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0" | <tablebordercolor=#39f> | }}} |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5007F; font-size: 13px;"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99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 | 3 | 5-1 | 6 | 7 | 8 |
9 | 10 | 11 | 15 | 16 | 17 | |
20 | 22 | 23 | 24 | 26 | 27 | |
29 | 30 | 31 | 33 | 33-1 | 36[A] | |
37[A] | 38[A] | 39 | 40 | 41 | 42 | |
43 | 44 | 46 | 49 | 50[A] | 51 | |
52 | 54 | 55[A] | 55-1[C] | 55-2 | 57 | |
58[A] | 58-2 | 59 | 61 | 62 | 63 | |
67 | 68 | 70 | 71 | 73[B] | 77 | |
80 | 81 | 82 | 83 | 83-1[A] | 85 | |
86 | 87 | 88 | 88-1 | 90 | 96 | |
96-1[A] | 99 | |||||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00~583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00 | 100-1 | 101 | 103 | 105 | 106 |
107 | 108 | | 110 | 110-1 | 111 | |
111-1 | 113 | 115[A] | 115-1 | 121 | 122[B] | |
123 | 124[A] | 126 | 127 | 128-1 | 129-1 | |
131 | 133 | 134 | 138 | 138-1 | 139 | |
141 | 144 | 148 | 148-1 | 155 | 160 | |
161 | 167 | 168 | 169 | 169-1 | 171 | |
| 179 | 180[A] | 181 | 182[A] | 183[A] | |
184[A] | 185[A] | 186[A] | 187[A] | 188[A] | 189 | |
189-1 | 190 | 200 | 210 | 300[A] | 301[A] | |
302[A] | 307[A] | 338 | 506 | 508 | 520[B] | |
583[A] | ||||||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
{{{#!wiki style="margin: -10px 0" | <tablebordercolor=#aaa> | }}} |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5007F; font-size: 13px;"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5 | 30 | 51 | 58-1[A] | 58-2 | 106 |
141[A] | 182 | 183[A] | 508 | 1000[A] | 1001 | |
1002[A] | 1003[A] | 1004[A] | 1008 | |||
[A] 주간 노선과 심야 노선의 경로가 다른 노선 |
1. 개요
세익여객에서 운행하는 일반시내버스 및 심야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주간 노선 59.6km, 심야 노선 44km다.2. 노선 정보
볼드체 처리 된 구간은 주간 운영과 심야 운영 시에 노선 상에서 차이가 나는 구간이다.
밑줄 처리 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83번 | |||||
기점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청강리공영차고지) | 종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부산대학교정문) | ||
종점 행 | 첫차 | 05:00 | 기점 행 | 첫차 | 06:25 |
막차 | 22:20 | 막차 | 23:45 | ||
평일배차 | 출퇴근 14분 / 평시 17분 | 주말배차 | 21분 | ||
운수사명 | 세익여객 | 인가대수 | 12대(전용예비 1대)[토요일·공휴일] | ||
노선 | 청강리공영차고지 - 내리 - 오시리아역 - 롯데월드부산[단독][3] - 오시리아역 - 내리 - 청강사거리 - 동해선기장역.기장중학교 - 기장도서관 - 교리초등학교 - 한신아파트 - 만화리입구 - 철마삼거리 - 고촌휴먼시아아파트 - 윗반송역 - 반송우체국.영산대역 - 반여농산물시장 - 금사전화국 - 서동역 - 명장정수사업소 - 명장초등학교입구[단독] - 용인고등학교[단독] - 동래문화회관[단독] - 온천입구 → 온천장역 → 부산대학교정문 → 온천장역·SK허브스카이 → 온천장 → 온천입구 → 이후 역순 | ||||
| |||||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183번 | |||||
기점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청강리공영차고지) | 종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부산대학교정문) | ||
종점 행 | 첫차 | 22:55 | 기점 행 | 첫차 | 23:50 |
막차 | 23:35 | 막차 | 00:30 | ||
배차간격 | 40분 (1일 2회) | ||||
운수사명 | 세익여객 | 인가대수 | 2대[명절] | ||
노선 | 청강리공영차고지 - 청강사거리 - 동해선기장역.기장중학교 - 기장도서관 - 교리초등학교 - 한신아파트 - 만화리입구 - 철마삼거리 - 고촌휴먼시아아파트 - 윗반송역 - 반송우체국.영산대역 - 반여농산물시장 - 금사전화국 - 서동역 - 명장정수사업소 - 충렬사역.서원시장 - 동래시장 - 동래역 - 명륜역 → 온천장역 → 부산대학교정문 → 온천장역.SK허브스카이 → 온천장 → 온천장아스타아파트 → 명륜역 → 이후 역순 |
3. 역사
- 원래 이 노선은 좌석버스였다. 당시 기장시장에서 출발하여 동래 동부터미널까지 운행했으며 1996년부터 부산대까지 연장되어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기장군에서 빠르게 동래까지 이어주는데다 배차간격도 좋아 평시 수요도 상당히 많았으며, 출퇴근시에는 가축수송이 잦았다.
