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7 19:37:23

부산광역시

부산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부산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부산(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특별시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
광역시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부산광역시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광역시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
광주광역시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광역시
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
울산광역시
특별자치시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svg
세종특별자치시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
파일:충청북도 휘장.svg
충청북도
파일:충청남도 휘장.svg
충청남도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라남도
파일:경상북도 휘장.svg
경상북도
파일:경상남도 휘장.svg
경상남도
특별자치도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svg
강원특별자치도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svg
전북특별자치도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제주특별자치도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미수복지역
파일:황해도 휘장(이북5도위원회).svg
황해도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구역이므로 광역자치단체가 아니다.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5007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중구(부산광역시) CI.svg
중구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서구
파일:동구(부산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영도구 CI.svg
영도구
파일:부산진구 CI.svg
부산진구
파일:동래구 CI.svg
동래구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남구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svg
북구
파일:해운대구 CI.svg
해운대구
파일:사하구 CI.svg
사하구
파일:금정구 CI.svg
금정구
파일:강서구(부산광역시) CI.svg
강서구
파일:연제구 CI.svg
[[부산광역시청|
시청
]] 연제구
파일:수영구 CI.svg
수영구
파일:사상구 CI.svg
사상구
파일:기장군 CI.svg
기장군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대한민국광역시
{{{#!wiki style="margin: -5px 0px; display: inline-table"
<table bordercolor=#fff,#1c1d1f><table bgcolor=#fff,#1c1d1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부산광역시
釜山廣域市
Busan Metropolitan City
}}}
<colbgcolor=#E5007F><colcolor=#fff> 시청 소재지 연제구 중앙대로 1001 (연산동)
하위 행정구역 15[1] 1[2]
면적 771.3㎢[3]
인구 3,266,598명[4]
인구 밀도 4,238.29명/㎢[5]
GDP $825억(2022)[6]
1인당 GDP $24,999(2022)[7]
시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형준 (재선)
부시장 <colbgcolor=#E5007F><colcolor=#fff> 행정
이준승 (17대)
미래혁신 김광회 (초대)
시의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3석[8]

파일:zsdkl3gasdg.svg
2석[9]

2석[10] }}}}}}}}}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7석[11]

파일:zsdkl3gasdg.svg
1석[12] }}}}}}}}}
구청장·군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6석[13] }}}}}}}}}
교육감
[[권한대행|
권한대행
]]
최윤홍
상징 시화 동백꽃[14]
시목 동백나무[15]
시조 갈매기[16]
시어 고등어[17]
시가 부산찬가[18]
지역번호 051
IATA 도시 코드 PUS
ISO 3166-2 KR-26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외국어 표기4. 역사5. 지리
5.1. 지형5.2. 기후5.3. 도시구조
5.3.1. 지역특징5.3.2. 난개발
5.4. 일본과의 관계5.5. 인구
6. 교통
6.1. 백양터널 통행료 논란
7. 경제
7.1. 산업
7.1.1. 분야별 기업 투자 현황
7.2. 상권7.3. 금융
8. 관광9. 교육
9.1. 대학교9.2. 고등학교9.3. 중학교
10. 생활문화
10.1. 문화시설
10.1.1. 온천
10.2. 치안10.3. 의료기관10.4. 종교10.5. 음식10.6. 사투리10.7. 방송10.8. 통신10.9. 스포츠
11. 행정12. 정치13. 군사14. 하위 행정구역
14.1. 전체 행정구역의 변천사14.2. 폐지된 행정구역(행정 읍·면·동 기준)
15. 여담16. 대중문화 속의 부산
16.1. 영화16.2. 드라마16.3. 만화16.4. 소설16.5. 뮤직비디오16.6. 게임16.7. TV방송16.8. 음악
17.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18. 자매결연 지역
18.1. 우호협력도시
19. 둘러보기20.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nopad>
4K로 촬영된 부산
Busan is good
부산이라 좋다
부산 먼저 미래로 그린 스마트 도시 부산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부산
대한민국 동남쪽에 위치한 광역시. 북쪽으로는 경상남도 양산시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쪽으로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김해시와 접하고 있다.

대한민국 최초의 광역시(직할시)이자 제2의 도시로, 6개의 광역시 중 가장 인구가 많으며, 인천광역시와 더불어 300만 이상의 인구가 거주하는 둘뿐인 광역시이기도 하다. 광역자치단체 전체로 범위를 넓히면 경기도, 서울특별시 다음으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광역자치단체다. 또한 도농복합시 중에서도 가장 인구가 많다.

부산·울산권경상남도의 중추 도시이기도 하며, 대한민국의 최대 무역항이자 환적량이 세계 5위권 규모인 부산항을 보유하고 있어, 바로 위에 존재하는 대한민국의 최대 공업 도시인 울산광역시와 함께 대한민국 수출입 경제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도시이기도 하다.

2. 상징

부산광역시의 휘장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부산(BUSAN)의 영문자 이니셜 B,S를 모티브로 형상화하고, 각도‧색감 등을 통해 부산의 비전‧가치를 상징화하였습니다. 자주색(마젠타 색상)과 파란색(시안 색상)의 자연스러운 연계를 통해 부산 시민의 포용과 화합을 상징화하며, 입체적인 색감 사용을 통해 부산의 과거와 현재, 미래가 부드럽게 연계되어 있는 모습을 입체적으로 표현하였습니다. ― 부산광역시의 해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역대 휘장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colbgcolor=#ffffff,#1c1d1f> 파일:부산부 마크(?~?).png
19??년~1962년
일제시대부터 1962년까지 사용했던 휘장이다. “父山”의 2자를 도안화 휘장.
파일:부산직할시 휘장.svg
1962년~1995년
1962년부터 1995년까지 사용했던 휘장이다. "V"자는 승리또는 발전을 뜻함, "ㅂ" 는 부산의 약자, 오륙도는 부산의 상징.
파일:부산광역시 휘장(1995-2023).svg
1995년~2023년
부산의 상징인 갈매기, 오륙도, 산, 바다, 강을 기본 콘셉트로 형상화한 것으로 전체 도형인 사각형을 모로세워 균형성과 역동성을 강조했고 윗부분 삼각형은 우주, 공간 창조를 아랫부분 삼각형은 부산 바다와 도시배경을 아랫부분 큰 물결 두개는 세계와 미래로 뻗어나가는 선진성과 국제성, 진취성 등 부산시의 강한 의지를 상징하고 있습니다. ― 부산광역시의 해설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국영문.svg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영문.svg
국문-영문 로고타입 영문 로고타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역대 국문-영문 로고타입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colbgcolor=#fffff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한영문(1995-2023).png 1995년에 제정돼서 2023년까지 사용한 부산광역시 휘장의 한영문이다.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국영문(1995-2023).png 1995년에 제정돼서 2023년까지 사용한 부산광역시 휘장의 국영문이다. }}}}}}}}}}}}}}}
부산광역시의 시기
파일:부산광역시 시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역대 시기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fff
<colbgcolor=#ffffff,#1c1d1f> 파일:부산직할시 시기.svg
1962년~1995년
1962년부터 1995년까지 사용했던 휘장이다.
파일:부산광역시 시기(1995-2023).svg
1995년~2023년
1995년 처음 사용되어 2023년 5월 16일까지 사용됐던 부산광역시의 시기다. }}}}}}}}}}}}}}}
부산광역시의 브랜드슬로건
파일:부산광역시 브랜드슬로건.svg
Busan is good은 부산에 대한 부산시민의 자긍심과 만족감을 Good(좋다)로 표현하였습니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역대 브랜드슬로건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fff
<colbgcolor=#ffffff,#1c1d1f> 파일:부산광역시 브랜드슬로건(2003-2023).svg Dynamic Busan은 개방 진취적인 부산시민의 기질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관광, 경제, 교육,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활기차게 역동적으로 발전한다는 긍정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Dynamic의 자유분방한 서체는 약동하는 부산을 상징하고, 중후하고 정돈된 느낌의 부산은 세계 물류 비즈니스 중심도시로서 부산에 대한 정체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003년 처음 사용되어 2023년 5월 16일까지 사용됐던 부산광역시의 슬로건이다.
}}}}}}}}}}}}}}}
부산광역시의 마스코트
파일:부산광역시 마스코트 부비.svg
부산광역시의 마스코트부비.
Busan + Vision의 뜻이며 위의 슬로건과 마찬가지로 떠오르는 태양을 캐릭터화한 것이다. (부기가 거의 마스코트인 부비만 불쌍한 현재 상황)
부산광역시의 소통 캐릭터
파일:부기 2D.svg 파일:213321321.jpg
<rowcolor=#fff> 2D 3D
부산광역시의 소통 캐릭터부기
부산시청에서 따로 홍보용으로 만든 소통 캐릭터다. 보다시피 부산 갈매기를 형상화한 캐릭터다.

2.1. 2023년 상징 변경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3년 부산광역시 상징 변경 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부산시 도시브랜드.png

2023년 2월 28일부터 3월 8일까지 새로운 로고와 브랜드를 선정하기 위한 선호도 조사가 실시됐고, # 3월 10일 위의 최종 디자인을 확정해 공개했다. #, 3월 21일 오후 3시 브랜드 선포식을 개최했고, # 같은날, 상징물 조례 개정안이 입법예고되었다. # 이후 5월 2일 조례가 개정됐다. 이 조례는 5월 17일 공포되었다. 이에 지역 시민단체 등이 반발하면서 논란이 일었다. 자세한 내용은 위의 문서 참고.

3. 외국어 표기

<colbgcolor=#ddd,#222>언어별 명칭
한국어 부산
영어 Busan
프랑스어 Pusan
스페인어 Busan
러시아어 Пусан
중국어(간체자) 釜山 (fǔshān)
아랍어 بوسان
광동어 釜山 (fu2 saan1)
마인어 Busan
몽골어 Пүсань
베트남어 Busan
일본어 釜山 / プサン
중국어(번체자) 釜山 (fǔshān)
태국어 ปูซาน
페르시아어 بوسان
히브리어 פוסאן
힌디어 बुसान
그리스어 Μπούσαν
네덜란드어 Busan
독일어 Busan
스웨덴어 Busan
이탈리아어 Busan
튀르키예어 Busan
포르투갈어 Busan
폴란드어 Pusan
라틴어 Busan
에스페란토 Pusano

4.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산광역시/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시기 당시 행정구역
삼국시대(8세기) 양주 동래군
신라(10세기) 경상도 동래군
고려 시대 경상도 울주군, 양주군
조선 시대(16세기) 경상도 동래도호부 부산의 원래 중심지, 동래읍성(영상)
1906년 경상도 동래부, 기장군, 양산군, 김해군, 웅천군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부산부, 동래군, 김해군, 양산군, 창원군
1949년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군, 양산군, 김해군, 창원군
1963년 부산직할시(釜山直轄市) 승격, 경상남도 동래군
1973년 동래군 폐지
1995년 부산직할시를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로 개칭, 부산광역시 산하 기장군 설치

부산(釜山)이란 이름이 처음 등장한 것은 조선 성종 초기이며, 이와 관련된 설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현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소재한 증산(甑山)에서 유래했다는 증산설[19]과, 다른 하나는 현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소재한 자성대에서 유래했다는 자성대설이다.

부산(釜山)이라는 말을 풀이하자면 가마솥을 엎어놓은 모양인 산이라는 뜻인데, 이 산이 당시 둘 중 어떤 산을 가리키는 말이었는지가 주된 논점이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부산이란 이름이 등장하기 전에는 동래, 독로국, 거칠산국, 갑화양곡 등의 여러 지명으로 불렸는데 몇몇 지명은 부산 안의 세부 지명으로 흔적이 남아 있다. 부산의 다른 이름은 가마뫼다.[20]

6.25 전쟁 당시에는 수원시,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에 이은 부산이 임시수도였으며[21] 전후에도 경상남도 부산시였다가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에 이어 정부 직할시[22]로 승격되었다. 그리고 1981년 4월 4일 부산시에서 부산직할시로 개편되었다.[23] 이후 1995년 1월 1일 광역시 제도 도입으로 지방자치제와 함께 종전의 다른 직할시들과 함께 부산광역시로 변경되었다.

1925년 진주에 있었던 경상남도청이 부산으로 이전한 이후, 1983년 창원으로 이전하기까지 경상남도청 소재지였던 경남의 중심이기도 했다. 경상도 안에 있는 대구의 경상북도청도 늦게 이전했다. 20년 정도 부산 내에 부산광역시청경상남도청이 공존했다. 그래도 2000년대 이전에 경남에 도청이 환원되었으니 다른 지역보다는 도청 환원이 일찍 이뤄진 것처럼 보이지만 이건 서울과 부산이 일찌감치 도에서 독립하여 생긴 착시 현상일 뿐이다.

사실 시내에 도청이 있던 다른 광역시도 광역시 분리 이후 비슷한 기간 동안 도청 소재지를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대구가 1981년, 광주가 1986년, 대전이 1989년에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각각 경상북도, 전라남도, 충청남도에서 분리되었는데 경상북도청은 2016년에 안동시로 이전했고 전라남도청은 2005년에 무안군으로 이전했으며 충청남도청은 2013년에 홍성군으로 이전했으니 다른 광역시들도 20년 이상 도청 소재지 지위를 유지했던 것. 경기도청 역시 1969년까지 서울특별시청과 함께 서울 광화문 지역에 20년 이상 있었고 수원시로 이전했다.

5. 지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산광역시/지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 지형

산악지대가 곳곳에 많아서 평지는 물론 산자락까지도 시가지를 형성하고 있는 지역이 많은 편이다. 도시 이름이 釜인 이유가 여기 있다. 이로 인해 산자락에도 고층 건물이 세워져 있는 모습은 홍콩을 방불케 하는 수준이다.[24]

5.2. 기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산광역시/기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쾨펜의 기후 구분온난 습윤 기후(Cfa)에 속한다.

5.3. 도시구조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의 지역 구분
서부산 원도심 서면 동래 동부산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000,#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서부산
(강서구, 북구, 사상구, 사하구)
동래
(동래구, 연제구, 금정구)
동부산
(해운대구, 수영구, 남구, 기장군)
서면
(부산진구)
원도심
(중구, 영도구, 동구, 서구)
}}}}}}}}}}}}

도심으로는 서면광복동&남포동이 있고, 부도심으로는 동래, 금정, 연제, , 구포[25], 사상, 하단, 강서[26][27]로 이루어져 있다.

일상이나 언론에서 부산을 크게 동서로 구분할 경우 보통 동래구, 금정구, 연제구, 해운대구, 수영구, 남구, 기장군동부산으로, 부산진구, 동구, 중구, 서구, 북구, 영도구, 사하구, 사상구, 강서구서부산이라고 부른다.

지금의 동부산지역은 모두 예전에 동래구에서 분구된 지역. 지금의 남구수영구는 원래 동래구에서 남구로 1975년에 분구되고, 거기서 다시 1995년 남구에서 수영구가 분구, 해운대구는 1980년 동래구에서 분구, 금정구는 1988년 동래구에서 분구, 연제구는 1995년 동래구에서 분구되어서, 동래구, 남구, 수영구, 해운대구, 금정구 연제구의 6개구의 동부산 지역은 모두 이전에 동래구였던 지역이다.

동부산의 경우 전통적으로 조선시대부터 양반이 살던 동네였으며 부산의 전통적 부유층 주거 지역인 동래구, 1980년대부터 동래구와 전통적 부유층 주거지역을 양분해 온 투탑이었던 수영구, 센텀시티마린시티가 들어서면서 신흥 부유층 주거지역으로 떠오른 해운대구의 부유층 주거지역 3개구를 함께 해수동이라고 부른다. 해수동으로 불리는 해운대구, 수영구, 동래구의 3개구가 예전 동래구에서 나누어진 지역들이고, 나란히 붙어 있지만, 지역적 차이는 있다. 대체로, 빈부격차가 심하지 않은 동래구수영구와 달리 마린시티센텀시티같은 상류층 거주지, 해운대신시가지같은 중산층 거주지와 함께 재송동, 반여동같은 서민층 거주지도 많은 해운대구의 경우는 빈부 격차가 부산에서 가장 심하고, 부산의 대표적 상류층과 중산층 거주지역 중 한 곳이기도 하지만, 그 외 상당수의 거주지는 서민층이 사는 산동네에 형성된 거주지역이라는 점이 특성이다.
시민들이나 언론에서 사용하는 일상적인 광역적 구분이 아닌 세분화된 구분으로 따지면 이렇게 된다.
  • 원부산권: 부산의 역사가 시작하던, 그러니까 동래로부터 벗어난 시절부터 부산이었던 가장 오래된 부산역
  • 동래권: 원래 동래부로써 바다에 접해있지 않고 동래의 영향력이 큰 권역으로 연제구/동래구/금정구
  • 서부산권: 낙동강변이므로 본래 공단이 가득했던 곳으로 사상구/북구/강서구/사하구
  • 동부산권: 비교적 최근 개발이 시작되어 동부산의 한 축으로 떠오른 해운대구를 거점으로 하는 곳으로 남구/수영구/해운대구/기장군
  • 중부산권: 20세기 중반부터 개발되기 시작해 지금은 즉 금융, 상업, 유흥의 중심지인 서면을 두고 있는 곳으로 부산진구로 나눌 수 있다.

단지 지리적으로만 따지자면 부산진구/동구중부산권, 해운대구/남구/수영구동부산권(해운대권)과 중구/서구/영도구남부산권, 강서구/사상구/북구/사하구서부산권, 동래구/금정구/연제구동래권, 위성도시김해시/양산시/거제시[28]로 구분된다.[29][30]

방위에 따른 구분이 실제 사용되는 예로는 부산 시내버스 정류장 화면에 표시되는 '대기질 정보 전송시스템'을 들 수 있는데, 아래 사진처럼 서부/중부/동부/남부권으로 나뉜다. 각각의 권역을 살펴보면 서부권은 강서구, 북구, 사상구, 사하구이며 중부권은 금정구, 동래구, 연제구, 부산진구이고 남부권은 해운대구, 수영구, 남구, 동구, 중구, 서구, 영도구이며 동부권은 기장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파일:부산 미세먼지 예보 지역분류.png
과거 부산이 동래부이던 시절, 동래 일대는 당연하게도 동래부의 중심지였는데, 지금은 부산광역시 안에 동래구가 있지만 과거에는 동래부 안에 부산포가 있었다. 이 부산포는 현재의 중구, 동구[31] 일대를 일컫는 것으로, 구한말 이후 일본과 가깝다는 지리적인 요인 덕분에 남포동-중앙동을 비롯한 중구 일대가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점차 커지기 시작하여 마침내 부산시라는 명칭을 달게 되었고, 이후에도 독립적인 군으로 남아 있던 동래부를 역으로 흡수하게 되면서 부산에 편입시키기에 이른다. 이후 1980년대까지 부산의 중심으로 활약하던 중구, 동구에서 초점이 움직인 건 1990년대 중후반의 일인데, 특히 동래군과의 사이에 있는 서면 부근은 지역적으로 부산의 중심이라는 특성 덕분에 급속도로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얼마 뒤, 그때보다도 훨씬 커진 부산이 강서구, 기장군 등을 편입하면서 1998년도에 중구에 있던 부산광역시청[32]이 지리적으로 부산의 중심에 가까운 연제구 연산동으로 이전하게 되고, 1999년도에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서면역이 개통되면서 환승역까지 도맡아 현재의 부산진구 서면은 전 부산을 폭넓게 아우르는 최대 도심지로 발전하게 된다.

5.3.1. 지역특징

산, 강, 바다, 해수욕장, 마천루신도시, 공업지대를 모두 끼고 있는 단일 행정구역 인구 300만이 넘고, 광역권은 최대 700만에 육박하는 거대 도시다. 국내 최대의 해안도시이자 항구도시임에도 이름에서 느껴지듯 산이 많은 도시며 심지어 해발고도 800m짜리 산 중턱에도 건물이 들어설 정도다. 이러한 다양하고 역동적인 풍경을 보여주는 상당히 개성 있고 특징이 뚜렷한 도시며, 한국의 다른 대도시와 풍경과 느낌도 사뭇 다르다.[33] 아마 한국에서 가장 개성이 강한 도시라고 보아도 무방할 지경이다.

파란만장한 근현대사 때문에 스카이라인과 오래된 건물이 공존하고 있기에 다양한 풍경을 보여준다. 심지어 동부산 최고의 부촌해운대구, 수영구, 남구에도 오래된 건물들이 있다. 하지만 꼭 동부산권이 아니어도 번화하거나 개발이 잘 되어 있는 남포동/광복동, 서면 일대와 주거지 밀집 지역인 동래구, 금정구, 연제구북구 화명동, 사하구 다대동 등이 있다. 비수도권 최대 도시지역 답게, 문화, 교육, 교통 등 생활 인프라가 수도권 다음으로 많이 갖추어져 있다. 특히 주변의 김해시, 양산시 등의 위성도시에는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한편 같은 해안도시이자 대도시인 인천광역시와는 사뭇 다른 느낌과 풍경을 가지고 있다. 서해안인 인천과는 바다 색깔부터 다르고 무엇보다 부산엔 산이 많다. 그리고 인천화교가 많다면 부산광역시는 일본인이 비교적 많고 러시아인도 종종 눈에 띈다. 화교도 인천만큼 규모나 인지도 면에서는 크지는 않지만 부산역 맞은 편 한 블럭 안쪽에 국내 기준으로는 작지 않은 규모 역사를 가진[34] 차이나타운이 있다. 이 지역에 부산의 화교가 밀집해 있으며 러시아인들도 주변에 많다.[35] 그 외에는 중앙아시아동유럽 사람들이 많은 편이다.

해상도시 건설 계획있지만 이미 예전에 환경오염, 비용 문제로 인해 백지화된 바 있고 2021년에 새로 나타난 계획 역시 이런 우려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라 실현 여부는불투명하다.

2022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높이가 200m 이상인 마천루가 가장 많은 도시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 10채 중 4채[36]를 제외한 나머지 마천루는 전부 부산에 있다. 현재 부산에 높이 200m 이상의 마천루는 총 14개에 달하며, 공사가 진행 중인 마천루는 10곳이나 되고, 이들 모두가 완성된다면 부산에만 총 24개의 200m 이상의 마천루가 생긴다.

5.3.2. 난개발

부산, 특히 서부산 원도심 지역은 국내의 가장 대표적인 난개발 지역으로, 고양시, 용인시, 경기도 광주시와 더불어 국내에서 난개발의 대명사로 꼽히는 도시 중 하나다. 특히 부산의 도로가 악명 높기로 유명한 지역이다. 농담이 아니라 부산에서 운전을 마스터하면 눈 내린 도로를 제외[37]하고 세계 어디를 가도 운전할 수 있다는 말까지 있을 정도다. 부산 택시 기사들의 운전 문화를 몸소 느끼고 싶거든 아무 택시나 잡아서 서울 말씨로 급하니 빨리 가달라고 해 보자. 이상한 지름길을 엄청난 속도로 달리면서 차선 2개를 동시에 끼고 간다든가(차선 밟기), 차선을 한 번에 2~3개씩 넘나들기도 한다. 심지어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가 들어와서 사람이 건너는 와중에도 차들이 쌩쌩 지나간다. KBS 부산 9시 뉴스에 운전하기 힘든 도시 부산 비슷한 컨셉으로 1주일 정도 하루에 2편씩 보도한 적도 있다. 심지어 서병수 전 시장도 방송 시사 안드로메다에 나와서 이에 대해 알고 있으며 부산의 운전 문화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할 정도다. 이 링크의 사진들을 보면 정말 도로가 살바도르 달리의 작품 수준으로 이상하게 꼬여 있는 것이다.
부산에서 운전 직접 해보기
왜 이렇게 부산의 도로가 반듯하지 못하고 운전 난이도가 거칠고 힘드냐면, 부산 자체가 계획도시와는 거리가 멀고 피난민들의 유입으로 무분별하게 성장을 한데다가 도시 입지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인구가 몰려있기 때문이다. #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인 거주지 구역은 그래도 나름 계획적으로 나누어져 있었으나[38] 대부분의 부산 시가지는 6.25 전쟁 당시 피난민들이 몰려와 집이 먼저 생기고 집과 집 사이로 도로가 거미줄처럼 세워진 곳이다. 서울은 군사독재 시대에 김현옥 시장이 '불도저 시장'이라는 별명답게 과감히 밀고 판을 다시 만들었지만 부산은 거의 현상 유지된 채로 지금까지 이어왔다. 그나마 김현옥 시장이 서울시장 부임 직전 부산시장을 할 때 정도가 많이 변한 때였다. 즉, 사람이 도시에 맞춰 살게 된것이 아니라 도시가 사람에 맞춰서 지어졌기 때문이다.

서울이나 평양 같은 도시들은 애초부터 오랜 역사 동안 천천히 개발이 이루어진 도시이고 오히려 6·25전쟁을 거치면서 쑥대밭이 되어버려 이를 복구하는 과정에서 도시계획을 거칠 수 있었다. 그러나 부산은 전쟁으로 인해 순식간에 수많은 피난민이 몰려들어 북새통을 이루었고, 거기에 부산은 전쟁 내내 북한에 점령된 적이 없어 도시 전체가 통째로 초기화되지도 않았기 때문에 계속해서 난개발이 이루어졌다.

이런 상황에서 대한민국 제2도시라고 불릴 정도로 인구수가 많은 것도 난점. 인구유출이 많았다곤 하나 여전히 3백만 명이 넘는 광역시 최고 인구수를 자랑하는 곳이 부산이다. 또한 항구도시인 만큼 물동량도 많아 화물차량 등의 이동도 많을 수 밖에 없고 체감교통량은 더 많다. 사실 부산은 이름에서부터 '산(山)'이 들어가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이렇게 많은 인구수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지리환경이 아니다. 그런데 항구도시로 발전하고 많은 인프라가 갖춰져 인문환경으로 인구수를 지탱하는 것에 가깝다. 만약 부산이 이정도의 인구수를 보유한 광역시가 아니고 적당한 수준이었다면 도로 교통 문제가 이정도로 악명높진 않았을 것이다.

이 때문에 건물부터 우후죽순으로 생겨 도로를 추가로 신설하지 못하는 바람에 우회도로가 없는 곳이 많아 차량정체가 하루종일 발생하는 지역이 더러 있다. 대표적인 곳은 원도심 일대 중앙대로, 대연동~수영 일대 수영로/광남로, 해운대 일대 해운대로/해운대해변로, 주례동~서면 일대 가야대로, 낙동대로 하단교차로~대티터널, 낙동강 일대이며 특히 원도심은 모든 도로가 중앙대로로 반드시 합류하도록 설계되어 있고[39] 우회도로[40]조차 없는 최악의 도로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도로명주소가 도입되던 당시, 가장 난항을 겪었던 지역이 바로 부산이었다. 부산의 도로는 다른 도시의 도로처럼 구분하기 편하게 쭉 뻗은 게 아니라 산과 집집 사이로 굽이굽이 휜 골목과 커브가 난무하는 난코스라서 도로명 주소를 사용하기에 매우 복잡하기 때문. 덕분에 길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데 도로명은 같고, 도로명이 바뀌긴 바뀌었는데 주변 건물 사이로 난 좁은 길은 갈라지기 전 도로명에 xx번길만 붙어서 지금 지나고 있는 도로를 교차, 심지어 도로명이 없는 골목길[41]도 있는 등 아주 난리도 아니다.

