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기장군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남구 | 부산가톨릭의료원 부산성모병원 | |
동구 | 봉생병원, 일신기독병원, 좋은문화병원 | |
동래구 | 대동병원, 동래봉생병원, 광혜병원 | |
부산진구 |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온종합병원, 동의병원, 춘해병원 | |
북구 | 부산부민병원, 구포성심병원 | |
사상구 |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부산보훈병원, 좋은삼선병원 | |
서구 | 부산대학교병원, 동아대학교병원, 고신대학교복음병원, 삼육부산병원 | |
수영구 | 좋은강안병원, BHS한서병원, 센텀종합병원 | |
연제구 | 부산광역시의료원 | |
영도구 | 해동병원, 영도병원 | |
중구 | 부산가톨릭의료원 메리놀병원 | |
해운대구 |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해운대부민병원 | |
부산·울산·경남지역의 상급종합병원 | ||
2023년 12월 자료 기준 | }}} |
한국원자력의학원 동남권원자력의학원 東南圈原子力醫學院 Dongnam Institute of Radiological & Medical Sciences (DIRAMS Cancer Center) | |
| |
국가 |
|
개원 | 2010년 7월 16일 |
주소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동길 40 (좌동리) |
종류 | 종합병원 |
병상 수 | 225병상 |
웹사이트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홈페이지 | |
1. 개요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동리에 위치한 방사선 의학 연구를 하는 연구단지 및 진료 중심 병원이다.이 중 원자력병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에 있기 때문에 보훈병원과 마찬가지로 일종의 공공병원이다.
2. 개설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은「방사선 및 방사성 동위 원소 이용 진흥법」에 근거하여 설립되었으며, 한국원자력의학원 정관에 따라 분원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 한국원자력의학원의 정관에 따라 내부적으로는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을 '분원'이라고 칭하고 있으나, 기획재정부와 조세재정연구원이 발간하는 공공기관 현황편람[1]에 근거하면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은 '부설기관'이다. 기획재정부가 관리하는 정원과 예산의 관점에서 모기관으로부터 독립적이기 때문이다.동남권원자력의학원은 방사선 의학을 중심으로 지역적 특성에 적합한 연구 분야의 경쟁력을 키우는 한편, 수도권으로의 암 환자의 유출을 막고 향후에는 타 지역 및 해외 환자들이 우수한 의료 서비스가 갖춰진 부산을 찾도록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은 본원인 한국원자력의학원이 축적해 온 40여 년 간의 암 치료 경험과 연구 성과들을 기반으로 암 진단과 최신 치료법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3. 설립 목적
방사선의 의학적 이용에 대한 연구, 동남권 지역 주민의 의료 서비스 향상과 방사선 비상 진료[2]에 대한 업무 수행을 위해 설립되었다.서울에 소재한 원자력병원과 마찬가지로 방사선을 이용한 치료, 특히 항암치료에 특화된 곳이다. 수도권 등지에서 수술 후 여기서 항암치료를 받기도 한다. 여기가 부산에서도 상당히 외곽에 있다 한들, 서울까지 가는 것에 비하면 당연히 훨씬 가깝기 때문이다.
암 분야에 특화된 병원이지만 일반적인 외래 진료 및 응급실 내원도 가능하다. 다만 인력과 인프라의 문제로 아직까지는 제한적이다. #
4. 변천사
원자력에 대한 수용성 확대 및 지역 균형발전의 일환으로 2003년부터 추진되었다. 2004년 8월에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했고, 2006년 3월에 기공한 후 2010년 4월에 준공되었으며, 2010년 7월 16일자로 정식 개원하였다.5. 현황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의 주요 조직으로는 병원, 연구센터, 방사선 비상 진료센터, 기획부, 행정부 등이 있다. 병원에는 18개의 진료과, 7개의 암 센터, 암 예방 건강증진센터, 간호부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연구센터는 임상 연구실, 실험 방사선 연구실, 방사선 의학 물리 연구실, 방사선 안전 관리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또한 이 병원을 시작으로 2027년 하반기에는 기장 중입자 치료센터가 준공될 예정이며, 서울대학교병원이 운영한다. 또한 바로 옆 부지에는 동남권 방사선의과학산업단지를 건설 중이다.[3]
6. 진료과
- 소화기내과
- 호흡기내과
- 혈액종양내과
- 심장내과
- 신장내과
- 내분비내과
- 위장관외과
- 간담췌외과
- 대장항문외과
- 유방질환외과
- 정형외과
- 신경외과
- 심장혈관·흉부외과
- 산부인과
- 이비인후과
- 비뇨의학과
- 방사선종양학과
- 소아청소년과
- 정신건강의학과
- 마취통증의학과
- 영상의학과
- 핵의학과
- 진단검사의학과
- 병리과
- 응급의학과
- 가정의학과
- 재활의학과
- 심뇌혈관센터
7. 여담
- 신세계, 해운대 연인들 등 각종 영화와 드라마 촬영을 여기서 했다. 병원 곳곳에 촬영지 사진이 붙여져 있으니 찾아보는 것도 좋다.
- 일반적인 타 종합병원과는 다르게 주차장이 무료로 운영되고 있다. 위치 여건상 자차가 반강제되는지라 내놓은 방침인 것으로 보인다.[4] 대신 셔틀버스가 없다. 이 때문에 과거에는 차량이 없으면 병원 이용의 난이도가 상당했으나, 그나마 동해선 개통으로 인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확연히 좋아진 편이다.
- 이 의학원이 건설될 때 여러 난관이 있기도 했다. #1 #2
- 병원의 위치와 대학병원 대비 상대적으로 적은 이용객 수, 국립 병원이라는 특성 등으로 인해 병원 내 식당이 한 곳 밖에 없다. 문제는 해당 식당이 가격이 싼 것도, 음식이 맛있는 것도 아니며 무엇보다 직원이 너무 불친절하다는 점이다. 그나마 차량이 있다면 주차비가 무료인 점을 이용해 외부 식당을 다녀올 수는 있다. 그러나 제대로 된 상점가를 가겠다고 하면 정관신도시나 일광신도시까지는 가야 된다.[5]
8. 대중교통
동해선 좌천역이 핵심 교통수단이다. 여기에 내리면 거의 모든 노선들이 동남권원자력병원으로 간다. 셔틀버스가 없긴 하지만 환승할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교통비에서 딱히 손해보는 건 없다. 단 좌천역의 경우 양방향이 같은 정류장에 들어오기 때문에 기사님께 물어보고 탑승하는 것이 좋다.8.1. 버스
| ||||||
{{{#000,#e5e5e5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급행 | 3008 | ||||
일반 | 37 | 182 | 187 | 188 | 302 | |
마을 | 기장3 | 기장8-1 | 기장8 | 기장9 | 기장10 |
- 정관 방면 버스는 원자력의학원 내부를 경유하여 유턴한 후 좌동삼거리 방향으로 이동한다.
8.2. 철도
좌천역에서 동남권원자력의학원까지는 버스로 약 5분, 도보로는 약 20분 정도가 소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