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01:19:04

부산 버스 62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39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기장군버스|
기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번 ~ 99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3 5-1 6 7 8
9 10 11 15 16 17
20 22 23 24 26 27
29 30 31 33 33-1 36[A]
37[A] 38[A] 39 40 41 42
43 44 46 49 50[A] 51
52 54 55[A]
55-1[C]
55-2 57
58[A] 58-2 59 61 62 63
67 68 70 71 73[B] 77
80 81 82 83
83-1[A]
85
86 87 88 88-1 90 96
96-1[A]
99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00번 ~ 583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00 100-1 101 103 105 106
107 108 110 110-1 111 111-1
113 115[A] 115-1 121 122[B] 123
124[A] 126 127 128-1 129-1 131
133 134 138 138-1 139 141
144 148 148-1 155 160 161
167 168 169 169-1 171 179
180[A] 181 182[A] 183[A] 184[A] 185[A]
186[A] 187[A] 188[A] 189 189-1 190
200 210 300[A] 301[A] 302[A] 307[A]
338 506 508 520[B] 583[A]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 ||
파일:부산 버스 62.jpg
파일:부산62일렉시티.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이용 시 유의할 점4.2. 연간 일평균 승차량4.3. 노선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6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62 노선도.png
기점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민락동기점) 종점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신라대학교)
종점
첫차 05:00 기점
첫차 06:03
막차 22:24 막차 23:27
평일배차 출퇴근 5분 / 평시 7분 주말배차 9분
운수사명 오성여객 인가대수 25대[주말]
노선 민락동기점 - 광안리해수욕장 - 광안역 - 수영교차로.수영역 - 부산울산지방병무청 - 배산역 - 연제구청 - 양정역 - 송상현광장 - 부전시장 - 서면역.롯데호텔백화점 - 부산진우체국.가야1치안센터 - 개금역 - 주례역 - 북부산세무서.감전역 - 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 - 덕포시장.덕포역 - 신라대학교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41km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

  • 개통 당시 노선은 민락동 - 광안리해수욕장 - 수영교차로 - 망미동 - 신리삼거리 - 양정 - 서면 - 가야 - 개금 - 주례 - 사상역입구 (→ 강변도로[2] → 사상국교[3] →) 사상역입구 였으며, 1992년 신라대학교[4]가 사상구로 이전하여 노선이 신라대학교 경유로 변경되었고 2004년에는 교내까지 연장되었다.
  • 62번은 현재 오성여객의 주력/간판 노선 및 살림꾼이지만, 원래는 간판 노선[5]이 아니었다. 하지만 도시철도 2호선이 완전 개통됨과 동시에 주력급 노선들이 줄줄이 폐선되거나 잇따라 감차되면서 대량 증차되었고, 자사 노선들이 몇 남지 않게 되자 자연스레 주력 간판 노선이 되었다.
  • 2016년 11월 29일 1번의 신설로 차량 2대가 감차되었다.
  • 2021년 1월 16일 1번이 폐선됨에 따라 1번 노선 운행대수 전량인 5대가 증차되었다. 따라서 62번은 1번 분리 이전보다 3대가 더 증차된 셈이다. 덕분에 배차간격이 1~2분 가량 단축되었다.

