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2 02:36:39

부산 버스 124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부산 버스 124/논란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39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기장군버스|
기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번 ~ 99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3 5-1 6 7 8
9 10 11 15 16 17
20 22 23 24 26 27
29 30 31 33 33-1 36[A]
37[A] 38[A] 39 40 41 42
43 44 46 49 50[A] 51
52 54 55[A]
55-1[C]
55-2 57
58[A] 58-2 59 61 62 63
67 68 70 71 73[B] 77
80 81 82 83
83-1[A]
85
86 87 88 88-1 90 96
96-1[A]
99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00번 ~ 583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00 100-1 101 103 105 106
107 108 110 110-1 111 111-1
113 115[A] 115-1 121 122[B] 123
124[A] 126 127 128-1 129-1 131
133 134 138 138-1 139 141
144 148 148-1 155 160 161
167 168 169 169-1 171 179
180[A] 181 182[A] 183[A] 184[A] 185[A]
186[A] 187[A] 188[A] 189 189-1 190
200 210 300[A] 301[A] 302[A] 307[A]
338 506 508 520[B] 583[A]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 ||
파일:부산 버스 124HL.png
파일:부산 버스 124EVH.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3기(강서공영차고지~명지오션시티~명지국제신도시~하단역)
5. 연계 철도역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24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124번 버스 노선도 V5.png
기점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강서공영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하단역)
종점
첫차 05:00 기점
첫차 06:15
막차 21:50 막차 22:55
평일배차 14~18분 주말배차 20분
운수사명 금진여객 인가대수 10대[1]
노선 강서공영차고지 - 동아밸브 - 농심 - DSR - 삼성전기 - 태광금속 - 신호하수처리장 - 신호초·중학교 - 르노코리아남문 - 신호대교 - 두산위브아파트102동[단독] - 명호중·고등학교/한신휴플러스아파트 - 오션초등학교[단독]/엘크루 블루오션- 명지환승센터 - 더스퀘어 - 명지초등학교.명지중학교 - 명지새동네 - 을숙도.문화회관 - 하단역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42.8km다. 노선정보

3. 역사

  • 과거 김해군 시절에 무번호로 다니던 노선으로서 1978년 부산직할시로 편입될 때 124번으로 운행을 시작하였다. 1기 노선은 화진여객[4]에서 운행했다. 노선은 '제도(천자도)[5] - 대사리 - 대저안동네 - 구포역 - 모라동 - 덕포동 - 사상역입구 - 새벽시장 - 주례 - 개금 - 가야 - 서면 - 범내골 - 진시장' 순으로 운행했다.
  • 1985년에 주례교차로까지, 1988년에 서부터미널까지, 1993년에 구포시장까지 단축되었으며 이 때는 한진여객(현 성원여객)과 공동배차하였다.
  • 1994년 '하단 - 제도 - 강서구청 - 구포시장'으로 운행하다가 1995년에 폐선되었다. 124번의 제도 구간은 연산버스가 노선 운영권을 가져가 대호교통을 설립하고 강서15번으로 대체되었다. 사실상 마을버스로 격하된 거나 마찬가지.
  • 2기 노선(김해~서면)은 부산광역시 대중교통과에서 북부산서면권을 연계해주고,[6] 1004번 5대 감차[7]로 인한 불편을 메우고자 2015년 11월 28일 130번을 폐선하고 신설한 것이다.[8]
  • 2017년 11월 4일 홈플러스 모라점 경유로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23년 7월 29일 금진여객강서공영차고지에 입주함과 동시에 김해시에서 전면 철수했다. 이에 따라 노선 역시 '강서공영차고지 - 녹산공단 - 신호부영아파트 - 명지오션시티 - 명지환승센터 - 서부지원.서부지검 - 경일고교 - 하단역' 노선으로 바뀌어 기존 노선과 180도 다른 노선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이에 김해시는 124번의 대체 노선인 911번을 신설하였다.
  • 2023년 11월 4일 녹산산업북로 - 가락대로 - 녹산산업대로 구간이 녹산산업북로 - 가락대로 - 녹산산업중로 구간으로 조정되었고, 명지오션시티 구간도 퀸덤아파트 - 명호초교 - 명지철새탐조대에서 명지오션1로 - 명호중고교 - 오션초교 - 명지철새탐조대로 조정되었다. 명지국제신도시 구간도 명지환승센터 - 명지서부지청 - 한국토지주택공사 - 명지국제4로에서 명지환승센터 - 더힐시그니처 - 더스퀘어 - 명지국제6로 - 명지새동네로 조정되었다.
    {{{#!folding [ 개편 전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124 지도 노선도.svg}}}

