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31 00:54:06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심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E500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기장군버스|
기장
]]
전체 노선 목록 · 폐선 목록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aaa><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기장군버스|
기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5 30 51
58-1[a]
58-2 106
141[a]
182
183[a]
508
1000[a]
1001
1002[a]
1003[a]
1004[a]
1008
[a] 주간노선과 심야노선의 경로에 차이가 있는 노선
}}}}}}}}} ||

1. 개요2. 역사3. 특징4. 목록

1. 개요

보통 부산광역시 시내버스막차는 노선에 따라 기점에서 21:00~23:10 사이에 출발하는데, 심야버스는 이보다 좀 더 늦은 22:20~23:50경에 기점에서 출발하여 익일 01:30~02:30 사이에 차고지에 들어오는 버스이다.[1] 다만 타 노선에서 차량을 차출, 별도의 전용 노선을 만들어서 평시 대중교통 공백시간대 내내 운행하는 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와 달리 기존 평시용 노선을 기반으로 그대로 운행하거나 일부 구간만 변형시킨 형태로 노선이 짜여져 있고 평시용 대중교통 공백시간대 내내 운용하지는 않는다는 차이가 있으며, 승무 형태 면에서도 주간에 자사 노선버스들에서 근무하는 승무원들이 오후 순번 중 심야에 당첨되면 돌아가면서 운행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대개 자차나 스페어 기사가 승무하지만 심야 1000번과 심야 1002번 두 노선의 경우엔 근무 형태가 또 다르다.[2] 거기다 해당 노선의 평시 계통을 운행하는 그 차량을 그대로 활용하여 운행한다. 과거엔 '심야'라는 행선판을 달았었고, 지금은 LED 전광판을 쓰는데 심야라는 표시가 있으면 심야버스 계통으로 운행한다는 뜻이다. 물론 차내에는 평시용 노선도와 심야용 노선도가 함께 부착되어 있다. 타 도시도 마찬가지지만 도시철도나 타 노선 막차가 끊기고도 더 늦게까지 운행하며, 귀가가 늦은 사람들이 주로 이용한다. 아무래도 이용객 수요가 겹치는 지라 심야 택시에게는 주적으로 인식되는 편.[3]

심야버스라고 해서 무조건 할증 요금을 다 받는 건 아니다. 23:40 이전까지는 기본요금을 받고, 23:40을 기점으로 심야버스가 존재하는 노선에 한하여 심야 할증이 적용되어 기본요금에서 성인은 450원(현금은 400원), 청소년과 어린이(현금 한정)는 200원씩 오른다.[4] 즉 심야버스 운행계통이라도 23:40 이전에 승차한다면 그냥 평상시와 똑같은 액수만 내면 된다는 것이며[5][6] 23:40이 지나도 심야노선이 아닌 일반 주간노선 막차인 경우 할증요금이 가산되지 않는다.[7] 다만 기점막차가 23:40보다 늦은 58-1번, 141번, 183번, 508번, 1000번 막탕, 1003번 막탕, 1004번 막탕 등은 회차에 따라 기점에서부터 바로 할증요금이 적용된다.

2. 역사

  • 준공영제 시행 전
    • 98번(다대포 ↔ 장림시장 ↔ 신평역 ↔ 하단교차로 ↔ 괴정 ↔ 구덕운동장 ↔ 남포동 ↔ 부산역 ↔ 부산진시장 ↔ 서면)
    • 142번(기장교리 ↔ 기장시장 ↔ 송정해수욕장입구 ↔ 신시가지(남쪽) ↔ 해운대역 ↔ 수영교차로 ↔ 망미동 ↔ 양정 ↔ 서면)
    • 183번(기장시장 ↔ 교리 ↔ 반송 ↔ 금사동 ↔ 충렬사 ↔ 동래시장 ↔ 동래역 ↔ 온천장역 ↔ 부산대학교)
    • 301번(서창 ↔ 덕계 ↔ 노포동터미널 ↔ 부산대학교 ↔ 온천장 ↔ 사직동 ↔ 송공삼거리 ↔ 서면)
    • 302번(송정 ↔ 신시가지(북/남쪽) ↔ 해운대해수욕장 ↔ 수영교차로 ↔ 경성대학교 ↔ 부산역 ↔ 남포동 ↔ 부산대학교병원)
    • 309번(김해 구산동 ↔ 김해시청 ↔ 선암다리 ↔ 강서구청 ↔ 구포역 ↔ 서부시외버스터미널 → 구덕터널 → 충무동 → 부산역 → 서면 → 주례 → 서부시외버스터미널 이후 역순)
  • 2007년 5월 15일: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준공영제가 시행되면서 141번, 1000번, 1002번, 1003번, 1004번 심야 노선 개통 및 심야좌석 183번은 심야일반으로 전환.
  • 2009년 9월 11일: 1006번(현 182번) 심야 노선 개통.
  • 2012년 6월 1일: 1001번 심야 노선 개통. 심야좌석 1006번은 심야일반 182번으로 전환.
  • 2014년 2월 22일: 15번, 30번, 58-1번, 508번, 1008번, 1010번 심야 노선 개통.
  • 2017년 11월 25일: 51번, 58-2번 심야 노선 개통

