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2 20:20:31

부산 버스 1009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개편 전 가덕도 선창과 덕천을 잇는 노선에 대한 내용은 부산 버스 1009-1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해결방안 문단 삭제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해결방안 문단 삭제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wiki style="margin: -10px 0"<tablebordercolor=#E5007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노선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기장군버스|
기장
]] [[틀:부산광역시의 다람쥐버스|
다람쥐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부산광역시의 시티투어버스|
투어
]] [[틀:부산광역시의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타바라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도심고속 3001 3002 3003 3004
3005 3006 3007 3008
급행 1000 1001 1002 1003
1004[A] 1005[B][C] 1006[A][C] 1008[A]
1009[B] 1009-1[A] 1011[A][C] 1012[B]
급행(공항) 2029[A][C][E]
급행(직행좌석) 2000[C][D]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C] 입석금지
[D] 준공영제 제외 및 환승할인 불가
[E] 임시노선
}}}}}}}}} ||
파일:부산 버스 1009H.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
3.1. 구.126-1번
4. 특징
4.1. 2기(강서공영차고지~가덕도선창~명지환승센터)4.2. 비판4.3. 여담4.4. 시간표4.5. 연간 일평균 승차량4.6. 노선
5.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1009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1009 노선도.svg
기점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강서공영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지법서부지원.지검서부지청)
종점
첫차 05:00 기점
첫차 06:20
막차 21:00 막차 22:25
배차간격 90~140분(1일 10회)
운수사명 금진여객 인가대수 2대
노선 강서공영차고지 - 삼성전기후문 - 농심 - 부산항홍보관 - GW코퍼레이션[단독] - 신항서문입구 - 부산신항만 - 선창마을 - 부산신항만 - 신항서문입구 - GW코퍼레이션[단독] - 부산항홍보관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 신호119안전센터[단독] - 르노코리아남문[4] - 퀸덤1.2단지 - 명지롯데캐슬아파트 - 명지환승센터 - 지법서부지원.지검서부지청 - 이후 역순
가늘게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63.1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10년 12월 14일 일반버스 126-1번으로 개통됐다. 교통편이 열악한 강서구 지역 대중교통 복지 차원에서 신설됐으며 처음부터 급행버스로의 형간전환을 계획해두고 급행버스처럼 띄엄띄엄 정차했다.
  • 2011년 3월 1일 126-1번을 1009번으로 형간전환했으며 명지오션시티 내부를 경유하게 됐다.
  • 2013년 5월 25일 서부산유통단지를 추가로 경유하며 부산신항 내 일부 구간이 연장되었다. 부산시 노선조정안내
  • 2019년 1월 26일 신호주거단지(송정초등학교)를 추가로 경유하게 됐다.
  • 2023년 7월 29일 금진여객강서공영차고지에 입주함에 따라 삼진여객성원여객이 철수하고 금진여객 단독 배차로 변경되었다.[5] 동시에 강서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여 신항 구간을 양방향 경유하게 되었으며, 신항 ~ 명지환승센터 구간을 제외한 모든 구간이 단축되었고 서부지법·서부지검 회차로 변경되었다. 명지환승센터 ~ 강서구청역 구간은 태영버스가 운행하는 1009-1번이 대체하게 되었다. 그리고 개편과 동시에 4대가 감차되어 2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부산시 블로그
    {{{#!folding [ 개편 전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1009 노선도.jpg}}}

3.1. 구.126-1번

  • 1994년에 좌석버스로 개통됐으며, 금곡동 - 화명동 - 덕천교차로 - 구포역 - 삼락동 - 엄궁농산물시장 - 강변대로 - 하단교차로 - 괴정 - 충무동 구간을 운행했다. 1998년에 폐선됐다.
  • 12년이 지난 2010년 12월 14일에 1기 노선(금곡동 ~ 가덕도선창) 그대로 개통되어 2011년에 1009번으로 형간전환됐다.

