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8 15:49:34

부산 버스 182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39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기장군버스|
기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번 ~ 99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3 5-1 6 7 8
9 10 11 15 16 17
20 22 23 24 26 27
29 30 31 33 33-1 36[A]
37[A] 38[A] 39 40 41 42
43 44 46 49 50[A] 51
52 54 55[A]
55-1[C]
55-2 57
58[A] 58-2 59 61 62 63
67 68 70 71 73[B] 77
80 81 82 83
83-1[A]
85
86 87 88 88-1 90 96
96-1[A]
99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00번 ~ 583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00 100-1 101 103 105 106
107 108 110 110-1 111 111-1
113 115[A] 115-1 121 122[B] 123
124[A] 126 127 128-1 129-1 131
133 134 138 138-1 139 141
144 148 148-1 155 160 161
167 168 169 169-1 171 179
180[A] 181 182[A] 183[A] 184[A] 185[A]
186[A] 187[A] 188[A] 189 189-1 190
200 210 300[A] 301[A] 302[A] 307[A]
338 506 508 520[B] 583[A]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aaa><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기장군버스|
기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5 30 51
58-1[a]
58-2 106
141[a]
182
183[a]
508
1000[a]
1001
1002[a]
1003[a]
1004[a]
1008
[a] 주간노선과 심야노선의 경로에 차이가 있는 노선
}}}}}}}}} ||
파일:부산182(1).jpg
파일:부산 버스 182_5733.jpg
부산여객 차량 부일여객 차량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
3.1. 구.182번3.2. 구.1006번
4. 특징
4.1. 연간 일평균 승차량4.2. 노선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밑줄 처리 된 구간은 양방향 같은 정류소를 경유하므로 행선지를 잘 살펴 봐야 한다.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82번
기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청강리공영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모전리(모전초등학교)
종점
첫차 05:00 기점
첫차 06:55
막차 22:00 막차 23:50
평일배차 출퇴근 25분 / 평시 30분 주말배차 30분
운수사명 부산여객 / 부일여객 인가대수 8대[1]
노선 청강리공영차고지 - (→ 내리 → 동해선 송정역송정터널부흥고.해운대백병원 → 화목아파트 → 좌동재래시장 → 해운대문화회관 → 장산역 → 벽산아파트 → 부흥고.해운대백병원송정터널동해선송정역 → 내리 → 청강리공영차고지입구 →) - 기장읍행정복지센터.기장119안전센터 - 기장시장 - 교리입구 - 기장경찰서 - 일광해수욕장입구 - 동해선일광역 - 횡계 - 청광.아시아드컨트리클럽 - 동해선 좌천역 - 장안제일고등학교 - 원자력의학원 - 부산프리미엄아울렛 - 기장구조대 - 강변마을 - 달산초등학교 - 정관읍행정복지센터.기장소방서 - 한진해모로 - 정관초등학교.정관중학교 - 평전마을 - 신정초등학교 - 현진에버빌 → 부산해마루학교 → 모전초등학교 → 모전마을 → 현진에버빌 → 이후 역순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18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Busan 182 map.png
기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청강리공영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모전리(모전초등학교)
종점행 첫차 22:45 기점행 첫차 00:35
막차 22:45 막차 00:35
배차간격 1일 1회
운수사명 부산여객 / 부일여객 인가대수 1대[2]
노선 주간 노선과 동일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입석/심야)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68.9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

  • 2012년 5월 30일 구.1006번이 입석으로 일반버스로 형간전환되어 신설되었다. 당시 운행회사는 기존에 1006번을 운행하던 일광여객, 해동여객이었다. 다만 구.1006번과 달리 해운대까지 가지 않고 청강리로 단축되어 원자력의학원에서 해운대로 이어주는 노선이 아예 사라지게 되면서 지역 주민들과 원자력의학원 직원, 방문객들의 불편 때문에 의학원 측에서도 곤란하다는 의견을 표명했다.
  • 2012년 11월 17일 기존 승객들의 민원에 따라 정관 방향 운행 시 장산역까지 갔다가 돌아나오는 것으로 조정되어 해운대 - 원자력의학원 노선은 다시 생겨나게 되었으며, 차량도 6대에서 8대로 2대 증차되었고 운수업체도 부산여객부일여객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반대 방향으로는 여전히 청강리에서 끊겨있는 탓에 반쪽짜리 노선이 되어버렸다.
