성장해 2013년엔 무려 61만명의 인구를 기록하고 인구가 감소한 현재도 무려 55만명 수준이지만, 정작 서구남구는 급속도로 쇠퇴하고, 서구는 공업단지의 몰락, 남구는 대학교들의 경산시 등지로의 이전까지 더해져서 현재 인구가 20만에도 미치지 못하고, 서구는 용산1동과 죽전동을, 남구는 월배를 반환받으려 했지만 실패했다.[29] 북구, 동구, 수성구(달성군 가창면 포함), 중구로 구성된 대구 1학군이다. 나머지 지역들은 2학군이다. 중구의 경우 지금은 전역이 1학군이지만, 한때 달서구/서구와 마주보는 중구 서쪽은 2학군으로 취급된 적이 있었다. 하지만 조절학군이라는 것도 있어서 엇갈릴 수 있는데, 이는 사실상 당첨이다. 대표적인 조절학군 학교가 협성고등학교,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특히 사대부고는 달서구 거주 학생이 직접 원서를 쓸 수 없는 1학군임에도 중구와 가까운 달서구 두류동 쪽에서 걸리는 학생들이 더러 있다. 반면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전환 전의 계성고등학교는 중구 소재임에도 2학군으로 취급되어 달서구와 서구에서 지원이 가능했었다.[30] 공사중[31] 다만, 2006년 개편 전에는 배차간격이 20분 가까이 벌어진 노선이었고, 814번과 814-1번으로 나눈 노선이었다. 개편하면서 814-1번의 노선으로 통일하고, 몇 대 증차하고, 통합 814번으로 번호가 바뀌면서 빗자루질하는 것.[32] 실제로 2003년 대구 지하철 참사 당시 희생자 중 48.9%가 동구에서 나왔을 정도로 가장 많은 희생자가 나왔는데, 이는 참사 당시 대부분의 희생자가 발생한 1080열차가 동구 안심역을 출발해 중앙로를 거쳐 대곡역으로 향하던 열차였기 때문이다. 또 당시에는 2호선도 없던 시절이라 수성구 시지지구 혹은 경산시에서도 버스를 타고 반야월역에서 1호선으로 환승해 도시철도를 이용하는 수요가 많았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36] 비행장과 어느 정도 거리가 떨어져 있는 남구 지역에서도 전투기가 지날때 건물이 진동하는 경우가 있다. 물론 동구나 북구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남구 지역도 대구공항 이륙항로에 해당되다 보니 비행기들을 자주 볼수 있다.[37] 민간 여객기는 대구국제공항에 통금시간(커퓨 타임)이 적용되므로 야간에 이착륙이 제한되어 오밤중에 비행기가 뜨지 않으므로 해당되지 않는다.[38] 월초에 대구 동구청 또는 수성구청 SNS(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네이버 블로그)에 그달의 야간훈련일정(주단위 횟수)이 올라온다. 훈련시간은 '일몰 후부터 22:00 사이'이며, 기상 여건이 좋지 않거나 부대 사정으로 하지 않을 때도 있다.[39] 외국 군용기가 KADIZ를 침범하거나 하는 등...[40] 하지만 보통 학생들과 선생님들이 이 지역에서 어느정도 거주해 소음에 익숙해진 경우가 많으므로 말소리가 들리지 않을 정도로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수업한다. 물론 저런 경우에도 수업을 진행하시는 선생님들도 계신다.[41] 안심 일대에서는 공항 인근의 신평동과 용계동의 넓은 들판 덕분에 대구 공항의 여객기 이착륙 소리가 직격으로 들리며, 또한 안심동은 비행기 이착륙 경로로, 항공기 꼬리에 적힌 글씨가 보일 정도로 저공 비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다만 4번 국도 이남(율하지구 등)은 이렇게까지 심하지는 않은 편. 어떨 때는 공항 소음이 아예 나지 않기도 한다.[42] 정확히는 일본군에 의해 1936년에 건설되었다.[43] 허나 적어도 서울, 부산은 각각 대구의 경산시 쯤 되는 강서구, 강서구로 옮겼지만, 대구의 경우 멀리 떨어진 군위군, 의성군으로 옮긴다는 점에서 다소 차이가 있긴 하다. 물론 주민들의 직접적인 잘못이라고 보기는 어렵고, 근처의 영천시, 성주군 등에서는 이전 반대를 했기에 군위까지 밀려났다고 볼 수 있다.[44] 2015년의 국회법 파동 및 원내대표 사퇴, 2016년의 공천 파동으로 박근혜와 대립각을 세우며 지지세를 키우던 유승민 의원을 견제하려는 의도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