3. 특징

도시철도 막차가 끊기는 23:00~00:00 전후로 14개의 심야버스 노선이 부산 각 지역의 심야 수요를 담당한다. 먼저 141번 남좌동, 2호선 해운대 ↔ 수영, 3호선 수영 ↔ 물만골, 1호선 시청 ↔ 서면 구간과 당감동 일대, 183번 1호선 동래 ↔ 부산대, 4호선 동래 ↔ 안평 구간과 기장읍 중심지, 1000번 서면 남쪽 구간[8]과 다대포, 장림동, 1002번 서면 북쪽 구간[9]과 양산시 웅상지역, 1003번 2호선 남동쪽[10]과 1호선 남쪽[11], 기장읍 중심지, 1004번 서면 서쪽 구간[12]과 김해시 구간, 15번 2호선 금곡 ~ 사상 구간과 학장동, 국제시장 일대, 30번, 508번 영도구 지역을, 182번[13], 1008번[14], 1010번[15]은 정관신도시 심야 수요를 담당한다. 58-1번은 마지막 배차, 1001번은 22:00 이후 배차가 심야로 변경된 것이다.

1003번 같은 경우는 청강리 연장 이후 부산대학병원에서 막차가 새벽 1시 30분에 출발하면 청강리에 3시 넘어서 도착하게 된다. 이후 1시간 반 가량이 지나면 주간 첫차가 출발하므로 준 24시간 운행 노선이 되었다.

4. 목록

번호 기점 경유지 종점 배차
15 금곡동 와석↔구포역↔신모라↔서부터미널↔새벽시장↔학장교차로↔구덕터널↔구덕운동장↔국제시장/서구청 남포동 20분
30 태종대 동삼하리↔영도구청↔HJ중공업↔영도대교↔남포동/자갈치↔송도아랫길↔모지포마을 수산가공선전화단지 15분
51 금정공영차고지 노포동터미널↔부산외국어대학교↔구서시장↔부산대학교↔온천장↔동래전화국↔교대역↔연산교차로↔수영교차로↔경성대학교↔부산공고/시립박물관 동천초등학교 20분
58-1 강서공영차고지 용원↔녹산공단↔르노코리아자동차↔명지오션시티↔명지국제신도시↔을숙도 하단역 1회
58-2 강서공영차고지 용원<->녹산공단↔르노코리아자동차↔신호주거단지↔명지오션시티↔을숙도↔하단역 사하구청 1회
106 정관 곰내터널↔반여농산물시장↔안락교차로↔연산교차로↔시청↔부전시장 서면 40분
141 송정 미포.문탠로드입구↔해운대역↔센텀시티↔수영교차로↔세정상고↔양정↔서면↔진양교차로 당감4동 30분
182 청강리공영차고지 장산역(정관행)→기장1주공아파트↔기장시장↔교리↔일광↔화전↔원자력의학원 정관 1회
183 청강리공영차고지 기장성당↔교리↔안평.고촌↔반송↔반여농산물시장↔충렬사역↔동래시장↔동래역↔온천장역 부산대학교 25분
508 고신대학교 동삼중리↔함지골수련원↔영도대교↔부산역 중앙공원·민주공원 1회
1000 다대포 장림시장↔신평역↔하단역↔괴정시장↔구덕운동장↔남포동↔부산역↔부산진시장 서면 40분
1001 청강리공영차고지 송정↔장산역↔해운대역↔센텀시티↔경성대학교↔문현교차로↔부산역↔서대시장↔괴정시장 동아대학교(하단) 20분
1002 웅상공영차고지 덕계↔월평교차로↔부산종합터미널↔구서시장↔부산대학교↔온천장↔사직운동장↔거제리 서면 20분
1003 청강리공영차고지 송정↔미포.문탠로드입구↔해운대해수욕장↔센텀시티↔경성대학교↔문현교차로↔부산역↔남포동 부산대학병원 15분
1004 김해(구산동) 김해시청↔대저역/강서구청↔신모라↔서부터미널↔주례역↔가야시장↔서면↔부산진시장↔부산역↔남포동 서구청 1회
1008 원자력의학원 정관↔곰내터널↔철마면사무소↔구서IC↔부산대학교↔온천장 동래역 1회

