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000,#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tablebgcolor=#ffffff,#1c1d1f> 강서구 | 사덕 · 덕두 · 명지 |
금정구 | 오시게 · 부곡 · 서동미로 · 장전 · 남산 | |
기장군 | 월내 · 기장 · 좌천 · 대변 | |
남구 | 감만 · 못골 · 대연 · 용호 · 우암 | |
동구 | 진시장 · 남문 · 자유 · 성북 · 수정 · 좌천가구 · 초량 | |
동래구 | 동래 · 국민 · 금강 · 사직 · 수안 · 명장 · 서원 · 안락 · 온천 | |
부산진구 | 개금 · 부전 · 당감 · 동평 · 서면 · 양정 · 연지 · 전포 · 중앙 · 초읍 · 평화 | |
북구 | 구포 · 구남 · 덕천 · 만덕 | |
사상구 | 감전 · 덕포 · 모라 · 삼락 · 새벽 · 엄궁 | |
사하구 | 하단 · 하단오일 · 다대 · 가락 · 감천 · 감천2 · 괴정 · 당리 · 사하 · 신평 · 장림 | |
서구 | 대신 · 동대신골목 · 보수책방 · 서대신골목 · 송남 · 충무 | |
수영구 | 광안 · 광안어패 · 남천해변 · 망미중앙 · 민락 · 민락회 · 수영팔도 | |
연제구 | 거성 · 거제 · 연동 · 연미새 · 연산 · 연일 · 연천 | |
영도구 | 남항 · 동삼 · 영도봉래 · 청학 | |
중구 | 자갈치 · 부평깡통 · 국제 · 남포 · 영주 · 만물 · 보수 · 신동아 | |
해운대구 | 반송골목 · 반송큰 · 반여2 · 장산중리 · 재송 · 좌동 · 해운대 | }}}}}}}}}}}} |
1. 개요
Gupo Market / 龜浦市場부산광역시 북구 구포시장1길 17 (구포동 599)에 위치한 400년 전통의 거대 규모의 재래시장.
2. 역사
조선시대에 물류는 강을 통한 배를 이용한 물류가 일반적이었기에 낙동강 옆에 위치한 구포(감동창)에 국가 예산의 1/12이 모여드는 물자의 집산지로서 번화하여 구포시장이 만들어졌다. 지금 기준으로 생각할것이 아닌것이 당시는 남북한 합친 한반도에서 그정도 물자가 모였다는것은 엄청난 상업도시였다는걸 알수 있다.1809년(순조9년)에 구포시장(당시엔 감동장)을 산성입구인 대천천 일대의 마을로 옮겨달라고 건의한 내용이 있으며. 1871년 <영남읍지>에 문헌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래 저래 학자들은 구포시장의 역사를 400년으로 보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보면 부산의 동래시장과 비슷함을 이루고 있으며 전국적으로도 이렇게 오래된 역사의 시장은 찾아보길 드물다.
전통적으로 5일장이었는데 이 전통은 1972년 상설시장이 된 현대까지도 내려와 끝자리가 3, 8인 날짜(3일, 8일, 13일, ...)에는 장날이라서 시장 규모가 평소의 두 배가 되는 특이한 광경을 볼 수 있다. 1919년 3월 29일 이곳에서도 삼일절 만세운동이 일어났으며 이는 주변의 '구포만세길'이라는 지명 등에 남아 있다. 이또한 부산지역에서 일어난 3.1운동 지역중 동래와 구포 단 두곳중 하나이다.
예전부터 구포나루터는 교통의 요점으로 발달된 시장이었고 이후 일제강점기에도 일본인들도 구포의 지리적 강점을 알았기에 부산역 다음의 버금가는 경부선 구포역을 만들었고 구포다리를 만들어 물류를 통한 더욱더 발달된 시장이되었다.(지금의 기준으로 생각할것이 아닌것이 당시에 기차만이 유일한 교통수단이었고 전통 시장만이 지금의 백화점의 개념이었다. 그리고 당시 부산엔 사람이 모여사는 동네 자체가 부산구도심과 동래를 제외하곤 거의 없었던 촌락 수준의 동네가 대부분이었다.) 때문에 5일 장날마다 기차를 타고 부산 시외의 남부지역권의 상인들이 모여 어마어마한 규모의 장날을 만들어 낸다. 1990년대 까지는 시외에서도 모이는 상인수가 어마어마하여 그 상권이 구포역까지 이어져 노상을 깔아 놓고 물건을 팔던 상인이 있었다고 한다. 지금은 규모가 줄은 편이지만 장날에 방문하면 단일 시장치곤 지금도 다른곳에서 찾아보기 힘든 규모이다. (아케이드를 벗어난 구역도 시장이 있다)
3. 상세
이름은 구포시장이고 소재지도 구포동이지만, 정작 구포역에서 오기에는 조금 멀고[1] 덕천역에 붙어있다. 특히 1번, 3번 출구가 가장 가깝다. 왜냐하면 덕천역이 위치한 덕천교차로가 구포동 덕천동 행정구역상 나뉘는 지점 이기 때문이다.[2] 구포시장 앞의 버스 정류장은 중앙버스전용차로가 깔린 환승센터처럼 되어 있어서 엄청나게 많은 버스 노선들이 경유해 간다.[3]부산에 있는 전국구 규모의 초대형 재래시장이다.[4] 다만 부산시는 예전부터 해안가 동네를 개발하고 밀어주는 경향이 있어서 자갈치시장 일대 구도심, 광안리,해운대를 주로 밀어줘서 외지인중에 모르는 이가 상당히 많다. 이는 부산 시내 젊은층도 마찬가지로 은근 모르는 이유가 많은데 지리적으로 부산의 관문에 위치하지 안쪽에 위치한것은 아니기에 굳이 부산 안쪽에서 바깥으로 안와본 이유도 있거니와 예전 부산의 경우에는 도시로서 개발된 동네가 지금보다야 적었기때문에 구포같은 상업동네가 번성했지만 지금은 신도시도 많이 생기고 다양한 동네가 개발됨과 동시에 동네상권이 생겼기 때문이다.하지만 나이든 어르신들만 하더라고 구포시장에 대해 다들 잘알고 있고 방문해본 경험이 다들 있는편이다. 이는 구포역으로 인한 방문도 있을것이다. 2010년도 까지도 경부선을 이용하려면 부산역과 구포역 2군데가 부산의 메인 기차역이었기 때문이다.