이는 앞서 언급했듯이 부산은 건물이 도로를 피해 지어진 것이 아니라 도로가 건물을 피해 만든 것이기 때문에 부산의 도로들은 차로 폭 자체가 비교적 좁을 뿐만 아니라[42] 도로 체계가 복잡해서, 수시로 차선이 많아졌다 적어졌다하거나 1차로로 달리다가 좌회전 차로가 갑툭튀하는 등 심지어 전국에 몇 없는 우회전 신호를 볼 수 있는 곳이 바로 부산이다.

난개발 및 도로신설, 확장이 우선이 되고 부산시와 각 구군에서 미온적인 반응으로 인해 역사적으로 보존가치가 높은 근현대사 건축물이 철거되는 일이 수 차례 발생하기도 하였다. 대표적인 사례로 첫 번째, 중앙동 구.부산세관 건물이며 1970년대에 문화제로 지정되었고 반드시 보존을 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부산대교 접속도로 신설이 우선시 되는 바람에 철거가 강행되었다. 두 번째, 중앙동 구.부산시청 건물이며 과거 부산 최초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등 건축물을 보존하자는 목소리가 높았으나 롯데가 부지를 매입하고 시청이 연산동으로 이전되자마자 철거되었다. 세 번째, 초량동 구.조흥은행 부산역 지점은 보존가치가 높은 건축물이였지만 영주고가도로 건설 및 도로 확장이 우선시 되는 바람에 철거가 강행되었다. 네 번째, 부산 최초의 창고인 구.남선창고는 그 동안 근현대 건축물이 모조리 다 사라지는 까닭에 그나마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는 이 건물만이라도 보존을 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하지만 동구청에서 미온적으로 대처를 하는 바람에 건물 매입 예산을 확보하지 못하였고 시민단체에서 지속적으로 압력을 넣었으나 그 사이에 민간업체가 건물을 매입해 철거되었다. 다섯번째, 아미동 구.은천교회는 1950년 시절 부산에서 유일하게 하나 남은 석조건축물이며 6.25 피란민의 역사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런데 서구청 측에서는 피란민들의 역사를 보존한다는 말과 무색하게 도로 확장이 중요하다며 이 건물을 철거하는 어처구니가 없는 일이 발생하였다. 이 외에도 여러 동일한 사례가 워낙에 많다보니 부산의 근현대 건축물의 대부분이 사라졌으며 남아있는거라곤 부산근대역사관 본관 건물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도로사정에도 불구하고 부산시는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해 주요 간선도로에 BRT를 도입하여 많은 논란을 일으킨 적 있었다. 현재 동래~안락교차로~재송동~해운대, 교대~연산교차로~시청~서면~부산진시장~부산진역~부산역~자갈치 구간으로 BRT가 운영되고 있으며 일반차로가 2차선으로 대폭 축소되어 교통정체가 더욱 더 심각해졌다. 도로 자체가 좁다 보니 막히면 헬게이트가 된다. 깜빡이 없이 끼어들기, 불법주차, 신호 무시가 잦으며 심지어 시내버스와 택시가 그 좁은 길에서 노련하게 차선을 변경하는 모습도 보인다.

그나마 현재 부산의 도로망은 반 세기 동안 조금씩 정비한 결과다. 6·25전쟁 이후 정말 답이 없는 상태에서 그나마 차로 다닐 만한 도로가 된 것은 바로 오랜 세월 동안 도시를 다듬어 준 사람들의 노고 덕분이다. 비교적 근래에 조성된 해운대신시가지, 명지오션시티, 명지국제신도시, 정관신도시 같은 부산시 외곽 신도시는 나름대로 도시계획을 잘 갖추어 개발한 편이라 도로망 경우에는 간선도로망이 잘 되어 있어 운전하기에 매우 수월하다. 위성사진으로 부산의 이런 신도시와 원도심 산복도로 쪽을 비교하면 그야말로 같은 도시의 도로망이 맞나 싶을 정도다. 하지만 외곽 교통망의 경우, 공격적인 물량 개발로 외곽 신도시 교통체계는 배드타운, 교통지옥이라는 꼬릿말이 물고가는 정도다. 한편, 부산형 대중교통 혁신 토론에서 부산대 도시공학과 정주철 교수는 "부산 대중교통의 적자는 난개발의 산물"이라며 "도시 개발이 기장군과 강서구 등 외각으로 확산되면서 버스와 지하철 노선이 길어지고, 이는 적자를 불러온다"고 지적했다.

물론 부산시에서도 부산 교통체계에 대해 악평이 자자한 데다가 지자체 중 교통 질서 꼴찌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어서 이런 불명예를 타파하고자 직접 나서서 경찰 단속을 강화하고 캠페인을 펼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고 그나마 요즘은 도로교통이 예전보다는 쾌적해졌다는 평도 더러 있다. 또한 부산시 내 아파트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1·2호선 연선 구간의 주택지역 재개발에 들어가면서 재개발이 된 곳의 도로망을 보면 이전과 비해 상당히 개선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산복도로 일대를 재개발 한 아파트는 정문과 후문의 고저차는 과거와 그대로다.

5.4. 일본과의 관계

파일:attachment/부산광역시/Tsushima.jpg
쓰시마섬(대마도) 최북단 우니섬 항공자위대 기지에서 보이는 부산불꽃축제광안대교 및 야경 스카이라인.[43][44] 날씨가 좋은 날 서부산과 동해 일부에서는 쓰시마섬을 볼 수 있다. 반대로 부산이 대도시라서 밝기 때문에 쓰시마섬에서는 오히려 밤에 부산이 더 잘 보인다.

부산은 한반도에서 일본과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도시답게,[45] 예나 지금이나 일본과 연결되는 교통이 상당히 발달해 있는 곳이다. 조선시대 때 왜관이 있었으며, 임진왜란 때에는 맨 첫 번째로 함락된 곳이다. 일제강점기에는 부로 승격된 대표적인 도시였던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일본과 인적, 물적 교류가 상당히 많다. 부산, 일본의 규슈 지역 간의 활발한 경제적인 교류가 발생하는 것을 두고 '초광역경제권'의 일례라고 보는 도시-경제학계의 의견도 있다.

일본인 관광객이 많이 방문하는데, 주로 남포동이나 서면 일대에 많으며 코믹월드G-STAR가 열릴 때에는 해운대 인근에도 많다. 때문에 일본과 관련된 업무 처리를 위해 영사관이 동구 고관로에 있다. 영사관에서는 한국에 사는 일본인의 비자 등의 업무를 한다. 금련산역에서 조금 들어가면 일본총영사공관이 있다. 일본대사관이 서울에 있지만 부산과 일본의 교역량이 많고 관광 주재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영사관을 부산에도 설치했다.

또한 영사관 직원 및 주재원의 자녀 교육을 위해, 1975년에 개교한 일본인 학교가 민락동에 있다. 일본인 학교는 한국에 딱 두 개가 있는데 하나가 서울에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부산에 사는 일본인이 꽤나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일본인 학교는 일본 문부과학성이 정하는 학습 지도 요령에 준거하여 각 교과와 도덕, 특별 활동, 한국어, 영어 등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데[46], 이 때문에 문부성에서 약 8명 정도의 교사를 파견한다. 일본 영주권이나 정주권을 소지한 한국인이거나 부모의 어느 한쪽이 일본인인 한국인, 또는 부모의 어느 한쪽이 일본 영주권이나 정주권을 소지한 한국인 등이 학교 운영위원회의 승인을 얻어 교육받을 수 있다.[47][48]

지리적으로 일본과 가깝기 때문에 부산-일본 노선이 활발하며 후쿠오카를 오가는 비행편도 많이 있다. 후쿠오카 외에도 오사카, 도쿄, 삿포로행 노선이 있을 정도로 일본을 잇는 노선이 많이 있다.

일본 규슈에서 비행기로 50분, 쾌속선 비틀호로 3시간 40분이면 도착할 수 있다. 배편이 항공편 다음으로 많다보니 실제로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에 일본과 배편이 연결되어 있다. 이 점 때문에 한때 후쿠오카에서는 부산으로 쇼핑 다녀오는 사람을 일컬어서 비틀이라고 부른 적도 있으며 일본과 너무 가까워서 그냥 해외여행이 아니라 일본 국내를 여행한 느낌이라는 사람들도 많다. 다만 2010년대 들어서는 중국인 방문객이 늘어났으며 신세계 센텀시티점 등에 방문한 해외 쇼핑객 국적 중 1위는 일본이 아닌 중국이다.

간혹 부산역 같은 곳에서 일본인 관광객인 척하고 기차 탈 돈이 떨어졌다면서 돈을 달라는 사기 행위가 종종 있다고 한다.[49] 실제 일본 관광객들은 해외여행 중 무슨 일이 생기면 보통 대사관 등에 문의하니 속지 말자.

부산국제여객터미널 일본행 노선
기타큐슈 노선도 있었으나 2010년 12월 17일 폐선되었다.

동래구에 있는 동래온천온천 자체는 경주시와 가까워서 신라 시대부터 알려진 곳이었으나, 일제강점기에 온천욕을 특히 좋아하는 일본인들에 의해 본격 개발되었다. 지금의 중구, 동구, 서구 일대는 일본인들이 많이 살던 부산 도심이었는데 지금이야 부산이 커지면서 모두 시가지로 이어졌지만 옛날에는 부산과 동래가 한동안 별개의 도시였다. 이 구도심에서 역 인근까지 온천여행객을 수송하기 위한 온천 셔틀로서의 부산전차가 1915년 개통되었을 정도였다. 전차는 1968년 직할시 시절에 이미 폐선된 지 오래지만 지금도 일본인 온천 관광객은 많이 찾아온다고 한다.

부산 해안가 지역에서는 안테나만 잘 설치하면 일본 방송 시청이 가능했다. 가까운 대마도의 이즈하라(厳原) TV중계소의 전파가 부산, 울산, 거제 등 인근 지역의 해안가까지 거의 일년 내내 도달하고, 날씨가 따뜻한 봄~가을철에는 덕팅현상[50][51]으로 인해 대한해협 건너의 후쿠오카, 야마구치 현등의 방송까지 수신되기도 한다. KBS와 부산MBC가 TV방송을 시작하기도 이전인 1961년에 NHK나가사키방송국과 나가사키방송이 이즈하라 중계국을 설치하면서부터 전파가 들어왔고 일본 방송이 시청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졌다.
부산-대마도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 채널 비교
(채널번호는 서로 다르지만 각 채널별로 주파수는 동일하여 사실 같은 채널이다.)
대한민국
(2012년 10월 4일 종료)
일본
(2011년 7월 24일 종료)
비고
7 KBS2 영도 5 NHK-G 이즈하라
9 KBS1 영도 7 -
11 부산MBC 영도 9 NBC 이즈하라
13 - 11 NHK-E 이즈하라 24시간 시청 가능했었음
17 16 NIB 이즈하라 부산MBC DTV(황령산송신소)와 중복
19 KNN 황령산 18 ncc 이즈하라
23 EBS 영도 22 KTN 이즈하라
일본 방송 수신을 차단한다는 이유로 부산 영도송신소의 아날로그 TV 방송 채널 일부는 대마도 이즈하라 중계국의 채널과 동일하게 지정하여 송출했으나, 한국 TV방송이 일본 TV방송보다 방송시간이 짧아 한국 TV방송이 정파했을 때 시청이 가능했고 지역이나 날씨 등의 요인에 따라 두 나라 방송이 겹치거나 했다고 한다.[52] 또한 대마도에서 송출하는 채널 이외에도 앞서 언급했듯이 날씨가 따뜻해지면 덕팅 현상으로 인해 후쿠오카, 야마구치 등의 지역 전파들이 부산까지 도달하여 나가사키 지역 방송 이외에도 많은 채널이 잡혔다고 한다. 이런 이유로 1990년대까지 부산 시민들이 일본 방송을 시청하는 일이 잦았고[53][54], 일본 문화의 수입 또한 빨랐다. 방송사 PD들도 부산으로 출장와서 일본 방송을 그대로 베껴서 내보냈으며, 일본 패션이 제일 먼저 넘어오는 곳도 부산이었으며, 1970~80년대에 타 지역에서는 금기시되던 일본 음악도 부산에서는 간간히 들을 수 있었다. 한 예로, 펑크 룩이 한국에 정식으로 수입되던 것은 1990년대 중반이었는데, 부산에서는 이미 1980년대 초반에 펑크 룩을 시장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고 한다. 일본 방송을 유심히 지켜보던 중소 의류업자들이 소량으로 제작해서 판매했던 것이다. 그래서 타지인들은 예전부터 부산과 부산사람에게 묘하게 왜색이 느껴진다고 하기도 했다.

노래방이 가장 처음 들어선 곳도 부산이다. 단순히 기분 탓이 아니라 실제로 부산은 예전부터 왜색 문화의 범람을 고발하는 시사 프로그램이 취재를 오는 곳으로도 유명했다. 이러한 이유로 '일본 방송 시청은 우리의 미풍양속과 정서를 해칩니다'라는 문구 등으로 '일본 방송 시청 금지 캠페인'이 열리기도 했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는 당대 국내 TV 방송사의 행태다. 이들은 일본 TV 방송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았는데, 애니메이션의 경우 자체적으로 제작하기보다 일본 만화영화를 그대로 수입하여 틀어주었고[55] 다른 장르도 방송사 PD 개편철이 되었거나 아이디어가 떨어지면 일본 포맷이나 아이템을 은근히 모방한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물론 당대 일본 TV 방송에서 폭력적이거나 선정적인 장면이 어린이 시간대나 황금시간대에도 대놓고 나오고, 새벽에는 에로영화가 나오는 등 일본 내 방송 심의가 당대 한국의 방송 심의와는 다른 의미로 막장스러웠던 시기라 나름대로 건전하게 만들어 내보냈지만 당시에는 '왜 일본 TV 방송을 베끼냐', '왜 일본 만화영화를 수입해서 틀어주냐'식의 항의도 많이 들어오곤 했다. 이러한 행태는 21세기가 되고 한국 방송 수준이 올라간 다음에서야 잠잠해졌다. 일본 대중문화 개방 이후로는 이러한 방송 행태의 고발성 취재나 캠페인도 사라진 지 오래다.

이런 연유 때문인지 국내 일본원서전문 수입점 중 네임드라고 볼 수 있는 네픽도 부산에 근거지를 두고 있다.

다만 일본에서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이 종료된 2011년 7월 24일 이후로는 일본의 ISDB방식 지상파 디지털 TV방송 수신기가 있어야 가능하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 과거에는 한국과 일본의 지상파 아날로그 TV방송은 NTSC 방식으로 동일했으나, 디지털 TV방송은 한국은 ATSC, 일본은 ISDB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 한편, 일본 내수용 TV를 이삿짐으로 챙겨오거나 ISDB 수상기를 들여와서 수신하려고 시도했지만 실패했다는 증언이 있다. 황령산에서 꽤나 고출력으로 전파를 송신하므로 일본 측의 전파가 이쪽으로 넘어오지 못하기 때문이라고(기사). 이즈하라 중계소에서 송출하는 방송은 이 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단, 일본 라디오는 아직까지 아날로그 방식을 고수하므로 AM은 기존의 수신기로도 잘 잡힌다. NHK후쿠오카 가스가(春日) 방송소에서 송신하는 제1방송(AM 612㎑)은 낮에도 해안가에서 수신이 가능하며 밤에는 부산 전역에서 수신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야간에는 후쿠오카 민영방송도 수신이 가능하다. FM은 한일 양국은 주파수 대역이 다르므로 76~108㎒를 모두 지원하는 수신기가 아니면 수신이 어렵다.[56] 반대로 부산이나 울산의 전파가 앞서 언급했던 ‘덕팅 현상’으로 일본 나가사키, 후쿠오카, 야마구치현 등으로 도달하기도 한다. 이들 지역에서는 과거부터 날씨가 따뜻해지면 부산, 울산, 창원 등지의 방송이 갑자기 수신되거나 한국의 채널이 해당 지역들의 채널과 겹칠 경우 방송이 겹쳐보이는 경우가 있다. 아예 심하면 일본 방송 수신이 어려워지는 현상도 있다.[57] 그 예로 2003년 울산문화방송이 2.5kW 출력의 디지털TV 실험 전파를 발사한 이후 일본 후쿠오카 지역에서 아날로그 TV를 시청할 때 화면이 겹쳐 보이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했었다.[58]

5.5. 인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산광역시/인구 추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부산광역시 인구 추이
(1949년 ~ 현재)
1949년 8월 15일 경상남도 부산부부산시 개칭
1949년 473,619명
1955년 1,049,363명
1963년 1월 1일 경상남도 부산시부산직할시 승격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읍, 북면, 사상면 전역 및 기장면 송정리 편입
1966년 1,426,019명
1970년 1,876,391명
1975년 2,450,125명
1978년 2월 15일 경상남도 김해군 대저읍, 명지면[59], 가락면[60]부산직할시 편입
1980년 3,156,931명
1985년 3,512,113명
1989년 1월 1일 경상남도 김해군 가락면·녹산면, 의창군 천가면부산직할시 편입
1990년 3,795,892명
1995년 1월 1일 부산직할시 → 부산광역시 개칭
1995년 3월 1일 경상남도 양산군 기장읍, 장안읍, 정관면, 일광면, 철마면[61] 편입
1995년(정점) 3,883,880명
2000년 3,796,506명
2005년 3,638,293명
2010년 3,567,910명
2015년 3,513,777명
2020년 3,391,946명
2024년 12월 3,266,59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00만 명
구군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해운대구 376,621명
부산진구 360,740명
사하구 292,717명
동래구 271,639명
북구 268,650명
남구 255,096명
연제구 212,400명
금정구 210,905명
사상구 199,406명
기장군 176,155명
수영구 172,329명
강서구 142,902명
영도구 104,278명
서구 103,337명
동구 86,151명
중구 37,736명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0만 명
}}}}}}}}} ||
부산광역시 구군 읍면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정관읍 79,494명
명지1동 54,321명
기장읍 51,720명
용호제1동 42,528명
화명제1동 39,607명
재송제1동 36,529명
온천제3동 36,305명
다대제1동 36,237명
대연제3동 35,376명
녹산동 34,251명
반여제1동 34,194명
연산제9동 32,506명
구서제2동 31,074명
수민동 30,561명
좌제2동 30,546명
명지2동 30,012명
우제2동 29,910명
일광읍 29,811명
화명제3동 28,186명
동삼제1동 27,975명
우제3동 27,924명
거제제1동 27,687명
민락동 27,519명
중제1동 27,217명
개금제3동 26,679명
남산동 26,429명
만덕제2동 26,395명
학장동 26,393명
명륜동 26,258명
모라제1동 26,469명
망미제1동 26,439명
장림제2동 26,090명
안락제2동 25,966명
다대제2동 25,820명
연지동 25,814명
장전제2동 25,768명
광안제1동 25,452명
사직제2동 25,282명
하단제2동 25,131명
엄궁동 24,590명
온천제1동 24,423명
당리동 24,422명
온천제2동 24,411명
괘법동 24,370명
구포제2동 23,827명
부암제1동 23,526명
전포제2동 23,358명
재송제2동 22,872명
좌제4동 22,276명
우제1동 22,171명
주례제2동 21,827명
범천제2동 21,725명
반송제2동 21,613명
연산제2동 21,584명
당감제1동 21,533명
하단제1동 21,486명
전포제1동 20,903명
초읍동 20,717명
용호제2동 19,526명
양정제1동 19,120명
구서제1동 18,863명
광안제2동 18,521명
구포제3동 18,428명
가야제2동 18,297명
개금제1동 18,237명
괴정제1동 18,201명
장전제1동 17,980명
만덕제3동 17,766명
좌제1동 17,399명
화명제2동 17,315명
신평제2동 17,313명
감천제1동 17,252명
부곡제2동 17,222명
사직제3동 17,100명
가야제1동 17,008명
청학제2동 16,807명
연산제5동 16,687명
대연제5동 16,643명
주례제1동 16,625명
부암제3동 16,519명
문현제3동 16,416명
만덕제1동 16,401명
연산제1동 16,184명
남천제1동 16,057명
신평제1동 15,811명
연산제6동 15,717명
부전제1동 15,714명
구포제1동 15,593명
연산제4동 15,527명
대연제1동 15,384명
좌제3동 15,368명
괴정제2동 15,205명
괴정제4동 15,196명
중제2동 15,190명
암남동 15,139명
부곡제3동 15,079명
서대신제1동 14,966명
반여제4동 14,899명
대연제6동 14,778명
양정제2동 14,178명
수영동 14,076명
명장제2동 13,963명
안락제1동 13,725명
명장제1동 13,553명
연산제8동 13,447명
남천제2동 13,432명
광안제4동 13,387명
대연제4동 13,211명
거제제2동 12,779명
반송제1동 12,700명
초량제3동 12,495명
구평동 12,465명
우암동 12,314명
주례제3동 12,282명
범천제1동 12,258명
감전동 12,233명
덕포제2동 12,146명
부곡제4동 12,005명
덕천제1동 11,864명
반여제2동 11,755명
부전제2동 11,753명
괴정제3동 11,620명
덕포제1동 11,361명
좌천동 11,359명
용호제3동 11,330명
덕천제2동 11,317명
당감제2동 11,132명
문현제1동 11,055명
범일제1동 11,007명
당감제4동 10,665명
연산제3동 10,646명
남항동 10,554명
서제3동 10,426명
보수동 10,271명
개금제2동 10,194명
장림제1동 10,167명
사직제1동 10,150명
덕천제3동 10,137명
망미제2동 10,096명
거제제4동 9,735명
충무동 9,600명
청룡노포동 9,510명
거제제3동 9,485명
광안제3동 9,479명
송정동 9,397명
모라제3동 9,371명
수정제2동 9,152명
동삼제3동 8,954명
문현제4동 8,901명
감만제1동 8,892명
장안읍 8,853명
복산동 8,607명
서제2동 8,508명
범일제5동 8,400명
남부민제2동 8,108명
문현제2동 7,895명
반여제3동 7,895명
용당동 7,883명
용호제4동 7,768명
철마면 7,693명
부곡제1동 7,674명
범일제2동 7,561명
영선제2동 7,561명
서대신제3동 7,541명
신선동 7,409명
부민동 7,388명
봉래제2동 7,385명
동대신제3동 7,377명
금사회동동 7,327명
서대신제4동 7,227명
동대신제2동 6,749명
대저2동 6,682명
영주제2동 6,645명
감만제2동 6,535명
아미동 6,320명
봉래제1동 6,290명
대저1동 5,950명
대청동 5,833명
청학제1동 5,533명
초량제6동 5,440명
감천제2동 5,397명
동대신제1동 5,329명
초량제2동 5,307명
삼락동 5,256명
동삼제2동 4,933명
수정제5동 4,849명
초량제1동 4,836명
서제1동 4,677명
남부민제1동 4,537명
영주제1동 4,451명
가덕도동 4,312명
부평동 4,226명
수정제1동 3,948명
강동동 3,930명
초장동 3,911명
영선제1동 3,718명
수정제4동 3,556명
중앙동 3,074명
동광동 2,492명
가락동 2,162명
선두구동 2,131명
금성동 914명
광복동 902명
남포동 821명
2024년 4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5.5만 명, 각 읍면동별 색깔은 각각 중구, 서구, 동구, 영도구, 부산진구, 동래구, 남구, 북구, 해운대구, 사하구, 금정구, 강서구, 연제구, 수영구, 사상구, 기장군 지역임.
}}}}}}}}} ||

조선시대 초기 작은 마을동래부 인구 7,000명, 후기로 갈수록 무역항으로 발전하여 4-5만 명의 도시로 변하였다.# 개화기에는 이미 서울 다음으로 인구 5만에 달성하여 한반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였다. 일제강점기에 들어서며 급격한 도시화를 겪어 1930년 약 14만 명, 1940년 약 24만 명, 44년 32만 명으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1940년대에 평양에 인구가 따라잡혀 한반도 세 번째 도시가 되는등 엎치락 뒷치락 하였다.[62]

그러다 6·25전쟁임시수도가 된 것과 피란으로 인해 40-50만 인구가 2배 이상 증가하였다.[63] 전쟁 이후로는 베이비붐이촌향도 현상 등으로 인해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이후 21세기에 들어서면서 한국의 전반적인 문제인 고령화저출산 문제와 더불어 양질의 일자리 부족과 그로 인한 인프라 차이로 인해 현재 인구가 심각하게 감소 중이다. 고점에서 비교해 60만 가량 인구가 감소하였다.

부산에서 빠져나간 인구가 주로 어디로 갔는가에 대해서 논란이 있는데 1995년부터 2019년까지 부산 인구감소의 주 원인은 김해, 양산과 같은 위성도시 지역으로의 이주다.부산지역 인구이동에 대한 분석, 청년층을 중심으로(한국은행, 2019)

부산의 경우에는 고령화 비율이 전국 최고 수준이며, 대도시 중에서는 처음으로 인구 자연 감소가 시작되었다. 이런 고령화의 가장 큰 이유는 청년층에게 어필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되지 못해 청년층이 이탈한 게 이유다.

2020년 이후로는 양질의 일자리의 부재로 인한 청년층 유출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여타 지방과 마찬가지로 수도권 집중 문제의 심화로 인한 것도 있으며, 창원 울산 등 인근도시와 달리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하여 인구가 유출되는것도 있다. 이 현상은 특히나 20대 연령대에서 가장 심하다.

이를 통해 부산 인구가 감소하는 주 요인이 대학 진학 및 취업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청년층이 계속해서 빠져나갈 경우 부산의 미래는 어두워진다. 청년층 유출을 막고 지역 경제를 다시 활성화하기 위해 부산시에서도 문현금융단지와 연계한 금융산업을 육성하고 수도권 기업을 유치하는 등의 시도를 하거나, 심지어 청년층에 주거비를 지원하는 등 다양한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거대한 도시권을 형성한 수도권처럼 부울경도 뭉쳐서 대도시권을 형성하자는 부울경 메가시티가 제안되었으나 이것도 경남, 울산이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다 최종적으로 무산되었다.

2021년에는 특·광역시 가운데 처음으로 초고령사회가 되었다.[64] 2015년에 65세 이상 인구가 14% 이상인 고령사회에 진입한 이후 6년 만이다. 2023년 5월, 331만명 선이 무너졌다. 340만이 무너진지 2년여만에 점점 330만명 선의 붕괴가 가시화 되었다가, 결국 2023년 10월경 320만명 대로 떨어졌다.

