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0" | <tablebordercolor=#e5007f> | }}} |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5007F; font-size: 13px;"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도시 고속 | | | | |
| | | | ||
급행 (공항) | 2029[A][C][E] | ||||
급행 (직행좌석) | 2000[C][D] | ||||
급행 (일반좌석) | 1000 | 1001 | 1002 | 1003 | |
1004[A] | 1005[B][C] | 1006[A][C] | 1008[A] | ||
1009[B] | 1009-1[A] | 1011[A][C] | 1012[B] | ||
좌석 | 58-1[A] | 203[A] | |||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입석금지 [D] 준공영제 제외 및 환승할인 불가 [E] 임시노선 |
| |
1. 개요
태영버스에서 운행하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85.9km다.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 |||||
| |||||
기점 |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강서공영차고지) | 종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네오스포) | ||
종점 행 | 첫차 | 05:00 | 기점 행 | 첫차 | 06:50 |
막차 | 20:00 | 막차 | 21:50 | ||
평일배차 | 43~50분 | 주말배차 | 50~60분 | ||
운수사명 | 태영버스 | 인가대수 | 7대[공휴일] | ||
노선 | 강서공영차고지 - 르노자동차 - 명지환승센터 - 금강펜테리움1차 - 협성휴포레 - 경일고교 - 동자 - 서부산유통지구역 - 김해국제공항(1층 도착층) - 덕두역 - 강서체육공원 - 강서구청역 - 구포대교 - (← 구포역 ← 구포시장 ← 덕천교차로 ← 구명역 ←) - 백양고입구 - 모라농협 - 모라주공3·4단지 - 백양터널 - 국제백양아파트 - 당감시장 - 부암교차로 - 부산진중학교 → 부전시장 → 서면역.서면지하상가 → 네오스포 → 부암역.부산도시공사 → 서면역.롯데호텔백화점 → 부전시장 → 송상현광장(05-350)[단독] → 부산진중학교 → 이후 역순 | ||||
가늘게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
3. 역사
- 2024년 7월 13일부터 2029번이 개통함에 따라 이 노선의 차량 3대가 해당 노선에 투입되어 이 노선은 7대로 운행한다.
- 2025년 부산 시내버스 전면개편으로 현행노선은 폐선될 예정이다.[3] 이로인해 기존 명지~김해공항~덕천교차로 구간은 109번으로 대체되지만, 문제는 백양터널을 통과하는 노선이 3004번(현 1004번) 하나만 남게되어 백양터널을 통하여 모라동과 당감동을 오가는 승객들에게는 이용불편이 예상되고 있다.
4. 특징
- 환승대기시간이 60분으로 적용된다.
- 시내버스 운송약관 제16조에 명시된 승객들의 안전을 위해 차량 내 물품 반입을 중량 10kg 미만, 규격 50X40X20cm3 미만으로 제한을 정확히 적용하고 있는 노선이니 불편하더라도 협조 바란다.[4] 실제로 차량 안에 안내문을 부착하고 다닌다.
- 노선 신설 사유는 명지~김해공항~백양터널~서면 직통 노선 신설로, 김해공항 대중교통 편의 증진을 위함이다.(부산 강서구-21806(23.3.23.))
- 명지국제신도시나 신호동 사람들이 이 노선으로 서면까지 바로 가는 경우는 0이며, 대부분 서부산유통지구역에서 부산김해경전철로 환승하여 김해나 사상으로 나가거나 김해국제공항을 이용할 목적으로 이용하거나 강서구청역에서 3호선으로 환승하거나 백양고입구 정류장에서 2호선이나 타 노선으로 환승을 승객들이 대부분이다. 다만 61번, 1011번과 마찬가지로 표정속도를 떨어뜨리는 명지오션시티를 미경유한다는 장점 덕에 시간 맞춰 이용하는 승객들이 존재한다.
-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최초로 부번호가 붙은 급행버스다. 기존 1009번 구간을 다수 운행함에 따라 이렇게 붙은 것으로 보인다.
- 김해공항 구간에서는 양 방향이 모두 동일한 정류장을 경유하므로 기사님께 방향을 물어보거나 운전석 앞의 방향 표시판을 잘 보고 타야 한다.
