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04 22:59:03

신녕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54aa5>
파일:영천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금호읍 고경면 대창면 북안면 신녕면 임고면
자양면 청통면 화남면 화북면 화산면
||<width=30%><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00a33e>
행정동
||<-5> 법정동 ||
<colbgcolor=#254aa5> 남부동 도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본촌동 봉동 채신동 작산동 }}}
동부동
서부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교촌동 대전동 서산동 성내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쌍계동 오수동 화룡동 }}}
완산동 완산동
중앙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과전동 녹전동 도림동 매산동
문내동
시청
문외동
오미동 창구동 }}}
}}}}}}}}} ||
영천시
신녕면
新寧面 | Sinnyeong-myeon
<colbgcolor=#254aa5><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경상북도
기초자치단체 영천시
행정표준코드 5100079
관할 법정리 11리
하위 행정구역 25행정리 102반
면적 81.09㎢
인구 3,642명[1]
인구밀도 44.91명/㎢[2]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영천시·청도군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만희 (재선)
경상북도의원 | 제1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춘우 (재선)
영천시의원 | 나 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상호 (초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종욱 (초선)

이영우 (초선) }}}}}}}}}
행정복지센터 화성중앙길 30 (화성리 419)
신녕면 행정복지센터
1. 개요2. 연혁3. 주요 시설4. 교육
4.1. 초등학교4.2. 중학교4.3. 고등학교4.4. 대학교
5. 교통
5.1. 도로5.2. 버스5.3. 철도
6. 특산물7.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경상북도 영천시.

동쪽은 화산면, 서쪽은 대구광역시 군위군 산성면, 남쪽은 청통면대구광역시 동구, 북쪽은 대구광역시 군위군 삼국유사면과 접해 있다.

대구광역시 군위군 방면으로 갑티재라는 꼬부랑길 고개가 있어서 교통이 불편했던 지역이지만, 2011년 12월 28번 국도 영천시 - 대구광역시 군위군 삼국유사면 구간의 확장이 완료되어 교통이 편리해졌으며 이전 부터 운전실력이 떨어지더라도 화서리나 삼산리(백학) 쪽으로 우회하면 되었기 때문에 군위군 방면 교통이 아주 불편했던건 아니다. 다만 현재도 꼬부랑길 갑티 옛 고갯길이 있으며, 갑티고개는 원인불명으로 흉가가 많은 곳이다. 하지만 확장되어도 군위읍내까지는 아주 멀다.

군위군 방면의 길은 세 갈래로 나뉜다. 우선 신녕면소재지에서 부산리와 치산계곡을 거쳐[3] 부계면으로 가는 919번 지방도와 화서리에서 산성면 봉림리로 가는 908번 지방도[4], 화서리에서 직진하여 갑티를 직선화해 삼국유사면으로 가는 28번 국도로 나뉜다. 단, 버스는 28번 국도로만 다닌다.[5] 908번의 경우 화서리로 넘어와 이후 방향을 다시 북쪽으로 바꾸어 바로 다시 군위로 나간다.

상주영천고속도로 신녕IC가 있으며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6]을 두고 접하지만, 등산로를 이용하는 방법으로만 다닐 수 있다.

문화재 및 관광지는 팔공산국립공원 소재 치산폭포, 영천 수도사, 신녕향교, 권응수 장군 유물관 등이 있다. 또한 팔공산 비로봉 정상이 신녕면에 있다.[7]

2018년 폭염으로 인해 40℃를 넘나드는 기온을 자랑하고 있다. 경북 최고 혹서지라고 봐도 될 정도로 2018년 7~8월 동안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관내 유명관광지로 치산관광지가 있다. 치산계곡으로 알려진 이곳은 사시사철 물이 시원하며 수도사가 있고 진불암까지는 편하게 등산할 수 있다. 여담으로, 진불암 가는길 중간에는 작은 출렁다리가 있다.

면을 신면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어서 혼란을 겪고 있으며, 실제로 이정표에 신면으로 표기되어 있는 경우가 존재한다. 기차역 등지에서는 신녕역이라고 나오며, 공식적으로도 신으로 적는 것이 맞다.

신녕면을 기점으로 대구광역시 군위군을 거쳐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까지 이어지는 길이 70km 이상의 대규모 단층인 신령단층이 시작되는 지점이다.

2. 연혁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영천군에 병합되었으며, 1995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영천군이 영천시에 통합됨에 따라 영천시에 속하게 되었다.

3. 주요 시설

4. 교육

4.1. 초등학교

4.2. 중학교

4.3. 고등학교

4.4. 대학교

5. 교통

5.1. 도로

5.2. 버스

5.3. 철도


참고로 현재 중앙선 선로는 908번 지방도와 유사하게 가지만 이설 후에는 28번 국도와 유사하게 갈 예정이다.

이 외에도 갑현역이 있으나 애초에 신호장 목적으로 세워졌기 때문에 여객 목적은 상실했다.

6. 특산물

파일:영천 양파.jpg
이 지역에서 재배되는 양파가 유명하다. 과거에 비해서 재배 면적이 줄었고 현재는 양파보다 마늘 농사를 더 많이 짓기는 하지만 1980년대부터 영천을 대표하는 주요 특산물 가운데 하나이다.

7. 출신 인물



[1] 2024년 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2] 2024년 1월 기준.[3] 부계면, 효령면, 사유원, 창평저수지 등으로 갈거면 이곳을 통해 가야한다.[4] 화본역 등지로 갈거면 이곳을 통해 가야한다.[5] 예전에는 294번이 화서리에서 봉림리와 삼산리를 거쳐 부계면사무소까지 들어갔지만 지금은 시경계인 화서리에서 회차하여 600m 정도 걸어야 군위 버스를 탈 수 있다.[6] 당장 나무위키에 등록된 거의 대부분의 대구 지역 방송국 송신소 주소가 신녕면으로 표기되어 있다.[7] 정확히는 군위군 부계면과 걸쳐있다.[8] 보물 제 668호.[9] 보물 제 675호.[10] 보물 제 676호.[11] 톨게이트 및 진출입부지는 화산면에 있다.[12] 일부 시간대에만 운행.[13] 무궁화호가 현재 1일 상하행 3회 정차한다.[14] 2024년에 안동~영천간 복선전철화가 완료되면 효정신호장으로 업무를 옮기고 폐역 예정이다. 단, 효정신호장의 유래가 된 효정리는 여기가 아닌 화산면에 위치해 있어 신녕역보다는 화산역의 업무를 더 많이 옮겨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설 후 중앙선은 신녕면을 연정리만 통과하며 그거 마저도 산지만 지날 예정이다. 중앙선 선로가 지날곳 바로 밑으로 화산산성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