2024년에는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소멸위기지역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추세가 계속된다면 단일도시 기준으로는 2020년대 후반기 혹은 2030년대 초반기에 인천한테 인구가 역전되는게 확정적인데 더 큰 문제는 역전되는 시기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는게 문제다. 2010년대까지만 해도 부산과 인천의 인구 차이는 약 80만명으로 점점 좁혀지고는 있었지만 그 속도는 매우 완만한 수준이었던 반면 불과 10년여만에 그 차이가 20만명까지 확 줄어들 정도로 좁혀지는 속도가 매우 빨라지고 있다.

그나마 다행인점은 해당 인구유출의 원인 자체가 서울특별시와 마찬가지로 도시권 내 외곽 지역으로의 유출량이 더 많다는 것이었고, 수도권 소속인 인천과 달리 부산권이라는 자체 도시권의 인구는 울산, 김해, 양산, 거제 등으로의 광역화로 그렇게까지 줄진 않았고[65] 부산의 출산율이 반등했다는 점에서, 아직까지는 희망이 있으니 당장 부산이 망했다는 신호라기보다는 더 늦기전에 최대한 대책을 세우라는 신호로 보아야 할 것이다.[66]

6. 교통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부산광역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5007f,#1f2023> 철도 파일:KTX BI.svg 부산역 · 부전역 · 구포역
파일:SRT BI.svg 부산역
파일:ITX-마음 BI.svg 부산역 · 부전역 · 구포역 · 신해운대역 · 기장역
파일:ITX-새마을 BI.svg 부산역 · 부전역 · 구포역 · 신해운대역
[[무궁화호|
무궁화호
]]
부산역 · 부전역 · 구포역 · 사상역 · 센텀역 · 신해운대역 · 화명역 · 기장역
파일:누리로 BI.svg 부산역 · 구포역
일반철도 경부고속선 · 경부선 · 경전선 · 동해선
도시철도 파일:Busan1.svg · 파일:Busan2.svg · 파일:Busan3.svg · 파일:Busan4.svg · 파일:Busan5.svg미개통
광역전철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 · 파일:BGL_logo.svg · 파일:양산도시철도 로고.png미개통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svg경부(구서IC1, 영락IC1-1, 노포IC2, 노포JC2-1)
파일:Expressway_kor_10.svg남해(대저JC39, 덕천IC40)
파일:Expressway_kor_55.svg중앙(삼락IC1, 대저JC2)
파일:Expressway_kor_65.svg동해(동부산IC1-1, 해운대IC1, 기장IC2, 기장JC2-1, 장안IC3)
파일:Expressway_kor_104.svg남해2지선(가락IC3, 서부산IC4, 사상IC5)
파일:Expressway_kor_600.svg부산외곽순환(노포JC7, 금정IC8, 기장철마IC9, 기장IC10, 기장JC11)
국도 2번 · 7번 · 14번 · 31번 · 35번 · 77번
국가지원지방도 58번 · 60번 · 69번
시내도로 번영로 · 동서고가로 · 관문대로 · 수영강변대로
부산광역시도
버스 시내버스 급행좌석일반마을기장다람쥐심야투어타바라
터미널 부산 · 부산서부
정류소 기장 · 김해공항 · 부산동래 · 부산해운대 · 좌천 · 신평 · 하단 · 장산역
시외버스 · 고속버스 시외버스 · 고속버스 노선
공항 김해국제공항 · 가덕도신공항
항만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 부산항연안여객터미널 · 부산국제크루즈터미널
자치군 기장군 }}}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산광역시/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 백양터널 통행료 논란

민간투자사업으로 대우건설이 시공한 백양터널은 1999년에 개통되어 2000년부터 2025년까지 25년간 통행료를 징수하고 2025년 1월에 민간운영 및 통행료 징수가 종료되어 백양터널 운영권이 부산광역시로 이관될 예정이다.

하지만 부산시는 동서고가도로, 만덕2터널, 황령터널, 구덕터널 등 민간투자사업자의 통행료 징수가 종료되어 무료화가 된 이후 통행량이 폭증하여 교통정체가 더욱 가증되었다는 이유로 백양터널은 2025년 1월 민자운영이 종료된 이후에도 혼잡통행료 방식의 통행료를 징수하기로 검토하였다. 하지만 이같은 방침이 발표된 이후 시민과 시민단체 등은 거센 반발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부산시는 통행료 징수를 강행하여 확정지었다.

2024년 8월 26일, 계속되는 반발로 인해 부산시는 방향을 선회하고 박형준 부산시장 언론 브리핑을 통해 2025년 1월 9일 민간사업자의 관리운영권이 만료되는 백양터널의 통행료를 2025년 1월부터 2031년까지 7년간 무료화를 선언하였다. 이후 2031년 신백양터널이 개통이 되면 부산시가 관리할 예정인 기존 백양터널을 신백양터널 민간투자사업자에게 권한을 넘겨 통합관리를 하여 수 십년간 통행료를 다시 징수하겠다고 밝혔다.

25년 간 민간사업자가 통행료 징수 후 7년 간 무료화를 하였다 다시 통행료를 징수하겠다는 부산시의 입장이 발표된 이후 여전히 시민과 시민단체들은 반발이 심하다. 그 이유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이러한 통행료 징수 방법은 그 어디에도 없었으며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현재 부산시의 도로 상황을 보면 중앙고속도로를 이용하여 부산시내로 진입할 경우 백양터널이 선택이 아닌 필수로 이용을 할 수 밖에 없는데 25년간 통행료를 내고 다닌 시민들의 불만이 클 수 밖에 없다.

7. 경제

<colbgcolor=#E5007F><colcolor=#fff> GDP <colbgcolor=#E5007F><colcolor=#fff> 전체 ₩104조 2,968억 원
1인당 ₩3,161만 원
GNI 전체 ₩106조 5,000억 원
1인당 ₩3,229만 9,000원
개인소득 전체 ₩74조 5,000억 원
1인당 2,258만 3,000원
경제성장률 2.6%
※ 2022년 기준

7.1. 산업

공업, 특히 경공업이 과거에 상당히 발달했고 전 세계 최대 신발 생산기지로 유명했다.[67] 부산진구 당감동 소재 화승은 1970~80년대에 나이키 운동화 OEM 생산업체로 있었는데, 산하 브랜드로도 월드컵/프로월드컵, 르까프[68]를 두었을 만큼 부산을 대표하는 신발 제조사였다. 그외에도 국제그룹의 국제상사 스펙스/프로스펙스, 대양고무의 슈퍼카미트, 태화고무의 까발로, 삼화고무의 타이거 등 다른 신발 제조사도 매우 많아서 우스갯소리로 부산에서 만든 신발을 전 세계인들이 신는다는 말이 있었을 정도로 신발 산업에서 정평이 나 있었다. 올버즈의 위탁생산공장도 부산에 위치해 있다.

신발산업 외에 금정구 구서동, 금사동 일대에서는 섬유산업도 상당히 발달했는데 섬유산업에서 유명한 태광산업도 원래는 부산에서 창업한 '향토기업'이었다. 의류업체인 세정과 태화섬유[69]는 부산광역시에 본사가 있고 현재는 본사를 서울로 이전한 '더 베이직 하우스'도 부산에서 출발했다. 페인트산업도 상당히 성했다. 지금은 조광페인트만이 부산에 남았지만 삼화페인트, 노루페인트, 조광페인트, 건설화학(제비표 페인트) 등이 모두 부산에서 창업하고 성장했다.

또한 비누제조 회사로 부산에서 설립한 회사로는 동산유지, 천광유지[70], 평화유지 등이 있다.

그러나 동명목재국제그룹이 해체되고 1980년대 이후로 국내 노동자들의 임금이 많이 올라가면서 중국과 동남아시아의 저가공세에 밀리게 돼 부산의 경공업은 쇠퇴했다. 1990년대 이후로 이들 산업의 생산시설이 부산을 뜨기 시작해 1997년 외환 위기 이후로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쪽으로 많이 빠져나갔다.[71] 하지만 아직까지도 제조업 기반이 아예 없지는 않다.

지금은 강서구명지녹산국가산업단지가 대규모로 있고 사하구, 사상구(사상공단), 금정구(금사공단), 그리고 남구, 영도구 쪽에도 어느 정도 제조업 기반이 남아 있다. 그외에도 지역 내 유명 대기업, 중견기업의 사업장은 동국씨엠(계열사 인터지스 포함), 삼성전기, 대한항공 테크센터, LS일렉트릭, 농심, 르노코리아, HJ중공업, 풍산그룹, 태광산업, CJ제일제당, 대한제강, 태웅, 동일고무벨트, 리노공업, 오스템임플란트 등이 있다.

하지만 YK 스틸충청남도 당진시본사 이전을 결정하는 등 지역 경제에 손해가 계속 커지고 있다.

그리고 경공업 못지 않게 부산 경제에 중요한 산업이 부산항을 중심으로 한 물류산업이다. 부산항은 한 때 세계 3위의 물동량을 차지하였으며, 순위가 떨어진 지금도 세계 10위권 안에서 노는 항구다. 거기다 단순히 대한민국의 관문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환적항으로써의 기능도 굉장히 크다. 시내에 위치한 부산항이 포화에 이른 지금은 창원시 진해구와의 경계에 부산신항을 조성하여 투자하고 있다.

그러나 이제는 경공업 위주의 2차 산업 중심도시에서 벗어난 지 오래고, 현재의 부산은 완전히 3차 산업 중심으로 산업 구조가 재편되었다. 2015년 기준으로 부산의 3차 산업이 GR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전국 시·도 단위에서 서울, 대전에 이은 3위였다.[72] 다만 부산은 3차 산업 가운데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관광업 등 부가가치가 상대적으로 낮은 서비스업이 발달해 세수가 안 걷힌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나마 주변의 울산광역시, 창원시, 김해시, 거제시, 양산시, 함안군 등 소비력은 좋지만 소비 인프라가 그를 따라가지 못하는 지역의 소비를 부산에 유입시킴으로써 서비스업이 부산 경제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기는 했지만[73] 앞으로 해당 지역의 경제가 침체되거나 쇼핑 인프라가 점점 발전한다면[74] 그 역할도 약화될 수 있다. 따라서 영화, (해사)금융, IT, 콘텐츠 등 부산이 강점을 발휘할 수 있는 영역의 고부가가치 서비스업 육성이 필요해 보인다.

물론 2024년 기준으로 부산은 제주도를 제외하면 국내에서 손꼽히는 관광도시가 되긴 했지만 부산 관광업 특유의 낮은 부가가치와 고용 창출력 탓에 유일하게 제대로 키워낸 관광업만으로는 과거 시절만큼 부산 경제를 돌려놓지 못했다. 이 과정에서 남아 있는 제조업 기반에 신경쓰지 못해 서부산의 제조업은 확장을 겸해서 김해나 양산, 멀리는 충청이나 수도권으로 이전해버리며 인터넷에서 이미 조롱거리가 됐을 정도로 일자리 풀이 처참하다는게 문제다. 부산 청년들은 선택지가 그나마 발달한 금융업을 제외하면 서비스업 일자리밖에 없어 반강제로 수도권으로 올라가야 하는 상황이며 대구, 경북 못지 않게 보수적이고 열악한 노동환경에 최저임금을 안 챙겨주는 곳도 매우 많고 주 6일은 기본 장착이다. 결국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이미 엄청난 수의 청년 인구가 수도권으로 가버렸고 더욱 악화되면서 "노인과 바다"라는 별칭이 생겨버렸다.

이제서라도 인구 감소와 산업 쇠퇴를 막고 서비스업 생산성을 제고하기 위해 부산은 첨단산업을 육성하는 쪽으로 산업 체질을 개선하고 있다. 센텀시티는 부산에서 첨단산업이 발달한 곳인데 IT 및 영화 관련 기업이 집적해 있다. 또한 동삼혁신지구, 문현금융단지, 센텀시티혁신도시 사업, 북항재개발 사업,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사상 스마트 도시 등의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아래는 부산혁신도시의 특화 기능군인 해양수산, 금융산업, 영화진흥 등 분야와 관련된 공공기관이다.

2021년 이후 지방으로 추가 이전할 '혁신도시 시즌2' 사업에 맞춰 산업은행수출입은행 등 서울에 있는 금융 관련 공공기관(금융공기업) 9곳을 이전 추진하고 있다. 이로 인해 금융업이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현금융단지가 부산 금융업의 중심지다.

제조업에도 여전히 신경 쓰고 있어,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지정 이후에도 울산, 창원, 김해와 같은 주변의 산업도시와 연계한, 강서구나 장안 쪽의 산업단지 개발에도 행정력을 동원하고 있다.

가장 급한 건 그나마 사상구, 사하구, 강서구에 있는 공단들의 교통 접근성을 올려 그 공단들로 취업할 만한 매리트를 높일 수 있는 부산 도시철도 5호선이다. 그러나 부산 5호선의 사상-하단 구간 공사가 1공구의 연약지반 문제와 4공구에서 발생한 산사태 문제로 공사가 지연중이고, 하단-녹산 구간이 2022년이 되어서야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함에 따라 IMF 전 계획 이래 30년 넘게 지하철을 개통하지 못해서 사상~하단 구간을 매번 학장, 엄궁에서 막혀서 극심한 출퇴근 정체로 시민들이 고생하고 있다.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5007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5007F><colcolor=#fff> 지방공기업 부산광역시상수도 | 부산광역시하수도
부산관광공사 | 부산교통공사 | 부산도시공사 | 부산시설공단 | 부산환경공단
지방출연기관 부산경제진흥원 | 부산글로벌도시재단 | 부산디자인진흥원 | 부산문화재단 | 부산연구원 | 부산광역시사회서비스원 | 부산신용보증재단 | 부산여성가족과 평생교육진흥원 | 부산의료원 | 부산정보산업진흥원 | 부산테크노파크 | 영화의전당 | 부산산업과학혁신원 | 부산문화회관
지방출자기관 벡스코 | 아시아드컨트리클럽
}}}}}}}}} ||

한편, 부산시의 출자/출연기관, 지방공기업, (이전한) 공공기관 등으로 인구 유입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꾀하고 있으나 이들의 방만함과 비효율성이 지적받고 있다. 따라서 시는 이들의 통폐합을 꾸준히 진행하여 부산시 출자·출연기관 '구조조정 예고', 부산시 공공기관 통폐합 용두사미…BIFF+영화의전당 외엔 하세월에 이어 부산영어방송재단, 부산지방공단 스포원, 부산광역시 도시재생지원센터, 부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을 통폐합한다.

자세히는 부산시설공단(←부산지방공단 스포원 통합), 부산여성가족과 평생교육진흥원(←부산여성가족개발원 명칭변경, 부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 업무이관(인재육성업무 제외)), 부산테크노파크(←부산경제진흥원 신발산업업무 이관, 부산디자인진흥원 섬유패션업무 이관, 부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 인재육성업무 이관), 부산광역시 글로벌 도시재단(←부산광역시국제교류재단 명칭변경, 부산영어방송재단 통합)으로 통폐합이 이루어졌다.

2020년대 들어서 부산광역시 측은 블록체인, 핀테크, 빅데이터 그리고 수소 산업과 전력반도체 산업 등에 관심이 있는 듯하다. # # 전력반도체의 경우 고리 원자력 발전소와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을 적극 활용한다고 한다.

7.1.1. 분야별 기업 투자 현황

  • 금융
    • 엔터코리아(닌자트레이더 그룹 한국법인)
      • 2024년 5월 : 한국법인 설립#
      • 2024년 10월 : 한국법인 본사 남구 BIFC 유치#
  • 데이터센터
    • LG CNS
      • 2013년 5월 7일 : 부산 글로벌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개관#
    • KT클라우드
    • 창해개발
      • 2023년 6월 22일 : 한국해양대와의 업무협약 체결#, 영도구 옛 STX조선소 부지 데이터센터 개발 추진
      • 2023년 12월 27일 : 제이알투자운용과의 업무협약 체결#
      • 2024년 7월 28일 : 싱가포르 CCGI와의 금융 자문 계약 체결#$
    • 원아시아(홍콩)
      • 2021년 6월 17일 : 부산시청과의 업무협약#
      • 2024년 10월 : 원아시아 데이터센터를 위한 154kV 규모 변전소 공사 중
    • 마이크로소프트
      • 2016년 5월 11일 : 서울, 부산 데이터센터 추진 발표#
      • 2020년 4월 : 강서구 미음지구 제1데이터센터 준공 및 입주
      • 2024년 9월 23일 : 제2데이터센터 준공, AI 클라우드용 제3데이터센터 협의 추진#
    • 셀루메드 등 5개사
      • 2023년 : Empyrion DC 컨소시엄, BEP&미래에셋 컨소시엄, 엘리스그룹이 수자원공사로부터 에코델타시티 입주기업 선정
      • 2024년 2월 13일 : (주)대성문의 부산에코델타 그린데이터센터 PFV 설립#
      • 2024년 2월 26일 : 부산에코델타 그린데이터센터 PFV, Empyrion DC 컨소시엄, BEP&미래에셋 컨소시엄, 엘리스그룹과 부산시청 간의 3조 6000억원 규모 에코델타시티 그린데이터센터 업무협약(MOU) 체결##
      • 2024년 3월 7일 : (주)대성문 에코델타시티 데이터센터 사업단 출범#
      • 2024년 5월 31일 : 셀루메드의 에코델타시티 그린데이터센터 사업을 위한 부산에코델타 그린데이터센터 PFV 주식 매입#
      • 2024년 9월 4일 : 부산시청, 부산정보산업진흥원, 슈퍼마이크로컴퓨터의 부산 그린데이터센터 관련 업무협약 체결#
  • 로봇
    • TXR로보틱스(구 태성시스템)
      • 2024년 10월 15일 : 강서구 생곡동 스마트공장 및 로봇융합연구소 준공#
  • 모빌리티
    • 효성전기
      • 2023년 6월 30일 : 상하이 공장 청산 후 부산 공장 신설 MOU 체결#$
    • 브이씨텍(효성전기 계열사)
      • 2024년 12월 18일 : 상하이 공장 청산 후 부산 공장 신설 MOU 체결#
  • 물류센터
    • BGF리테일
      • 2024년 9월 3일 : 강서구 구랑동 부산물류센터 착공#
    • 롯데쇼핑
      • 2023년 12월 5일 : 강서구 물류센터 착공#
    • 쿠팡
      • 2024년 2분기 : 강서구 물류센터 착공#
  • 바이오
    •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IDC
  • 변압기
    • LS일렉트릭
      • 2024년 5월 21일 : 부산사업장 확장 투자계획 발표#
      • 2024년 8월 13일 : 북미의 초고압 변압기 수요 폭증을 감안해 부산사업장 투자규모 증가 발표#
    • IEN한창
      • 2024년 10월 29일 : 기장군 본사 생산시설 증설 관련 부산시청과의 업무협약 체결#
  • 스마트 디스플레이
    • 싸인텔레콤
      • 2024년 10월 29일 : 2027년 목표 부산지사 신설 관련 부산시청과의 업무협약#
  • 식품
    • 농심
      • 2024년 8월 30일 : 녹산 라면공장 확장계획 발표#
      • 2024년 10월 29일 : 부산시청과의 업무협약#
    • 에코아쿠아팜(GS건설 자회사)
      • 2024년 12월 20일 : 부산광역시 기장군 육상 연어 양식장 준공#

  • 신발
    • 데상트
      • 2018년 11월 : 강서구 명지신도시 R&D센터 개관#
  • 양자컴퓨팅
    • (주)한국퀀텀컴퓨팅 & IBM & 하인즈
      • 2023년 2월 7일 : 센텀시티 내 양자컴퓨팅 복합건물 사업보고회 개최, 복합건물 내 8-10층은 IBM사 양자컴퓨터 및 지원시설[75], 11-33층은 업무공간, 34-74층은 오피스텔 용도#$@
      • 2024년 1~9월 : 복합건물 완공시점이 2027년에서 2028 ~ 2029년으로 연기#
      • 2024년 10월 : (주)한국퀀텀컴퓨팅, 포스코홀딩스와 부산시청과의 업무협약(MOU) 체결#$
      • 2024년 12월 3일 : 하인즈의 재무적 투자자 싱가포르 투자청(GIC)에서 부지매각대금 2차 지불로 매각대금의 40%(757억 원)를 부산시청에 지불하는 것을 허가#
      • 2024년 12월 중순 : 하인즈 측에서 부산시청 757억 원 지불#
  • 원자력
    • 원자력환경복원연구원(착공 당시 명칭 원전해체연구소)
      • 2022년 11월 : 부산광역시 기장군 & 울산광역시 울주군 경계 지역에 착공#
      • 2024년 12월 2일 : 1단계 부문(사무동, 연구동, 목업동) 완공 및 개원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76]
  • 전력반도체
    • SK파워텍
      • 2023년 3월 : 포항 전력반도체 공장 부산 이전#
      • 2024년 10월 : 전기차 업황 부진으로 인한 전력반도체 수요 감소로 SK파워텍 전력반도체 부문 적자 심화
    • 아이큐랩
      • 2023년 10월 12일 : 기장군 장안읍 8인치 실리콘카바이드 전력반도체 공장 및 본사 부산이전 계획 발표#
      • 2024년 6월 5일 : 기장군 전력반도체 공장 착공#$
    • 제엠제코
      • 2020년 2월 18일 : 기장군 공장 신설 및 본사 이전 관련 부산시청과의 업무협약 체결#
      • 2022년 10월 26일 : 기장군 공장 건설 및 본사 이전 완료, 2026년 목표 공장 증설계획 발표#
      • 2024년 7월 10일 : 전기자동차용 전력반도체의 고냉각구조 양면 방열 모듈 개발계획 발표, 부산테크노파크 등과의 업무협약 체결#
  • 조선업
    • 삼성중공업
      • 2023년 6월 12일 : 부산시청과의 부산 R&D센터 업무협약 체결#
      • 2024년 : BIFC 16-17층 입주#
    • 한화파워시스템
      • 2023년 8월 22일 : '선박솔루션 사업센터' 관련 부산시청과의 업무협약 체결#
      • 2023년 11월 9일 : 동구 초량동 메리츠타워 21층 임차하여 '선박솔루션 사업센터' 개소#
    • 한화오션
      • 2024년 : 거제사업장 직원 대상 부산사무소 개설 관련 수요조사#
    • 부산대학교 친환경 수소연료선박 R&D 플랫폼
      • 2024년 9월 20일 : 남구 우암동 개소#
    • 아비바(AVEVA, 영국회사)
      • 2022년 9월 : 조선해양 연구센터 설립 관련 부산시청과의 업무협약 체결#
      • 2024년 : 회사 홈페이지 상에서 해운대구 마린시티 입주 확인
  • 클라우드
    • 더존비즈온
      • 2017년 : 부산지사 설립
    • 메가존클라우드
      • 2022년 : 부산혁신센터 설립
    • 베스핀글로벌
      • 2021년 : 부산에 테크센터 설립
    • 아마존 웹서비스
      • 2016년 : 부산에 클라우드 혁신센터 설립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 2022년 : 부산에 클라우드 혁신센터 설립
    • 클루커스
      • 2021년 : 부산에 글로벌 테크 허브센터 설립
  • 항공
    • 에어버스 자회사 CTC
      • 2024년 3월 13일 : 연구소 유치 추진, 업무협약(MOU) 체결#
      • 2024년 10월 22일 : 부산테크노파크 내 CTC 한국사무소 입주 설립 합의#$