강서공영차고지 방향 네오스포 방향 LED 행선판 1009-1 강서공영차고지행 1009-1 서면행 운전석 행선판 공항 → 명지 공항 → 서면
4.1. 시간표
2024년 7월 13일 기준4.2. 논란
4.3. 노선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네오스포 05064 | ↓ | ← | ↑ | 부산진초등학교 05235 | |
부암역.부산도시공사 05344 | 서면한전 05713 | |||||
서면역.롯데호텔백화점 05719 | ↓ | ↑ | 서면역.서면지하상가 05711 | |||
이상 회차 구간 | ||||||
부전시장 05708 | 부전시장 05709 | |||||
송상현광장 05350 | ↓ | ↑ | 부전역 05707 | |||
부산진중학교 05352 | 부산진중학교 05168 | |||||
부암교차로 05164 | ↓ | ↑ | 부암교차로 05163 | |||
부암고가교 05055 | 부암고가교 05054 | |||||
부암새고개 05058 | ↓ | ↑ | 부암새고개 05059 | |||
당감사거리 05085 | 당감사거리 05086 | |||||
개성고등학교입구 05092 | ↓ | ↑ | 개성고등학교입구 05093 | |||
개원초등학교 05096 | 화인아파트 05098 | |||||
국제백양아파트 05025 | ↓ | ↑ | 국제프라자아파트 05097 | |||
모라주공3.4단지 15209 | 모라주공3.4단지 15210 | |||||
↓ | ↑ | 신모라입구 15203 | ||||
모라농협 15019 | 모라농협 15018 | |||||
모라119안전센터 15004 | ↓ | ↑ | 모라119안전센터 15005 | |||
구포현대아파트 08083 | 구포현대아파트 08082 | |||||
백양고입구 08090 | ↓ | ↑ | 백양고입구 08089 | |||
이하 편도 운행 구간 | ||||||
구명역 08094 | ||||||
구포시장동문 08116 | ↓ | ↑ | ||||
덕천교차로 08118 | ||||||
구포시장 08067 | ↓ | ↑ | ||||
구포역 08070 | ||||||
이상 편도 운행 구간 | ||||||
강서구청역 12298 | ↓ | ↑ | 강서구청역 12299 | |||
강서체육공원 12054 | 강서체육공원 12050 | |||||
신덕마을 12196 | ↓ | ↑ | 신덕마을 12197 | |||
등구마을 12141 | 등구마을 12142 | |||||
경전철덕두역 12027 | ↓ | ↑ | 경전철덕두역 12028 | |||
국제선청사 12526 | 국내선 - | |||||
국내선 - | ↓ | ↑ | 국제선청사 12526 | |||
경전철덕두역 12028 | 경전철덕두역 12027 | |||||
덕두시장 12134 | ↓ | ↑ | 덕두시장 12135 | |||
서부산유통지구역 12367 | 서부산유통지구역 12368 | |||||
금호마을 12044 | ↓ | ↑ | 금호마을 12113 | |||
맥도자연생태공원 12669 | 맥도자연생태공원 12668 | |||||
작지 12295 | ↓ | ↑ | 작지 12296 | |||
동자 12670 | 동자 12671 | |||||
경일고등학교입구 12101 | ↓ | ↑ | 경일고등학교입구 12102 | |||
스위트팰리스 12513 | 스위트팰리스 12512 | |||||
호반베르디움2차.금강펜테리움2차 12493 | ↓ | ↑ | 호반베르디움2차.금강펜테리움2차 12494 | |||
중흥1차.더힐시그니처동문 12500 | 중흥1차.더힐시그니처동문 12501 | |||||
명지환승센터 12560 | ↓ | ↑ | 명지환승센터 12503 | |||
명지신도시 12062 | 명지신도시 12060 | |||||
르노자동차남문 12164 | ↓ | ↑ | 르노자동차남문 12165 | |||
르노자동차정문 12041 | 르노자동차정문 12070 | |||||
신호하수처리장 12208 | ↓ | ↑ | 신호하수처리장 12207 | |||
우진목재 12227 | 우진목재 12067 | |||||
강서공영차고지 12561 | 강서공영차고지 12562 |
5. 연계 철도역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서면역, 부전역[네오스포]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덕천역[강서공영차고지], 구명역, 구남역, 부암역[강서공영차고지], 서면역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강서구청역, 구포역[강서공영차고지], 덕천역[강서공영차고지]
부산김해경전철: 등구역, 덕두역, 공항역, 서부산유통지구역
일반 철도역: 구포역(KTX,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 남도해양관광열차)[강서공영차고지]
6. 둘러보기
|
인천 · 김포 · 제주 · 김해 · 대구 · 청주 · 무안 · 광주 · 양양 · 울산 · 여수 · 포항경주 · 군산 · 원주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급행 | 1005 | 1009 | 1009-1 | 1011[A] |
2000[A] | |||||
좌석 | 58-1 | ||||
일반 | 3 | 55-1 | 55-2 | 58 | |
58-2 | 61 | 122 | 124 | ||
128-1 | 161[B] | 171 | 520 | ||
마을 | 강서 8 | 강서 20 | 강서 21 | 강서 22 | |
김해 | 220[B] | 914 | |||
[A] 르노삼성대로만 경유하는 노선 [B] 낙동남로만 경유하는 노선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급행 | 1004[단] | 1009-1[단] | ||
일반 | 15[단] | 33 | 33-1 | 59[단] | |
110 | 126 | 127[단] | 133 | ||
148 | 148-1 | 160 | 307 | ||
마을 | 강서5[단] | 강서6[단] | 강서7-2[단] | 강서11[단] | |
강서13 | 북구2 | 북구6 | 북구8-1 | ||
다람쥐 | 강서7-1 | ||||
김해 | 8 | 8-1[단] | |||
911[단] | 912[단] | 912A[단] | 913[단] | ||
[단] 단방향(구포역 방면 정류장)만 경유하는 노선 |
[공휴일] 6대 운행[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3] 공항~백양터널~부산시민공원 구간을 삭제시키고 명지, 맥도자연생태공원에서 서부산낙동강교를 건너 가야대로 BRT를 거쳐 서면까지 최단거리로 이어주는 도심고속형 노선 3002번으로 재탄생한다.[4] 제한 규격을 넘어도 그냥 태워주시는 승무원도 일부 있다.[5] 단, 구.157-1번의 경우 덕천, 구포시장을 아예 경유하지 않았으며, 1009-1번의 경우 명지행에 한해서 덕천, 구포시장을 경유한다.[네오스포] 방향 한정. 강서공영차고지 방향은 무정차 통과한다.[강서공영차고지] 방향 한정.[강서공영차고지] [강서공영차고지] [강서공영차고지] [강서공영차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