4. 특징

  • 구간 수요가 상당히 많고 몇몇 유일구간 덕에 경쟁력도 충분히 존재하는 노선이지만 정작 버스 동호인들 사이에서는 태진여객의 160번과 함께 굉장한 과소평가를 받고 있다. 이유는 중복노선이 많다는 이유로 보인다. 도시철도와 타 노선 중복도가 심한 것과 가야대로에서 31번, 33번과도 상당히 중복되는 점들이 한 몫하고 있다. 우선 광안역부터 수영교차로까지 2호선과 겹치고, 수영교차로에서 신리삼거리까지는 3호선과 겹치며, 양정에서 서면교차로까지는 1호선과 겹치다가 서면교차로에서 덕포까지 다시 2호선과 겹친다. 즉 민락동에서 광안역까지, 신리삼거리에서 양정역까지, 덕포역에서 신라대까지의 구간을 제외한 모든 구간이 지하철과 겹치므로 사실상 거의 다 겹친다 해도 무방할 수준이다. 특히 송상현광장에서 덕포역까지는 31번, 33번 같은 빗자루질 노선들과도 중복되었기 때문에 일부 동호인들 사이에서는 폐선 1순위로 꼽히는 노선으로 취급받았는데 1번 때문에 차량 감차는 있었어도 노선 자체는 손댄 적이 전혀 없었다. 물론 승객수는 31번, 33번보다 상대적으로 적지만 일 평균 승객수는 1만명대 이상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으며 운송수입금으로는 전술한 두 노선 보다 더 높으며 부산 시내버스 노선 전체를 통틀어서 봐도 굉장한 상위권에 위치한 노선이다. 운송수입금으로 따지면 일일 평균 승객수가 2~3만명인 31번, 33번이 50만원 중후반대 밖에 못벌어가는 반면에 이 노선은 꾸준히 60만원을 넘겼기때문에 진정한 승리 노선이다. 게다가 33번은 2021년 9월 4일에 33-1번 분리신설 여파로 14대가 감차되었고, 2022년 7월 9일에 31번이 단 1대의 증차도 없이 해운대에서 송정까지 노선이 연장되어 두 노선들 모두 배차간격이 늘어난 반면에 이 노선은 오히려 증차(+5대)가 이루어져서 반사이익을 크게 보고 있으며, 31번의 노선연장으로 인한 배차간격 증가, 33번 대량감차에 모자라 저속운행까지 일삼고 있어[6] 서면롯데~가야대로~서부터미널~덕포시장 구간에서 한 줄기의 빛이 되었다.
  • 게다가 광안동이나 망미동에서도 이 노선의 인지도가 높다. 그리고 사상, 주례에서 양정을 경유하여 연수로를 거쳐 수영교차로, 망미동 쪽으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지만 제일 큰 이유는 도시철도 이동시 환승불편이 한 몫 하는데 이 노선은 망미동에서 사상까지 다이렉트로 가는 반면 도시철도는 3호선타고 연산역에서 1호선 환승, 서면역에서 또 2호선 환승 해서 가거나 또는 3호선타고 덕천역까지 가서 2호선으로 가야하므로 환승저항이 발생하여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하다. 이 때문에 다이렉트하게 통과하는 62번 노선을 선호하는 경향이 많다. 고로 도시철도가 생겼다고 무조건 버스노선 자체가 좌지우지될 만큼 승객이 빠지는건 절대로 아니다.
  • 129-1번과 마찬가지로 아침과 저녁에는 등하교를 하는 신라대학교 학생들 때문에 콩나물 시루가 된다. 다만 서부터미널가야대로를 거쳐서 완만하게 돌아오기 때문에 같은 종점을 가진 129-1번보다 노선이 조금 길게 느껴진다.[7] 이 때문에 롯데백화점 부산본점에서 신라대까지 바로가는 목적으로 이 노선을 이용하는 경우는 드물고, 서부터미널에서 신라대학교 안쪽까지 들어가는 수요가 어마무지해서 129-1번 못지않은 통학수요를 자랑하고 있다.[8] 어느정도냐면 등교시간대는 승차거부가 잦은 편이다. 사상1번의 운행휴지[9]와 2008년도부터 신라투어 신라대 셔틀버스 노선이 낙동대로로 노선이 바뀌고 소요시간이 늘어나면서 이런 상황은 더 심화되었다. 그 외에 129-1번을 이용하면 착석이 힘들기도 하고 환승이 귀찮아서, 시간여유가 있을 시에는 아예 이 노선으로 단번에 가는 경우가 종종 있다.
  • 송상현광장~가야대로~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까지 노선이 겹치는 31번, 33번이 워낙 잘 다녀주다보니 이 노선이 밀리는 것처럼 보일 수 있겠지만 31번, 33번과는 달리 62번은 수요가 더 많은 양정역 쪽을 경유한다. 일일 평균 승객수는 약 1만 5천명이며, 게다가 방학시즌을 제외하면 대당 운송수입금이 의외로 높은 노선인데 60만원이 넘는다. 이유는 상술했듯이 서부터미널에서 신라대학교 교정까지 직접적으로 연결해주는 점[10] 그 외에 사상 덕포동에서 남영아파트 방면으로 유일하게 좌회전하는 메리트가 존재하는데 실제로 이 방법을 통해서 환승하는 사람들이 많으며 중복노선들 중 31-1번[11]과 129-2번도 준공영제때 모두 폐선되고, 141번이 주간에 한해 시청 경유로 노선이 바뀌었으며 5번이 2012년 개편 당시 폐선되는 바람에 연수로 연선지역 수요가 이 노선으로 상당수 유입되었다. 그래서 예비차량이었던 차량1대가 이 노선의 정규차량으로 증차되기까지 했다. 그리고 한때는 신라대학교 안쪽을 경유했던 200번이 청강리 사태 이후로 배차간격이 막장화가 되면서 133번과 함께 반사이익을 얻었다.[12]
  • 민락동, 광안리해수욕장 등지에서 연수로 방면으로 운행되는 유일한 노선이기도 하다. 42번, 49번의 경우에는 모두 과정로쪽으로 빠지므로 해당지역의 고정 수요 또한 상당하다.[13]
  • 참고로 신라대 캠퍼스 정류장으로 올라가면 잠수타고 있는 62번 버스를 많이 볼 수 있다고 한다. 62번은 양반이지 이보다 더한 경우들도 있다. 신라대학교를 종점으로 삼고 있는 노선들 중 129-1번의 경우에는 화랑관까지 올라가서 휴식하고 있거나 인문대 건물 옆에서 휴식을 취하는 경우가 있었고, 200번[14]의 경우에는 미술관 동측에 숨어서 잠수타기도 했었다. 심지어 129-1번은 사상행 교내셔틀버스 전용 정류장에서 승객을 승차시킨 적도 있다.
  • 2015년 3차 개편 때 도시철도와 중복이라며 2번, 58-1번, 63번, 130번, 200번등의 노선들이 잘려나가는 수모를 겪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노선은 전혀 개편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특히 같은 신라대학교 종점의 노선들 중에서도 감차된 적은 있었어도[15] 노선이 변형된 적[16]은 없었다. 실제로 신라대를 경유하는 노선들 중에도 수익이 압도적으로 높은 편이며, 통학수요는 말할 것도 없고 통학수요가 없는 방학시즌에도 인근의 아파트단지 및 백양산 등산객들 덕분에[17] 꾸준한 수요가 존재한다. 그걸 반증할 수 있는 게 비수기 때 대당 운송수입금은 약 55만원, 평시에는 60만원 이상을 벌며, 최대 62만원까지 뛰어오른 적도 있었다.
  • 천연가스 차량은 운행종료 후 용당동 신선대 CNG충전소에서 충전한다.
  • 2016년 11월 29일에 부산시 최초로 전기버스 운행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전기버스들은 1번 노선으로 분리 신설되었다. 전기버스 노선도 준공영제 노선으로 개통하는 것인데다가 62번과 부암역까지 100% 동일하게 다니기 때문에 62번 인가대수를 일부 감차하여 투입하였다. 하지만 2021년 1월 16일에 1번이 폐선됨에 따라 약 4년 2개월만에 다시 62번으로 재통합되었으며, 폐선 당시의 1번 투입분 5대 전량 이 노선으로 들어왔다.