7.2. 상권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상권 관련 틀 모음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5007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소재
쇼핑시설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부산광역시 소재 백화점
파일:롯데백화점 로고.svg 롯데백화점 부산본점 (에비뉴엘 부산본점) · 광복점 · 동래점 · 센텀시티점
파일:신세계백화점 영문 워드마크.svg파일:신세계백화점 영문 워드마크 흰색.svg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
파일:현대백화점 로고.svg파일:현대백화점 흰색 로고.svg 현대백화점 커넥트현대 부산 · 센텀시티점(무산)
파일:NC백화점 로고.svg파일:NC백화점 로고 베이지.svg NC백화점 부산대점 · 해운대점 · 서면점(폐)
파일:갤러리아백화점 영문 로고.svg파일:갤러리아백화점 영문 로고 흰색.svg 갤러리아백화점 마린시티점(무산)
파일:AK플라자 CI.svg파일:AK플라자 흰색 CI.svg AK플라자 부산역점(폐)
파일:파라디아 로고.png 파라디아 명품관(폐)
부산광역시 소재 면세점
파일:롯데면세점 로고.svg 롯데면세점 부산점 · 김해공항점(출국장)
파일:신세계면세점 로고.svg 신세계면세점 부산점 · 김해공항점(출국장)(폐)
파일:부산면세점 로고.png 부산면세점 용두산점 · 부산항점
파일:경복궁면세점 로고.png 경복궁면세점 김해국제공항점(입국장)
파일:듀프리토마스쥴리.jpg 듀프리토마스쥴리 면세점 김해국제공항점(출국장)(폐)
파일:파라다이스 면세점.jpg 파라다이스 면세점 파라다이스 면세점(폐)
부산광역시 소재 아울렛
파일:롯데아울렛 로고.svg 롯데프리미엄아울렛 동부산점
파일:롯데아울렛 로고.svg 롯데팩토리아울렛 센트럴스퀘어점(폐)
파일:신세계사이먼 로고 화이트.png 신세계프리미엄아울렛 부산점
파일:신세계팩토리스토어.png 신세계팩토리스토어 기장점 · 센텀점
파일:현대아울렛 로고.png파일:현대아울렛 로고 화이트.png 현대프리미엄아울렛 부산점(2028)
파일:뉴코아아울렛 로고.svg파일:뉴코아아울렛 로고 화이트.svg 뉴코아아울렛 괴정점 · 덕천점
파일:세이브존 로고.svg 세이브존 해운대점
파일:세정아울렛 로고.svg 세정아울렛 부산점
파일:대동백화점 신로고.png 대동아울렛 부산금곡점(폐)
파일:애플아울렛 로고.svg 애플아울렛 애플아울렛
파일:부산광역시 브랜드슬로건.svg 기타 힐탑프리미엄아울렛 · 해운대로데오아울렛
부산광역시 소재 복합쇼핑몰
파일:롯데몰 로고.svg파일:롯데몰 로고.svg 롯데몰 광복점 · 동부산 (메종 동부산)
파일:타임빌라스 BI.svg파일:타임빌라스 BI 화이트.svg 타임빌라스 동부산(2026)
파일:신세계백화점 영문 워드마크.svg파일:신세계백화점 영문 워드마크 흰색.svg 신세계몰 신세계 센텀시티 몰
파일:스타필드시티 로고.png 스타필드시티 명지 · LCT(무산)
파일:엔터식스 로고.svg 엔터식스 스펀지점(폐)
파일:밀리오레 로고.svg 밀리오레 부산(폐)
파일:KT&G 상상마당 BI.svg KT&G 상상마당 부산(문화)
파일:와이즈파크 로고.svg 와이즈파크 광복점
파일:아트몰링 로고.svg 아트몰링 하단점
파일:BIFC 로고.png 부산국제금융센터 복합쇼핑몰 BIFC 몰
파일:BI CITY 로고.png IFC 부산(문화)
파일:BIFC II 로고.png BIFC II 스퀘어 가든(2025)
파일:쥬디스태화 로고 1.png 기타 주요 복합쇼핑몰 쥬디스태화 (쥬디스패션몰)
파일:삼정타워.png 삼정타워(문화)
파일:르네시떼 로고.svg 르네시떼
파일:장림역더세븐.png 더 세븐
파일:부산광역시 브랜드슬로건.svg 기타 폐점한 복합쇼핑몰 지오플레이스(상) · 디씨티(폐) · 스펀지(폐) · 해운대 시티코아(폐)
부산광역시 소재 주상복합 쇼핑몰(총면적 20000㎡ 이상)
파일:W스퀘어.png W스퀘어 용호동 W스퀘어
파일:엘시티더몰 로고.png 엘시티 더 몰 해운대 엘시티 더 몰
파일:더샵센트럴스퀘어 로고.png 더샵 센트럴스퀘어 서면 더샵 센트럴스퀘어
파일:이진베이시티스퀘어 로고.png 이진베이시티 스퀘어 송도 이진베이시티 스퀘어
파일:제니스스퀘어 화이트.png 파일:제니스스퀘어 블랙.png 제니스 스퀘어 해운대 두산 제니스 스퀘어
파일:부산광역시 브랜드슬로건.svg 기타 삼한골든뷰 센트럴파크 스퀘어 · 해운대 아이파크 상가 · 동일타워 상가 · 네오스포 상가(상)
부산광역시 소재 전문쇼핑몰
파일:IKEA 로고.svg 이케아 동부산점
파일:올랜드아울렛.png 올랜드아울렛 부산점(폐) · 해운대점(폐)
파일:부산광역시 브랜드슬로건.svg 기타 모두팡아울렛(가전가구) · 원파크(자동차)
부산광역시 소재 창고형 대형 할인점
파일:코스트코 로고.svg 코스트코 부산점
파일: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로고.svg파일: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로고 화이트.svg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서면점 · 명지점 · 연산점
부산광역시 소재 대형 할인점
파일:이마트 로고.svg파일:이마트 로고 화이트.svg 이마트 금정점 · 문현점 · 사상점 · 서부산점(폐) · 연제점 · 해운대점
파일:홈플러스 로고.svg 홈플러스 가야점(재) · 동래점 · 부산감만점 · 부산반여점 · 부산연산점(재) 부산정관점 · 서면점(1기)(폐) · 서면점(2기)(폐) · 서부산점 · 센텀시티점 · 아시아드점 · 영도점 · 장림점 · 해운대점(재)
파일:롯데마트 로고.svg 롯데마트 광복점 · 금정점(폐) · 동래점 · 동부산점 · 반여점(폐) · 부산점 · 사상점 · 사하점 · 해운대점(폐) · 화명점
파일:메가마트 로고.svg 메가마트 기장점 · 남천점(폐) · 덕천점 · 동래점 · 문현점
파일:탑마트 로고.svg 탑마트 신평점
파일:농협 하나로마트 로고.svg 하나로마트 부산점 · 부전점 · 자갈치점
부산광역시 소재 지하상가
파일:부산시설공단 로고.svg 부산시설공단 지하상가 서면지하도상가(서면몰·부전몰·중앙몰) · 부산역지하쇼핑센터 · 남포지하쇼핑센터 · 광복지하쇼핑센터 · 국제지하쇼핑센터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국영문.svg 기타 지하상가 덕천지하상가 · 수영지하상가(하우위몰) ·
씨라이프 부산 아쿠아리움 지하상가
(폐): 폐점된 점포 | (재): 폐점되었으나 추후 재입점 예정인 점포 | (예): 폐점 예정인 점포 | (상): 쇼핑 시설의 기능이 상실된 점포 | (무산): 입점 계획이 취소되거나 개점이 무산된 점포 | (문화): 문화시설을 겸하는 점포 | (20XX): 해당연도에 개점 예정인 점포
}}}}}}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5007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CGV 로고.svg
파일:부산진구 CI_White.svg 부산진구 서면 · 서면삼정타워 · 서면상상마당
파일:연제구 CI_White.svg 연제구 아시아드
파일:동래구 CI_White.svg 동래구 동래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남구 대연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북구 화명(1)
파일:해운대구 CI_White.svg 해운대구 센텀시티 · 씨네드셰프 센텀시티 · 해운대
파일:사하구 CI_White.svg 사하구 하단아트몰링
파일:강서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강서구 부산명지
파일:기장군 CI_White.svg 기장군 정관
(1) 2024년 12월 31일 폐점
파일:롯데시네마 로고.svg
파일:중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중구 광복
파일:부산진구 CI_White.svg 부산진구 부산본점
파일:동래구 CI_White.svg 동래구 동래
파일:해운대구 CI_White.svg 해운대구 센텀시티 · 프리미엄해운대(장산역)
파일:사하구 CI_White.svg 사하구 부산장림
파일:금정구 CI_White.svg 금정구 오투(부산대)
파일:강서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강서구 부산명지
파일:기장군 CI_White.svg 기장군 동부산아울렛(롯데몰)
파일:메가박스 로고.svg
파일:부산진구 CI_White.svg 부산진구 서면대한
파일:중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중구 부산극장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북구 덕천
파일:해운대구 CI_White.svg 해운대구 해운대(장산)
파일:금정구 CI_White.svg 금정구 부산대
파일:사상구 CI_White.svg 사상구 사상
파일:기장군 CI_White.svg 기장군 정관
기타 독립영화전용관(예술영화관)
파일:중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중구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서구
파일:동구(부산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영도구 CI_White.svg 영도구
파일:부산진구 CI_White.svg 부산진구
파일:동래구 CI_White.svg 동래구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남구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북구
파일:해운대구 CI_White.svg 해운대구
파일:사하구 CI_White.svg 사하구
파일:금정구 CI_White.svg 금정구
파일:강서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강서구
파일:연제구 CI_White.svg 연제구
파일:수영구 CI_White.svg 수영구
파일:사상구 CI_White.svg 사상구
파일:기장군 CI_White.svg 기장군
(휴): 휴관중인 영화관 | (폐): 폐점된 영화관 | (공):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공영영화관 | (C): CGV로 전환된 영화관 | (M): 메가박스로 전환된 영화관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소재 전통시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000,#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bgcolor=#ffffff,#1c1d1f> 강서구 사덕 · 덕두 · 명지
금정구 오시게 · 부곡 · 서동미로 · 장전 · 남산
기장군 월내 · 기장 · 좌천 · 대변
남구 감만 · 못골 · 대연 · 용호 · 우암
동구 진시장 · 남문 · 자유 · 성북 · 수정 · 좌천가구 · 초량
동래구 동래 · 국민 · 금강 · 사직 · 수안 · 명장 · 서원 · 안락 · 온천
부산진구 개금 · 부전 · 당감 · 동평 · 서면 · 양정 · 연지 · 전포 · 중앙 · 초읍 · 평화
북구 구포 · 구남 · 덕천 · 만덕
사상구 감전 · 덕포 · 모라 · 삼락 · 새벽 · 엄궁
사하구 하단 · 하단오일 · 다대 · 가락 · 감천 · 감천2 · 괴정 · 당리 · 사하 · 신평 · 장림
서구 대신 · 동대신골목 · 보수책방 · 서대신골목 · 송남 · 충무
수영구 광안 · 광안어패 · 남천해변 · 망미중앙 · 민락 · 민락회 · 수영팔도
연제구 거성 · 거제 · 연동 · 연미새 · 연산 · 연일 · 연천
영도구 남항 · 동삼 · 영도봉래 · 청학
중구 자갈치 · 부평깡통 · 국제 · 남포 · 영주 · 만물 · 보수 · 신동아
해운대구 반송골목 · 반송큰 · 반여2 · 장산중리 · 재송 · 좌동 · 해운대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산광역시/상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3. 금융

부산 금융업에서는 연고지를 기반으로하는 부산은행과 그 뒤를 뒤쫓고 있는 시중은행국민은행이 있으며 상호금융은 수협, 새마을금고가 초강세를 띤다.

여타 지방은행도 마찬가지지만 부산에서는 부산은행의 지점이 가장 많으며 가장 활발히 거래가 된다. 부산은행은 달동네 꼭대기까지 단돈 1원이라도 돈 벌 구석이 있으면 지점을 내고 영업할 정도로 고객 친화적이며, 접근성이 좋다. 다만 해운대에서만큼은 지점 수가 들어오는 관광객에 비해서 부족한 편이다.

시중은행 중에서는 국민은행이 가장 잘나가는 편이다. 물론 부산은행과는 천지 차이지만 과거 부산에 본사를 둔 은행을 인수한 만큼 동네 상업지역이나 신도심에는 웬만하면 지점이 다 있다.

각 동네마다 터줏대감 노릇을 하는 농협이 부산에서는 수협새마을금고에 밀려서 힘을 못 쓴다. 부산 농협은 머릿수만 많지 돈을 못 번다. 부산의 회원수협들은 법인 수는 농협보다 적지만 항구를 기반으로 크고 작은 보세 창고를 운영하며[77] 수익을 독점하고 있다. 그리고 도시 지역은 새마을금고가 비집고 들어가 농협의 파이를 다 빼앗아 가버린 상태다.

지역 증권사BNK투자증권iM증권이 있다.

지역 보험사로 그린손해보험이 있었지만 새마을금고에 인수돼 MG손해보험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그 외에도 문현금융단지한국거래소, 주택도시보증공사, 기술보증기금, 한국예탁결제원, 한국자산관리공사 등이 입주해있으며 부산시는 한국산업은행의 이전을 요구하고 있다.

8. 관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산광역시/관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교육

9.1. 대학교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colbgcolor=#fff,#191919>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 파일:부산교육대학교 로고.svg 부산교육대학교
파일:KMOU_LOGO.png 국립한국해양대학교
파일:경성대학교 UI.svg 경성대학교 · 파일:고신대학교 심볼.svg 고신대학교
파일:동명대학교 엠블럼.svg 동명대학교 · 파일:동서대학교 심볼.svg 동서대학교 ·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 파일:동의대학교 UI.svg 동의대학교
파일:부산가톨릭대학교 심볼.svg 부산가톨릭대학교 · 파일: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svg 부산외국어대학교
파일:신라대학교 심볼.svg 신라대학교
파일:영산대학교 UI.svg 영산대학교(해운대캠퍼스) · 파일:인제대학교 심볼.svg 인제대학교(부산캠퍼스)
}}}}}}}}} ||
이원화캠퍼스 목록 / 전문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의 전문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전문대학 파일:경남정보대학교 UI.svg 경남정보대학교
파일:대동대학교 UI.svg 대동대학교 · 파일:동의과학대학교 심볼.svg 동의과학대학교
파일:부산경상대학교 UI.svg 부산경상대학교 · 파일:부산과학기술대학교 엠블럼.svg 부산과학기술대학교 · 파일:부산보건대학교 심볼.svg 부산보건대학교 · 파일:부산여자대학교 심볼.svg 부산여자대학교 · 파일:부산예술대학교 UI.svg 부산예술대학교
기능대학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 한국폴리텍Ⅶ대학(부산, 동부산)
}}}}}} ||
이원화캠퍼스 목록 / 전문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원격대학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px" 방송통신대학 <colbgcolor=#fff,#191919>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부산지역대학
사이버대학 파일:부산디지털대학교 심볼.svg 부산디지털대학교
파일:화신사이버대학교 UI.svg 화신사이버대학교

}}} ||
이원화캠퍼스 목록 / 전문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지방거점국립대학인 부산대학교와 기타 국립대로 부경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세 곳이 있다. 2011년 당시 국회의장이었던 박희태 및 부산국회의원들의 정치력으로 한국해양과학기술원도 설립했으나 학사과정은 없다.[7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설립 과정에서 교육과학기술부한국철도대학(당시 국토해양부 소속기관)을 충주대학교(당시 교육과학기술부 소속기관)와 통합한 한국교통대학교를 먹고, 국토해양부는 교과부 산하 법인인 한국해양연구원을 교과부에게 넘겨받아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을 설립하여 조직을 서로 확장하려 했다는 부처 간 빅딜 의혹이 있다.

이 중 부산대는 거점국립대로서 부산광역시를 비롯하여 영남권 전체에서 전반적으로 좋은 이미지와 인지도를 가지고 있으며, 각종 고등고시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다만 해가 갈수록 심화되는 인서울 대학교 광풍 및 수도권 집중 현상으로 인해 과거의 영광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79] 그러나 국립대의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는 꽤 저렴한 등록금[80]과 대학육성사업에서 A등급을 받고 있어 지원되는 장학금이 많고, 지역인재 채용 할당 제도라는 메리트 덕분에 비수도권 대학 중에서는 입학 성적의 하락세는 낮다. 한편 학원가 기준 학군상 부산대 쪽 정확히는 장전동 및 구서동 지역이 부산의 8학군이다. 아무래도 부산 내에선 훌륭한 과외를 쉽게 구할 수 있는 지역이기 때문이다.

부경대는 전신이 부산수산대 + 부산공업대인 만큼 수산 계열이 특화되어 있으며[81] 2000년대 초중반 이후로는 국립대학 메리트로 동아대보다 확실한 우위를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UN 산하 국제수산대학(FAO)의 유치와 좋은 입지를 바탕으로 상승세를 보이는 대학 중 하나. 다만 부울경 권역 밖에서는 다소 인지도가 낮은 탓[82]에 입시에서 '부산대 + 경북대'의 줄임말인 줄 아는 사람들도 있다. 추가적으로 국내에서 가장 큰 규모의 공과대학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해양대는 상선, 선장 등을 배출하는 해사계열이 특화되어 있다.

부산교대는 교사임용경쟁시험의 경쟁률에 따라 입결이 등락하는 추세를 보인다. 201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암울한 임용 사정 때문에 입결이 낮은 편이었다. 하지만 2010년대 중반부터 교대마다 모집 정원을 줄이고 현직에서 명퇴자가 많이 발생함에 따라 임용시험의 전국 평균 경쟁률 적체가 해소되어 입결 컷이 오르기 시작했다. 2016년 정시 기준으로 남자는 1.69등급, 여자는 1.68등급에서 평균을 기록해 부산대 상위권 학과 및 인서울 중위권 수준까지 올라가기도 했다. 그러나 2020년대 들어서 학령인구의 감소로 인해 입결이 다시 급추락하여 2023학년도에는 정시 전형에서 평균 백분위 59[83]의 학생이 합격하기도 했다. (위 내용상 오류가 있는데, 2000년대의 부산교대 입결은 부산대 상위권은 물론 웬만한 인서울대학보다 높았다.)

최상위권 학생들이 주목할 만한 의치한약수로는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경성대학교 약학대학, 부산대학교 약학대학이 있다.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은 양산캠퍼스에 소재하여 현재는 부산 내에 없다.

부산과 인접한 울산이나 창원, 김해 같은 도시에는 인구에 비해 대학이 적은 편이라[84] 가까운 부산으로 진학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인근 위성도시인 경산에 오히려 대학이 더 많은 대구와는 정반대인 경우다. 다만 경산에 있는 대학 상당수는 원래 대구에 있었던 대학이다.

9.2. 고등학교


부산은 전국에서 인구 대비 특수목적고등학교 비율이 높은 편에 속한다.#[85] 영재학교, 국제중학교, 국제고등학교도 부산에서 시작되었으며, 비수도권 지역 최초의 외고로 부산외국어고등학교가 개교하였다. 2014년 진보 성향의 김석준 교육감이 당선되었을 때 임기가 시작되자마자 가장 먼저 한 일이 과학고 및 국제/외국어고 같은 특수목적고등학교들의 정원을 줄이는 것이었을 정도니. 다만 2014년에 동래여자고등학교가 자사고에서 일반고로[86], 2019년에[87] 부산국제외국어고등학교가 외고에서 일반고로 전환하였다. 또한 학교장 전형고지만 높은 내신 성적을 받아야 입학하기 때문에 사실상 자공고, 자사고 취급을 받는 장안고등학교장안제일고등학교 역시 2021년에 평준화 일반고로 전환되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어 특목고나 자사고에 비교했을 때 일반고가 유난히 학력에서 힘을 못 쓰는 경향이 강했다. 그러나 2010년대 후반 들어서는 특목고나 자사고 운영 제도를 폐지하는 정부 정책에 따라 상위권 학생들도 일반고로 진학하는 경우가 많아져서 사정이 나아지긴 했다. 다만 얼마 되지 않는 학령 인구마저 동래구해운대구, 남구와 같의 교육 환경이 좋은 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강해지면서 서부산이나 원도심은 학군이 쇠락하는 중.

부산 내에서는 양대 학군인 동래구와 해운대구는 중·고등학교의 체제가 반대다. 동래구는 역사가 오래된 사립, 단성학교가, 해운대구는 비교적 신설인 공립, 남녀공학학교가 주류다.
  •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관내 학교들이 폐교 바람을 피해가지 못했다. 부산에서 2011년 이후 통폐합 등으로 폐교된 학교는 27개교(초등학교 16, 중학교 9, 고등학교 2)다. 다만 부산은 타 도시와 비교해 인구 대비 학교가 상당히 많고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한 학년당 학생수가 100명대인 학교들이 늘어나면서 폐교가 이상한 건 아니다. 2010년대 들어서 부산은 학교총량제를 시행하고 있어서 인구가 증가하는 정관신도시명지지구 지역에 학교를 신설하기 위해 원도심에 자리한 학교들을 통폐합하거나 이전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2021년 정부가 대저지구에 2만 호 가까이 되는 대규모 주택 공급을 추진하겠다고 밝히면서 상대적으로 원도심에 있는 학교들이 앞으로 더 통·폐합될 것으로 보인다.
  • 2018년: 좌천초등학교
  • 2020년: 금성중학교, 운송중학교
  • 2021년: 좌성초등학교
  • 2022년: 서곡초등학교, 덕천여자중학교, 가락중학교

9.3. 중학교


서울, 경기도와 마찬가지로, 공립 중학교라면 3년 내내 모든 학급이 전체 남녀합반을 굉장히 당연시 여긴다. [92] 다만 공립 중학교에 한정된 사실이고, 부산에 사립 중학교가 많다는 걸 아는 사람은 그리 놀라지 않는다. 사립 공립에 상관없이 딱히 놀랄것도 없는게 합반이란 것 자체가 남녀공학에서나 나오는 이야기인데 부산은 조금 전통있다 싶은 학교는 거진 단성교육이라서 일반인들에겐 중학교 이상 합반이란 개념자체가 생소하다.

10. 생활문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산광역시/문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1. 문화시설

  • 대형 공연장
    • 소향씨어터 신한카드홀
    • 부산 KBS홀

10.1.1. 온천

특별시, 광역시 중 유일하게 온천이 여러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그중 동래온천해운대온천은 오랫동안 유명한 곳이다. 과거 일본인들이 많이 살았던 도시답게 온천을 좋아하는 일본인들이 개발한 곳이 많다. 심지어 그 온천으로 가기 위해 부산전차 노선을 만들었을 정도. 이외에도 대연동의 대영온천, 연산동의 대영해수온천, 암남동의 송도해수온천 등의 해수온천탕도 나름대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부산역 인근 북항재개발 과정에서도 온천이 발견되어 개발을 준비하고 있다.

한편, 세계에서 가장 큰 백화점이라는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은 백화점에 스파랜드라는 온천탕 시설이 있다. 터를 파다가 부지에 온천수가 터져 백화점 시설 중 하나로 개발했다고 한다.#

10.2. 치안

1980년대에만 해도 일본으로 통하는 필로폰 밀수로 마약도시란 이미지가 있었다.[93] 전국적으로도 유명했던 조직폭력배 집단인 칠성파를 비롯해서 이름난 조폭 집단들이 활동하던 지역이었고, 이로 인해 2000년대 이후 네티즌들에겐 갱즈오브부산이란 멸칭을 얻기도 했다.

다만 사실 21세기 기준으로는 이미 다 철 지난 이야기긴 하다. 90년대 이후로 공권력이 범죄 조직들을 강하게 소탕하고 지속적으로 처벌하면서 눈에 띄는 폭력조직은 일부러 찾아가지 않는 이상 거의 볼 일 없다 봐도 무방하다. 공권력이 강하게 소탕한 결과 법의 통제를 받지 않는 대규모 마약조직, 조폭 조직들은 많이 소탕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폭력관련 소규모 조직이 존재하고 대도시지만 일부 지역에선 치안이 좋지 않은 편이다.[94]

치안이 좋지 않은 이유는 항구이기 때문이다. 단순히 부산만 해당되는 사항이 아니라 인천광역시나 전라남도 목포 등 큰 항구가 있는 지역은 주로 외국인이나 외지인들이 많이 입국하고, 이들이 타는 배는 한번 출항하면 장시간 운항을 하기 때문에 하선하고 나면 이들 모두가 주로 등을 마시다보니 술에 취한 사람들끼리 싸움 같은것이 다소 발생하기도 한다.

10.3. 의료기관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부산광역시 상급종합병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서구 동아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병원
부산진구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2021년 4월 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기준}}}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부산광역시 관내 종합병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기장군 동남권원자력의학원
남구 부산가톨릭의료원 부산성모병원
동구 봉생병원, 일신기독병원, 좋은문화병원
동래구 대동병원, 동래봉생병원, 광혜병원
부산진구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온종합병원, 동의병원, 춘해병원
북구 부산부민병원, 구포성심병원
사상구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부산보훈병원, 좋은삼선병원
서구 부산대학교병원, 동아대학교병원,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삼육부산병원
수영구 좋은강안병원, BHS한서병원, 센텀종합병원
연제구 부산광역시의료원
영도구 해동병원, 영도병원
중구 부산가톨릭의료원 메리놀병원
해운대구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해운대부민병원
경남지역 상급종합병원
2023년 12월 자료 기준}}} ||

10.4. 종교

2000년에 조사된 통계청 도표로 본 한국의 종교 현황에 따르면 부산은 개신교 12.7%, 불교 21.2 %, 가톨릭 5.4%, 무종교 56.8% 등으로, 무종교 인구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물론 2024년과는 차이가 있는 엄청 오래된 옛날 자료고, 또한 전국적 추세를 고려해 보면 부산도 불교 비율은 좀 줄고 기독교 비율은 좀 더 늘어났을 확률은 있다고 추정되지만, 어쨌든 그럼에도 무종교 강세가 눈에 띈다. 부산의 대표 사찰은 부산종합버스터미널 북서쪽 금정산 자락의 범어사, 기장의 해동용궁사가 있다.

개신교의 경우 부산 지역 개신교 교회는 예장고신, 예장합동 등 보수 성향 교회들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의외로 부산은 개신교와 가톨릭의 역사가 모두 100년이 넘을 정도로 매우 오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1880년 ~ 1890년대 사이에 성공회 부산대성당, 개신교 초량교회[95], 부산진교회 등이 설립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 외에도 동방정교회 성모희보성당이 부산 중구 대청동에 있고, 한국이슬람부산성원이 부산 금정구 남산동에 있다.

10.5. 음식

전반적인 특징은 남부 지방이다 보니 간과 양념을 다소 치는 편이며 매운 음식은 맵게 하는 편이다. 다만 전라도만큼 다양한 젓갈을 사용하지는 않고 음식 본연의 맛을 추구하는 편이다. 그리고 해안가 지방답게, 해물탕과 같은 해산물 관련 음식들을 즐겨 먹는다. 사하구, 서구, 중구, 영도구, 남구, 수영구, 해운대구, 기장군 등의 해안가 지역에는 장어구이집이나 횟집이나 조개구이 포장마차가 즐비하며 암남공원과 태종대, 다대포에도 있다. 당연한 소리겠지만 해안가 지역에서 파는 해산물은 내륙 지방보다 신선도나 가성비가 좋다. 유명한 어시장으로는 민락과 자갈치가 있다.

향토음식으로 돼지국밥이 유명하고 돼지국밥집거리가 있을 정도로 국밥집도 많다.[96] 또한 밀면도 있어 밀면집도 많다.

또한 '커피의 도시'이기도 하다. 서면 바로 옆인 전포에 전포 카페거리가 조성되어 있기도 하고, 모모스 커피[97]나 블랙업 커피 등 국내 스페셜티 커피 시장에 파급력을 가지고 있는 업체들이 부산을 연고로 하고 있다.

10.6. 사투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동남 방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부산사투리 원포인트 레슨 원포인트 레슨 2탄~ 부산사투리

시대의 흐름에 따른 인식 변화[98]로 인하여 전국적으로 사투리가 소멸되어 가고 있기 때문에 젊은 사람들은 사투리를 많이 쓰지 않는 편인데, 방송에서는 지역색을 강조하기 위해 젊은 사람들도 노인들처럼 사투리를 심하게 쓰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부산 현지인들은 '젊은 사람들이 사투리를 심하게 쓰니까 애늙은이 같고 어색하다', '오글거린다' 등의 반응을 보인다.[99]

대표적으로 제빵왕 김탁구욕망의 불꽃,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에서 주조연 연기자들이 한 사투리 연기는 본고장 사람들이 들으면 모두 실소를 금치 못할 엉터리인 수준. 이것은 연기파 배우로 명성이 자자한 이순재, 최민식신은경도 마찬가지였다. 사투리라는 게 원래 완벽하게 똑같으면 현실감을 살릴 수 있지만 조금이라도 어설프면 이질감이 느껴진다. 또한 어리거나 젊은 사람들은 억양에서 약간의 티만 날 뿐 어휘는 모두 표준어이므로 영화, 드라마 등에서 30대 이하가 사투리를 심하게 쓰면 굉장히 어색하게 느껴져 몰입이 완전히 깨져 버린다. 영화 소원이 대표적.[100]

부산 사투리의 특징은 성조가 있다는 점. 모음이 'ㅏ,ㅐ,ㅓ(ㅡ),ㅗ,ㅜ,ㅣ'로 변환 가능하다는 점. 모음을 치환하는 특징 때문에 혼돈이 오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성격'이라는 단어를 경상도 사투리로 '승격'이라 발음할 수가 있는데, 이는 표준어의 승격(昇格)과 겹친다. 해당 사투리의 성조를 모르는 사람이 이 단어를 청해했을 경우 '승격'과 '성격'에 혼돈이 올 수도 있지만, 경상도 사투리 사용자는 성조로 구분한다. 승격은 에 액센트가 있고 성격은 에 있기 때문. 그러나 이는 성조를 모르는 외지인도 충분히 문맥상 이해가 가능하다.

한편 '쌀'이란 단어를 경상도 억양으로는 '살'로 읽는데 경상도 사람이 된소리 발음이 안 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의 사투리 단어가 '살'. 또한 타 지역 사람들은 의문문 어미인 '~노?'와'~나?'를 구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101], 질문의 대답이 '예'나 '아니오'인 판정 의문문은 '~나?'를 사용하고, 구체적인 대답을 요하는 설명 의문문 은 '~노?'를 사용한다. 의문사가 있으면 '~노' 의문사가 없으면 '~나'로 끝난다라고 생각하면 쉽다.[102] 예) 누가 그라노?(누가 그래?), 뭐하노?(뭐하니?), 우짜노?[103](어떡해?) , 가들(가나들 혹은 금마들) 집에 갔나? (그 애들 집에 갔니?), 밥 뭇나?(밥 먹었니?) 등 사실 많은 부산 사람들은 이 차이를 의식적으로 구별한다기보다는 자연스럽게 구별해 사용한다. 한번 말하면, '노'는 음성이 강할 수 밖에 없고, '나'는 상대적으로 음성이 약하다는 느낌이 저절로 느낄 것이다.