4. 특징

  • 환승대기시간이 90분으로 적용된다. 1기 노선의 경우 환승대기시간 90분 적용 노선들 중에서 배차간격이 40~45분이기 때문에 유일하게 1시간 이상 벌어지는 시간대가 없는 노선이었지만,[7] 2기 노선은 아무리 짧아도 90분에 길면 140분까지 벌어진다. 1기 노선의 경우 운행거리가 길고[8] 정책노선에 가까워서 체감 배차간격이 길기에 환승대기시간을 여유롭게 늘렸다. 그런데 도로상황에 따라 배차간격이 30분으로 좁혀지는 때도 있었다. 굴곡이 있어도 정체가 없어서 그런듯. 강서구 남측 지역에서 구포시장이나 덕천역을 목적지로 갈 때 비록 서부산유통지구, 김해공항 등의 굴곡 구간이 존재함에도 부산 외곽지역이다 보니 공항로에 워낙 타는 사람들이 없고 정체도 없는 지역이라 소요시간이 생각보다 매우 적었다. 2기 노선의 경우 1기 1009번에 비해 배차간격이 크게 늘어나서 그대로 90분이 적용되었다.
  • 신항 구간 중, 행정구역상 창원시 진해구(용원동) 땅을 아주 조금 밟는 시계외 노선이라 노선변경 시 창원시와의 협의가 필요하다.
  • 부산 신항 인근 아파트단지(용원동)가 조성됨에 따라 주민들의 대중교통 편의를 위해 국민권익위원회가 각 지자체 (경남도, 창원시 - 부산광역시) 중재하여 협의해 신항북로로 변경 되었으며, 향후 모니터링을 통해 아파트 단지 앞 신항동로로 추가 운행도 할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2020년 변경 이후 2023년 6월 강서차고지 조성에 따른 개편으로 노선이 명지로 대폭 축소 되어 비싼 요금 주고 이용 할 메리트가 딱히 없고, 신항 구간은 그대로 방치되어 있다.당시 기사
  • 급행좌석버스 노선들 중, 도시철도와 연계되지 않는 유일한 노선이다.
  • 출근 전용 55-1번을 제외하면 가장 수요가 없는 노선이다.
  • 부산광역시 모든 급행버스 노선들 중에서 1012번과 더불어 인가대수가 역시 2대밖에 없는 노선이다.
  • 부산신항 구간에서는 양 방향이 모두 동일한 정류장을 경유하므로 기사님께 방향을 물어보거나 운전석 앞의 방향 표시판을 잘 보고 타야 한다.
    강서공영차고지 방향 서부지원.지청 방향