4.1. 이용 시 유의할 점

수영구에서 덕포청구아파트/신라대학교 갈 때 이 노선을 이용하면 서부터미널과 덕포역 쪽으로 빙빙둘러서 가기 때문에 이 노선을 계속 타고 가기보다는 서면롯데백화점에서 내려서 129-1번, 133번, 169-1번으로 환승하는게 빠르다.[18] 민락동/광안리해수욕장에서는 83번, 108번을 타고 서면롯데백화점에서 상술한 세 노선으로 환승하는 방법도 있다. 수영로 연선에서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을 타고 덕포역에서 내려서 이 노선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19]

4.2. 연간 일평균 승차량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15167.00
2015년 14694.43 ▽ 472.57
2016년 14534.43 ▽ 160.00
2017년 15327.57 △ 793.14
2018년 12781.14 ▽ 2546.43
2019년 12744.85 ▽ 36.29

4.3.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62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백양대로700번길
신라대학교입구 ▼▲ 한전북부산지점
백양대로
덕포초등학교 ▼▲ 남영아파트
삼덕로
덕포시장 ▼▲ 덕포초등학교
사상로
럭키아파트(주례역) ▼▲ 주례1동주민센터
가야대로
부전시장 ▼▲ 롯데호텔백화점(서면역)
중앙대로
양정역4번출구 ▼▲ 양정역
연수로
수영교차로(수영역) ▼▲ 수영사적공원
수영로
광안리입구 ▼▲ 광안역
광안로
광안리해수욕장 ▼▲ 광안리해수욕장
광남로
}}}}}}}}}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대학교 캠퍼스 진입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39f> 부산대학교 금정7
부경대학교 <colbgcolor=#87cefa> 용당캠퍼스 남구10
한국해양대학교 아치캠퍼스 190
동명대학교 남구8[b]
동서대학교 주례캠퍼스 사상5 사상5-1 사상5-2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 사하10
구덕캠퍼스
(동아대학교병원)
서구5
동의대학교 가야캠퍼스 110-1[a] 부산진6 부산진6-1 부산진9
부산외국어대학교 301 금정3
신라대학교 62 128-1 129-1
인제대학교 개금캠퍼스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부산진10
경남정보대학교 냉정캠퍼스 사상5-1 사상5-2
동의과학대학교 부산진7
부산여자대학교 부산진12 부산진12-1
[a] 일부 시간대에만 진입
[b] 단방향 진입
}}}}}}}}}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경유 버스 노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 margin-top:-5px; margin-bottom:-15px"
급행 1005[사]
일반
8[사]
33-1[사]
138-1[사]
161[사]
186[사]
마을
심야
[사] 경부선 사상역 경유 노선
}}}}}} ||