사실 경상도 자체가 소백산맥으로 한국 다른 지방과[104] 지형적으로 고립되어 있으므로 방언이 심한 편이다.[105] 대체로 다른 지방 출신보다 경상도 출신이[106] 서울에 갔을 때 사투리가 쉽게 고쳐지지 않고 중장년층이 될 때까지 입에 남아있는 경우가 많은 것도 이 때문.[107] 고치기도, 따라하기도 어려운 사투리이다 보니 반대로 다른 지방 출신이 경상도 사투리를 연기하면 어색한 경우가 많다.

한편, 부산 사투리는 인접한 여타 경상도 지역의 방언과는 차이가 있다. 이는 주변 지역들과 단순히 단어나 어휘가 약간씩 다른 정도가 아닌, 아예 다른 방언권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점이다. 6.25 전쟁 시기에 부산에 피난 온 다양한 지역의 사람들이 부산을 찍고 떠났거나 부산에 정착하여 본래 부산 방언에 타 지역의 방언이 스며든 것으로 보인다. 가장 대표적인 예시가 "~ㅕ"가 사용되는 지역이 있다는 것이다. 부산의 모든 지역이 사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충청도전라도 출신의 이주민들이 많이 정착한 지역[108]에서는 "뭐여"나 "~겨"[109]라는 충청 방언 표현이 들리기도 한다.[110] 하지만 어리거나 젊은 사람들은 사투리를 거의 또는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이런 현상도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방언에 대해 기타 자세한 내용은 동남 방언 문서 참조.

10.7. 방송

앞서 서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일본과 가까운 위치 덕에 1990년대 후반[111]까지 부산에서는 일본 TV 방송을 직접 수신해 볼 수 있었다. 대체로 후쿠오카나가사키 지역 방송이 나왔다고 한다.[112][113][114] 그래서 일본 전파의 침투를 막기 위해 1959년 4월 15일 최초의 상업민간방송인 문화방송(現 부산문화방송) AM이 개국했고[115], 1964년 12월 12일에는 민영 TV 방송인 동양텔레비전 부산국(TBC 부산국)이 KBS-TV보다 먼저 개국했다.[116][117] 단,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없어질 때까지 마이크로웨이브가 개설되지 않아 서울보다 1주일 정도 방송이 지연되었다. 또 1970년 MBC-FM 방송과 1981년 KBS 제2라디오 표준FM이 서울보다 먼저 시작되었다.

남산과 동일한 채널번호를 썼거나 쓰고 있는 채널은 KBS와 MBC의 TV 채널과 MBC의 표준FM인데, 아날로그 TV가 종료된 현재는 MBC 표준FM만이 그렇다.

한때 수도권 채널이었던 라디오 중에서는 유일하게 지역민영방송인 KNN 러브FM이 나오고 있다.[118]

AM 라디오는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한낮에도 KBS 제1라디오 소래송신소 발사 전파(711kHz)를 희미하게나마 수신할 수 있었으나, 고층 건물들이 많이 들어선 현재는 DSP 수신기가 아닌 이상 사실상 불가능하다. 하지만, 고성능 라디오 수신기로는 심야에 서울CBS, KBS 한민족방송[119], 극동방송의 모든 AM 채널[120]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서부산(북구, 사상, 사하, 강서)과 기장은 부산이지만 각각 창원, 울산 지역 방송이 수신이 잘 된다. 두 지역 모두 부산 황령산 전파는 장애물 역할을 하는 산에 가로막혀 수신율이 떨어지는 반면 창원·울산 방면으로는 장애물이 적거나 없다시피 하기 때문. 이 중 서부산 남부(강서구 남부 및 사하구)는 봉래산 전파는 그럭저럭 잡히나[121] 주력 송신소가 황령산으로 바뀌며 부산 방송의 수신이 어려워졌다. 예외로 만덕, 주례, 감전, 기장읍 최남단(오시리아관광단지), 정관, 철마에서는 부산 주파수가 오히려 낫다.[122]

이러한 난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녹산과 기장에 중계소가 설치되었고 각각 서부산[123]과 기장[124] 지역을 커버하고 있다. 그러나 중계소가 없는 방송이 많으며[125] 설치 시기가 늦어서[126] 인지도가 낮다. 게다가 서부산의 경우 창원 불모산 전파가 여전히 수신이 잘 되기 때문에 거의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참고로 TV는 만덕, 천마산, 장산 등에도 중계소가 있을 정도로 난청이 심하다.[127]

FM의 경우 기장뿐 아니라 강서, 금정, 해운대 일부 지역에서도 울산 무룡산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부산을 제외한 지역에서 창원 불모산 전파가 약하게나마 잡히기도 한다. 거창 감악산 및 하동 금오산 전파는 서부산까지 넘어오기도 한다.[128] 서부산 북부 지역[129]은 양산타워 소출력 전파가 잡히기도 하는데 KNN 파워FM(96.3MHz)의 수신이 그나마 잘 된다. 공동체 라디오는 2024년에 개국한 연제FM이 있으며 연제구 일원 및 동래구, 부산진구, 수영구, 해운대구 일부 지역까지 커버한다.

케이블TV 권역은 B tv 케이블(낙동방송-강서구·북구·사상구, 동남방송-남구·수영구, 서부산방송-사하구·서구), LG헬로비전(금정방송-금정구, 중부산방송-동구·영도구·중구, 중앙방송-부산진구, 해운대/기장방송-해운대구·기장군), HCN(부산방송-동래구·연제구)으로 나뉜다.

10.8. 통신

LTE5G 통신장비SK텔레콤에릭슨 장비를 사용하고, KT삼성전자 장비를 사용하며, LG U+노키아 장비를 사용하는 지역이다. 통신 3사가 각기 다른 제조사의 통신 장비를 사용하므로 장비 제조사의 문제로 인해 모든 통신망이 동시에 먹통 될 확률이 낮은 지역이다.

10.9. 스포츠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E5007F><tablewidth=250><tablebgcolor=#E5007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연고 프로 구단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KBO 리그 K리그2 한국프로농구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파일:부산 KCC 이지스 엠블럼.svg
롯데 자이언츠 부산 아이파크 부산 KCC 이지스
한국여자프로농구 핸드볼 H리그 여자부 e스포츠
파일:부산 BNK 썸 엠블럼(적색).svg파일:부산 BNK 썸 엠블럼(다크모드).svg 파일:부산시설공단 여자 핸드볼단 로고.svg 파일:BNK FearX 2025.png
부산 BNK 썸 부산시설공단 BNK FEARX
부산광역시 연고 기타 구단 보기
}}}}}}}}}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E5007F><tablewidth=250><tablebgcolor=#E5007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K3리그
K5리그 K6리그
파일:부산교통공사 축구단 엠블럼.svg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파일:MRFC.png 파일:Busan Gamcheon Football Club logo.png
감만 FC 명륜 FC 감천 FC
K6리그
파일:사하구 CI.svg 파일:부산진구 CI_국문_상하.svg 파일:사상구 CI.svg 파일:Busan Oncheon Football Club logo.png
사하 낙동 FC 북부산 FC 엄궁 FC 온천 FC
K6리그 K7리그
파일:Busan Yongdang Football Club logo.png 파일:1000001436.png 파일:Busan Tosung Football Club logo.png 파일:wowfc.png
용당 FC 잔메 FC 토성 FC 와우 FC
K7리그
파일:KakaoTalk_20200809_214818348.jpg
부산 아폴로
부산광역시 연고 프로 구단 보기
}}}}}}}}}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산광역시/스포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부산의 프로 스포츠 구단으로는 야구의 롯데 자이언츠와 축구의 부산 아이파크, 남자농구의 부산 KCC 이지스, 여자농구의 부산 BNK 썸이 있다.

11. 행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산광역시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산광역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산광역시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양성봉
제2대
정종철
제3대
김주학
제4·5대
손영수
제6대
최병규
제7·8대
배상갑
제9대
이근용
제10대
김종규
제11대
변재갑
제12·13대
김현옥
제14대
김대만
제15대
김덕엽
제16대
최두열
제17대
박영수
제18대
최석원
제19대
손재식
제20대
김무연
제21대
최종호
제22대
정채진
제23대
김주호
제24대
강태홍
제25대
안상영
제26대
김영환
제27대
박부찬
제28대
정문화
제29대
김기재
제30대
문정수
제31·32대
안상영
제33-35대
허남식
제36대
서병수
제37대
오거돈
제38·39대
박형준
파일:부산광역시 브랜드슬로건.svg
}}}}}}}}} ||


13. 군사

우선 대한민국 육군은 부산, 울산을 방어하는 제53보병사단해운대구에 주둔하고 있으며, 강서구에 자리한 구 김해비행장에는 공군공중기동정찰사령부와 그 예하 제5공중기동비행단제51항공통제비행전대가 전개되어 있다. 대한민국 해군의 모항이라 할 수 있는 진해항(창원시 진해구)을 인근에 끼고 있으며 남구 용호동해군작전사령부가 있다. 여기서 소말리아 해적 경비를 위해 정기적으로 교대하는 파병부대인 청해부대가 입출항한다. 예전보다는 군사 시설이 줄어든 편이지만 그래도 여전히 보병사단, 해군 사령부급 부대, 공군 사령부급 부대 및 비행단이 주둔해있고, 이를 커버할 겸 서부산 영공을 지키기 위해 김해 불모산과 해운대 장산에 공군미사일방어사령부 제1미사일방어여단 예하 방공포대가 있다. 특히 해군과 공군 시설은 국군의 최중요 전략 시설 및 전력들인지라 의외로 전방 못지않은 중요군사지역이다.

6·25전쟁 당시에는 대한민국임시수도이자 유엔군 물자보급지 등으로 중요한 지점이었다.[130] 따라서 해안선과 인근 산에 지뢰를 많이 매설하기도 했다. 최근 들어 제거하고는 있지만, 해운대구장산, 동백섬[131]이나 영도구 중리산(영도구 중앙에 있는 봉래산 말고 태종대 인근 작은 산)에는 아직도 지뢰가 남아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애초에 몇 발을 묻었는지 모르니까 경고문이 보이면 절대로 무시하지 말자.

백골부대로 유명한 제3보병사단이 1947년 12월 1일에 중구 중앙동에서 창설되었다. 1990년대 이전에는 군사 시설이 훨씬 많았다. 현재 대전광역시로 이전한 육군군수사령부[132] 제69보병사단[133]이 현재 센텀시티부지에 있었다. 또, 전라남도 영암군으로 이전한 해군 제3함대도 있었으며, 부산시민공원부지는 미군 하야리아 부대[134]에 반환받아 만든 공원으로, 서울의 용산공원 계획의 원조라고 볼 수 있다.

주한미군 8부두, 55보급창이 소재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부산 엑스포 관련하여 이 부지들을 이전, 환수하려는 움직임도 있다.[55보급창 환수 공식화] 추진 배경과 전망 8부두는 주피터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논란이 일었던 장소다.2019-03-12 [단독] 부산항 8부두 ‘미군 생화학 실험’ 의혹 2019-06-09 주한미군 “생화학 실험 의혹 해소 위해 8부두 현장 실사 협조” 그리고 국군에 총기를 납품하는 회사인 SNT모티브가 부산에 소재해 있다.

해운대구 장산에는 공군미사일방어사령부 제1미사일방어여단 예하 방공포대가 산 정상에 주둔하고 있으며 공군미사일방어사령부 예하 미사일우주감시대가 산 정상에 같이 주둔해 있다. 산 밑에 주둔한 육군부대 근처에는 공군미사일방어사령부 제1미사일방어여단 예하 정비대가 주둔해 있다. 장산 밑에는 육군 제53보병사단과 예비군훈련장이 있다.

육해공군 부대 모두 대도시 인근에 있고 편리한 교통, 많은 편의시설을 이유로 병사들의 선호도가 높다. 특히 해군 작전사령부, 공군 5비, 해운대 방공포대, 김해 불모산 포대[135]는 병사들이 복무지를 고를 때 1지망에 적는 경우가 많아 경쟁이 빡세다.
제2보급단, 국군복지단, 국군수송사령부등도 감만동에 위치하고 있다.

14. 하위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5007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중구(부산광역시) CI.svg
중구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svg
서구
파일:동구(부산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영도구 CI.svg
영도구
파일:부산진구 CI.svg
부산진구
파일:동래구 CI.svg
동래구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svg
남구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svg
북구
파일:해운대구 CI.svg
해운대구
파일:사하구 CI.svg
사하구
파일:금정구 CI.svg
금정구
파일:강서구(부산광역시) CI.svg
강서구
파일:연제구 CI.svg
[[부산광역시청|
시청
]] 연제구
파일:수영구 CI.svg
수영구
파일:사상구 CI.svg
사상구
파일:기장군 CI.svg
기장군
}}}}}}}}}


<nopad> 파일:부산광역시 기초자치단체.svg

전체 행정동/법정동/리 목록

14.1. 전체 행정구역의 변천사[170]

  • 1966년 이전의 행정구역 변천사의 경우 그 정보가 불확실하여 부득이하게 제외하였으므로 관련 자료를 확인할 시 추가해 주시길 바랍니다.
  • 행정동의 증설 및 감소는 직할지(출장소 포함) 기준입니다.
  • 변경시 행정구역 란은 맨 왼쪽칸은 구 행정구역, 중간은 신 행정구역, 맨 오른쪽칸은 비고 란입니다.

====# 부산직할시 #====
  • 1963.01.01 경상남도 부산시 → 부산직할시로 승격
  • 1966.01.01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서구 아미동 아미제1동, 아미제2동 분동(分洞)
서구 괴정제1동 괴정제1동, 괴정제3동 "
동구 초량동 일대 초량제1동~초량제5동 행정동 조정
동구 수정동 일대 수정제1동~수정제5동 "
동구 좌천동 일대 좌천제1동~좌천제3동 "
동구 범일동 일대 범일제1동~범일제5동 "
영도구 신선제2동 신선제2동, 신선제3동 분동
부산진구 범천제2동 범천제2동, 범천제4동 "
동래구 연산제2동 연산제2동, 연산제3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25동 27동(2개동 증설)
동구 미상 18동(증설 수 미상)
영도구 12동 13동(1개동 증설)
부산진구 38동 39동(1개동 증설)
동래구 34동 35동(1개동 증설)
→ 총 5개동+a 증설 (6구 142동)
  • 1970.07.01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서구 서대신제3동 서대신제3동, 서대신제4동 분동
서구 남부민제2동 남부민제2동, 남부민제3동 "
동구 초량제4동 초량제4동, 초량제6동 "
동구 좌천제2동 좌천제2동, 좌천제4동 "
동구 범일제4동 범일제4동, 범일제6동 "
영도구 청학동 청학제1동, 청학제2동 "
부산진구 대연동 대연제1동, 대연제2동 "
부산진구 전포제1동 전포제1동, 전포제3동 "
부산진구 양정동 양정제1동, 양정제2동 "
부산진구 가야동 가야제1동, 가야제2동 "
동래구 연산제2동 연산제2동, 연산제4동 "
동래구 거제동 거제제1동~거제제3동 "
동래구 장전동 장전제1동~장전제3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27동 29동(2개동 증설)
동구 18동 21동(3개동 증설)
영도구 13동 14동(1개동 증설)
부산진구 39동 43동(4개동 증설)
동래구 35동 40동(5개동 증설)
→ 총 15개동 증설 (6구 157동)
  • 1970.10.01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부산진구 당감제1동 당감제1동, 동평동 분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29동 29동(증설 없음)
동구 21동 21동(증설 없음)
영도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43동 44동(1개동 증설)
동래구 40동 40동(증설 없음)
→ 총 1개동 증설 (6구 158동)
  • 1973.04.20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동래구 반여동 반여제1동, 반여제2동 분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29동 29동(증설 없음)
동구 21동 21동(증설 없음)
영도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44동 44동(증설 없음)
동래구 40동 41동(1개동 증설)
→ 총 1개동 증설(6구 159동)
  • 1975.01.01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부산진구 용호동 용호제1동, 용호제2동 분동
부산진구 개금동 개금제1동, 개금제2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29동 29동(증설 없음)
동구 21동 21동(증설 없음)
영도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44동 46동(2개동 증설)
동래구 41동 41동(증설 없음)
총 2개동 증설(6구 161동)
  • 1975.10.01
    • 주요 내용

      • → 서구 사하출장소→시 직할로 승격
        → 동구 범일제3동 일부+부산진구 대연출장소, 범천제3동+동래구 수영출장소→부산직할시 남구 승격
        → 부산진구 사상출장소+구포출장소→북부출장소 통합 및 시 직할로 승격
        → 부산직할시 남구→신설과 동시에 일부 행정동 분동
부산직할시 남구 및 시 직할 출장소 설치 전후 행정구역
부산직할시 서구 사하출장소 부산직할시 사하출장소 시 직할 승격
부산직할시 서구 사하출장소 행정동[171] 부산직할시 사하출장소 행정동 서구청 휘하에서 사하출장소 휘하로 조정
동구 범일제3동 남구 범일제3동 동구 잔여 범일제3동 관할지 말소[172]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대연출장소 남구 이관 및 폐지 출장소 폐지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대연출장소 행정동[173] 부산직할시 남구 행정동 부산진구청 휘하에서 남구청 휘하 직할로 조정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사상출장소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폐지 및 시 직할로 승격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사상출장소 행정동[174]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행정동 부산진구청 휘하에서 북부출장소 휘하로 조정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구포출장소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폐지 및 시 직할로 승격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구포출장소 휘하 행정동[175]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행정동 부산진구청 휘하에서 북부출장소 휘하로 조정
부산진구 전포제2동 전포제2동, 전포제4동 분동
부산직할시 동래구 수영출장소 남구 이관 및 폐지 출장소 폐지
부산직할시 동래구 수영출장소 행정동[176] 부산직할시 남구 행정동 동래구청 휘하에서 남구청 휘하 직할로 조정
동래구 연산제2동 연산제2동, 연산제5동 분동
동래구 동상동 동상제1동~동상제3동 "
동래구 반송동 반송제1동, 반송제2동 "
남구 대연제1동 대연제1동, 대연제3동 "
남구 대연제2동 대연제2동, 대연제4동 "
남구 문현제1동 문현제1동, 문현제3동 "
남구 광안동 광안제1동, 광안제2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및 출장소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29동 18동(11개동 감소)
동구 21동 20동(1개동 감소)
영도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46동 22동(24개동 감소)
동래구 41동 42동(1개동 증설)
부산직할시 서구 사하출장소→부산직할시 사하출장소 11동 11동(증설 없음)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사상·구포출장소→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14동 14동(증설 없음)
동구 범일제3동,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대연출장소[177]·부산직할시 동래구 수영출장소→남구 15동 19동(구 신설 및 4개동 증설)
→ 총 1개구 신설, 2개 시 직할출장소 신설, 9개동 증설(7구 2출장소 170동)
  • 1976.05.01
부산직할시 동래구 해운대출장소 부산직할시 해운대출장소 시 직할 승격
부산직할시 동래구 해운대출장소 행정동[178] 부산직할시 해운대출장소 행정동 동래구청 휘하에서 부산직할시 해운대출장소 휘하로 조정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및 출장소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18동 18동(증설 없음)
동구 20동 20동(증설 없음)
영도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2동 22동(증설 없음)
동래구 42동 36동(6개동 감소)
남구 19동 19동(증설 없음)
부산직할시 사하출장소 11동 11동(증설 없음)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14동 14동(증설 없음)
부산직할시 해운대출장소 6동 6동(증설 없음)
→ 총 1개 시 직할출장소 신설(7구 3출장소 170동)
  • 1976.11.27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남구 우암동 우암제1동, 우암제2동 분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및 출장소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18동 18동(증설 없음)
동구 20동 20동(증설 없음)
영도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2동 22동(증설 없음)
동래구 36동 36동(증설 없음)
남구 19동 20동(1개동 증설)
부산직할시 사하출장소 11동 11동(증설 없음)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14동 14동(증설 없음)
부산직할시 해운대출장소 6동 6동(증설 없음)
→ 총 1개동 증설(7구 3출장소 171동)
  • 1978.01.01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부산직할시 동래구 일부[179] 부산직할시 해운대출장소[180] 동래구청 휘하에서 부산직할시 해운대출장소 휘하로 조정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및 출장소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18동 18동(증설 없음)
동구 20동 20동(증설 없음)
영도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2동 22동(증설 없음)
동래구 36동 30동(6개동 감소)
남구 20동 20동(증설 없음)
부산직할시 사하출장소 11동 11동(증설 없음)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14동 14동(증설 없음)
부산직할시 해운대출장소 6동 12동(6개동 추가)
→ 행정동 증설 없음(관할구역만 조정)
  • 1978.02.15 :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경상남도 김해군 일부→부산직할시 북구 승격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부산직할시 북구[181] 출장소 폐지 및 북구 승격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학장동 일부 부산직할시 서구 서대신제4동 일부 관할 경계 조정
경상남도 김해군 대저읍 부산직할시 북구 대저1동, 대저2동(행정동) 휘하 법정리 전체를 각각 대저1동/대저2동(법정동)으로 통합(이하 구 김해군 편입지 전체)
경상남도 김해군 가락면 일부[182] 부산직할시 북구 강동동(행정동) "
경상남도 김해군 명지면(신호리 제외) 부산직할시 북구 명지동(행정동) "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금성동 부산직할시 동래구 금성동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 휘하에서 동래구청 휘하로 조정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및 출장소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18동 18동(증설 없음)
동구 20동 20동(증설 없음)
영도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2동 22동(증설 없음)
동래구 30동 31동(1개동 추가)
남구 20동 20동(증설 없음)
부산직할시 북부출장소→북구 14동 17동(3개동 증설)
부산직할시 사하출장소 11동 11동(증설 없음)
부산직할시 해운대출장소 12동 12동(증설 없음)
→ 총 1개구 신설, 1개 시 직할출장소 폐지, 4개동 신설(8구 2출장소 175동)
  • 1979.01.01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부산진구 가야제2동 가야제2동, 가야제3동 분동
부산진구 당감제1동 당감제1동, 당감제3동 "
부산진구 동평동 동평제1동, 동평제2동 "
동래구 온천제2동 온천제2동, 온천제3동 "
동래구 사직동 사직제1동, 사직제2동 "
동래구 부곡동 부곡제1동, 부곡제2동 "
남구 감만동 감만제1동, 감만제2동 "
남구 수영동 남구 수영동, 망미동 "
북구 주례동 주례제1동, 주례제2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및 출장소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18동 18동(증설 없음)
동구 20동 20동(증설 없음)
영도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2동 25동(3개동 증설)
동래구 31동 34동(3개동 증설)
남구 20동 22동(2개동 증설)
북구 17동 18동(1개동 증설)
→ 총 9개동 증설(8구 2출장소 184동)
  • 1979.08.08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영도구 봉래제3동 봉래제3동, 봉래제4동 분동
부산진구 부암동 부암제1동, 부암제2동 "
부산진구 개금제1동 개금제1동, 개금제3동 "
부산진구 양정제1동 양정제1동, 양정제3동 "
부산진구 양정제2동 양정제2동, 양정제4동 "
동래구 명륜동 명륜제1동, 명륜제2동 "
동래구 사직제1동 사직제1동, 사직제3동 "
동래구 연산제3동 연산제3동, 연산제6동 "
동래구 연산제4동 연산제4동, 연산제7동 "
동래구 거제제3동 거제제3동, 거제제4동 "
동래구 동상제2동 동상제2동, 동상제4동 "
남구 대연제1동 대연제1동, 대연제5동 "
남구 대연제2동 대연제2동, 대연제6동 "
남구 광안제1동 광안제1동, 광안제3동 "
북구 구포동 구포제1동, 구포제2동 "
북구 감전동 감전제1동, 감전제2동 "
부산직할시 사하출장소 괴정제1동 괴정제1동, 괴정제4동 "
부산직할시 해운대출장소 반여제2동 반여제2동, 반여제3동 "
부산직할시 해운대출장소 반송제1동 반송제1동, 반송제3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및 출장소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18동 18동(증설 없음)
동구 20동 20동(증설 없음)
영도구 14동 15동(1개동 증설)
부산진구 25동 29동(4개동 증설)
동래구 34동 40동(6개동 증설)
남구 22동 25동(3개동 증설)
북구 18동 20동(2개동 증설)
부산직할시 사하출장소 11동 12동(1개동 증설)
부산직할시 해운대출장소 12동 14동(2개동 증설)
→ 총 19개동 증설(8구 2출장소 203동)
  • 1980.04.01 : 부산직할시 해운대출장소→부산직할시 해운대구 승격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부산직할시 해운대출장소 부산직할시 해운대구 출장소 폐지 및 해운대구 승격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및 출장소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18동 18동(증설 없음)
동구 20동 20동(증설 없음)
영도구 15동 15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9동 29동(증설 없음)
동래구 40동 40동(증설 없음)
남구 25동 25동(증설 없음)
북구 20동 20동(증설 없음)
부산직할시 해운대출장소→해운대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부산직할시 사하출장소 12동 12동(증설 없음)
→ 총 1개구 신설, 1개 시 직할출장소 폐지(9구 1출장소 203동)
  • 1982.05.01 : 일부 법정동 폐지 및 행정동명 일부 변경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부산진구 동평제1동 당감제4동 행정동명 변경
부산진구 동평제2동 부암제3동 "
동래구 동상제1동~동상제4동 서제1동~서제4동 "
남구 범일제3동 문현제4동 문현제3동 中 수영로 이남지역 편입
남구 범천제3동 문현제5동 행정동명 변경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및 출장소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18동 18동(증설 없음)
동구 20동 20동(증설 없음)
영도구 15동 15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9동 29동(증설 없음)
동래구 40동 40동(증설 없음)
남구 25동 25동(증설 없음)
북구 20동 20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부산직할시 사하출장소 12동 12동(증설 없음)
→ 행정동 증설 없음(일부 관할구역만 변경)
  • 1982.09.01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동래구 안락동 안락제1동, 안락제2동 분동
동래구 연산제1동 연산제1동, 연산제8동 "
남구 용호제1동 용호제1동, 용호제3동 "
남구 광안제2동 광안제2동, 광안제4동 "
남구 망미동 망미제1동, 망미제2동 "
북구 덕포동 덕포제1동, 덕포제2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및 출장소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18동 18동(증설 없음)
동구 20동 20동(증설 없음)
영도구 15동 15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9동 29동(증설 없음)
동래구 40동 42동(2개동 증설)
남구 25동 28동(3개동 증설)
북구 20동 21동(1개동 증설)
해운대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부산직할시 사하출장소 12동 12동(증설 없음)
→ 총 6개동 증설(9구 1출장소 209동)
  • 1983.05.01 : 부산직할시 북구 강서출장소→부산직할시 강서출장소 승격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부산직할시 북구 강서출장소 부산직할시 강서출장소 시 직할 승격
부산직할시 북구 강서출장소 행정동[183] 부산직할시 강서출장소 행정동 북구청 휘하에서 강서출장소 휘하로 조정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및 출장소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18동 18동(증설 없음)
동구 20동 20동(증설 없음)
영도구 15동 15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9동 29동(증설 없음)
동래구 42동 42동(증설 없음)
남구 28동 28동(증설 없음)
북구 21동 17동(4개동 감소)
해운대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부산직할시 사하출장소 12동 12동(증설 없음)
부산직할시 북구 강서출장소→부산직할시 강서출장소 4동 4동(증설 없음)
→ 총 1개 시 직할출장소 신설(9구 2출장소 209동)
  • 1983.10.01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남구 용호제2동 용호제2동, 용호제4동 분동
남구 남천동 남천제1동, 남천제2동 "
북구 덕천동 덕천제1동, 덕천제2동 "
부산직할시 사하출장소 장림동 장림제1동, 장림제2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및 출장소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18동 18동(증설 없음)
동구 20동 20동(증설 없음)
영도구 15동 15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9동 29동(증설 없음)
동래구 42동 42동(증설 없음)
남구 28동 30동(2개동 증설)
북구 17동 18동(1개동 증설)
해운대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부산직할시 사하출장소 12동 13동(1개동 증설)
부산직할시 강서출장소 4동 4동(증설 없음)
→ 총 4개동 증설(9구 2출장소 213동)
  • 1983.12.15 : 부산직할시 사하출장소+강서출장소 일부(을숙도·일웅도)→부산직할시 사하구 승격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부산직할시 사하출장소 부산직할시 사하구 출장소 폐지 및 사하구 승격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및 출장소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18동 18동(증설 없음)
동구 20동 20동(증설 없음)
영도구 15동 15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9동 29동(증설 없음)
동래구 42동 42동(증설 없음)
남구 30동 30동(증설 없음)
북구 18동 18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부산직할시 사하출장소→사하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부산직할시 강서출장소 4동 4동(증설 없음)
→ 총 1개구 신설, 1개 시 직할출장소 폐지(10구 1출장소 213동)
  • 1985.12.01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동구 초량제1동, 초량제3동, 초량제5동 초량제1동, 초량제3동 초량제5동 말소
영도구 동삼동 동삼제1동, 동삼제2동 분동
동래구 연산제8동 연산제8동, 연산제9동 "
동래구 서제3동 서제3동, 서제4동 "
동래구 부곡제2동 부곡제2동, 부곡제3동 "
동래구 구서동 구서제1동, 구서제2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및 출장소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18동 18동(증설 없음)
동구 20동 19동(1개동 폐지)
영도구 15동 16동(1개동 증설)
부산진구 29동 29동(증설 없음)
동래구 42동 46동(4개동 증설)
남구 30동 30동(증설 없음)
북구 18동 18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4동 14동(증설 없음)
사하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부산직할시 강서출장소 4동 4동(증설 없음)
→ 총 4개동 증설(10구 1출장소 217동)
  • 1988.01.01 : 부산직할시 동래구 일부→부산직할시 금정구 승격 분리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부산직할시 동래구 일부 부산직할시 금정구 구 승격 및 분리
부산직할시 동래구 일부 행정동[184] 부산직할시 금정구 행정동 동래구청 휘하에서 금정구청 휘하로 변경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및 출장소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18동 18동(증설 없음)
동구 19동 19동(증설 없음)
영도구 16동 16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9동 29동(증설 없음)
동래구 46동 26동(20개동 감소)
남구 30동 30동(증설 없음)
북구 18동 18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4동 14동(증설 없음)
사하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부산직할시 동래구 일부→금정구 20동 20동(증설 없음)
부산직할시 강서출장소 4동 4동(증설 없음)
→ 총 1개구 신설(11구 1출장소 217동)
  • 1989.01.01 : 부산직할시 강서출장소+경상남도 김해군·의창군 일부→부산직할시 강서구 승격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부산직할시 강서출장소 부산직할시 강서구 출장소 폐지 및 강서구 승격
경상남도 김해군 가락면·녹산면 부산직할시 강서구 가락동·녹산동 행정동 전환[휘하]
경상남도 의창군 천가면 부산직할시 강서구 천가동 행정동 전환[휘하]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18동 18동(증설 없음)
동구 19동 19동(증설 없음)
영도구 16동 16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9동 29동(증설 없음)
동래구 26동 26동(증설 없음)
남구 30동 30동(증설 없음)
북구 18동 18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4동 14동(증설 없음)
사하구 13동 13동(증설 없음)
금정구 20동 20동(증설 없음)
부산직할시 강서출장소→강서구 4동 7동(3개동 증설)
→ 총 1개구 신설, 1개 시 직할출장소 폐지, 3개동 신설(12구 220동)
  • 1990.01.01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동래구 명장동 명장제1동, 명장제2동 분동
북구 만덕동 만덕제1동, 만덕제2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18동 18동(증설 없음)
동구 19동 19동(증설 없음)
영도구 16동 16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9동 29동(증설 없음)
동래구 26동 27동(1개동 증설)
남구 30동 30동(증설 없음)
북구 18동 19동(1개동 증설)
해운대구 14동 14동(증설 없음)
사하구 13동 13동(증설 없음)
금정구 20동 20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 총 2개동 증설(12구 222동)
  • 1991.09.15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북구 모라동 모라제1동, 모라제2동 분동
북구 주례제1동 주례제1동, 주례제3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18동 18동(증설 없음)
동구 19동 19동(증설 없음)
영도구 16동 16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9동 29동(증설 없음)
동래구 27동 27동(증설 없음)
남구 30동 30동(증설 없음)
북구 19동 21동(2개동 증설)
해운대구 14동 14동(증설 없음)
사하구 13동 13동(증설 없음)
금정구 20동 20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 총 2개동 증설(12구 224동)
  • 1991.09.25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해운대구 재송동 재송제1동, 재송제2동 분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18동 18동(증설 없음)
동구 19동 19동(증설 없음)
영도구 16동 16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9동 29동(증설 없음)
동래구 27동 27동(증설 없음)
남구 30동 30동(증설 없음)
북구 21동 21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4동 15동(1개동 증설)
사하구 13동 13동(증설 없음)
금정구 20동 20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 총 1개동 증설(12구 225동)
  • 1992.09.01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북구 덕천제1동 덕천제1동, 덕천제3동 분동
북구 만덕제2동 만덕제2동, 만덕제3동 "
사하구 하단동 하단제1동, 하단제2동 "
사하구 신평동 신평제1동, 신평제2동 "
사하구 다대동 다대제1동, 다대제2동 "
금정구 부곡제1동 부곡제1동, 부곡제4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18동 18동(증설 없음)
동구 19동 19동(증설 없음)
영도구 16동 16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9동 29동(증설 없음)
동래구 27동 27동(증설 없음)
남구 30동 30동(증설 없음)
북구 21동 23동(2개동 증설)
해운대구 15동 15동(증설 없음)
사하구 13동 16동(3개동 증설)
금정구 20동 21동(1개동 증설)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 총 6개동 증설(12구 231동)
  • 1994.07.01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북구 구포제1동 구포제1동, 구포제3동 분동
북구 모라제2동 모라제2동, 모라제3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18동 18동(증설 없음)
동구 19동 19동(증설 없음)
영도구 16동 16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9동 29동(증설 없음)
동래구 27동 27동(증설 없음)
남구 30동 30동(증설 없음)
북구 23동 25동(2개동 증설)
해운대구 15동 15동(증설 없음)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21동 21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 총 2개동 증설(12구 233동)
  • 1994.07.11
행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영도구 동삼제1동 동삼제1동, 동삼제3동 분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18동 18동(증설 없음)
동구 19동 19동(증설 없음)
영도구 16동 17동(1개동 증설)
부산진구 29동 29동(증설 없음)
동래구 27동 27동(증설 없음)
남구 30동 30동(증설 없음)
북구 25동 25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5동 15동(증설 없음)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21동 21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 총 1개동 증설(12구 234동)