4. 특징

  • 환승대기시간이 60분으로 적용된다.[9] 2기 노선의 경우 주말 및 공휴일 배차간격이 30분을 넘어가는 이유도 있겠지만 동일한 경로로 2회 환승으로 이동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10] 3기 노선의 경우 동일 경로로 2회 환승으로 이동이 가능하지만, 주말, 공휴일 배차간격이 30분에 육박하기 때문에 그대로 60분인 것으로 보인다.
  • 여담으로 1~3기 노선 모두 노선 선형 및 성격과 목적은 완전히 다르지만 셋 모두 강서구를 지나는 노선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 2기(김해구산동~백양터널~서면) #===
[ 노선 변경 전 경로 보기 ]
파일:부산 124 노선도.png
  • 정책노선이며 U턴이 정말 많은 노선중 하나다. 김해 구간에는 없다.[11]
  • 홈플러스 모라점을 경유하는데 31번, 148번, 338번 등 모라주공을 종점으로 삼는 노선처럼 운행한다. 문제는 김해 방향으로 U턴이 하나 더 생겼다는 것이다.
  • 시간이 지나면서 김해시민들의 혼란이 어느정도 줄어들고 폐선된 구.130번127번과 더불어 김해에서 구포역구포시장으로 가장 빠르게 이어주는 덕분에[12][13] 구.130번 운행 시절의 수요를 거의 흡수하였다. 김해~선암다리~구포시장 구간 수요가 제법 존재한다.
  • 당감동 구간의 주민들도 동평로를 질주하여 가는 124번의 노선 경로를 파악하기 시작하여 서부시외버스터미널을 거치지 않고 백양터널을 통과하기 때문에 당감동에서 백양터널을 통과하여 신모라사거리덕천동, 구포시장 쪽으로 가는 수요까지 상당히 늘었다. 그 외에 국제백양아파트~부암교차로 간 이용승객도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구포시장에서 국제백양아파트, 당감동 일대까지 한해서 이용승객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 반면에 부암교차로 이남부터는 여전히 공기수송중이다. 가축수송으로 몸살을 앓는 사상6번의 당감동 국제백양아파트/화인아파트에서 서면까지의 수요가 분산되어 수요창출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으나 잠정수요가 큰 폭으로 반감되고 있다. 이유는 서면까지 가지만 1004번처럼 관문대로로 가는 것도 아니고 17번, 23번처럼 진양교차로로 가는 것도 아니다. 어떻게 가냐면 이들 중 가장 최장거리인 사상6번/88번(당감동~부암교차로~부산진구청~서면)과 같은 루트로 가는 것도 모자라서 부산시민공원남문~부전시장으로 빙빙 돌아간다. 그래서 소요시간이 심각하게 길다.[14] 더군다나 서면의 네오스포로 어지럽게 회차하는 방식도 경미하게 논란이 일고 있다. 이 때문에 서면까지 가는 수요는 아예 없는 수준이다.
  • 2016년 4월 23일 개편으로 1004번이 더이상 대저안동네로 들어가지 않게 되고 특히 대저안동네에서는 서면으로 바로 가는 버스가 이 버스만 남았기 때문에 대저안동네에서 수요가 꽤 많이 늘어났다.
  • 구산동이나 삼계동에 사는 사람이라면 김해대로에서 LED를 끈 채로 돌아다니는 버스를 자주 볼 수 있는데 금진여객 차고지에 CNG 충전소가 없기 때문에 충전을 하러 가는 것. 이것은 운수사가 같은 128-1번도 마찬가지이며, 차고지에서부터 한림면까지 왕복 8km가 넘는 거리를 공차회송한다. 참고로 태영버스부원역 근처의 전용 충전소를 이용한다. 하지만 거기도 한림면보다 낫다 뿐이지 거리가 가깝지 않은 건 마찬가지다.
  • 시외권역 노선들 중 부산진구 범전동(부산시민공원 남문)과 부전역 후문을 양방향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그러나, 범전동 구간은 가장 수요가 없는 구간이다. 2016년 5월 21일 개편으로 103번연제공용차고지로의 노선연장과 동시에 범전동 구간을 철수하게 되어 서면 방향으로도 124번이 단독구간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그래도 승객 수는 거의 없다시피하다. 다만 거제동방면으로는 2021년 5월 1일 개편으로 506번이 추가로 경유하게되었다. 물론 506번도 승객 수는 거의 없다시피하다.
  • 시내버스 여행에서도 잘 사용되지 않았다. 이미 구포방면으로 갈거면 127번이 있고[15], 부산시내로 갈거면 훨씬 더 빠른 1004번이 있기 때문이다.
  • 김해~서면간 전 구간 완주 수요는 거의 없고, 당감동에서도 17번의 인지도가 너무 높고 17번의 배차가 훨씬 더 짧아 당감동에서 서면으로 가기 위해 124번을 타는 수요도 거의 없다. 김해~서면은 1004번을 타고간다. 124번은 굴곡이 너무 심한데다가 배차간격도 매우 길기 때문.
  • 구포시장에서 구산동으로 가는 버스 중에 가장 빨리 가는 버스다.
  • 2017년 3월 기준으로 최근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으로 동해선을 이용하는 승객들과 부전시장에서 이용하는 승객들도 제법 생기기 시작했다. 그렇지만 서면구간은 아직도 공기수송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운송수입금으로도 여전히 구.130번에 훨씬 못미치는 수준이다. 구.130번은 1일 대당 38~39만원대를 기록했으나, 이 노선은 여전히 28~30만원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1009번과 운송수입금차이가 얼마안난다.
  • 2017년 기준 일평균 이용수는 3,039명[16]으로 폐지된 130번이 2015년 기준 일평균 이용객수 6,170명[17] 이였던 걸로 따지면, 딱 절반 밖에 안 되는 수준이다. 2018년 4월 기준 대당 운송수입금 30만원에 대당 승객수 323명으로 집계되었다. 2018년 6월에는 대당 313명 운송수입 29만원을 찍었다. 11월에는 이용객수 3,198명, 운송수입 30만원을 찍었다. 자사노선인 1009번은 이용객수 1,187명, 운송수입금 29만원이라 운송수입금은 차이가 얼마 안난다.
  • 대저안동네 구간에서는 구포시장 환승센터를 비롯하여 구포시장동문과 구포시장남문 정류장까지 모두 경유하니 자신이 원하는 목적지로 가고 싶으면 이 노선을 이용하면 된다.
  • 김해에서 국제백양아파트이나 서면에 가고싶으시다면 1004번을 이용하자