- 1995년 부산 시내버스 사업에 발을 들여놓았던 동부여객 출신의 노선으로[8] 1998년 동부여객이 부산시내버스 사업에서 철수하면서 한일여객으로 노선이 넘어가고 2003년 한일여객이 계열사인 세익여객에 인수되면서 세익여객에서 운행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 2007년 5월 15일 좌석버스에서 일반시내버스로 형간전환되었으며 동시에 심야좌석버스도 심야일반버스로 형간전환되었다. 단 차는 기존 좌석버스 그대로 도색만 갈아입고 그대로 다녔고 추가로 63번 출신 일반버스가 여기로 왔다.
- 2011년 4월 1일 4호선 개통에 따라 주간 노선 한정 '명장동 - 동래시장 - 동래역' 구간이 폐지되고 '금사동 - 서동고개 - 온천장'을 경유하여 부산대로 향하는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 2021년 4월 12일 청강리공영차고지 첫차 출발시간이 04:40에서 20분 늦어진 05:00으로 변경되었다.
- 2021년 6월 5일 서동고개 - 부곡4동주민센터 구간을 미경유하고 시실로(용인고등학교, 대명여자고등학교)로 구간을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이로서 구.72번 노선을 상당 부분 계승하게 되었다.
- 2022년 3월 31일 주간 노선[9]은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 매직 포레스트 개장에 맞춰 양방향 모두 롯데월드까지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가는 형태로 변경되었다. 오시리아역을 지나 롯데월드 정문까지 온 이후 185번이 국립부산과학관 진입을 위해 유턴하는 위치에서 유턴 후 롯데월드 정문앞 단독 정류장에 정차하며 이후 다시 청강리나 기장읍내로 향하게 된다.
- 2025년 부산 시내버스 전면개편으로 청강리 - 오시리아 구간이 재단축될 예정이다.
4. 특징
- 환승대기시간이 60분으로 적용된다. 롯데월드 경유 이후 배차간격이 크게 길어져서 2023년부터 환승시간이 60분으로 늘어났다.
- 기장읍에서 충렬대로와 동래를 거치지 않고 시실로로 직통하여 부산대학교와 온천장역으로 빠르게 이어주기에 안락교차로와 동래역을 거쳐서 갔을 때보단 훨씬 단시간에 갈 수 있게 되어 예전 시절에 비해 수요패턴이 완전히 뒤바뀌어버린 상태다.[10] 기장읍 뿐만 아니라 반송에서도 온천장역과 부산대로 직통하는 노선[11]으로 호응을 이끌며 수요가 매우 크게 증가하였고 온천장 SK허브스카이에서의 수요도 많이 늘었다. 과거 서동고개를 경유하던 시절에는 서동고개와 부곡동 일대에서도 이 노선의 인지도가 생겨서 온천장역의 연계수요로 179번과 189번의 과수요 분담 역할까지 했었다. 36번이 노선 조정으로 더 이상 서동고개로 들어오지 않게 됨으로서 36번의 수요를 모두 흡수했었다. 동래로 가던 시절에 비해 운행거리도 단축되었다.