관광지 시장이 아닌 진짜 현지인시장을 구경하고 싶다면 강력히 추천하는바이다. 왜냐하면 구포역에 있어 외지인 관광객도 방문하기 쉬울뿐더러 낙동강건너 김해공장도 가깝기도하고 시외고속도로의 관문인 동네이다. 그나마 현지인 시장이던 부전시장도 서면과 가깝다는 지리적 이점으로 각종 인스타광고등으로 인해 핫플이 됨과 동시에 외국인관광객도 많아져서 서서히 관광지시장이 되어 가고 있지만 여전히 구포시장에는 진짜 물건을 사고파는 초대형 현지인 시장이기때문이다.
종합시장이기 때문에 어지간한 품목은 다 판매한다. 입구에서는 과일이나 채소, 고기, 생선 등을 팔며 안쪽으로 들어가면 식당가가 즐비하다. 전국적으로 유명한 특산물인 구포국수로 유명하다. 구포국수와 돼지국밥 맛집이 여럿 있다. 족발집이나 횟집, 떡집, 반찬 가게 등도 괜찮은 곳이 많다. 전통 과자를 파는 곳이 많은데 시설도 깨끗하고 맛도 좋은 편이다.
대부분 자연적으로 번화가가 생성된 동네가 그렇듯이 시장+번화가상권 으로 발전된 상권으로 바로 붙어있는 덕천번화가가 함께 커진 상권으로 구포시장 맞은편 갓파스시건물 일대에 태화백화점을 오픈하려 땅까지 매입했었다. 다만 시기가 IMF 이전시기라 땅까지 매입하고 태화쇼핑이 부도가 나버려 그계획은 무산이 되었다.
덕천역 1번 출구 쪽에 있는 출구로 나와 길을 건너면 바로 덕천동으로 이어지며, 여기는 부산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번화가다. 길 하나 건너면 바로 옛날 느낌에서 현대적인 광경으로 변하는 신기한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래도 구포시장 재정비사업을 통하여 2000년대에 비해 현대적으로 변하였다.
버스 정류장 근처에 있는 '금빛노을브릿지'는 화명생태공원을 잇는 보행교이며, 주변의 감동나룻길 리버워크, 구포만세길과 함께 구포시장과 화명생태공원의 연계관광이 이루어지고 있다.
중요한 정치적 선거가 있는날에는 지금도 정치인들이 선거유세하러 찾아오는곳이다. 그만큼 유동인구가 많은 거대 시장
4. 대중교통
4.1. 버스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ddd><tablebgcolor=#fff,#191919> 구포시장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 |
일반 | |
마을 | |
김해시 시내버스 | |
일반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ddd><tablebgcolor=#fff,#191919> 구포시장종점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 |
일반 | |
마을 | |
김해시 시내버스 | |
일반 |
[1] 걸어서 오면 10분 정도 걸린다.[2] 이쪽은 소재지도 구포동이다. 사실 구포나 덕천이나 행정구역상 선긋고 생활하는 문화가 아니라 같은 남포동 광복동을 하나로 묶는 상권처럼 같은 상권문화권이다. 그리고 예전에는 북구 전체가 구포면에 속해있던 동네기에 북구 전체를 넓게 구포로 칭하는경우가 많아 부산시내 도로표지판을 봐도 북구 방향은 대게 구포로 표시되어 있다.[3] 다만 구포역에서 오는 노선 중에 화명동, 금곡동 방면으로 좌회전하는 버스(15번, 59번)나 만덕대로에서 와서 구명역 방면으로 좌회전 버스(46번, 169번)는 이 환승센터를 경유하지 않는다. 덕천교차로가 좌회전 금지구역이기 때문에 구포시장종점 정류장을 경유하여 P턴하거나 우회하여 가기 때문이다.[4] 서울권에 성남 모란시장이 초대형 규모로 유명하다면 남부권에는 구포시장일 정도로 알고 보면 전국구 탑티어시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