4.1. 3기(강서공영차고지~명지오션시티~명지국제신도시~하단역)

  • 2023년 7월 29일 금진여객강서공영차고지로 이전하면서, 기존 구간이 일부 유지된 128-1번, 17번, 61번 등과 달리 이 노선은 180도로 완전히 다른 노선으로 바뀌었으며, 기존 기형적인 백양터널 ~ 부산시민공원 구간은 돌려막기로 1009-1번이 맡게 됐다.
  • 노선 변경이 아니라 기존 노선을 폐선하고 번호가 같은 새로운 노선을 신설하는 거나 마찬가지이다. 기존 구간과 중복되는 구간이 단 하나도 없는데, 이쯤되면 폐선이 되어야 정상이지만 어째서인지 노선 변경으로 그쳤다. 부산시에서도 최초이며[18] 전국으로 보아도 진짜 얼마 없다. 다만 예전 해운대신시가지 착발 시절의 36번이 180도 변경된 사례를 답습한 사례이긴 하다. 사실상 58-3번이나 다름이 없다. 다대포로 안 간다일 뿐이지 3번과 노선도 124의 하단 타절과 3번의 신호동 타절을 제외하면 완벽히 같은 것도 문제이다.
  • 하단역까지밖에 가지 못하는 단거리 노선이라 같은날 하단역까지 단축되는 123번을 대체해서 서구청이나 부산역까지 보내달라는 의견이 많이 나왔으나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 그동안 강서9-1번이 홀로 독점했던 녹산산업북로를 경유한다. 하지만 중간에 녹산산업대로로 돌아가기 때문에 현재 운행중인 강서9-1번이나 과거 520번과는 다르게 최단거리 형태는 아니다.
  • 2023년 11월 4일부로 명지오션시티명호중학교명호고등학교, 오션초등학교오션중학교를 직접 거쳐가도록 노선조정되어 통학이 한결 편리해질 전망이다. 그동안 해당 구간을 이어주는 노선은 강서20번 뿐이었는데 2023년 7월 29일 520번 대체노선으로 가덕도까지 연장되어 더이상 연계되는 노선이 없었다. 때문에 교통 소외지역으로 통학이 많이 불편했는데 이번 개편으로 해당 구간을 이어주게 되어 교통편이 크게 나아질 전망이다. 다만, 이로 인해 경일고등학교 통학생들에게는 불편이 예상된다.