- 2021년 6월 5일부터 시실로를 경유하는데 새롭게 경유하는 노선 부근에 용인고등학교, 대명여자고등학교, 학산여자고등학교, 동신중학교, 학산여자중학교, 동해중학교 등 중고등학교만 6개가 있어 등하교 수요에 대한 기대감도 커졌다.
- 청강리 ~ 롯데월드 구간은 양방향이 모두 중복되는 구간이라 운전석 앞에 있는 행선판을 잘 보고 탑승해야한다.
청강리공영차고지 방향 부산대학교정문 방향 청강리(종점) 부산대학 방향
- 기장 - 안평역 구간에서는 36번, 188번, 기장11번과 수요를 분담하는 중이지만 36번은 고질적인 저속운행의 문제가 있는데다 일광신도시 추가 경유로 인해 배차간격이 더욱 늘어나버렸고, 188번은 안그래도 부족한 인가대수에서 2대가 또 감차되면서 배차간격이 30분 이상으로 크게 벌어진 상태다. 기장11번 역시 배차간격이 이 노선보다는 못하기 때문에 183번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 실제로 이용해보면 이 노선이 상술한 3개의 노선보다 가장 빠르게 가니 반송 - 기장을 오갈 때에는 이 노선을 선택하는 것이 현명하다. 실제로 운송수입금까지도 대당 43만원으로 32만원대의 36번, 27만원대의 188번을 그냥 압도하는 수준이다. 다만 아쉽게도 수요는 반송로 - 명장동 - 동래시장 경유 시절보다 여전히 못하는 수준이다. 다만 오시리아까지 내려가면서 상술한 노선들처럼 배차간격이 길어졌고, 36번보다 저속운행이 심해졌다.[12]
- 좌석시절 및 상시 동래역 경유 시절때 이 노선의 행선판의 행선지 표기가 정반대로 표기되었었다. 부산대 ◀▶ 동래시장 ◀▶ 기장이었으며 준공영제 실시 및 형간전환때 정상적으로 변경되었다. 신도색 후 시실로로 노선 변경된 이래로 현재에는 청강리공영차고지 ◀▶ 시실로 ◀▶ 부산대로 표기되고 있다.
- 여담으로 세익여객 노선들 중에서 유일하게 도시철도 2호선 구간과 전혀 겹치지 않고, 올림픽교차로 환승센터를 미경유하며, 신도색(파란색) 저상을 최초로 투입한 노선이다.
- 이 노선(183번)의 저속운행이 여전히 심하다. 36번은 예전에는 저속으로 다니다가 최근에 시간표 변경 당시에 시정 조치가 되어서 저속운행을 하지 않는다. 183번은 계속 저속운행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고 한다.
4.1. 여담
- 2012년 5월 30일에 청강리공영차고지로 연장됨과 동시에 36번의 노선조정으로 기장 - 부곡동 노선이 97% 가량 중복되며 183번 노선이 기껏 정착시킨 수요를 36번과 분담하는 처지가 되었고 수요감소를 야기하였다. 이런 악순환은 동년 11월 16일까지 이어졌고 36번이 노선 중복으로 인해 수요가 악화되자, 언론 보도 덕분에 노선이 재조정되며 36번 노선이 조정됨과 동시에 다시금 반송 - 부산대 방면 수요가 183번 단독으로 되며 해당구간 수요는 어느정도 다시 자리잡았지만 기장 - 금사동에서는 36번과의 수요 분담으로 변변치 못하고 있었다. 그나마 다행인건 183번의 인지도가 높고 표정속도도 훨씬 빠르기 때문에 36번보다 고정수요가 더 많은 것이다. 그리고 2015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 때 36번이 반여1동으로 노선이 조정되어 금사동, 서동 수요가 다시 183번으로 완전 흡수되었다.
- 2020년 12월 31일에는 36번이 증차없이 노선연장을 하여 배차간격이 크게 늘어났고, 2021년 1월 16일에 188번이 안평역까지 노선이 단축되었고, 2021년 6월 5일부터 179번, 189번과 겹치는 구간인 서동고개~온천장역 구간이 폐지되었고 시실로 단독구간을 얻음으로서 이 노선의 수요가 더 늘어날 전망이다.[14] 그러나 2022년 3월 31일에 이 노선도 증차없이 노선연장을 하여 배차간격이 늘어났다.