    차고지행 명지환승센터행
===# 1기(금곡동~공항~명지~가덕도선창) #===
  • 이 노선은 서부산의 대표적인 신도시인 화명동과 서부산의 번화가이자 교통환승지점인 덕천동과 북구 지역에서 신호공단, 녹산공단, 부산신항만 등으로 출퇴근하는 노동자들과 김해국제공항 이용객들의 편의를 위해 만들어졌다. 문제는 59번, 126번과 마찬가지로 금곡동에서 출발하는 다른 노선들과는 다르게 금곡동의 아파트 단지들을 죄다 피해서 금곡역에서 수정역까지 금곡대로로 직통했다는 점이다. 그 결과 이용객이 타 노선에 비해 1/10 정도였다. 하지만 금곡대로로 직통했던 노선도 부산에서 두번째로 길었던 노선인데 만일 금곡동 아파트 단지까지 둘러갔다면 2000번을 누르고 제일 긴 노선이 됐을 것이며, 굴곡 또한 더 심했을 것이다.[9][10]
  • 당시 노선조정 담당관이었던 공무원이 직접 시승해본 이후 2011년 3월 1일에 126-1번을 1009번으로 형간전환하면서 기종점은 변함없는 상태에서 정류소 수만 늘렸는데, 수요가 늘어나는 신기한 현상을 보여주기도 했다. 126-1번 시절에는 저속주행으로 크게 문제가 됐는데 1009번으로 형간전환된 뒤에는 그런거 없었다. 당연히 형간전환 뒤에도 정책노선으로 유지했다.
  • 운행사인 금진여객, 삼진여객, 성원여객 모두 좌석버스 예비차가 없어서 차량을 정비할 경우에는 일반입석버스 예비차를 운행했고 일반버스 요금을 받았다. 이를 위해 일반입석버스 예비차 단말기에는 번호가 109번[11]으로 설정되어 있었으며 좌석버스 노선에 입석버스 예비차가 들어가는 것은 엄연한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위반이긴 하지만 당장 좌석버스 차량 확보가 어려운 만큼 시에서 묵인해주는 듯. 사실 입석 예비차에 109번이라는 임시 번호를 부여한 것도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을 위반하지 않도록 운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12] 1009번과 109번의 노선 ID가 다르다. 그런 까닭에 1009번 정규차와 입석 예비차가 서로 환승이 되고 입석 예비차가 운행되는 날엔 운송수입금 자료에 109번으로 이용객 수가 책정되었다. 결국 기사로도 나왔다.[13]
  • 김해국제공항을 경유하는 유일한 급행버스라는 타이틀이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하지만 시내로 가는 수요는 공항리무진과 경전철이 대부분을 책임지며, 1009번은 북부산 지역과 명지, 하단 거주자들이 시간 맞춰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 김해국제공항을 경유하는 307번강서13번 마을버스가 그 역할을 대신 하고 있는 실정.[14] 그러나 공항 시간에 쫓기는 관광객이나 승무원들을 여럿 볼 수 있다. 307번과 강서13번은 김해 노선과 마찬가지로 대상지하차도에서 유턴하여 대저로 쪽으로 진입하여 강서구청과 대저119안전센터 정류장을 거쳐가기 때문이다. 반면 1009번은 강서구청역을 지나 대상지하차도에서 대저안동네를 거치지 않고 강서체육공원으로 바로 좌회전했기 때문에 저 두 노선들보다 이 노선이 5분 정도 더 빠르게 갔으며 이 구간에서는 이 노선이 그나마 급행 역할을 했다. 때문에 강서구청역 정류장도 이 노선만이 정차하는 단독 정류장이 있었는데 기존 정류장과 약 100m 정도 떨어진 위치에 있었다. 이는 구포대교를 내려와서 바로 차로를 변경할 시 교통사고를 야기할 수 있어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정류장을 떨어뜨려 놓았던 것이다.[15]
  • 북구 지역과 명지오션시티, 녹산동 녹산공단 등 강서구 지역을 이어주었던 유일한 노선이었기에 화명동, 금곡동, 덕천동 지역에 거주하는 녹산공단 근로자들의 출.퇴근과 명지오션시티 주민들이 북부산권으로 이동하기에 편리했다. 또한 김해국제공항, 서부산유통지구역의 수요도 담당했던 노선이었다.
  • 배차간격이 길지만 1005번과는 달리 강서구 쪽 고정수요가 많았다. 특히 출퇴근시간에는 여느 노선들처럼 녹산공단 근로자와 명지신도시 주민들을 가득 태우고 공항로를 질주했다. 본 노선의 경로가 명지에서 동래, 금정구 방면으로 자가용으로 이동하는 경로와 비슷하여, 명지에서 동래 및 금정구 쪽으로 가는 사람들도 복잡한 부산 도심을 회피할 목적으로 이 노선을 많이 이용했는데, 동래 방면은 주로 구포 혹은 강서구청에서, 금정구 방면은 와석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도시철도나 다른 노선으로 환승했다.
  • 삼진여객 본사 주차장에서 유일하게 승하차가 가능했던 노선이다. 금곡주공아파트를 경유하는 시내버스 노선들과 달리 바로 금곡대로로 빠져나왔기 때문이다.