====# 부산광역시 #====
  • 1995년 1월 1일 : 부산직할시 → 부산광역시로 개칭
  • 1995.03.01 : 3개구 신설, 1개군 신설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동래구 거제동, 연산동 지역 연제구 일원 구 신설
동래구 거제동[187]과 연산동[188] 일대 행정동 연제구 행정동 동래구청 휘하에서 연제구청 휘하로 조정
남구 舊수영출장소+남천동 수영구 일원 구 신설
남구 舊수영출장소 행정동[189], 남천동[190] 일대 행정동 수영구 행정동 부산 남구청 휘하에서 수영구청 휘하로 조정
북구 舊사상출장소 지역 사상구 일원 구 신설
북구 舊사상출장소 행정동[191] 사상구 행정동 부산 북구청 휘하에서 사상구청 휘하로 조정
경상남도 양산군 동부출장소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원 복군[192] 및 설치
경상남도 양산군 동부출장소 휘하 읍·면[193] 기장군 읍·면 경상남도 양산군청 휘하에서 기장군청 휘하로 조정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18동 18동(증설 없음)
동구 19동 19동(증설 없음)
영도구 17동 17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9동 29동(증설 없음)
동래구 27동 14동(13개동 감소)
남구 30동 20동(10개동 감소)
북구 25동 11동(14개동 감소)
해운대구 15동 15동(증설 없음)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21동 21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동래구 일부→연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남구 일부→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북구 일부→사상구 14동 14동(증설 없음)
경상남도 양산군 일부→기장군 2읍 3면 2읍 3면(증설 없음)
→ 총 3개구 신설, 1개군 신설(15구 1군 2읍 3면 234동)
  • 1998.07.01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부산진구 전포제2동, 전포제4동 전포제2동 합동
부산진구 양정제1동, 양정제3동 양정제1동 "
부산진구 양정제2동, 양정제4동 양정제4동 "
부산진구 부암제1동, 부암제2동 부암제1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18동 18동(증설 없음)
동구 19동 19동(증설 없음)
영도구 17동 17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9동 25동(4개동 폐지)
동래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남구 20동 20동(증설 없음)
북구 11동 11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5동 15동(증설 없음)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21동 21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연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4동 14동(증설 없음)
기장군 2읍 3면 2읍 3면(증설 없음)
→ 총 4개동 폐지(15구 1군 2읍 3면 230동)
  • 1998.09.17
동구 좌천제1동, 좌천제2동 좌천제1동 합동
동구 좌천제3동, 범일제5동 범일제5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18동 18동(증설 없음)
동구 19동 17동(2개동 폐지)
영도구 17동 17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5동 25동(증설 없음)
동래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남구 20동 20동(증설 없음)
북구 11동 11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5동 15동(증설 없음)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21동 21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연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4동 14동(증설 없음)
기장군 2읍 3면 2읍 3면(증설 없음)
→ 총 2개동 폐지(15구 1군 2읍 3면 228동)
  • 1998.10.01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서구 아미제1동, 아미제2동 아미동 합동
서구 토성동, 충무동 서구 충무동 "
서구 부민동, 부용동 서구 부민동 "
영도구, 남항동, 대교동, 대평동 남항동 "
영도구 봉래제1동, 봉래제2동 봉래제1동 "
해운대구 반송제1동, 석대동 반송제1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18동 15동(3개동 폐지)
동구 17동 17동(증설 없음)
영도구 17동 14동(3개동 폐지)
부산진구 25동 25동(증설 없음)
동래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남구 20동 20동(증설 없음)
북구 11동 11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5동 14동(1개동 폐지)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21동 21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연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4동 14동(증설 없음)
기장군 2읍 3면 2읍 3면(증설 없음)
→ 총 7개동 폐지(15구 1군 2읍 3면 221동)
  • 1998.11.01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금정구 부곡제3동, 오륜동 부곡제3동 합동
금정구 청용동, 노포동 청룡노포동 "
금정구 선동, 두구동 선두구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서구 15동 15동(증설 없음)
동구 17동 17동(증설 없음)
영도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5동 25동(증설 없음)
동래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남구 20동 20동(증설 없음)
북구 11동 11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4동 14동(증설 없음)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21동 18동(3개동 폐지)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연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4동 14동(증설 없음)
기장군 2읍 3면 2읍 3면(증설 없음)
→ 총 3개동 폐지(15구 1군 2읍 3면 218동)
  • 1999.01.01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중구 보수제1동, 보수제2동 보수동 합동
남구 문현제2동, 문현제5동 문현제2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10동 9동(1개동 폐지)
서구 15동 15동(증설 없음)
동구 17동 17동(증설 없음)
영도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5동 25동(증설 없음)
동래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남구 20동 19동(1개동 폐지)
북구 11동 11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4동 14동(증설 없음)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18동 18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연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4동 14동(증설 없음)
기장군 2읍 3면 2읍 3면(증설 없음)
→ 총 2개동 폐지(15구 1군 2읍 3면 216동)
  • 2000.02.25 : 부산광역시 강서구 범방동 일부↔경상남도 김해시 장유면 수가리 일부 맞교환
  • 2003.07.01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북구 화명동 화명제1동, 화명제2동 분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9동 9동(증설 없음)
서구 15동 15동(증설 없음)
동구 17동 17동(증설 없음)
영도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5동 25동(증설 없음)
동래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남구 19동 19동(증설 없음)
북구 11동 12동(1개동 증설)
해운대구 14동 14동(증설 없음)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18동 18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연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4동 14동(증설 없음)
기장군 2읍 3면 2읍 3면(증설 없음)
→ 총 1개동 증설(15구 1군 2읍 3면 217동)
  • 2003.12.22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북구 화명제1동 화명제1동, 화명제3동 분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9동 9동(증설 없음)
서구 15동 15동(증설 없음)
동구 17동 17동(증설 없음)
영도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5동 25동(증설 없음)
동래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남구 19동 19동(증설 없음)
북구 12동 13동(1개동 증설)
해운대구 14동 14동(증설 없음)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18동 18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연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4동 14동(증설 없음)
기장군 2읍 3면 2읍 3면(증설 없음)
→ 총 1개동 증설(15구 1군 2읍 3면 218동)
  • 2003.12.31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해운대구 좌동 좌제1동~좌제4동 분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9동 9동(증설 없음)
서구 15동 15동(증설 없음)
동구 17동 17동(증설 없음)
영도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5동 25동(증설 없음)
동래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남구 19동 19동(증설 없음)
북구 13동 13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4동 17동(3개동 증설)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18동 18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연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4동 14동(증설 없음)
기장군 2읍 3면 2읍 3면(증설 없음)
→ 총 3개동 증설(15구 1군 2읍 3면 221동)
  • 2005.09.05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해운대구 반여제1동 반여제1동, 반여제4동 분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9동 9동(증설 없음)
서구 15동 15동(증설 없음)
동구 17동 17동(증설 없음)
영도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5동 25동(증설 없음)
동래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남구 19동 19동(증설 없음)
북구 13동 13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7동 18동(1개동 증설)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18동 18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연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4동 14동(증설 없음)
기장군 2읍 3면 2읍 3면(증설 없음)
→ 총 1개동 증설(15구 1군 2읍 3면 222동)
  • 2006.01.01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서구 서대신제1동, 서대신제2동 서대신제1동 합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9동 9동(증설 없음)
서구 15동 14동(1개동 폐지)
동구 17동 17동(증설 없음)
영도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5동 25동(증설 없음)
동래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남구 19동 19동(증설 없음)
북구 13동 13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8동 18동(증설 없음)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18동 18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연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4동 14동(증설 없음)
기장군 2읍 3면 2읍 3면(증설 없음)
→ 총 1개동 폐지(15구 1군 2읍 3면 221동)
  • 2007.01.01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영도구 신선제1동~신선제3동 신선동 합동
영도구 봉래제3동, 봉래제4동 봉래제2동 "[194]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9동 9동(증설 없음)
서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동구 17동 17동(증설 없음)
영도구 14동 11동(3개동 폐지)
부산진구 25동 25동(증설 없음)
동래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남구 19동 19동(증설 없음)
북구 13동 13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8동 18동(증설 없음)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18동 18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연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4동 14동(증설 없음)
기장군 2읍 3면 2읍 3면(증설 없음)
→ 총 3개동 폐지(15구 1군 2읍 3면 218동)
  • 2007.12.31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사상구 모라제1동, 모라제2동 모라제1동 합동
사상구 감전제1동, 감전제2동 감전동 합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9동 9동(증설 없음)
서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동구 17동 17동(증설 없음)
영도구 11동 11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5동 25동(증설 없음)
동래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남구 19동 19동(증설 없음)
북구 13동 13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8동 18동(증설 없음)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18동 18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연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4동 12동(2개동 폐지)
기장군 2읍 3면 2읍 3면(증설 없음)
→ 총 2개동 폐지(15구 1군 2읍 3면 216동)
  • 2008.01.01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동구 초량제4동, 초량제6동 초량제6동 합동
동구 수정제2동, 수정제3동 수정제2동 "
동구 범일제4동, 범일제6동 범일제4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9동 9동(증설 없음)
서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동구 17동 14동(3개동 폐지)
영도구 11동 11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5동 25동(증설 없음)
동래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남구 19동 19동(증설 없음)
북구 13동 13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8동 18동(증설 없음)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18동 18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연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2동 12동(증설 없음)
기장군 2읍 3면 2읍 3면(증설 없음)
→ 총 3개동 폐지{15구 1군 2읍 3면 213동)
  • 2008.03.01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연제구 연산제6동, 연산제7동 연산제6동 합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9동 9동(증설 없음)
서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동구 14동 14동(증설 없음)
영도구 11동 11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5동 25동(증설 없음)
동래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남구 19동 19동(증설 없음)
북구 13동 13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8동 18동(증설 없음)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18동 18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연제구 13동 12동(1개동 폐지)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2동 12동(증설 없음)
기장군 2읍 3면 2읍 3면(증설 없음)
→ 총 1개동 폐지(15구 1군 2읍 3면 212동)
  • 2009.01.01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서구 남부민제2동, 남부민제3동 남부민제2동 합동
금정구 서제3동, 서제4동 서제3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9동 9동(증설 없음)
서구 14동 13동(1개동 폐지)
동구 14동 14동(증설 없음)
영도구 11동 11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5동 25동(증설 없음)
동래구 14동 14동(증설 없음)
남구 19동 19동(증설 없음)
북구 13동 13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8동 18동(증설 없음)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18동 17동(1개동 폐지)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연제구 12동 12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2동 12동(증설 없음)
기장군 2읍 3면 2읍 3면(증설 없음)
→ 총 2개동 폐지(15구 1군 2읍 3면 210동)
  • 2011.03.01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동래구 명륜제1동, 명륜제2동 명륜동 합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9동 9동(증설 없음)
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동구 14동 14동(증설 없음)
영도구 11동 11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5동 25동(증설 없음)
동래구 14동 13동(1개동 폐지)
남구 19동 19동(증설 없음)
북구 13동 13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8동 18동(증설 없음)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17동 17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연제구 12동 12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2동 12동(증설 없음)
기장군 2읍 3면 2읍 3면(증설 없음)
→ 총 1개동 폐지(15구 1군 2읍 3면 209동)
  • 2013.02.01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부산진구 당감제1동, 당감제3동 당감제1동 합동
부산진구 가야제1동, 가야제3동 가야제1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9동 9동(증설 없음)
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동구 14동 14동(증설 없음)
영도구 11동 11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5동 23동(2개동 폐지)
동래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남구 19동 19동(증설 없음)
북구 13동 13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8동 18동(증설 없음)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17동 17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연제구 12동 12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2동 12동(증설 없음)
기장군 2읍 3면 2읍 3면(증설 없음)
→ 총 2개동 폐지(15구 1군 2읍 3면 207동)
  • 2013.07.01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남구 대연제1동, 대연제2동 대연제1동 합동
남구 우암제1동, 우암제2동 우암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9동 9동(증설 없음)
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동구 14동 14동(증설 없음)
영도구 11동 11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3동 23동(증설 없음)
동래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남구 19동 17동(2개동 폐지)
북구 13동 13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8동 18동(증설 없음)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17동 17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연제구 12동 12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2동 12동(증설 없음)
기장군 2읍 3면 2읍 3면(증설 없음)
→ 총 2개동 폐지(15구 1군 2읍 3면 205동)
  • 2015.01.01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부산진구 부전제1동, 범전동 부전제1동 합동
부산진구 전포제1동, 전포제3동 전포제1동 "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9동 9동(증설 없음)
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동구 14동 14동(증설 없음)
영도구 11동 11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3동 21동(2개동 폐지)
동래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남구 17동 17동(증설 없음)
북구 13동 13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8동 18동(증설 없음)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17동 17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연제구 12동 12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2동 12동(증설 없음)
기장군 2읍 3면 2읍 3면(증설 없음)
→ 총 2개동 폐지(15구 1군 2읍 3면 203동)
  • 2015.01.30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강서구 천가동 가덕도동 행정동명 변경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9동 9동(증설 없음)
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동구 14동 14동(증설 없음)
영도구 11동 11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1동 21동(증설 없음)
동래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남구 17동 17동(증설 없음)
북구 13동 13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8동 18동(증설 없음)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17동 17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연제구 12동 12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2동 12동(증설 없음)
기장군 2읍 3면 2읍 3면(증설 없음)
→ 행정동 증설 없음(일부 명칭만 변경)
  • 2015.07.01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동구 좌천제1동, 좌천제4동 좌천동 합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9동 9동(증설 없음)
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동구 14동 13동(1개동 폐지)
영도구 11동 11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1동 21동(증설 없음)
동래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남구 17동 17동(증설 없음)
북구 13동 13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8동 18동(증설 없음)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17동 17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연제구 12동 12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2동 12동(증설 없음)
기장군 2읍 3면 2읍 3면(증설 없음)
→ 총 1개동 폐지(15구 1군 2읍 3면 202동)
  • 2015.09.23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기장군 정관면 정관읍 읍 승격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9동 9동(증설 없음)
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동구 13동 13동(증설 없음)
영도구 11동 11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1동 21동(증설 없음)
동래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남구 17동 17동(증설 없음)
북구 13동 13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8동 18동(증설 없음)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17동 17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연제구 12동 12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2동 12동(증설 없음)
기장군 2읍 3면 3읍 2면(증설 없음(단, 1개면(정관면)이 읍으로 승격.)
→ 총 1개읍 증가, 1개면 감소(15구 1군 3읍 2면 202동)
  • 2015.10.01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해운대구 반송제1동, 반송제3동 반송제1동 합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9동 9동(증설 없음)
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동구 13동 13동(증설 없음)
영도구 11동 11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1동 21동(증설 없음)
동래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남구 17동 17동(증설 없음)
북구 13동 13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8동 17동(1개동 폐지)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17동 17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연제구 12동 12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2동 12동(증설 없음)
기장군 3읍 2면 3읍 2면(증설 없음)
→ 총 1개동 폐지(15구 1군 3읍 2면 201동)
  • 2016.01.01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동구 범일제1동, 범일제4동 범일제1동 합동
부산진구 범천제2동, 범천제4동 범천제4동 "
해운대구 우제1·2동 일부 우제3동 분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9동 9동(증설 없음)
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동구 13동 12동(1개동 폐지)
영도구 11동 11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1동 20동(1개동 폐지)
동래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남구 17동 17동(증설 없음)
북구 13동 13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7동 18동(1개동 증설)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17동 17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7동(증설 없음)
연제구 12동 12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2동 12동(증설 없음)
기장군 3읍 2면 3읍 2면(증설 없음)
→ 총 1개동 증설, 2개동 폐지(15구 1군 3읍 2면 200동)
  • 2017.02.01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해운대구 반여제1동 일부 재송제1동 일부 반여제1동 일부를 재송제1동에 편입[195]
  • 2018.01.01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강서구 명지동 명지1동, 명지2동 분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9동 9동(증설 없음)
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동구 12동 12동(증설 없음)
영도구 11동 11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0동 20동(증설 없음)
동래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남구 17동 17동(증설 없음)
북구 13동 13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8동 18동(증설 없음)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17동 17동(증설 없음)
강서구 7동 8동(1개동 증설)
연제구 12동 12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2동 12동(증설 없음)
기장군 3읍 2면 3읍 2면(증설 없음)
→ 총 1개동 증설(15구 1군 3읍 2면 201동)
  • 2018.10.01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금정구 금사동 금사회동동 행정동명 변경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9동 9동(증설 없음)
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동구 12동 12동(증설 없음)
영도구 11동 11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0동 20동(증설 없음)
동래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남구 17동 17동(증설 없음)
북구 13동 13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8동 18동(증설 없음)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17동 17동(증설 없음)
강서구 8동 8동(증설 없음)
연제구 12동 12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2동 12동(증설 없음)
기장군 3읍 2면 3읍 2면(증설 없음)
→ 행정동 증설 없음(일부 명칭만 변경)
  • 2020.01.01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금정구 장전제2동, 장전제3동 장전제2동 합동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9동 9동(증설 없음)
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동구 12동 12동(증설 없음)
영도구 11동 11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0동 20동(증설 없음)
동래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남구 17동 17동(증설 없음)
북구 13동 13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8동 18동(증설 없음)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17동 16동(1개동 폐지)
강서구 8동 8동(증설 없음)
연제구 12동 12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2동 12동(증설 없음)
기장군 3읍 2면 3읍 2면(증설 없음)
→ 총 1개동 폐지(15구 1군 3읍 2면 200동)
  • 2022.04.01
행정 읍·면·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기장군 일광면 일광읍 읍 승격
총 행정동 증설 수
구·군 명칭 증설 전 행정동 수 증설 후 행정동 수
중구 9동 9동(증설 없음)
서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동구 12동 12동(증설 없음)
영도구 11동 11동(증설 없음)
부산진구 20동 20동(증설 없음)
동래구 13동 13동(증설 없음)
남구 17동 17동(증설 없음)
북구 13동 13동(증설 없음)
해운대구 18동 18동(증설 없음)
사하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금정구 16동 16동(증설 없음)
강서구 8동 8동(증설 없음)
연제구 12동 12동(증설 없음)
수영구 10동 10동(증설 없음)
사상구 12동 12동(증설 없음)
기장군 3읍 2면 4읍 1면(증설 없음(단, 1개면(일광면)이 읍으로 승격.))
→ 총 1개읍 증가, 1개면 감소(15구 1군 4읍 1면 200동)

14.2. 폐지된 행정구역(행정 읍·면·동 기준)[196]

  • 중구
    → 보수제1동(일자미상~1998.12.31) / 보수제2동(일자미상~1998.12.31)
  • 서구
    → 서대신제2동(일자미상~2005.12.31)
    → 부용동(일자미상~1998.09.30) / 토성동(일자미상~1998.09.30)
    → 아미제1동(1966.01.01~1998.09.30) / 아미제2동(1966.01.01~1998.09.30)
    → 남부민제3동(1970.07.01~2008.12.31)
  • 동구
    → 초량제4동(일자미상~2007.12.31) / 초량제5동(일자미상~1985.11.30)
    → 수정제3동(일자미상~2007.12.31)
    → 좌천제1동(일자미상~2015.06.30) / 좌천제2동(일자미상~1998.09.16) / 좌천제3동(일자미상~1998.09.16) / 좌천제4동(1970.07.01~2015.06.30)
    → 범일제3동(일자미상~1975.09.30[197], 1975.10.01~1982.08.31[198]) / 범일제4동(일자미상~2015.12.31) / 범일제6동(1970.07.01~2007.12.31)
  • 영도구
    → 대교동(일자미상~1998.09.30) / 대평동(일자미상~1998.09.30)
    → 신선제1동(일자미상~2006.12.31) / 신선제2동(일자미상~2006.12.31) / 신선제3동(1966.01.01~2006.12.31)
    → 舊봉래제2동(일자미상~1998.09.30) / 봉래제3동(일자미상~2006.12.31) / 봉래제4동(1979.08.08~2006.12.31)
  • 부산진구
    → 범전동(일자미상~2014.12.31)
    → 양정제3동(1979.08.08~1998.06.30) / 양정제4동(1979.08.08~1998.06.30)
    → 전포제3동(1970.07.01~2014.12.31) / 전포제4동(1975.10.01~1998.06.30)
    → 부암제2동(1979.08.08~1998.06.30)
    → 당감제3동(1979.01.01~2013.01.31)
    → 가야제3동(1979.01.01~2013.01.31)
    → 범천제3동(일자미상~1975.09.30[199], 1975.10.01~1982.08.31[200]) / 범천제4동(1966.01.01~2015.12.31)
  • 동래구
    → 명륜제1동(1979.08.08~2011.02.28) / 명륜제2동(1979.08.08~2011.02.28)
  • 남구
    → 대연제2동(1970.07.01~2013.06.30)
    → 우암제1동(1976.11.27~2013.06.30) / 우암제2동(1976.11.27~2013.06.30)
    → 범일제3동(1975.10.01~1982.08.31[201]) / 범천제3동(1975.10.01~1982.08.31[202]) / 문현제5동(일자미상~1998.12.31[명])
  • 북구 : 없음.
  • 해운대구
    → 반송제3동(1979.08.08~2015.09.30)
    → 석대동(일자미상~1998.09.30)
  • 사하구 : 없음.
  • 금정구
    → 서제4동(1979.08.08~2008.12.31[명])
    → 오륜동(일자미상~1998.10.31)
    → 장전제3동(1970.07.01~2019.12.31)
    → 선동(일자미상~1998.10.31) / 두구동(일자미상~1998.10.31) / 청용동(일자미상~1998.10.31) / 노포동(일자미상~1998.10.31)
  • 강서구 : 없음.
  • 연제구
    → 연산제7동(1979.08.08~2008.02.29)
  • 수영구 : 없음.
  • 사상구
    → 모라제2동(1991.09.15~2007.12.30)
    → 감전제1동(1979.08.08~2007.12.30) / 감전제2동(1979.08.08~2007.12.30)
  • 기장군 : (읍 승격의 경우를 제외하면)없음.