- 부산 롯데월드 경유 이후 저속운행을 심하게 하고 있다. 여기에는 운수사 측 입김이 크게 작용했는데, 운행횟수를 줄이기 위해 일부러 롯데월드 경유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승객들뿐만 아니라, 승용차 운전자들도 이 노선의 저속운행에 대해 불만을 표하고 있다.[16]
4.2. 연간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주간 노선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5424.86 | |
2015년 | 5844.57 | △ 419.71 |
2016년 | 6108.00 | △ 263.43 |
2017년 | 5736.57 | ▽ 371.43 |
2018년 | 5763.28 | △ 26.71 |
2019년 | 5487.28 | ▽ 276.00 |
심야 노선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166.00 | |
2015년 | 173.71 | △ 7.71 |
2016년 | 198.43 | △ 24.72 |
2017년 | 132.29 | ▽ 66.14 |
2018년 | 127.85 | ▽ 4.44 |
2019년 | 122.42 | ▽ 2.43 |
4.3. 노선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83번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금강로 | |
부산대학교후문 ▼ | ▲ 부산대학교정문 | |
장전로 | 부산대학로 | |
금정초등학교 ▼ | ▲ | |
금정로 | ||
온천장역.SK허브스카이 ▼ | ▲ 금정초등학교 | |
온천장로 | 식물원로 | |
온천장 ▼ | ▲ 소정천 | |
금강공원로 | 중앙대로 | |
온천입구 ▼ | ▲ 온천장역 | |
시실로 | ||
명장정수사업소 ▼ | ▲ 조양삼거리 | |
반송로 | 명장로 | |
▲ | ||
반송로 | ||
반송우체국(영산대역) ▼ | ▲ 반송초등학교 | |
아랫반송로 | ||
반송시장 ▼ | ▲ 반송우체국(영산대역) | |
아랫반송로21번길 | ||
반송본동 ▼ | ▲ 반송보건지소 | |
반송로 | ||
고촌마을입구 ▼ | ▲ 대진여객(고촌역) | |
고촌로 | ||
안평 고촌 ▼ | ▲ 고촌휴먼시아아파트 | |
반송로 | ||
한신아파트 ▼ | ▲ 이진아파트 | |
차성로 | ||
교리 ▼ | ▲ 교리초등학교 | |
차성로418번길 | ||
기장도서관 ▼ | ▲ 교리 | |
차성동로 | ||
기장성당 ▼ | ▲ 동해선기장역.기장중학교 | |
차성남로89번길 | ||
▼ | ▲ | |
차성남로 | ||
죽성사거리 ▼ | ▲ 기장성당 | |
기장대로 |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183번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금강로 | |
부산대학교후문 ▼ | ▲ 부산대학교정문 | |
장전로 | 부산대학로 | |
금정초등학교 ▼ | ▲ | |
금정로 | ||
온천장역.SK허브스카이 ▼ | ▲ 금정초등학교 | |
온천장로 | 식물원로 | |
온천장 ▼ | ▲ 소정천 | |
금강공원로 | 중앙대로 | |
온천장아스타아파트 ▼ | ||
중앙대로 | ||
메가마트 동래점 ▼ | ▲ 명륜역 | |
충렬대로 | ||
충렬사역(서원시장) ▼ | ▲ 낙민역(동래고등학교) | |
반송로 | ||
반송우체국(영산대역) ▼ | ▲ 반송초등학교 | |
아랫반송로 | ||
반송시장 ▼ | ▲ 반송우체국(영산대역) | |
아랫반송로21번길 | ||
반송본동 ▼ | ▲ 반송보건지소 | |
반송로 | ||
고촌마을입구 ▼ | ▲ 대진여객(고촌역) | |
고촌로 | ||
안평 고촌 ▼ | ▲ 고촌휴먼시아아파트 | |
반송로 | ||
한신아파트 ▼ | ▲ 이진아파트 | |
차성로 | ||
교리 ▼ | ▲ 교리초등학교 | |
차성로418번길 | ||
기장도서관 ▼ | ▲ 교리 | |
차성동로 | ||
