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3 04:54:17

남부여객

파일:영도구 CI.svg 부산광역시 영도구의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4098><colcolor=#fff> 시내버스 남부여객 신한여객 유한여객
마을버스 대일버스 영도여객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
}}}}}}}}} ||
파일:남부여객차고지.jpg
남부여객 차고지 전경
남부여객자동차 주식회사
南部旅客自動車 株式會社
Nambubus Co.
업종명 운수업
설립일 1980년 1월 13일
대표 김윤정
주사무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와치로 113 (청학동)
전화번호 051-415-5555
면허대수 정규 64대, 예비 3대
자본금 6억원 (2022.12)
매출액 185억 5,574만 2,927원 (2022)
영업이익 9억 3,952만 5,329원 (2022)
순이익 7억 6,784만 5,435원 (2022)
자산총액 139억 5,426만 899원 (2022.12)
주주 김윤정: 55.55%
이명주: 12.50%
전봉환: 10.26%
박정희: 9.19%
김창우: 6.25%
오자운: 6.25%
임직원 182명

1. 개요2. 차량 운용3. 문제점4. 차고지
4.1. 과거에 사용했던 차고지
5. 면허 체계6. 차량운용대수7. 운행 노선8. 폐선된 노선9. 현재 보유차량10. 과거 보유차량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 영도구에 있는 버스 회사이다. 1980년 구 대성여객에서 영도쪽 노선을 분리하면서 설립하였다.

청학동에 본사가 위치하고 있다. 봉래동에 봉래영업소가 있었는데, 구. 봉래영업소가 기점이었던 6번 노선이 본사로 연장되면서 기존의 봉래영업소 자리는 회차지의 역할만 할 뿐이다. 어떻게 보면 강서차고지 입성 이전 영신여객과 똑같은 행보를 보이는 듯한 느낌이다.

영도구에서 부산 남부 지역으로 가는 노선을 주로 운행하고 있으며, 고신대학교 인근에 본사 및 차고지가 자리잡고 있어 고신대학교 학생들의 통학을 전담해주는 업체다. 이 때문에 고신대를 경유하는 노선은 기점을 영도고신대로 표기되어 있었으며, 2020년 11월부터는 고신대학교 송도캠퍼스와 구분을 위해 고신대영도캠퍼스로 표기하고 있다.[1] 고신대를 경유하지 않고 와치로로 빠지는 9번은 기점을 영도중복도로로 표기하고 있다.

부산역으로 운행하는 508번을 제외하고는 전부 서구ㆍ사하구 지역으로 운행한다.[2] 영도구 업체 중에서는 신한여객 다음으로 큰 회사이며 수익도 9번, 70번을 제외하면 그럭저럭 사정이 괜찮은 편이다.

저속 운행이 되게 심한 업체 중 한 곳이었다. 508번이 저속 운행으로 악명이 높았으나 부산역에서 중앙공원,민주공원으로 노선이 연장된 이후 더 이상 저속 운행을 하지 않는다.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업체 중 신성여객과 함께 좌석버스를 운행한 적이 없는 회사이다. 그리고 화신여객과 함께 부산 최대의 도심인 서면을 경유하는 노선을 운행한 적이 없는 회사이다.

부산의 한 자릿수 노선 8개 중 3개가 이 회사 소속이다.

면허 순서대로 배차하는 업체이다.

절영로가 호우와 태풍의 영향을 상당히 많이 받는 곳인지라[3] 차량과 대중교통 운행이 전면 통제되면 모든 노선들이 태종로로 임시우회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진다. 때문에 절영로가 교통이 통제되면 남부여객은 비상이 걸린다.