  • 정관신도시 구간이 순환코스로 양방향 운행하는지라 정관읍사무소 기장소방서를 4회 왕복하게 되어 노선이 기이한 점이 있었는데 2014년 12월 27일 정관신도시 구간의 노선이 조정되어서 37번의 노선경로로 운행되며 모전리 이지더원아파트를 단방향 순환하여 회차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3.1. 구.182번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부산 버스 182.jpg
  • 182번 1기 노선은 185번 1기 노선과 함께 시대를 한참 잘못 타고 태어난 노선이였다. 무료환승제 시행은 2006년에 도입이 되었는데 이 노선이 개통한 2002년 당시에는 환승할인제도 자체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렇다보니 시내를 연결하는 구.142번과 구.239번만 이용할 뿐 이 노선을 이용하는 승객은 적었다.
  • 2002년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이 개통되면서 기장읍 ~ 장산역 간의 환승연계를 위해 기장 - 기장읍사무소 - 내리 - 송정 - 남좌동 - 해운대 - 벡스코>센텀시티역을 운행했고, 당시 운수회사는 해동여객, 당시 배차간격은 27분이었다. 허나 당시엔 센텀시티가 개발 중이었고 중복노선이 많을 뿐더러 배차간격이 길다보니 수요가 저조했다.
  • 2004년, 북좌동 경유, 벡스코 회차 조정 등의 노선 변경을 하였지만 계속된 적자 운행으로 차량 대수를 감차해 1대로 운행했다.
  • 2005년, 누적되는 적자를 감당하지 못하고 181번의 폭발적인 주말 수요 대응을 위해 기장 - 대변 - 용궁사 - 송정해수욕장으로 노선이 변경되었다.
  • 거듭되는 적자로 결국 2007년 1월 1일에 폐선되었으며 2007년 5월 15일 준공영제 개편 때 181번이 남좌동에서 북좌동으로 노선이 변경되어 해당 노선을 조금 대체하고 있다.

3.2. 구.1006번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부산1006(구).jpg
파일:external/cafefiles.naver.net/dscf0291_hispace04.jpg
  • 이 노선의 전신이며, 현재 운행중인 1006번과는 관련이 없다. 2009년 2월 9일에 신설되어 2012년 5월 29일까지 운행하였다. 1006번은 정관신도시의 아파트 입주가 시작되면서 37번, 73번의 증차 이후에도 계속해서 늘어나는 인구와 입주민들의 교통불편이 가중되자 부산시에서 2009년 2월 9일에 일광여객, 부산여객에서 각각 3대씩 차량을 빼와서 차량 6대, 배차간격 25-30분으로 개통시켰다. 그리고 2009년 3월에 부일여객, 해동여객이 각각 1대씩 이 노선에 배차를 참여하면서 일광여객 1대, 부산여객 1대가 타 노선으로 이동을 했다. 그리고 2011년 4월 1일에는 부산 시내버스 21대 감차로 인하여 부산여객 차량 1대가 감차,(두 번째 사진 BS106) 면허 소멸이 되자 일광여객에서 차량 1대를 빼와서 이 노선에 투입을 하였다.
  • 당시엔 정관산업로 개통 이전이라서 좌천~화전리 구간은 기장대로를 이용했고 기장읍을 지나 해운대까지 운행하는 식으로 개통되었다.
  • 노선 신설은 반가웠지만, 기장경찰서~기장대로(14번 국도)~좌천사거리 순으로 직행하지 않고 기장경찰서~일광해수욕장입구~이화로 순으로 돌아가는 굴곡적인 선형과 기장읍내를 들쑤시는 형태로 인하여 이 노선이 불만족스럽다는 반응이 대다수였고 정관신도시 주민들은 여전히 37번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했었다. 그래도 몇 없는 노선 중에 하나라 점점 수요가 늘기 시작했고, 기장 - 해운대 분산수요도 생기며 심야운행이 추가되는 등 노선이 점차 안정기에 접어드나 싶었지만...
  • 2009년 10월쯤에 정관 - 회동동 간 고속화도로인 정관산업로가 개통되며 정관신도시 내에서 자동차 전용도로로 빠르게 연결하는 버스노선을 개통해달라는 목소리가 많아지며 부산시에서도 정관산업로~번영로(도시고속도로)를 이용해서 운행하는 1007번을 2009년 12월 1일에 개통시켰다.