기장성당 ▼ | ▲ 동해선기장역.기장중학교 | |
차성남로89번길 | ||
▼ | ▲ | |
차성남로 | ||
죽성사거리 ▼ | ▲ 기장성당 | |
기장대로 |
5. 연계 철도역
굵은 글씨는 심야만 경유하고 밑줄은 주간노선만 경유한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온천장역, 동래역, 명륜역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동래역, 수안역, 낙민역, 충렬사역, 명장역, 서동역, 금사역, 반여농산물시장역, 석대역, 영산대역, 윗반송역, 고촌역, 안평역
- 동해선 광역전철: 오시리아역, 기장역
- 일반 철도역: 기장역(ITX-마음, 무궁화호)
6. 둘러보기
반송 경유 버스 노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일반 | 36 | 73 | 115-1 | 129-1 |
183 | 187 | 189 | 189-1 | ||
마을 | 기장11 |
부산대학교 부산캠퍼스 경유 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부산대학교 부산캠퍼스 교내 진입 | ||||
금정7 | |||||
부산대정문, 부산대후문 정류소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 1002 (심야) | 1008 | |||
29 | 49 | 51 | 77 | ||
80 | 100 | 100-1 | 110 | ||
110-1 | 111-1 | 121 | 131 | ||
144 | 148-1 | 183 | 301 | ||
양산시 시내버스 | 16[Y] | ||||
양로원(산성방면), 광명사(온천장역방면) 정류소 | |||||
203 | |||||
부산대역(부곡2동)정류소 (양산시 시내버스 정차) | |||||
1100 | 1200 | 1300[Y] | 1500[Y] | 12 | |
부산대역 정류소 | |||||
금정5-1 | |||||
[Y]: 양산캠퍼스(양산부산대병원) 경유 노선 | }}}}}}}}} |
[토요일·공휴일] 10대 운행[단독]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다.[3] 첫차, 막차 미경유[단독] [단독] [단독] [명절] 연휴기간은 1회, 기종점 출발시간은 정차 정류장에 부착함[8] 본사는 부산에 있었지만 시외버스 면허는 경남 창원시 면허를 사용했다.[9] 첫차와 막차, 심야 노선은 현행 유지다. 애초에 해당 시간대에는 롯데월드와 롯데아울렛, 이케아 동부산점이 전부 개장을 안하거나, 마감한 상태이므로 첫차, 막차가 굳이 오시리아까지 내려갈 이유가 없다.[10] 특히 출/퇴근 시간대 충렬대로와 서동고개는 그야말로 교통 체증이 심각한 구간이라 시실로가 우회로 역할을 톡톡히 해준다.[11] 189번은 부산대를 미경유하고 반대방향인 동래역과 사직동으로 간다.[12] 15~20km로 기어다니는 차량도 있다고 하니 환장할 지경. 이유는 지정 시간보다 일찍 차고지에 들어가면 패널티가 있어서 그런것이라고 한다.[13] 110-1번이 2019년 2월 2일 개편으로 부산대로 노선이 연장되었고 148-1번 또한 부산대 재연장 이전 시절에는 온천장에서 노선이 끊겼기때문에(더 이전에는 금정구청까지 갔었다.) 그 이전까지는 부산대정문 앞에서 바로 회차하던 노선은 이 노선이 유일한 셈이었다.[14] 물론 저 두 노선은 부산대로 가지 않고 모두 동래쪽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서동고개 경유 시절에도 수요가 적지 않았다. 오히려 구간이 겹치는 29번과 경쟁중이었고 이 노선은 온천입구로 돌아갔기때문에 경쟁에서 다소 밀리는 감이 있었다.[15] 저속운행을 하던 시절의 36번보다 심하다.[16] 183번은 편도 1차선 도로(죽성사거리 - 교리초앞사거리, 아랫반송로21번길, 시실로 일부구간 등)를 많이 다니기 때문에 앞에서 기어다니면 뒷차도 어쩔 수 없이 버스 뒤에 계속 매달릴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