이 회사의 특이점으로 구도색 차량들 중 후면 행선판이 외부에 붙여진 차량들이 많이 있었다. 왜인지는 모르겠지만 2021년 6월 5일에 6번의 기점이 청학동 본사까지 연장되면서 구도색차의 뒷행선판이 보통 차량들처럼 뒷창문 안에 붙여졌다. 그러나... 일부 차량은 뒷유리 교체 때문인지 봉래동영업소 시절처럼 뒷행선판을 외부에 다시 붙이거나[4] 신도색 행선판으로 바꿔 붙였다.[5] 그리고 대도운수 차량에 측면 행선판이 없는 것처럼 후면 행선판이 아예 없는 차도 있다.[6]

특이하게도 구형 차량에 신형 및 타사 부품으로 바꾸는 편이다. 예를 들면, 2016년식 차량에 '삐-' 소리가 나는 하차벨에서 2017년식 이후 차량과 같은 '띵동- 띵동-'으로 교체한다거나 우진산전 차량에 범한차의 '다다다다' 소리가 나는 가상엔진음을 넣는다든지[7] 등등.

이 회사의 모든 노선이 부산보건고등학교에서 만나며, 영도구 소재 업체이지만 신한여객과 유한여객과는 다르게 초량동 이북으로 가는 노선을 운행한 적이 없다.

2. 차량 운용

과거부터 현대자동차자일대우버스를 고루 운용했다. 이런 고른 출고 덕분에 부산 구도색 NEW BS110를 가장 마지막 출고한 업체지만, 2017년 이후부터는 현대자동차만 출고하고 있다. 한편 본사 바로 옆 공터에 전기 충전소가 설치되어 2020년 10월에 일렉시티를 출고했으며, 2021년 8월에는 중형버스만 운행하는 9번에 투입하기 위해 부산 최초로 아폴로 900을 출고하여 부산에서 동남여객에 이어 2번째로 복수 제조사의 전기버스를 보유하게 되었다.[8] 대전운수 무선충전식에 이어 전국 2번째로 아폴로 900을 도입하게 되었으며, 일반 플러그인식으로는 최초다. 남부여객이 우진산전 아폴로 900을 출고함과 동시에 영도에 있는 버스 회사 모두[9] 우진산전 전기버스 보유 업체라는 타이틀을 가지게 되었다.

2022년 말 부산 시내버스 최초[10]로 중국산 반조립 차량인 범한 E-STAR 8을 도입했으며[11], 이후 2023년 새해 들어 출시된 현대 일렉시티 타운을 출고하면서 총 3곳의 복수 제조사의 전기버스를 운영하게 되었다.[12] 2023년 2월 현 전기충전소 아래에 추가로 전기충전소를 설치했으며. 이에 따라 완전히 전기버스 운영 체제로 전환할 것으로 보인다.

2024년 6월 범한 E-STAR 11을 2대 출고하여 508번에 투입했으며, NEW BS110은 사라졌다.[13]

3. 문제점

2015년 11월 28일 부로 88번의 대량 감차로 인해 영도에서 서면 등 다른 지역으로 나가기 어려워졌는데, 이 회사의 영도 ↔ 송도 노선이 수요 대비 공급이 지나치게 많은데다[14] 암남공원 쪽에서 영도/남포동이 아닌 다른 곳으로 가는 노선이 없다는 점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15] 이에 대한 부산시 민원의 답변은 영도 ~ 암남공원 간 버스 노선들의 이용수요가 높아, 기존 승객들의 불편이 야기된다고 했다.링크 이후, 암남공원 방면으로 운행하던 9번 노선이 2017년 4월 22일 부로 고신대병원 방면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서구 충무대로 연선지역을 오가거나 거주하는 시민들은 더 고통받고 있다. 남포동에서 송도로 가는 대부분의 노선이 이 회사가 운영하는 경우가 많고 송도혜성아파트 이후로는 30번을 제외하면 모두 이 회사가 운행한다. 모지포마을 쪽에서 환승 없이 부산역 등 남포동 이북으로 넘어가기는 상당히 불편하다.[16] 서면 방면과 사상, 하단 방면은 송도아랫길 쪽에서도 힘들다.[17]

30번은 이 회사 노선처럼 남포동을 거쳐 태종대로 가고 96번, 96-1번은 완전히 반대인 다대포로 가서 1011번은 충무대로에서 해운대, 기장으로 가긴 하지만 급행버스인데다 충무대로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정류장은 2023년 지역 민원으로 추가된 암남동주민센터 단 하나만 있고, 이마저도 해운대 방향으로만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움이 전혀 안된다. 녹산공단 방향은 여전히 감천로 상에 있는 송도입구에서 이용해야한다.