[1] 1003번은 예외로 3시 넘어서 차고지에 도착한다. 다만 이것도 원래는 2시 20분경 도착이었으나 청강리 사태로 인해 차고지가 변경되면서 노선이 늘어난 탓에 이렇게 된 것이다.[2] 50번 & 1002번 승무원이 돌아가면서 심야 1002번을 운행 / 1000번 승무원이 돌아가면서 심야 1000번을 운행.[3] 지금은 그나마 양호한 편이며, 준공영제 이전 시절 예전 301번 심야버스(현 1002번 심야버스)가 생겼을 때 서면에 도착했다 하면 버스기사가 택시기사가 고용한 깡패들에게 폭행을 당했다는 얘기가 나돌기도 했다.[4] 성인 교통카드 기준 일반버스는 2,000 원, 급행버스&좌석버스는 2,500 원이 부과된다.[5] 대표적으로 15, 30, 51번 등이 있다. 심야버스 중에서는 23:40 이전에 차가 있는 1000번, 1001번, 1002번, 1003번, 1004번, 1010번이 대표적이다. 1000번은 심야 2회차부터 롯데백화점에 도착하면 단말기를 조작하여 할증요금이 적용된다. 1003번은 심야 3회차부터 서구청환승센터 도착 후에 할증 요금이 적용된다. 1010번의 경우 심야 2회차에 정관신도시에 위치한 한국폴리텍동부산캠퍼스 정류장을 통과하면 할증요금이 적용된다. 나머지 노선의 경우 23:40 이후로 차고지에서 나가는 차들은 바로 할증요금을 적용시킨다.[6] 사실 승무원마다 약간 유동적인 편이며, 23:40에 맞추어 칼같이 할증요금을 적용시키는 승무원이 있는가 하면 차고지에서 출발하여 회차지점에 도착하고 나서야 할증요금을 적용시키는 승무원도 있다. 심야버스의 경우 노선 경로에서 회차지점까지 가는 수요보다 회차지점에서 기종점 방면으로 향하는 수요가 압도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회차지점 근처에서 승차하면 어디로 가는지 물어보는 승무원들도 있다. 또한 아무래도 승무원이 직접 단말기를 조작해야 할증 요금이 적용되는 시스템이다 보니 개중에는 조작하는걸 까먹어서(...) 회차 지점이 지나고 나서도 기본요금이 적용되기도 한다. 할증 미적용을 뒤늦게 인지하였다면 단말기를 조작하여 할증 요금을 적용시키기 전까지 카드를 찍지 마라고 손으로 제스쳐를 취하기도 한다.[7] 좋은 예시로 110번과 126번이 있는데, 이 노선들의 경우 막차가 23:40이 넘어서 회차 지점을 출발하지만 심야노선이 아니기 때문에 기점에 들어갈 때까지 할증요금이 붙지 않는다.[8] 1호선 신평~서면[9] 노포~서면. 단, 80번의 구간으로 갔기 때문에 양정~범어사 구간은 연계가 되지 않는다.[10] 해운대~지게골[11] 부산진~토성[12] 2호선 덕천 ~ 서면, 3호선 대저 ~ 덕천[13] 장산역~정관[14] 동래~정관[15] 서면~정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