  • 1007번이 센텀시티역에서 끊기지만 오히려 센텀시티가 해운대구 대표 번화가라서 해운대보다 갈 일이 더 많다는 점[3]에서 정관읍 주민들 대다수가 1007번으로 발길을 돌렸고 1006번은 순식간에 붕뜨게 된다.[4] 시간이 지날수록 1006번은 정관신도시에서 변변한 수요도 없이 다니게 되어 사실상 좌천, 기장~해운대 분산수요로 다니는 형국이 되었고 이후 무정차 통과하던 기장대로의 마을버스 정류소 위치에 정차시키고 기장 내에서도 정류소를 추가시키며 아예 일반 좌석버스화하게 된다. 이때만 해도 현재의 1005번 급으로 욕을 먹었다.(...) 다만 1일 대당 운송수입금은 약 36만원으로 현재 운행 중인 1000번, 1005번, 1009번, 1009-1번, 1012번보다는 나은 수준이었다.[5]
  • 2011년도 여름쯤에 부일여객, 부산여객, 일광여객이 철수하고 세진여객이 단독운행할 예정이었으나 영도구의 엄청난 반발[6]로 인해 차량공수 문제가 생겨, 세진여객 단독배차가 그대로 무산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세진여객 문서에도 서술되어 있으니 참고 바람. 이후 세진여객은 현대 유니버스 7대의 출고를 전면 취소 및 반납시키고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7대를 출고하였다.(3106호, 3131호, 3144호, 3152호, 3189호, 2932호, 2933호) 현재 해당 유니버스 취소분 차량들 중 5대는 삼신교통 1002번, 나머지 2대는 부일여객 1001번에서 운행하다 대차되었다.
  • 운행 중에는 일광여객 차고지를 사용했으며[7] 야간에 운행을 마치면 일광여객을 제외한 다른 업체(부산여객, 부일여객, 해동여객)들은 당시 해운대 스펀지에서 유턴, 각 회사별 차고지로 공차회송하였다.
  • 명색이 급행버스인지라 FX116 차량을 투입 운행하던 중 2012년 5월 30일에 노선 베이스는 살려둔 채 입석으로 형간전환되었고 노선번호 또한 182번으로 변경되었다.
  • 1006번이라는 번호는 현재 신한여객에서 사용 중이며 노선은 태종대~동삼중리~75광장~부산항대교~문화회관~광안대교~올림픽교차로 환승센터(하행 센텀시티역)~해운대역(도시철도 2호선)~장산역~동해선 신해운대역이다. 1006번 2기 노선 신설 때에는 1기 노선과 겹치는 부분이 없어서 혼란이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그렇게 정했지만 연장을 거듭하면서 겹치는 구간이 일부 생기게 되었다. 현 1006번과 182번 노선은 해운대문화회관 부근에서 만난다. 물론 이는 해운대 신시가지 주민들, 특히 북좌동에서의 민원에 의해 연장된 것으로 연장 과정에서 기존 번호 재활용으로 인한 혼란은 없었는데, 182번이 정착된 지 한참 시간이 지났고, 2019년 7월 당시 1006번 2기 노선이 중동지하차도 위에서 회차한다는 걸 알게 된 뒤 장산역 연장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4. 특징

  • 환승대기시간이 60분으로 적용된다.
  • 형간전환 당시에는 급행노선일 때보다 수요가 다소 줄었는데 이는 급행노선 시절부터 정관읍사무소 기장소방서를 무려 4번이나 왕복 경유하는 정관읍 구내의 굴곡 구간이 여전히 유지된 점, 또 늘어난 정류소 수와 청강리발 노선들의 고질적인 운행시간 과다조정으로 인한 저속 운행이 그 원인이었다.
  • 운행한 지 1년 정도가 지나자 어느 정도 인지도가 생겨 다시 많은 승객이 이용하고 있다. 출퇴근시간에 가축수송을 하고 다니며[8], 139번해운대역 이전에 따라 노선이 변경된 이후 장산역에서 기장읍 교리까지 가장 빨리 이어주는 노선이 되면서 교리쪽 수요도 늘었다.
  • 장산역정관신도시 방향만 경유하니 여전히 불편하다는 의견이 많으며 아예 정관신도시로 기점을 바꾸고 장산역에서 회차시켜라는 의견도 상당하였다. 그래서 담당관으로 송 모씨가 있을 때 182번을 기종점을 맞바꾸고 세진여객과 부일여객이 운행하는 것으로 검토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청강리에 차고지를 두고있는 부산여객과 2015년 11월에 정관영업소에서 철수한 부일여객이 배차하고 있어 이제는 이루어질 가능성이 전혀 없다.[9]
  • 기장 - 좌천 구간을 기장대로로 직통하는 노선이며 빠르게 이어준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정관신도시(정관읍)와 기장읍을 가장 빠르게 이어주는 노선이다. 다만 배차 간격이 25분인지라 비슷한 경로의 188번[10]과 승객 선호도는 별반 차이가 없다. 하지만 2015년 이후로 188번의 배차간격이 많이 안 좋아져서 현재는 이 노선이 조금 우세한 편이다.