과거에는 61번이 구.삼화운수 운행시절에 송도해수욕장에서 부산역 이북을 넘어갔지만, 영신여객으로 넘어간 이후로 천마로(송도윗길)로 노선이 조정되고 말았다. 영도 절영로 쪽도 남부여객이 꽉 잡고 있는 바람에 상황은 마찬가지이다. 2018년 초에 해운대로 가는 1006번이 신설되어 절영로를 경유하기에 이 지역에서 장거리 노선 부재로 인한 고충은 어느정도 해소되었긴 하나, 사람들이 실망하는 부분이 노선 자체가 급행버스라서 절영로 상에 있는 일부 정류장에만 선별적으로 정차하며 굴곡 구간이 있으며[18] 태종로 쪽에서는 절영로 구간도 굴곡구간이라 절영로 쪽은 1011번 환승을 유도하고 1006번을 태종로(태종대~부산저유소삼거리)로 돌리라는 말도 나온다.

반면 태종로의 경우 다양한 지역으로 가는 장거리 노선들이 상당히 많으며, 외부 유입 노선까지 합치면 기장군과 강서구까지 간다.

4. 차고지

영업소 소재지 보유 노선 CNG충전소 전기충전소 비고
본사 부산광역시 영도구 와치로 113 (청학동) 전 노선 시종착 X[19] O [20]

4.1. 과거에 사용했던 차고지

  • 1기 본사: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동4가 - 이송도교차로에 위치하였으며, 남부여객의 모든 차량이 이곳에서 정비를 받았다. 1980년 초반대 기준으로 9번의 시종착지점이었으며, 9번이 봉래동으로 연장된 이후에는 구.501번이 다녔을때 남부여객 소속 501번 차량이 주박하는 곳이기도 했다. 차고지 면적은 대형차량이 약 3대밖에 주차가 안될 정도로 좁았기때문에 차고지로의 역할은 하지 않고 사실상 정비소로 취급되었다. 2005년 이후에 본사 사옥과 차고지가 준공된 이후로는 카센터로 이용되다 2014년부터 영도1-5재정비촉진지구 지정으로 인해 재개발에 들어가면서 현재는 흰여울길 유료 주차장으로 이용되고 있고 일부가 도로로 편입되었다.
  •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477-11 - 1990년대 초반까지 절영로 경유 노선(현재의 본사노선)의 차고지로 쓰였다. 다만 80년대까지는 신한여객 중리영업소를 113번과 같이 기점으로 사용하였다.(참고) 여전히 남부여객 소유의 주차장으로 쓰이고 있으며 1~6일에는 정기시장(5일장)이 들어선다. 세진여객 영도영업소 일시폐쇄 때 동삼동 차고지가 개설될때까지 임시로 세진여객 차고지로 쓰이기도 하였다.[21]
  • 부산광역시 영도구 와치로 163 (동삼동) - 1997년 11월부터 2004년까지 절영로 경유 노선(현재의 본사노선)의 기점이었다. 현재는 ‘호건실업’이라는 이름의 중소기업 공장이 들어서 있다.
  • 봉래영업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하나길 794 (봉래동5가) - 6번의 기점으로 사용하다가 2021년 6월 5일 부로 6번 노선이 남부여객 본사까지 연장되면서 회차지로만 사용하게 되었다. 건물과 일부부지는 봉산마을 도시재생 현장지원센터의 자재창고 및 주거지전용주차장으로 쓰이고 있다.