15. 여담

  • 2014년에 부산에서 에볼라바이러스가 창궐했다는 루머가 퍼진적이 있다. 이 루머 때문에 뉴스와 다큐에 에볼라바이러스 관련한 소식이 꽤 있었다.
  • 2016년 7월 21일~2016년 7월 23일까지 부산 전역에서 의문의 가스 냄새가 난다는 제보가 잇따랐다. 주민들은 지진의 전조 증상이 아닌가 하며 불안에 떨었고 이에 따른 각종 음모론도 확산되었다. 결국 민관합동조사단까지 꾸려 조사해본 결과 부취제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고 발표했지만, 조사단도 확신까진 아니라 여전히 정확한 원인이 무엇인지 의구심을 품는 사람들이 있다. 자세한 건 동남권 가스냄새 사건 문서로.
  • 2018년 이후로는 러시아인들이 치는 사고 때문에 지자체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일본을 제외하면 러시아에서 가까운 가장 큰 항구이기도 하고, 부산역 앞에는 화교타운과 인근 몇몇 지역들 주변에 러시아인이 상당수 거주하며, 러시아인 매춘부도 많아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기행의 민족답게 상당한 골때림을 자랑하는데, 한 러시아 화물선 선장이 술처먹고 광안대교에 충각어택을 날린 사건은 유명하고, 2019년에는 러시아인들이 부산 건물 옥상에서 패러글라이더를 타고 활공해서 부산 시내에 착륙하면서 현실 태양의 후예를 찍는 등[205] 육해공 가리지 않고 사고치는 규모가 완전히 다르다. 저들을 막아보려 해도 저들은 원래 본토에선 더한 작자들이니 어떻게 막는다고 해결될 일도 아니다.
  • 전국 최초로 대중교통 통합할인제인 동백패스를 2023년 8월부터 시행하고 있는데 문제는 "보건복지부와 전혀 협의하지 않고 강행했다"는 것이다. 연간 1000억대 시 예산이 투입되는 사회보장성 사업의 경우에는 보건복지부의 협의를 거쳐야 한다. 하지만 부산광역시가 긴급사유 소명서를 보낸 것은 정책 시행일 예정일로부터 두 달도 남지 않은 2023년 6월 15일이었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부산시의 긴급 요청을 반려한 다음 한 가지 조건을 걸었다. 바로 "사회적 약자배려할 방안을 마련하고 제도를 보완할 것"이었다. 하지만 부산광역시는 보건복지부의 요구를 무시하고 사업을 강행하며 향후에도 있을 정부 예산지원이나 공모사업에서 불이익을 받게 되었다. 게다가 동백패스가 시행된 지 2주만에 30%에 달하는 대중교통 인상안이 확정되며 사람들로부터 빈축을 사게 되었다.
  • 23년 12월, 남포동의 포장마차에서 실시간으로 떡볶이 가격을 올려 팔아서 논란이 되었다. 10분 전에는 5천원이였던 떡볶이가 6천원이 되었다고.
  • 2024년 7월부터 대형마트의 의무 휴업일이 일요일에서 월요일로 전환됐다. #
  • 한국에서도 전국적인 인기를 자랑하는 격투게임인 철권 시리즈도 강세를 보인 도시인데 전국에서도 오락실이 상당히 많은 도시라서 유입이 쉬운 편이었고 국내 최대 규모의 오락실인 삼보게임랜드나 지금은 폐업하여 사라진 서면 넷아레나를 중심으로 하여 쟁쟁한 부산 철권 고수들이 많이 나왔었다. 철권게임방송으로 인지도가 있는 엠아재도 부산을 거점으로 한 유저다.

16. 대중문화 속의 부산

부산을 배경으로 한 작품은 범죄 느와르가 많은 편이다.[206] 이외에 재난의 탈출지 또는 재난 지역으로 등장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서울에서 일어난 사고나 재난을 피해 부산에 도착하여 해외로 탈출하는 스토리는 한국 재난영화의 꽤 흔한 클리셰. 부산행은 영화 제목 그대로 부산으로 탈출을 감행한다.

1990년대 후반까지 대부분의 드라마, 영화, CF, 뮤직비디오는 서울 지역에서 촬영을 하다 보니 비서울 지역의 촬영은 거의 드물었다. 2000년대 초 부산영상위원회가 설립되었을 당시 영화 친구[207], 영화 리베라 메[208], 영화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209], 드라마 피아노[210], 뮤직비디오 벌써 일년[211]이 부산에서 촬영을 하게 되었는데 그 당시 서울에서는 어림없을 도로 통제[212]와 폭파 장면[213] 촬영을 쉽게 허가를 받았으며 시에서도 적극적으로 지원을 해준 덕분에 영화계에서도 입소문이 나기 시작하여 부산 지역의 촬영을 선호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해외에서도 입소문 나기 시작해 부산지역의 촬영을 선호하고 있다.

이렇다 보니 부산을 배경으로 한 드라마와 영화도 많이 있다. 아래에도 나온다. 특히 2009년 7월 22일 개봉한 영화 '해운대'는 1,000만 관객을 달성하는 기염을 토하며 흥행에 성공하였다.

아래 목록은 부산을 주 무대로 설정하고 촬영한 작품에 대한 목록이며, 부산에서 단순 촬영한 작품은 맨 아래 부산에서 촬영한 작품문서 참조.

16.1. 영화

16.2. 드라마

16.3. 만화

2010년대 들어 부산을 배경으로 하는 만화, 웹툰이 늘어나고 있다. 부산시에서도 웹툰의 파급력에 주목했는지 센텀시티에 자리한 부산문화컨텐츠컴플렉스에 글로벌웹툰센터를 마련하고 지역 출신 작가들을 지원하는 중이다.

16.4. 소설

  • 일루션마우스 - 장산로 일대, 해운대
  • 배우로서 살겠다 - 남항시장

16.5. 뮤직비디오

16.6. 게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산(도미네이션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사이버펑크 2077 - 밀리테크가 다루던 바이러스가 유출되어 400만 인구가 죽거나 피난을 가서 봉쇄된 유령도시가 되었다는 언급이 있다. 참고로 이 세계관에선 한국은 통일되었고 한국 정부도 건재하며 한국계 대기업인 서초 일렉트로닉스도 멀쩡히 활동하고 있다. 작중 시점 기준 기계와 공장만 돌아가는 세계 최고의 자동화 도시 중 하나가 된다. 게임 내 라디오에서는 동래구에서 발생한 화재가 멀쩡히 복구되었다는 위성사진이 공개되었다며 사람의 인적이 끊긴 부산 내에서 뭔가 일어나고 있다는 음모론이 돌고 있다는 언급이 나온다.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 코리아 테마의 '코리아 부산의 밤' 트랙이 출시되었다.
  • 러브 딜리버리 - 주인공의 본가가 부산이며, 엔딩에서는 광안리, 광안대교가 나온다.
  • 러브인 로그인 - 박다혜와의 데이트 코스로 부산 실제 식당가가 묘사된다.
  • 3D운전게임 - 서울특별시를 모태로 만든 게임이지만, 해운대구 반송동이나 양정역이 3.0에서 등장하였다.

16.7. TV방송

16.8. 음악

17.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8. 자매결연 지역

첫 자매결연을 맺은 시기가 1966년으로 서울특별시1968년[219]보다 빠르며, 부산과 속성이 공통되는 제2의 도시(☆, 수도가 아닌 최대 도시도 포함), 수도가 아닌 큰 항구도시인 경우가 많다.

18.1. 우호협력도시

1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5007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관련 문서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5007F><colcolor=#fff> 기관 부산광역시청 · 산하 기관
기초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 기초자치단체장(1기 · 2기 · 3기 · 4기 · 5기 · 6기 · 7기) · 구청 · 기초자치의회
도로 도로 · 대로 · 부산광역시도
대중교통 동남권 전철 · 부산 도시철도 · 철도 · 버스 · 버스 터미널
주거 공동주택
교육 초등학교 · 중학교(예술중) · 고등학교(과학고 · 과학중점고 · 외국어고 · 예술고) · 각종학교 · 특수학교 · 대학교
시설 병원 · 공공도서관
공원 공원
기타 부산찬가 · 브랜드 }}}}}}}}}


파일:부울경 로고.svg 부울경의 광역자치단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부산광역시
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
울산광역시
파일:경상남도 휘장.svg
경상남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지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부울경 광역자치단체 지도.svg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온라인 청원 게시판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경기도
파일:청원24 로고.svg 파일:국회 국민동의청원 로고.svg 파일:상상대로 서울.png 파일:민선8기 경기도 도정 슬로건.svg 파일:경기도민청원 로고.png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인천은 소통이 가득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 시민 다듬이방 }}}}}}}}}


파일:국제박람회기구 심볼.svg 2030 월드엑스포 유치 입후보 도시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부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로마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파일:2030 부산 세계박람회 로고_상하.svg 파일:2030 엑스포 후보도시_로마 로고.svg 파일:2030 엑스포 후보도시_리야드 로고.svg]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탈락 혹은 포기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모스크바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오데사
파일:2030 세계박람회 모스크바(후보)_2030.webp 파일:2030 세계박람회 오데사(후보).webp
}}}}}}}}} ||

20. 관련 문서

본 문서는 위의 자료에서 언급되지 않은 부분만 표기 \했습니다.
* 부산을 배경으로 한 작품은 아니지만 부산에서 촬영한 작품
  • 영화
    • 1987(영화) - 배우 설경구가 연기한 김정남과 형사들의 첫 추격신이 벌어지는 사찰은 해운정사에서, 신길동 대공분실은 옛 한국은행 부산본부, 신문사는 옛 해사고등학교에서 촬영했다.
    • 가면
    • 거룩한 계보
    • 군도
    • 기술자들
    • 강철비 - 부산영화촬영스튜디오를 대여해 96일간 촬영했다.
    • 깡철이
    • 극비수사
    • 나의 독재자
    • 내부자들
    • 눈에는 눈 이에는 이
    • 눈부신 날에
    • 대호
    • 도쿄택시 - 초반부에만 부산 일대가 나온다.
    • 달콤한 거짓말 - 초읍동, 동대신동, 광안3동, 중앙동, 해운대구 일대 등 부산 배경이 많이 나온다.
    • 레드카펫
    • 리얼
    • 마더
    • 마린보이
    • 마이 뉴 파트너
    • 마이웨이
    • 미스진은 예쁘다
    • 라이터를 켜라 - 후반부에 부산역만 나온다.
    • 무방비 도시 - 부산 배경이 많이 나온다.
    • 무적자
    • 몽타주
    • 박수건달
    • 범일동 블루스
    • 변호인
    • 베테랑 - 부산항 7부두
    • 블랙 팬서
    • 봄,눈
    • 부산
    • 부산행[222]
    • 뷰티풀 선데이
    • 불한당
    • 사랑
    • 사생결단
    • 세븐 데이즈 - 구 자성대고가차도에서 촬영했다.
    • 시간이탈자
    • 신과함께-죄와 벌 - 기장소방서나 센텀시티, KNN 등이 보인다.[223]
    • 신세계
    • 소원
    • 쏜다 - APEC로에서 촬영했으며 당시 이 도로를 전 구간 통제하고 촬영을 했다.
    • 아저씨 - 좌천 매축지 마을
    • 악의 연대기
    • 애자
    • 연애, 그 참을 수 없는 가벼움
    • 영도다리
    • 예의없는 것들
    • 와일드 카드
    • 은하해방전선
    • 우는 남자
    • 우리 형
    • 올드보이 - 부산대 지하철역 밑, 부산역 장성향, 대연동 부경대 번화가
    • 우아한 세계
    • 울학교 이티
    • 악의 제국 : 13일의 금요일 챕터2 - 부산항연안여객터미널, 부산외국어대학교 우암캠퍼스,[224] 센텀시티 일대, 산복도로 일대에서 촬영하였다.
    • 원탁의 천사
    • 육혈포 강도단 - 중앙동에서 촬영했다. 영화에서 나온 은행의 실제 위치는 중앙동 중부경찰서 건너편이다.
    • 위험한 상견례
    • 이웃사람: 부산 북구 만덕주공아파트(현 백양산동문굿모닝힐)에서 촬영을 하였으며, 이외에도 몇몇 장면 또한 부산에서 촬영되었다.
    • 인정사정 볼 것 없다 - 40계단에서 촬영했다.
    • 인생은 아름다워: 작중 부산톨게이트와 해운대, 엘시티가 나온다.
    • 좋은 친구들
    • 주유소습격사건 2 - 센텀시티 인근 주유소에서 촬영했다.
    • 찌라시 위험한 소문
    • 첫사랑 사수 궐기대회
    • 추격자
    • 친절한 금자씨 - 메리놀병원에서 촬영했다.
    • 타짜 - 인트로 버스터미널 추격신(해운대시외버스터미널), 비닐하우스도박장(황령산)
    • 타짜 신의 손
    • 태풍
    • 투혼
    • 특송
    • 카운트다운
    • 코리아
    • 파랑주의보
    • 퍼시픽 림: 업라이징 - 정확하겐 마린시티를 배경으로 2017년 5월 내한해 촬영을 했다. 그런데 정식 개봉판에서는 부산 촬영분 전체가 통편집되었다.
    • 푸른소금
    • 헤어질 결심 - 이지구 추격신(초량상로25번길, 영초길), 대동송도맨션
    • 할매
    • 할매꽃
    • 해무
    • 화산고래
    • 황제를 위하여
    • 황해