[주말] 토요일 21대 / 공휴일 20대 운행[2] 현 낙동대로[3] 현 사상초등학교[4] 당시에는 부산여자대학교로, 1997년에 남녀공학으로 전환하고 현 교명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양정동에 있는 전문대학 부산여자대학교와는 관련이 없다.[5] 오성여객의 대표간판노선은 좌석버스였던 구.107번이었다. 당시 운송수익금 2~3위 및 흑자를 기록하는 노선이었으며 본래 일반, 좌석겸용 노선이었으나 좌석버스가 훨씬 잘 나가서 전성기 시절 107번은 완전한 좌석버스 노선이었다. 지금은 폐선되고 없지만, 시민여객과 공동배차한 용호동 출발 노선이었던 구.14번과 108번, 108-1번이 이 노선의 보조역할을 했었다. 그런데 62번은 구.107번보다 조금 못할 뿐이었지, 그때는 도시철도 2,3호선이 없었기 때문에 62번도 지금보다 수요가 몇 배는 더 많았다.[6] 심지어 전술한 두 노선들은 각각 노선연장과 대량감차 이후로 저속운행까지 생겨난 상황이다.[7] 129-1번은 진양교차로를 지나 백양대로 방면으로 바로 직통한다.[8] 실제 운행거리는 129-1번이 62번보다 11km 더 길다. 129-1번이 시외곽인 기장군 고촌리에서 출발하는데다 동래역을 들쑤셨다가 오기때문에 당연히 길 수 밖에 없다.[9] 2012년 8월 23일에 폐선되었다.[10] 128-1번 129-1번은 서부터미널을 미경유한다. 반대로 말하면 남영아파트 일대에서 서부터미널로 갈 수 있는 노선은 이게 유일하다. 그리고 백양공원삼거리 기준으로 이 노선과 사상1-1번을 제외한 모든 노선들은 신모라 방향으로 우회전한다.[11] 양정~서부터미널까지 겹쳤다.[12] 200번이 주말에는 30분을 기다려도 안 온다는 학생들의 불평이 상당히 많았고, 평시에는 승차거부까지 더해져서 이용이 너무 어려웠다. 133번(덕천역>남영아파트) → 62번(남영아파트>신라대학교 종점)으로 환승해서 가는게 오히려 200번을 수 십분간 기다렸다가 타는 것 보다 소요시간이 절감이 되는 정도였다. 현재는 200번이 빠지고 128-1번으로 대체되었지만 김해행의 경우에는 200번이 운행했던 경로와는 전혀 딴판이라 두 노선이 여전히 많은 통학수요를 유지하고 있다.[13] 용화여객, 자사 다른 노선은 경성대 방향으로 가버린다.[14] 2015년 12월 26일까지 신라대로 운행했다. 현재는 128-1번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15] 이 노선도 1번 신설을 위해 2대가 감차된 적 있었고, 129-1은 187번 신설을 위해 3대가 감차되었었다.[16] 200번은 2015년 12월 27일에 덕천역까지 단축되었다. 200번의 경우 대체노선으로 128-1번이 들어오지만 선형이 상당히 이상하여 구명역, 덕천역, 구포역에서는 사람들이 혼동하기 쉽게 되어버렸다.[17] 신라대학교 셔틀버스를 과거에 등산객들이 공짜로 타는 경우가 많았으나 근래에는 등산객 승차가 금지되고 있다고 한다.[18] 단 133번, 169-1번은 신라대입구만 운행하고 신라대학교 캠퍼스 안으로 들어가지 않는다.[19] 2호선을 타고 덕포역에서 환승하는 루트의 경우 사상구를 이 노선처럼 돌지만 정시성 면에서 앞선다.[신라대학교] 방향 한정. 민락동 방향은 무정차 통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