5. 면허 체계

  • 부산 70 자 1201 ~ 1280
    • 남부여객 주 면허.[22]
  • 구 번호판: 부산 5 자 13XX[23]

6. 차량운용대수

  • 시내버스
    • 6번: 18대
    • 7번: 8대
    • 9번: 8대
    • 70번: 9대
    • 71번: 8대
    • 508번: 13대
    • 예비차: 3대
    • 도합: 67대

7. 운행 노선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6 청학동 고신대학교 - 동삼1동행정복지센터 - 영도여고 - 흰여울문화마을 - 봉래동 - 흰여울문화마을 - 남항동 - 영도대교 - (→ 남포동 →/← 자갈치시장 ←) - 충무동교차로 - 공동어시장 - 암남동주민센터 - 감천사거리 - 괴정역 괴정초등학교 7~9
7 고신대학교 - 동삼1동행정복지센터 - 남고교 - 흰여울문화마을 - 남항동 - 영도대교 - (→ 남포동 →/← 자갈치시장 ←) - 충무동교차로 - 남부민2동주민센터 - 송도해수욕장 - 암남공원 수산가공선진화단지 13~16
9 해양경찰청교육센터 - 영도배수지 - 흰여울문화마을 - 남항동 - 영도대교 - (→ 남포동 →/← 자갈치시장 ←) - 충무동교차로 - 남부민2동주민센터 -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 감천사거리 - 감천부두 수산가공선진화단지 15~20
70 고신대학교 - 동삼1동행정복지센터 - 에일린의뜰2단지 - 남고교 - 흰여울문화마을 - 남항동 - 해동병원 - 부산대교 - 남포동 - 서구청 - 구덕운동장 - 보수아파트 중앙공원.민주공원 17~19
71 고신대학교 - 동삼1동행정복지센터 - 영도여고 - 흰여울문화마을 - 남항동 - 영도대교 - (→ 남포동 →/← 자갈치시장 ←) - 충무동교차로 - 공동어시장 - 암남동주민센터 - 송도해수욕장 - 암남공원 수산가공선진화단지 12~15
508 고신대학교 - 동삼1동행정복지센터 - 영도여고 - 흰여울문화마을 - 남항동 - 영도대교 - 부산역 - 부산고교 - 영주삼거리 중앙공원.민주공원 7~8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508
심야
청학동 고신대학교 - 동삼1동행정복지센터 - 영도여고 - 흰여울문화마을 - 남항동 - 영도대교 - 부산역 - 부산고교 - 영주삼거리 중앙공원.민주공원 1일 1회