[1] 중구, 동구, 서구, 영도구, 부산진구, 동래구, 연제구, 금정구, 북구, 사상구, 사하구, 강서구, 남구, 해운대구, 수영구 .[2] 기장군.[3] 2024년 4월 기준 국토교통부 국토 면적 현황.[4] 2024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5] 2024년 11월 기준.[6] # 적용 환율.[7] # 적용 환율.[8] 지역구 40석, 비례대표 3석.[9] 지역구 1석, 비례대표 1석.[10] 지역구 1석, 비례대표 1석.[11] 조승환(중·영도), 곽규택(서·동), 정성국(부산진 갑), 이헌승(부산진 을), 서지영(동래), 박수영(), 박성훈(북 을), 주진우(해운대 갑), 김미애(해운대 을), 이성권(사하 갑), 조경태(사하 을), 백종헌(금정), 김도읍(강서), 김희정(연제), 정연욱(수영), 김대식(사상), 정동만(기장).[12] 전재수(북 갑).[13] 김형찬 (강서), 윤일현 (금정), 오은택 (), 김진홍 (), 장준용 (동래), 김영욱 (부산진), 오태원 (), 이갑준 (사하), 주석수 (연제), 김기재 (영도), 김성수 (해운대), 공한수 (), 강성태 (수영), 최진봉 (), 정종복 (기장), 조병길 (사상).[14] 시화 - 동백꽃은 1970월 3월 1일 지정된 부산광역시의 시화로서 진녹색의 잎과 진홍색 꽃의 조화는 푸른 바다와, 사랑이 많은 시민의 정신을 그려내고, 싱싱하고 빛이 나는 진녹색 활엽은 시민들의 젊음과 의욕을 나타낸다.[15] 시목 - 동백나무는 1970.7.1. 지정된 진녹색의 잎과 진홍색의 꽃의 조화는 푸른 바다와, 사랑이 많은 시민의 정신을 그려내고, 싱싱하고 빛이 나는 진녹색 활엽은 시민들의 젊음과 의욕을 나타낸다.[16] 시조 - 갈매기는 1978년 7월 1일 지정된 부산광역시의 시조로서 새하얀 날개와 몸은 백의민족을 상징하고, 끈기 있게 먼 뱃길을 따라 하늘을 나는 강인함은 부산광역시 시민들의 정신을 나타낸다.[17] 시어 - 고등어 2011.7.6. 지정『Dynamic, Powerful, Speedy』태평양을 누비는 강한 힘으로 목표를 향해 끊임없이 도약하는 해양수산도시 부산광역시를 상징한다.[18] 부산광역시는 가사, 작곡을 공모받아서 부산찬가를 1984년 6월 15일 제정하여 1984년 9월 25일 보급시켰다.[19] 현재까지의 정설이자 학계에서 가장 유력한 설이다.[20] 한 재한 외국인이 한국의 도시 이름을 영어로 풀이해서 번역한 지도를 내놓아서 화제가 된 적이 있었는데 부산은 'Cauldron Mountain(솥산)'으로 번역되었다.[21] 당시 대통령 이승만의 피난 루트에 따라 임시수도가 선정되었다.[22] 직할이란 직접 관할한다는 의미다.[23] 이때까지는 법령상으로 부산직할시라는 이름을 가진 것은 아니고 경상남도에서 분리된 그냥 부산시였으나 실제로는 부산직할시 명칭도 이미 통용되고 있었기 때문에 부산광역시에서는 부산직할시 명칭을 1963년부터로 소급하고 있다. 다시 말해 법률과 실생활의 괴리가 큰 대표적 사례였다. 지방자치법상의 직할시 승격은 1988년에 광역자치단체를 서울시직할시를 추가하면서 성립한 것이 되지만 실질적으로 지방자치법은 지방자치에 관한 임시조치법으로 무력화되어 있었기 때문에 1981년에 명칭이 바뀐 것으로 보는 게 타당하다.[24] 부산과 홍콩, 이 두 항구도시는 생각보다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산악지대부터 바다 앞까지 고층 건물이 들어서있는 모습과 지형으로 인해 생긴 폭 좁은 시가지 등 거시적인 공통점은 물론, 각각 카이탁 국제공항김해국제공항 착륙하기 어려운 공항이 있거나 있었던 점과 산복도로를 달리는 시내버스 등의 미시적인 공통점까지 아주 다양하다.[25] 2030 도시기본계획에는 덕천[26] 2030 도시기본계획에는 포함.[27] 명지국제신도시, 에코델타시티 등의 개발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28] 거제시는 거가대교가 개통된 이후부터다.[29] 창원시는 인구 100만이 넘는데다 부산의 위성도시라고 하기에는 부산과 인접한 용원을 제외하면 독자적인 광역권을 형성하고 있고 김해 서부지역인 진영읍, 장유신도시쪽은 오히려 창원과 생활권이 겹치므로 위성도시로 보기 어렵다. 동부 양산인 웅상도 울산광역시와 생활권이 겹쳐 애매하다.[30] 이러한 방위 구분은, 서울의 강북과 강남을 나누듯 각 지역별로 뚜렷한 실체가 있는 지리적 경계가 있는 것이 아니므로 기관과 사람에 따라 분류가 조금씩 다르다. 가령 사하구는 서부산(북, 사상, 강서)과 묶이는 경우도 많으며, 때로는 서부산-서구, 남부산-남구, 동부산-동구 식의 용법도 주로 과거에 많이 사용되던 용법이다. 요즘은 크게 동부산, 서부산, 동래권으로 나누는데 동부산은 남구, 수영구, 해운대구, 기장군로 동래권은 연제구, 동래구, 금정구로 서부산은 북구, 사하구, 강서구, 사상구 등으로 나눈다.[31] 정확히 표현하자면 동구 범일동의 현 자성대(부산진지성)부터 현 정발장군 동상까지의 중간지역.[32] 현재 롯데백화점 광복점이 입점한 자리.[33] 해외 도시 중에서는 홍콩이 부산처럼 바다와 접하며 산이 많다. 다만 홍콩은 정확히는 부산처럼 산을 깎아서 세우기보다는 얼마 없는 평지에 도심을 빽빽하게 만든 경우다. 정확하게는 구룡반도나 란터우섬 쪽보다는 홍콩섬과 매우 비슷한 느낌으로, 경사가 심한 비탈길이 많고 바닷가에는 마천루가 많지만 안으로 들어가면 서민들이 옹기종기 사는 아기자기한 골목길이 있는 등 상당히 유사한 모습이다.[34] 구한말 이후[35] 정책적으로 차이나타운으로 꾸몄지만 키릴 문자로 쓰여 있는 간판도 상당한 편이다.[36] 롯데월드타워, 파크원 A, 서울국제금융센터는 서울에 있고, 송도 포스코타워는 인천에 있다.[37] 부산은 눈이 안 오는 것으로도 유명한 곳이다. 하루 이상 눈이 유지된 적이 2024년 2월 현재 기준으로 2011년이 마지막이다.[38] 서면교차로 등이 당시 도시계획으로 건설되었다.[39] 구덕로, 태종로, 대청로, 해관로, 충장대로, 대교로, 대영로, 고관로, 자성로, 수정터널 등[40] 골목길도 막다른 길이거나 끊긴다.[41] 인근 도로의 도로명을 사용하여 지번을 부여했다.[42] 특히 백양대로. 구명역~덕천교차로 구간 도로 폭이 매우 좁다. 덕천교차로 정류장에서 구포시장으로 좌회전하려는 버스 노선들이 1차로로 차선을 바꿔 앞에 차들이 많이 있다면 공간이 부족하여 차선을 바꾸지 못한다. 또한 교차로 진입 이전 왼쪽으로 살짝 꺾는 구간이 있는데 도로 폭이 너무 좁아서 꺾을 때 2차선을 살짝 침범하게 된다.[43] 대부분의 불빛이 붉은 색 계통으로 보이는 이유는 가시광선의 굴절 때문으로, 노을빛과 같은 이유. 여담으로 저 사진에서 광안대교의 교각이 안 보이는 이유는 지구가 둥글기 때문인데 그래서 이 사진이 지구 평평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논거를 비판하는 자료로 많이 사용되고는 한다.[44] 대마도에서 부산을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사실이 맞으나, 위 사진처럼 드라마틱하게 엄청 크게 보이지는 않는다. 이는 망원 렌즈로 어느 정도 확대한 것이기 때문이며 부산에서 육안으로 보이는 쓰시마섬의 크기를 생각하면 체감하기 쉽다.[45] 부산과 후쿠오카 거리(212km)가 부산에서 서울(326km)까지 거리보다 가깝다. 이정도면 대전광역시와의 거리와 비슷하다. 후쿠오카까지 비행기로 36분이다.[46] 출처: 디지털부산문화대전-부산일본인학교[47] 이는 단순한 외국인 학교가 아니라 일본문부성에서 인가하고 그 교육과정을 일본에서도 인정하는 일본 학교라는 뜻이다. 다만 수업과정이 초등학교와 중학교까지 총 9년 과정만 있다. 고등학교 과정은 일본으로 돌아가거나 검정고시를 치르거나 중졸로 만족하거나 한국 학교로 가거나 또는 사립 외국인 학교로 가는 방법 말고는 없다. 다만. 일본인 학교는 국내법상 각종 학교로 분류되기에 한국 고등학교로 진학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절차를 밟아야 한다.[48] 외부인 방문은 기본적으로 제한되며 철망과 그물망으로 학교를 둘렀다. 방문자는 학교에 미리 방문신청을 하여 허가를 받아야 한다. 다만 학교에서 마쯔리를 자체적으로 여는 때에는 지인들을 초청하는 일이 있으며 초청을 받은 사람은 평소보다 쉽게 들어갈 수 있다.[49] 해당 걸인은 철도 구포역, 부산서부시외버스 터미널 등지에서도 민폐끼치며 구걸한다.[50] A 「전파월경의 원인은 덕팅현상! ②」, 2003-09-02, YTN[51] B 「日, 디지털방송 주파수 변경 의미」, 2004-04-28, 전자신문[52] 「부산 일본 TV 시청 많다」, 1981-07-07, 동아일보[53] 「「일본바람」이 부는가 <3> 「부산안방」에「엔카」흐른다」, 1984-10-22, 동아일보[54] 의외로 이 혜택을 많이 본 것이 어린이들과 덕후들이었는데 당시 인기있던 로봇 애니메이션의 원판을 볼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55] 사실 지금도 일본 애니메이션의 엄청난 파급력을 생각하면 어쩔 수 없었던 선택이었다.[56] 와이드 FM은 된다는 정보가 있다.[57] VHF 상위대역을 기준으로 7~13번은 5~11번과 호환되며 UHF는 주파수가 아예 같다. 반대로 한국 내수용 TV에서는 VHF하위/상위대역 1~3번/4, 12번이 유선 95~97번/22, 23번으로 수신된다. 일본 내수용TV로는 2~6번 채널의 주파수는 FM방송용(정확히는 5, 6번)이라서 수신할 수 없다. 한국도 1~3번 채널은 FM방송용이지만 CATV용(위에서 언급한 95~97번)으로도 배정되어 있다.[58] 「DTV 전파월경 한-일 갈등 심화」, 2003-10-14, 디지털타임스.[59] 신호리 제외[60] 북정리·상덕리·대사리·제도리[61]기장군 지역[62] 한국지방행정연구원, 『北韓의 都市開發政策에 관한 硏究』 pdf 파일.[63] 물론 경상남도 동래군, 양산군, 김해군, 의창군의 읍면 이곳저곳을 편입한 영향도 있다.[64] 65세 이상 노인의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서면 초고령사회라고 부른다.[65] 부산 인구가 정점을 달한 1995년과 현재의 부산권을 비교했을 때, 인구가 감소했을 거라는 세간의 인식과는 달리 오히려 부산권의 인구는 8만 명이 증가했다. 이는 부산 시계 내부의 인구만 줄어들었을 뿐, 아직까지 제2의 도시로써의 체급 자체는 건재하다는것을 의미한다.[66] 다만 2017년까지는 부산 인구의 감소분만큼 인접 지자체인 울산광역시, 김해시, 양산시, 거제시 등이 보충했지만 2018년부터는 조선업과 같은 기반 산업의 몰락으로 양산시를 제외한 부산권 인구는 매달마다 급격하게 감소 중이다. 이 문단에서 말하는 '부산권의 1995년 대비 8만 명 인구 증가'도 이러한 인구 감소가 현재진행형으로 지속된다면 다시 원상복구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동시기 수도권은 540만명 정도 증가했다.[67] 진양고무라는 신발회사가 있던 자리에(진양교차로) 해당 회사를 비롯해 부산의 신발 제조 기업을 기리는 신발 동상이 있다.[68] 나이키 계약 종료 후[69]파크랜드[70] 말표 세탁비누, 밍크비누 등으로 유명했었다. 해당 회사는 6.25전쟁 막바지이던 1953년에 설립.[71] 특히 한일그룹이 무너진 것이 부산의 경공업 쇠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한일그룹은 마산을 기원으로 하고 있지만 창원, 김해, 부산까지도 영향력을 미치는 기업이었다.[72] 원래 광역시급으로 도시 규모가 커지면 대규모 공업 기반을 유지하는 게 힘들다. 작정하고 공업도시로 개발한 인구 100만대의 울산, 창원 정도가 광역시 수준의 공업도시다. 이외의 대도시 중에서는 인천이 그나마 2차 산업 비중이 높긴 하다.[73] 전국 백화점 매출 순위에서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과 롯데백화점 부산본점 등 부산 소재 지점이 상위권을 박차고 있는 데에는 부산 자체의 소비력도 있겠지만 울산, 창원, 김해, 거제 등 주변 도시에서 오는 원정 쇼핑의 영향도 크다. 아무리 못해도 매출의 20%는 이들 도시에서 온다고 한다. 프리미엄 아울렛 역시 전국 5위권 지점 중 2개가 부산과 부산의 위성도시인 김해에 있다.[74] 울산 중구 신세계백화점, 창원 스타필드 등이 개점할 예정이다.[75] 국내에는 연세대 송도캠퍼스에 이어서 2번째로 설치되는 IBM사 양자컴퓨터다.[76] 해체기술 실증을 담당하는 실증분석동은 2026년 말 준공 예정이다.[77] 부산에서는 보세창고를 기반으로 해외 무역업에 뛰어든 수협도 있다.[78] 당시 국토해양부 산하 법인으로 원안은 한국해양대학교한국해양연구원을 통합하여 설립하려 했으나 결국은 한국해양연구원을 확대하는 것만으로 단독 설립하였다.[79] 부산대는 국립대이다 보니 여러가지 전형과 수 많은 과들 때문에 입결성적의 폭이 매우 크다.[80] 학부 일반학과 기준 상경계열, 사범계열, 문과계열은 160만원 선이며, 공학계열, 자연계열은 230만원 선으로 매우 저렴한 편이다.[81] 해양 및 수산 분야에 특화된 학과가 많아 관련 국가기관 및 연구원에 부경대 출신들이 다수 포진해 있다.[82] 그래도 인지도가 낮은 것에 비해 입결은 인서울 하위권 및 타 지거국 중위권과 비슷한 수준이다.[83] 백분위가 59이면 상위 41%에 해당하는 성적이다. 평균 백분위(각 과목의 백분위를 평균낸 것)와 누적 백분위(해당 학생이 실제로 상위 몇 %의 학생인지)는 엄밀히 말하면 다르기에 해당 학생이 상위 41%에 해당하는 수험생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기존 교대 입결에 비하면 터무니없이 낮은 수치인 것은 확실하다.[84] 울산의 4년제 종합대학은 울산대학교 하나뿐이고 특수대학까지 범위를 넓혀도 UNIST밖에 없다. 창원 역시 사실상 창원대학교, 경남대학교 2개뿐이고 오히려 경상남도 지역 거점국립대학인 경상국립대학교는 진주에 있다.[85] 전문계도 마찬가지. 34개.[86] 다만 이것은 김석준 교육감이 당선되기 전의 일이다.[87] 교명까지 완전히 바꾼 것은 2021년[88] 명지국제신도시 명지고등학교 부지[89] 일광신도시 일광고등학교 부지[90] 에코델타시티 고교 부지 3곳 중 1곳[91] 정관신도시 달산고등학교 부지[92] 1998년이후 공립에도 남녀합반 중학교와 남녀분반 중학교가 있었지만 현재는 몇 곳을 제외한 전부 남녀합반이다.[93]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주 소재로 다룬 영화가 2018년 개봉한 마약왕이다.[94] 사실 이런 지역들은 대한민국을 떠나 전세계 어디라도, 혼자서 돌아다니는 건 그닥 추천되지 않는다.[95] 초량교회 측에서는 한강이남 최초의 교회라고 홍보를 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 기독교 역사사적지 제 3호로 지정되었다.[96] 단 돼지국밥은 부산뿐만 아니라 경남 일대에서도 대중식이며 원조가 어딘지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므로 부산'만'의 음식은 아니라는 점을 유의하자.[97] 2019년 월드 바리스타 챔피언쉽 우승자 전주연 바리스타가 대표 이사로 있다.[98] 사투리를 쓰면 촌스럽거나 나이 들어 보인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점점 강해지고 있다.[99] 방송 출연자들이 젊은 나이에 어울리지 않게 노인들처럼 외지인들이 알아듣지 못할 정도로 사투리를 과장해서 쓰는 것은 전국적으로 나타난다. TV나 영화에서 제작진이 원하는 대로 해주다 보니 전라도 배우들조차 방송용 전라도 사투리를 구사한다. 과장은 기본이고 특정 단어들 위주로 도배를 해버리거나, 사투리의 양을 늘리기 위해 다른 지역 사투리까지 섞는 등 현지사람들이 보면 매우 어색한 연출을 한다.[100] 영화 소원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에 불과한 어린 아이들이 사투리를 심하게 써서 어색하다는 반응이 쏟아졌다.[101] 그래서 경상도 사투리를 따라한답시고 말끝마다 '~노'를 붙였다가 일베 회원으로 오해받거나, 반대로 '~노' 말투를 사용하는 경상도 사람을 보고 일베 회원으로 오해하기도 한다.[102] 참고로 중세국어를 배울 일이 있다면, 서로 연동해서 이해가능하다. 중세국어의 의문사가 마찬가지로 '~ㄴ가?' 와 '~ㄴ고?'로 나누어지는데 이 중세국어의 영향이 동남 방언에 그대로 남은 것이다.[103] 우야노, 어떡하노도 자주 쓴다.[104] 수도권, 충청도, 전라도 같은 서부 지역들[105] 강원도 영동과 가까운 계통이다. 대신 강원도태백산맥에 가로막힌 영동만이 동부 계열 사투리를 쓰고 경기도, 충청도와 지리적 장벽이 없는 영서는 수도권과 차이가 없지만 경상도는 지역 전체가 소백산맥에 막혀있어 전라도, 충청도와 인접한 지역이여도 도계를 따라 언어가 칼 같이 나뉜다. 그리고 그 경상도 안에서도 태백산맥이 있어 동서가 나뉜다.[106] 특히 부울경 출신이 더더욱 그렇다.[107] 그래서 사투리 교정을 위한 스피치 학원에는 경상도 사람들이 절대다수를 차지한다. 강호동, 이경규, 김광규 등은 TV에 나와도 억양을 못 고친다.[108] 예를 들면 사상구 전 지역, 당감동, 부암동[109] 예시: 밥 뭐 먹을겨?[110] 마찬가지로 경상도 출신이 많이 거주하는 대전 일부 지역에서는 "졸리다"라는 표현과 경상도 지역 표현인 "잠온다"가 병존하기도 한다. 예시: 아 오늘따라 왜 이렇게 잠오냐(졸리냐)~ 진짜 왜 이렇게 졸린 거지(잠오지)?[111] 동래구, 금정구 일대 같은 내륙 지역의 경우는 부산에 고층 건물이 많지 않던 1980년대 중반~1990년대 초반까지도 부스터를 이용하면 일본 TV방송 수신이 가능했다는 이야기도 있으나, 1990년대 이후 부산에도 고층건물이 많이 생겨나면서 전파방해가 되는 바람에 1990년대 중후반 이후로는 해안 지역이나 그 인근 정도만이 지상파로 일본 TV방송 수신이 가능했었다고 한다. 그 외에도 1990년대 후반까지 지역 중계유선방송 사업자들이 일본 TV 방송 전파를 잡아서 암암리에 유선으로 송출를 해주다보니 유선방송을 통해 내륙지역에서도 볼 수 있는 경우가 있었다.[112] VHF 기준으로 채널 1 - 규슈 아사히 방송(테레비 아사히 계열), 3 - NHK 종합, 4 - RKB마이니치 방송(TBS 계열), 5 - 나가사키 방송(TBS 계열, 일부 닛폰 테레비 프로그램 방송), 6 - NHK 교육 등의 채널을 시청할 수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13] 채널 9였던 후지 TV 계열의 TV 니시니혼은 1964년 말 부산동양TV(당시 채널 9)의 개국과 함께 시청이 불가능해졌다.[114] 다만 ch 1 ~ 3/ 4, 12는 CATV 95 ~ 97/22, 23 ch의 주파수와 같아서 일반/유선 겸용 수상기가 아니라면 수신이 어렵다. 거기다가 한국이 종합유선방송을 시작한 게 1995년이었고, 그 전에도 일반/유선 겸용 수상기가 소수 있었다. 2번부터 36번까지, 95번부터 99번까지 있었지만 해당 수상기들은 일본 내수용 수상기의 MCU에 M방식 VHF-Low 채널(2 - 6CH, 52 - 88MHz)을 추가하여 수정한 듯하다. 실제 당시 일본 내수용 수상기의 CATV대역이 1 - C35이며 주파수는 90 - 300MHz. M방식 VHF-Low대역을 제외한 채널의 주파수가 동일하다. 1980년대엔 미세 조정 다이얼이 있던 모델로는 시청이 가능했을 듯. 아니면 미국 수출형/내수용 TV를 구해 CATV로 채널 검색을 하면 되었다. 그것도 아니면 현지에서 VCR을 구해와서 TV에 컴포지트로 연결하여 수신할 수 있긴 하다.[115] 1961년 12월 2일에 개국한 서울 문화방송보다 2년 빠르다.[116] KBS-TV 방송은 부산 영도 TV 송신소가 개소한 1968년에야 이뤄졌고 1970년 부산문화TV(現 부산MBC-TV)가 개국했다. 참고로 KBS부산 TV 자체방송은 1972년에 시작했다.[117] 동양방송은 서울과 부산에만 유이하게 TV 방송을 송출했다.[118] CBS 음악FM은 2024년 현재 부산, 대구, 광주에서 방송 중이다.[119] 제2방송(1170kHz)은 부산MBC 라디오 송출 종료 이후 수신이 가능해졌다. 제1방송 중 MW 972kHz는 예전부터 수신이 가능했으나 SW 6015kHz는 북한의 방해전파 때문에 수신이 매우 어렵다.[120] 서울 1188, 제주 1566kHz[121] 부산극동방송은 황령산이 아닌 봉래산에서 송출하고 있는데 녹산 중계소에서 시험 방송 송출을 시작했을 때 언론에서 북구, 사상구 지역의 난청 해소라는 표현을 사용했다.[122] 지역에 따라 창원/울산 쪽 방송이 약한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만덕동은 창원보다 부산 방송이 수신이 잘 된다.사례 여기서 95.9는 부산MBC 표준FM, 98.9는 MBC경남 창원 표준FM 주파수다.[123] 김해시내·대동·양산 동면·물금 일부에서도 수신된다.[124] 양산 덕계·평산, 울주 서생에서도 수신된다.[125] 지상파 3사의 음악방송인 KBS 1FMMBC FM4U가 해당되며 종교방송은 기장에 중계소를 두고 있지 않다.[126] 라디오 중계소는 부산MBC 표준FM 106.5MHz를 제외하고 2010년대에 설치되었다.[127] 아날로그 방송 시절에는 수신기 및 안테나 성능이 지금보다 낮았고, 디지털 전환 이후에는 UHF 전파 특성상 VHF 대역의 FM 라디오보다 지형에 더 민감하다.[128] 단 MBC경남 진주 표준FM(91.1)은 옆 주파수(90.9)에 KNN 러브FM 창원 중계소가 개설된 이후로 수신이 어려워졌다.[129] 강서구, 북구, 사상구 일부[130] 낙동강 방어선이 부산으로 피난한 대한민국 정부를 지키기 위해 형성된 전선이었다는 것은 6.25를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아는 사실. 따라서 부산은 대구광역시, 제주도와 더불어 조선인민군에게 점령당하지 않고 대한민국의 영토였기만 했던 주요 도시 중 하나다.[131] 2010년에 M18A1 클레이모어 7발이 발견되었다.[132] 현재 그 자리에는 대연 푸르지오 아파트(2005년 입주)와 부산의 혁신도시 사업 중 하나인 대연 힐스테이트 푸르지오 아파트(2013년 입주)가 생겼다.[133] 2000년 부대 해체.[134] 미군부대이기 이전엔 일본군 둔영이었으며, 부산이 임시수도일 당시 UN사와 관련한 시설, 포로수용소도 이곳에 있었다. 정전 이후 미군이 본격적으로 주둔하면서 1937년부터 2010년 까지 타국의 군대가 주둔해 있었으며, 이 땅이 일본 소유로 넘어간 것이 1910년이니 딱 100년만에 대한민국 시민이 자유롭게 출입해도 되게 되었다.[135] 평지로 내려오면 바로 장유동이고, 이곳에서 시외버스 김해장유-부산서부를 타고 가면 바로 서부산이다.[136] 중앙동, 동광동, 대청동, 보수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 영주제1동, 영주제2동[137] 영주동, 대창동1·2가, 중앙동1가~7가, 동광동1가~5가, 대청동1가~4가, 보수동1가~3가, 부평동1가~4가, 신창동1가~4가, 창선동1·2가, 광복동1가~3가, 남포동1가~6가[226][138] 동대신제1동, 동대신제2동, 동대신제3동, 서대신제1동, 서대신제3동, 서대신제4동, 부민동, 아미동, 초장동, 충무동, 남부민제1동, 남부민제2동, 암남동[139] 동대신동1가~3가, 서대신동1가~3가, 부용동1·2가, 부민동1~3가, 토성동1가~5가[227], 아미동1·2가, 초장동[228], 충무동1가~3가[229], 남부민동, 암남동[140] 초량제1동, 초량제2동, 초량제3동, 초량제6동, 수정제1동, 수정제2동. 수정제4동, 수정제5동, 좌천동, 범일제1동, 범일제2동, 범일제5동[141] 초량동[230], 수정동, 좌천동, 범일동[142] 남항동, 영선제1동, 영선제2동, 신선동, 봉래제1동, 봉래제2동, 청학제1동, 청학제2동, 동삼제1동, 동삼제2동, 동삼제3동[143] 대교동1·2가, 대평동1·2가, 남항동1가~3가, 영선동1가~4가, 신선동1가~3가, 봉래동1가~5가, 청학동, 동삼동[144] 부전제1동, 부전제2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제1동, 양정제2동, 전포제1동, 전포제2동, 부암제1동, 부암제3동, 당감제1동, 당감제2동, 당감제4동, 가야제1동, 가야제2동, 개금제1동, 개금제2동, 개금제3동, 범천제1동, 범천제2동[145] 양정동, 전포동, 부전동, 범천동, 범전동, 연지동, 초읍동, 부암동, 당감동, 가야동, 개금동[146] 수민동, 복산동, 명륜동, 온천제1동, 온천제2동, 온천제3동, 사직제1동, 사직제2동, 사직제3동, 안락제1동, 안락제2동, 명장제1동, 명장제2동[147] 명장동, 안락동, 칠산동, 낙민동, 복천동, 수안동, 명륜동, 온천동, 사직동[148] 대연제1동, 대연제3동, 대연제4동, 대연제5동, 대연제6동, 용호제1동, 용호제2동, 용호제3동, 용호제4동, 용당동, 감만제1동, 감만제2동, 우암동, 문현제1동, 문현제2동, 문현제3동, 문현제4동[149] 대연동, 용호동, 용당동, 문현동, 우암동, 감만동 [231][150] 구포제1동, 구포제2동, 구포제3동, 금곡동, 화명제1동, 화명제2동, 화명제3동, 덕천제1동, 덕천제2동, 덕천제3동, 만덕제1동, 만덕제2동, 만덕제3동[151] 금곡동, 화명동, 만덕동, 덕천동, 구포동[152] 우제1동, 우제2동, 우제3동, 중제1동, 중제2동, 좌제1동, 좌제2동, 좌제3동, 좌제4동, 송정동, 반여제1동, 반여제2동, 반여제3동, 반여제4동, 반송제1동, 반송제2동, 재송제1동, 재송제2동[153] 반송동, 석대동, 반여동, 재송동, 우동, 중동, 좌동, 송정동[154] 괴정제1동, 괴정제2동, 괴정제3동, 괴정제4동, 당리동, 하단제1동, 하단제2동, 신평제1동, 신평제2동, 장림제1동, 장림제2동, 다대제1동, 다대제2동, 구평동, 감천제1동, 감천제2동[155] 괴정동, 당리동, 하단동, 신평동, 장림동, 다대동, 구평동, 감천동 [232][156] 서제1동, 서제2동, 서제3동, 금사회동동, 부곡제1동, 부곡제2동, 부곡제3동, 부곡제4동, 장전제1동, 장전제2동, 선두구동, 청룡노포동, 남산동, 구서제1동, 구서제2동, 금성동[157] 두구동, 노포동, 청룡동, 남산동, 선동, 오륜동, 장전동, 구서동, 부곡동, 서동, 금사동, 회동동, 금성동[158] 대저1동, 대저2동, 강동동,명지1동, 명지2동, 가락동, 녹산동, 가덕도동[159] 대저1동, 대저2동, 강동동, 명지동, 죽림동, 식만동, 죽동동, 봉림동, 송정동, 화전동, 녹산동, 생곡동, 구랑동, 지사동, 미음동, 범방동, 신호동, 동선동, 성북동, 눌차동, 천성동, 대항동[시청] 시청 소재지[161] 거제제1동, 거제제2동, 거제제3동, 거제제4동, 연산제1동, 연산제2동, 연산제3동, 연산제4동, 연산제5동, 연산제6동, 연산제8동, 연산제9동[162] 거제동, 연산동[163] 남천제1동, 남천제2동, 수영동, 망미제1동, 망미제2동, 광안제1동, 광안제2동, 광안제3동, 광안제4동, 민락동[164] 망미동, 수영동, 민락동, 광안동, 남천동[165] 삼락동, 모라제1동, 모라제3동, 덕포제1동, 덕포제2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제1동, 주례제2동, 주례제3동, 학장동, 엄궁동[166]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233][167] 기장읍, 장안읍, 정관읍, 일광읍[168] 철마면[169] 동부리, 교리, 신천리, 죽성리, 서부리, 대라리, 청강리, 대변리, 연화리, 만화리, 석산리, 당사리, 시랑리, 내리(이상 기장읍), 좌천리, 효암리, 고리, 좌동리, 장안리, 덕선리, 용소리, 기룡리, 명례리, 월내리, 반룡리, 임랑리, 오리, 길천리(이상 장안읍), 방곡리, 매학리, 임곡리, 월평리, 달산리, 병산리, 모전리, 용수리, 두명리, 예림리(이상 정관읍), 삼성리, 이천리, 학리, 동백리, 문중리, 신평리, 칠암리, 문동리, 청광리, 원리, 화전리, 횡계리, 용천리(이상 일광읍), 와여리, 장전리, 백길리, 송정리, 웅천리, 연구리, 구칠리, 이곡리, 고촌리, 안평리, 임기리(이상 철마면)[170] 구·군 및 휘하 행정 읍·면·동[171] 괴정제1동~괴정제3동, 하단동, 신평동, 장림동, 다대동, 구평동, 감천제1동, 감천제2동[172] 범일제2동과 범일제5동에 분할 편입[173] 대연제1동, 대연제2동, 문현제1동, 문현제2동, 우암동, 감만동, 용당동, 용호동, 남천동[174] 모라동, 삼락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175] 금성동, 금곡동, 화명동, 만덕동, 덕천동, 구포동[176] 수영동, 광안동, 민락동[177] +범천제3동[178] 우제1동, 우제2동, 좌동, 중제1동, 중제2동, 송정동[179] 재송동, 반여제1동, 반여제2동, 반송제1동, 반송제2동, 석대동[180] 재송동, 반여제1동, 반여제2동, 반송제1동, 반송제2동, 석대동[181] 금성동은 동래구로 이관[182] 북정리·상덕리·제도리·대사리[183] 대저1동, 대저2동, 강동동, 명지동[184] 서제1~4동, 금사동, 부곡제1~3동, 오륜동, 장전제1~3동, 구서제1동, 구서제2동, 금성동, 남산동, 청용동, 노포동, 선동, 두구동[휘하] 휘하 법정리는 각각 법정동으로 전환[휘하] [187] 거제제1동, 거제제2동, 거제제3동, 거제제4동[188] 연산제1동, 연산제2동, 연산제3동, 연산제4동, 연산제5동, 연산제6동, 연산제7동, 연산제8동, 연산제9동[189] 광안제1동, 광안제2동, 광안제3동, 광안제4동, 망미제1동, 망미제2동, 수영동, 민락동[190] 남천제1동, 남천제2동[191] 모라제1동, 모라제2동, 모라제3동, 삼락동, 덕포제1동, 덕포제2동, 괘법동, 감전제1동, 감전제2동, 주례제1동, 주례제2동, 주례제3동, 학장동, 엄궁동[192] 1914년 동래군 폐합 이후 81년만에 복군[193] 기장읍, 장안읍, 정관면, 일광면, 철마면[194] 舊 봉래제2동(일자 미상~1998.09.30)과는 관계없음.[195] 센텀시티 일대 지번 조정[196] 명칭 변경이 된 경우는 명칭 변경 전의 행정동의 연도도 포함하며, 각주로 [명] 이라 표시한다. 분동으로 폐지된 경우(예시: 반송동→반송제1동, 반송제2동)는 제외한다.[197] 동구 소속[198] 남구 소속[199] 부산진구 소속[200] 남구 소속[201] 현 문현제4동 中 대략 대림시티프라자-벽산한성기린아파트 연결선의 서쪽 지역[202] 아래의 문현제5동 지역임[명] [명] [205] http://imnews.imbc.com/replay/2019/nwdesk/article/5591731_24634.html[206] 대표적인 영화는 친구, 범죄와의 전쟁 등, 대표적인 드라마는 피아노, 해운대 연인들 등, 대표적인 뮤직비디오는 쥬얼리 - Passion, SG워너비 - Timeless 등이 있다.[207] 부산 지역 올 로케이션.[208] 부산지역 올 로케이션.[209] 부산 지역 올 로케이션.[210] 부산지역 부분 로케이션.[211] 부산 지역 올 로케이션.[212] 대표적인 예로 벡스코 앞 APEC로 전면 통제, 해운대 신도시 심야 촬영, 구 자성대 고가도로 전면 통제, 오륜터널 전면 통제 등이 있다.[213] 대표적인 예로 요트 경기장 야외 세트장 폭파, 서면 총격전, 명지오션시티와 르노삼성대로 추격, 총격전, 폭파.[214] 코모도호텔, 부산타워, 자갈치시장 등 실제 장소들이 등장한다.[215] 다만 일부 장면만 부산에서 촬영했고 다수의 장면은 부산 광복동과 분위기가 비슷한 인천 신포동에서 촬영했다.[216] 민속촌 등등[217] 이 웹툰 때문에 경상도권 사람이 아닌데도 사투리가 옮아버린 사람이 많다고..[218] 아쿠아리움 스토리 한정.[219] 당시 자매도시는 타이베이다. 타이베이를 한국의 동남권만 따진다면 이 도시와 거의 일치한다.[220] 부산과 오사카 비교 문서가 있을 정도로 비슷한 면이 많다.[221] 주한영국대사관에서 체결 협정에 대해 개입했다. 거친 성격, 억센 사투리, 스포츠(영: 축구, 한: 야구)에 열광적인 팬덤 보유, 조선업이 쇠퇴한 항구 도시이고, 관광이 주력이고, 세계적인 뮤지션(영: 비틀즈, 한: 방탄소년단)을 배출한 등 비슷한 면이 있기 때문이다.[222] 주된 내용이 부산을 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기 때문에 최종 목적지로 후반부 등장할 것으로 보였으나 등장하지 않았다.[223] 그러나 영화의 원작인 네이버 웹툰 신과함께는 부산을 배경으로 하지 않는다.[224] 현재는 부산외대가 남산동 신캠퍼스로 이전하면서 텅 비어 있는 상태다.[225] 현 부산항 연안여객터미널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27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26] 남포동4~6가는 원래 충무동1~3가였음.[227] 舊초장동1·2가가 토성동4·5가로 개칭[228] 舊초장동3가[229] 舊충무동4가가 충무동1가로, 舊완월동1·2가가 충무동2·3가로 개칭(충무동5가는 남부민동에 흡수)[230] 舊대창동3가 흡수[231] 이 외에 적기1~5가가 있었으나 그 관할구역은 우암동, 문현동, 대연동 등지에 분할되어 말소됨.[232] 홍치동이라는 법정동 또한 존재하였으나, 사라진 시기를 알 수 없음.[233] 과거 사상면 시절에는 유두리라는 법정리도 존재하였으나, 홍치동과 마찬가지로 사라진 시기를 알 수 없음.[명] 명칭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