  • 2019년 3월 기준으로는 수요가 감소한 듯 하다. 아무래도 정관~기장 구간이 대다수 겹치는 기장8번이 구.기장12번을 흡수하면서 7대로 증차된 여파도 있다.
  • 청광마을 일대에 아시아드컨트리클럽(기장-현대차 드림 볼파크) 야구 경기장이 준공되어 이 곳에서 야구경기가 열릴 때 야구 팬들이 이 노선을 적극 애용하고 있다.
  • 2014년 12월 27일에 회차 구간이 유연하게 변경됨으로서 운행 소요 시간이 188분으로 줄어들었다. 정관읍사무소 기장소방서 정류장을 4회 씩이나 경유했을 시절에는 205분이었다.

4.1. 연간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182번 심야노선의 경우, 일부 연도의 수치가 터무니없이 높게 산출되어있어 생략했다.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2230.43
2015년 2455.00 △ 224.57
2016년 2391.00 ▽ 64.00
2017년 2421.00 △ 30.00
2018년 2558.71 △ 137.71
2019년 2450.85 ▽ 107.86

4.2.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82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정관1로
모전마을 ▼▲ 모전초등학교
정관로모전로
동일스위트3차정문 ▼
모전1길
현진에버빌후문사거리 ▼
모전로
현진에버빌 ▼▲ 현진에버빌후문사거리
정관2로
정원초등학교 ▼▲ 현진에버빌
정관로
정관신도시 롯데캐슬 ▼▲ 신정초등학교
정관3로
산막입구 ▼▲ 정관신도시 롯데캐슬
용수로
평전교 ▼▲ 평전마을
정관4로
동일스위트1차 ▼▲ 계룡리슈빌 후문
정관로
정관홈플러스 ▼▲ 한진해모로
정관5로
정관읍사무소 기장소방서 ▼▲ 신동아파밀리에 정문
용수로
덕산마을 ▼▲ 정관읍사무소 기장소방서
정관덕산길
중앙중학교 ▼▲ 덕산마을
구연방곡로
달산초등학교 ▼▲ 구연마을
정관로
▲ 부산장안고등학교
기장대로좌천로
원자력의학원 ▼▲ 좌동리교차로
좌동길
장안제일고등학교 ▼▲ 좌동리교차로
좌천로
청광.아시아드컨트리클럽 ▼▲ 좌천초등학교
기장대로
화전교차로 ▼▲ 청광.아시아드컨트리클럽
이화로
동해선일광역 ▼▲ 삼덕입구
일광로
메가마트 기장점 ▼▲ 후동입구
기장대로
교리입구 ▼▲ 기장체육관
반송로
기장도서관 ▼▲ 교리입구
차성동로
기장시장 ▼▲ 기장지구대
읍내로
기장초등학교 ▼▲ 기장시장
차성로
기장읍사무소 ▼▲ 대라리사거리
대청로
기장2주공 ▼▲ 청강사거리
기장대로
기장대로▲ 내리
해운대로
▲ 송정1단지주공
좌동로
▲ 신도시시장.아세안문화원
좌동순환로
▲ 부흥고등학교 해운대백병원
해운대로
▲ 장산역
양운로
▲ 해운대문화회관
좌동로
▲ 좌동재래시장입구
세실로
해운대로
▲ 장산역.화목아파트
좌동순환로
▲ 부흥고등학교 해운대백병원
좌동로
해운대로
▲ 브라보주유소
기장대로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182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정관1로
모전마을 ▼▲ 모전초등학교
정관로모전로
동일스위트3차정문 ▼
모전1길
현진에버빌후문사거리 ▼
모전로
현진에버빌 ▼▲ 현진에버빌후문사거리
정관2로
정원초등학교 ▼▲ 현진에버빌
정관로
정관신도시 롯데캐슬 ▼▲ 신정초등학교
정관3로
산막입구 ▼▲ 정관신도시 롯데캐슬
용수로
평전교 ▼▲ 평전마을
정관4로
동일스위트1차 ▼▲ 계룡리슈빌 후문
정관로
정관홈플러스 ▼▲ 한진해모로
정관5로
정관읍사무소 기장소방서 ▼▲ 신동아파밀리에 정문
용수로
덕산마을 ▼▲ 정관읍사무소 기장소방서
정관덕산길
중앙중학교 ▼▲ 덕산마을
구연방곡로
달산초등학교 ▼▲ 구연마을
정관로
▲ 부산장안고등학교
기장대로좌천로
원자력의학원 ▼▲ 좌동리교차로