8. 폐선된 노선

9. 현재 보유차량

9.1. 현대자동차

9.2. 범한자동차

9.3. 자일대우버스

9.4. 우진산전

10. 과거 보유차량

10.1. 자일대우버스

10.2. 현대자동차


[1] 다만 표기는 따로 놀고 있는데 71번과 508번만 저렇게 적용되고 6번은 고신대학교영도캠퍼스로, 7번은 고상 오토차량 한정으로 고신대캠퍼스, 나머지는 그대로 표기되어 있으며 70번은 기존 그대로 영도고신대로 표기하고 있다. 이렇게 통일 안 될꺼면 뭐하러 바꾼건지[2] 사실상 말만 사하구지 실제로는 감천동만 거쳐가며 6번은 감천에서 더 가기는 하나 괴정동만 경유한다. 사하구 최대 번화가인 하단으로 운행하는 노선은 하나도 없다.[3] 바로 아래쪽이 해안절벽으로 바다와 맞닿아 있다.[4] 파일:남부여객1243.jpg
현재는 일렉시티로 대차되어 볼 수 없다.
[5] 파일:남부여객1272.jpg[6] 우진산전 차량. 덤으로 엔진룸 도어가 신형의 것으로 바뀌어졌고 엠블럼은 붙여져 있지 않은(현재는 붙여졌다.) 걸 보면 최근에 사고가 났던 걸로 보인다.[7] 범한차가 들어온 영향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8] 동남여객은 현대 일렉시티+우진산전 아폴로 1100이다.[9] 유한여객, 신한여객[10] 단, 부산 전체 최초로 도입한 곳은 부산 마을버스 대명교통으로, 남부여객보다 5일 더 빠르다.[11] 당시 아폴로 900의 주행거리 이슈를 비롯해 평가가 그린시티보다 좋지 않았고 당시 일렉시티 타운은 출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차선책으로 범한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12] 덤으로 일신여객, 성원여객에 이어서 4개의 국내 버스 제조사를 보유한 업체가 되었다. 단, 이쪽은 현대자동차, 자일대우버스, 우진산전, 범한자동차로 제조사 하나만 다르다.[13] 이후 삼신교통, 성원여객에서도 대차해 부산에서 NEW BS110은 태영버스만 남았다.[14] 남포동까지는 수요가 많지만 그 이후로는 중복노선들에 치여 그리 많지 않은 경우가 많다.[15] 주로 영도 ↔ 송도 노선의 차량 대수를 줄이거나, 일부 노선을 통폐합하고 남는 차량은 서면, 남구 쪽으로 넣으며, 영도가 아닌 다른 곳에서 오는 노선을 수산가공선진화단지로 연장하여 대체하라는 내용이 대부분이다.[16] 혜성아파트까지 가서 26번으로 환승하거나 7번을 타고 자갈치로에서 17번으로 환승하거나 남포동까지 가서 도시철도를 타야된다. 송도쪽은 1970~80년대에 구.삼화운수가 독점했고 그나마 이때는 61번이 송도에서 출발하여 송도아랫길을 경유하여 부산역 이북 지역으로 운행되었기에 이때까지만해도 큰 불편은 없었다.[17] 천마로는 16번, 61번, 161번, 171번이 하단, 사상 방면으로 운행하고 있어 걱정은 없지만 충무대로에서 그나마 부산진시장 근처까지 제일 가까이 가는 노선은 부산진성공원 정류장으로 비껴가는 26번 하나가 전부다. 다만 강서공영차고지의 개장으로 인하여 2023년 7월 29일부로 17번과 61번 노선의 대폭 변경되어 더이상 서면 방면으로는 갈 수 없게 되어버렸다. 또한 사상 방면의 경우 61번이 부산진우체국으로 노선이 단축되었고 161번의 배차간격이 2배 이상 길어져서 상당히 불편해진 상황이다. 하단의 경우에도 모든 노선들이 경유하지만 16번을 제외하면 빙빙 둘러가는 굴곡 노선이라 없으니만 못한 상황이다.[18] 유엔로 구간이다. 이 구간을 폐지하고 다른 노선으로 대체하거나 환승을 유도하라는 말이 나온다.[19] 신한여객 본사 근처에 있는 태종 CNG 충전소에 가서 충전을 한다.[20] 고신대학교가 2개 정류장 옆에 있다. 그래서 고신대 방향으로 가지 않는 9번을 제외한 남부여객 본사노선은 행선판의 기점표기가 영도고신대로 되어 있다.[21] 참고로 이 주차장의 출구쪽에는 버스 정류장의 흔적이 남아있다.[22] 1996년 면허 개정 당시 13##호를 받았어야 했으나 어째서인지 금진여객과 서로 바뀌었다. 아무래도 금진여객의 좌석면허도 12## 전반부가 부여되다보니 금진여객 측에서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서인지 이 업체와 바꾼 것 같다. 하지만 당시 구. 금강여객은 일반과 좌석의 면허가 동일한 11##을 배정받았는데 입석은 1101호부터 부여받았고 좌석은 1151호부터 부여받았다. 그 중에 12#4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부산 70자 1234호가 없는 이유가 이 때문이라고 본다.[23] 만약 면허개정당시 부산70자 13##호를 그대로 부여받았으면 대도운수와 구. 대일여객 같이 구면허와 신면허가 일치하는 업체가 되었을 것이다.[24] 2016년 3월 12일에 부산 버스 9번으로 통합되었다.[25] 2017년 5월 13일에 폐선됐다.[26] 영도구를 벗어나지 않는 영도구를 순환했던 노선이였고 부산에서는 유일한 100% 순환노선이었다.[27] 초기에는 7줄그릴 최초기형으로 먼저 도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