5. 연계 철도역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명지신도시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급행 1005 <colbgcolor=#dddddd,#212121> 1009 1011[a] 2000[a]
좌석 58-1
일반 3 55-1 55-2 58
58-2 61 122 124
128-1 520 171 161
마을 강서 9-2 강서 14 강서 17 강서 20
강서 21
김해 914
음영표기: 국제신도시 경유 노선
[a]르노삼성대로로 운행하는 노선
}}}}}}}}} ||


[1] 공휴일 9대 운행[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단독] [4] 2004년에 태영버스에 인수되었다.[5] 에코델타시티 개발로 사라진 지명이다.[6] 공지에는 원도심이라 써 있는데 이 노선은 원도심을 지나지 않는다.[7] 이 5대는 2014년 12월 27일에 개통된 1005번에 투입되었다.[8] 본래 2014년 12월 개편에 123번 차량분 5대로 김해 - 강서구청 - 강서낙동강교(삼락IC) - 백양터널 - 현재 노선으로 개통하려 했으나 운행 업체의 부정적인 반응과 노선 경로 상의 문제로 무산되었으며 2015년 상반기에 123번130번에서 5대씩 빼와서 총 10대로 신설할 예정이었으나 이 때도 성원여객은 1004번과 과하게 중복되는 124번 노선에 부정적으로 반응했다고 한다. 때문에 개통이 연기되어 2015년 10월, 금진여객 단독 노선 신설로 결정되었다.[9] 원래는 아니었지만 부산시에서 민원 발생과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조정한 것으로 보인다. 이전차량 하차 후 50분이 지나 환승이 되어 부산시에 질의하여 받은 정식 답변이다. 의외로 3기 노선도 그대로 60분이 적용된다.[10] 1008번도 마찬가지로 배차간격이 15분이지만 환승대기시간이 60분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1009번 1기 노선은 배차간격이 40~60분이지만 동일경로로 2회 환승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환승대기시간이 90분으로 설정되어 있었다. 참고로 1009번 역시 원래는 환승대기시간이 60분이었다.[11] 몇 곳은 좌회전 금지구간이 있기 때문이다. 강서구청, 북구청, 신모라사거리, 부암교차로, 삼전교차로에서 U턴한다. 이중 강서구청, 신모라사거리에서는 양방향 U턴을 하므로 한번 운행할때 유턴만 7번 한다. 게다가 경원고 앞 삼거리(백양터널어귀 삼거리)에서 좌회전 할 때 말이 좌회전이지 유턴에 가깝다. 사실상 8회 유턴.[12] 구포역은 거의 동의하지만 구포시장은 호불호가 갈리는편인데 구포대교에서 구포역 방면으로 빠지는 진출램프가 없는 관계로 저 멀리 북구청까지 가서 유턴해서 돌아와야해서 시간이 조금 걸리는 편이다. 그래도 P턴으로 편도회차하는 방식보다는 신호대기가 적게 걸려서 빠르긴 하다. 다만 덕천초등학교 방면 구포시장 입구 방면이 주 목적인 승객들은 127번이나 128-1번을 타는 것이 좋다.[13] 127번은 부산방면에 한해 대저안동네를 미경유로 더욱 빠르다.[14] 때문에 당감동에서 서면으로 빠르게 가려는 승객들은 부암교차로에서 다른 노선들로 환승하여 가는 편이다.[15] 127번은 구포방면의 경우 대저역을 경유하여 낙동북로로 바로 질러간다.[16] 평일 기준으론 3,200여명이었다.[17] 평일 기준으론 6,400여명이었다.[18] 2016년 변경된 301번도 노선이 180도 뒤바뀌긴 했지만 그래도 노포동 구간은 겹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