좌동길
장안제일고등학교 ▼▲ 좌동리교차로
좌천로
청광.아시아드컨트리클럽 ▼▲ 좌천초등학교
기장대로
화전교차로 ▼▲ 청광.아시아드컨트리클럽
이화로
동해선일광역 ▼▲ 삼덕입구
일광로
메가마트 기장점 ▼▲ 후동입구
기장대로
교리입구 ▼▲ 기장체육관
반송로
기장도서관 ▼▲ 교리입구
차성동로
기장시장 ▼▲ 기장지구대
읍내로
기장초등학교 ▼▲ 기장시장
차성로
기장읍사무소 ▼▲ 대라리사거리
대청로
기장2주공 ▼▲ 청강사거리
기장대로
기장대로▲ 내리
해운대로
▲ 송정1단지주공
좌동로
▲ 신도시시장.아세안문화원
좌동순환로
▲ 부흥고등학교 해운대백병원
해운대로
▲ 장산역
양운로
▲ 해운대문화회관
좌동로
▲ 좌동재래시장입구
세실로
해운대로
▲ 장산역.화목아파트
좌동순환로
▲ 부흥고등학교 해운대백병원
좌동로
해운대로
▲ 브라보주유소
기장대로
}}}}}}}}}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정관신도시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급행 1008
일반 37 73 105 106 107
182 184 188 302
마을 기장8
기장 기장57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원자력의학원 경유 버스 노선
{{{#000,#e5e5e5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급행 1008
일반 37 182 187 188 302
마을 기장3 기장8-1 기장8 기장9
}}}}}}}}}}}} ||


[1] 부산여객 6대 / 부일여객 2대[2] 두 회사가 격일교대로 배차[3] 해운대에 있었던 스펀지가 센텀시티 상권이 급격하게 발달하자 해운대 신시가지에서 조차도 롯데백화점, 신세계 백화점이 있는 센텀시티에게 수요를 몽땅 빼앗기면서 결국 폐업했다. 센텀시티에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이 다니는건 물론이고, 벡스코, 롯데백화점, 신세계백화점, 홈플러스가 있다.[4] 1007번이 센텀시티를 거쳐서 시청으로 운행했으므로 좌천~일광, 기장으로 돌아가는 1006번보다 자동차전용도로로 빠르게 가는 1007번 타고 센텀에서 환승하는 편이 더 빠르기에 1006번 수요가 줄어드는게 당연한 결과였다. 심지어 목적지가 해운대 신시가지라 하더라도 1007번을 타고 가서 센텀에서 해운대행 노선 혹은 2호선으로 갈아타는 게 훨씬 빨랐다. 환승저항을 감안해도 말이다.[5] 1011번도 구.1006번보다 수입금이 낮은데 인지도가 높은 반면에 입석금지라는 핸디캡이 있어 논외. 게다가 1011번은 1001번과 마찬가지로 환승수요가 많아 이용객 수 대비 운송수입금이 낮은 노선이다.[6] 심지어 해당 지역구 의원까지 나섰다.[7] 당시 일광여객 해운대영업소(당시 36번, 63번, 307번 차고지)는 KT 해운대지사(구 해운대전화국) 옆에 따로 있었다.[8] 특히 장산역정관신도시 가려고 이 버스를 타려는 승객들로 장사진을 이룬다. 장산역을 경유하는 시내버스가 몇 없기 때문.[9] 정 이렇게 바꾸려면 182번 운수업체를 세진여객으로 이관시키고 승무원들 역시 세진여객 소속으로 그대로 고용승계시켜야 할 것이다. 아니면 세익, 일광여객이 182번을 운행하게 하고 송정종점에서 출발하도록 조치하고, 장산역을 양방향 경유함과 동시에 36번이나 200번의 일부 차량을 부산여객 혹은 부일여객이 운행하도록 트레이드시켜야 할 것이다. 하지만 송정종점은 31, 307번 차량만 수용할 수 있는 규모라 이건 불가능하다.[10] 일광로로 돌아가기 때문에 182번보다 소요시간이 조금 길지만 대부분 승객들은 잘 신경쓰지 않고 아무거나 탄다.[정관] 방향 한정.[정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