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삼육서울병원 심볼.svg 삼육부산병원 관련 틀 | ||||||||||||||||||||||||||||||||||||||||||||||||||||||||||||||||||||||||||||||||||||||||||||||||||||||||||||||||||||||||||||||||||||||||||||||||||
|
<colbgcolor=#004c97><colcolor=#fff> 삼육부산병원 三育釜山病院 Sahmyook Busan Adventist Hospital | |
가장 치료받고 싶은 병원, 삼육부산병원 | |
국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개원 | 1951년 3월 15일 서울위생병원 부산분원 1955년 부산위생병원 2015년 1월 1일 삼육부산병원 (개원 [age(1951-03-15)]주년) |
분류 | 종합병원 |
재단 | 학교법인 삼육학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유지재단 |
병상 | 304병상[1] +100병상(예정) |
설립자 | 류제한(Dr. George H. Rue)[2] |
병원장 | 최명섭 |
위치 | 부산광역시 서구 대티로 170 (서대신동2가) |
전화번호 | 1566-3675 |
웹사이트 | 삼육부산병원 공식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삼육부산병원 공식 홍보영상 |
삼육부산병원은 부산광역시 서구 대티로 170 (서대신동2가)에 위치한 재림교회 계열 종합병원이다. 6.25 전쟁 중 이승만 대통령의 요청으로 설립된 서울위생병원 부산분원으로 시작하여 부산위생병원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 삼육대학교, 삼육보건대학교와 협력 관계에 있다. 2022년 지역응급의료기관평가에서 부산 1위, 전국 3위를 차지하였다. 일요일에도 정상 진료하며, 입원병실 기준 304병상을 운영하고 있고 신관 신축을 통해 약 400병상 규모로의 중견급 종합병원으로의 확장을 앞두고 있다.
2. 여담
특히 부산에서 내과관련 진료가 유명하다. 예전에는 산부인과, 소아과등으로 매우 유명했던 병원이지만 요즘은 지역 인구수도 줄고 출산율이나 영유아 연령 인구비율도 줄어든지라 수요문제로 상대적으로 예전만큼 유명하진 않다.상당히 역사가 오래된 병원이고 대티고개에 위치한 만큼 부지확장이 쉽지 않은지라 종합병원치곤 병상이 그리 많지는 않은데다 건물구조가 마치 요새나 미로같은 느낌을 주는 특색이 있다. 한번 리모델링을 했지만 구조자체가 고개언덕에 건물이 박혀있는 형태라 입구의 높낮이 차이가 나는 등 꽤 복잡한 편. 위치 특성상 병원확장이 쉽지 않다보니 일부 행정실이나 병원재단 교회등 일부 부대시설은 병원단지 외부인 근처 아파트 단지의 상가에 들여놨다.
재림교회계열 재단이 기반인 삼육병원 특성상 토요일을 쉬는 대신 일요일 진료를 보는지라 휴일 의료공백을 메워준다는 장점은 부산분원인 이곳도 건재하다. 위치는 서구 산동네 외지같은 한적한 동네이지만 일요일은 진료환자로 북적여서 주차난을 일으킨다. 지하철역, 버스역이 코앞이니 거동이 불편한 질환이 아니라면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하도록 하자. 주변약국 역시도 병원에 맞춰서 열고 닫기 때문에 인근 지역주민들은 약국 이용시 주말약국같은거 파악할 필요도 없이 토요일은 삼육병원 외곽으로, 일요일은 삼육병원 근처로 오가면 되는 구조.
3. 진료시간
일요일 : 08:30~17:30 정상 진료월~목요일 : 08:30~17:30 정상 진료
금요일 : 08:30~12:30 오전 진료
토요일 : 휴무
4. 진료과목
- 소화기내과
- 순환기내과
- 호흡기내과
- 신장내과
- 내분비내과
- 소아청소년과
- 신경과
- 가정의학과
- 외과
- 정형외과
- 신경외과
- 산부인과
- 치과
- 비뇨의학과
- 안과
- 이비인후과
- 병리과
- 영상의학과
- 마취통증의학과
- 진단검사의학과
- 재활의학과
- 직업환경의학과
- 응급의학과
5. 교통
5.1. 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삼육부산병원(02034) ||
일반 | |
마을 | [3] |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서대신역(02036·02040·02041·02190) ||
일반 | [4] [5] [6] [7] [8] |
마을 |
5.2. 도시철도
6. 출신 인물
7. 사건사고
자세한 내용은 남천동 현충일 욱일기 게양 사건 문서의 기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4.07. 입원병실 기준[2] 제 1대 병원장, 이승만 전 대통령 주치의, 대한민국 문화훈장,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명예의학박사, 중앙대학교 명예법학박사[3] 구덕운동장 방향만 경유[4] 엄궁동 방향만 경유[5] 청강리 방향만 경유[6] 고신대 방향만 경유[7] 연제공용차고지 방향만 경유[8] 동서대 방향만 경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