  • 여담으로 영어 표기가 잘못되어 있었는데 가덕도 선창은 Gadeokdo Sunchang이 아닌 Gadeokdo Seonchang으로 표기했어야 한다.
  • 막차시간이 90번 다음으로 두번째로 빨랐다.
  • 과거에 난폭운전을 굉장히 많이 했는데 어느 차량은 공항로에서 100km/h로 달렸다 하고 신호대교에서는 114km/h로 달렸던 적이 있다. 어느샌가 80 리밋으로 묶여서 그렇게 달리지 못했다.
  • 금곡동 행 차량의 경우 구포시장을 지나고부턴 정류장에 사람이 있더라도 손을 흔들지 않으면 멈추지 않고 그냥 지나가는 경우가 많았다. 그도 그럴 것이 요금 비싼 좌석버스를 이용할 승객도 없을 뿐더러 15번, 59번, 111번, 126번, 북구3번 등등의 다른 입석 노선들이 잘 다녀주고 있기 때문이다.
  • 고속도로를 달리지는 않았지만 금진여객, 성원여객의 경우 동김해IC로 들어가서 금곡차고지까지 공차회송하는 경우도 있었다.
  • 과거에는 부산시내 다른 공동배차 노선들과 같이 매일 전 순번을 순환하며 업체별로 몰빵배차를 했으나[16] 근로시간이 조정된 이후 업체별로 순번이 조정됐다. 평일엔 삼진여객 2대는 1번,2번을 순환 / 금진여객과 성원여객 총 4대는 3~6번을 순환해서 운행했으며 주말 및 공휴일엔 삼진여객 2대는 1번,6번을 순환 / 금진여객과 성원여객 총 4대는 2~5번을 순환해서 운행했다. 게다가 순번이 조정된 이후 첫차와 막차는 삼진여객에서만 담당했다. 금진여객은 김해 구산동에, 성원여객은 삼계동에 차고지가 있기 때문에 공차회송 거리가 매우 길어 승무원의 근로시간과 관련이 있었기 때문이다.
  • 주말에는 가덕도 연대봉으로 향하는 등산객들이 이 노선을 제법 이용하기도 했지만 하단으로 가는 2000번이 개통하면서 이 수요마저도 전보다 줄어들었다. 이후 명지국제신도시까지 경유하게 됐으나 운송수입금은 그다지 늘지 않아 여전히 대당 20만원 중반대에 머물렀다.[17]
  • 김해국제공항서부산유통지구역으로 돌아가는 데다 배차간격까지 40~45분이어서 출퇴근시간대에만 운행되는 555번에도 부산신항.녹산공단 근로자 출퇴근 수요가 분산됐었다.[18] 또한 인구 밀집 지역인 화명동을 경유했음에도 서면과 같은 시내로 이어지지 않고 엉뚱하게 시외곽으로 빠지는 형태였기에 금곡동이나 화명동 등지에서 고정승객이 거의 없었다. 그나마 덕천역을 지났지만, 이미 126번이 훨씬 짧은 배차간격으로 운행중인 데다가 하다못해 마을버스들도 덕천역이나 구포시장을 경유하기 때문에 이 일대 수요도 심각하게 저조했다.[19]
  • 노선이 너무 길었다. 2020년 2월 29일 기준으로 왕복 107km가 되면서 2000번을 제외한 노선 중에서 가장 긴 노선이었다.[20] 하지만 2023년 7월 29일에 노선이 개편되면서 화전 - 부산신항 - 명지서부지청으로 바뀌면서 왕복 63.1km로 단축되었다.
  • 그나마 녹산공단,[21] 신호주거단지 및 명지오션시티, 명지국제신도시에서 구포시장/덕천역을 오가는 수요와 김해공항 직원들 수요로 연명했다. 의외로 가축수송을 좀 했던 노선이지만 이 역시 승객회전이 안되었던 데다가 금곡동~덕천역 구간에서는[22] 존재감이 없어서 심각한 공기수송을 하고 있어 적자가 여전히 심각할 수밖에 없었다. 2016년 한해 평균 통계 자료에 의하면, 1일 대당 운송수입금 약 23만4천원대에 1일 평균 총 승객수 965명으로 확인됐으며 2017년에는 1일 평균 약 1천명 이상이 이용한 걸로 확인됐다. 그리고 2018년 11월 통계수치에서 대당 198명, 1일 1187명, 대당 수입금이 29만원으로 증가했다. 노선 구조상 이용객 수에 비해 운송수입금이 높은 노선이다.[23] 다만 상술했듯이 출퇴근 고정수요가 단단히 자리잡아 노선이 급격히 변화하거나 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였었고 기종점만 바뀌거나 운행업체의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그러나

4.1. 2기(강서공영차고지~가덕도선창~명지환승센터)

  • 급행좌석 노선임에도 절대 강서구를 벗어나지 않고[24][25] 부산 도시철도와 연계되지 않는 데다 노선 길이가 너무 짧은 점[26] 때문에 아예 다른 노선으로 다시 바꿔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심지어 1011번 첫차시간 민원 및 부산신항 연장 민원과 맞물려 1009번과 1011번을 통폐합시켜고, 1009번 차량은 모두 1011번으로 가야한다는 의견까지 있다. 그만큼 승객 수송은 거의 없는 공기 수송 버스가 되어버렸다. 이미 1005번보다도 훨씬 못한 노선으로 변모했고 수요 또한 1005번보다 더 심각하게 저조하다.

4.2. 비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산 버스 1009/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여담

  • 은근히 묻히는 사실이지만 신항 구간 중 일부가 경상남도 창원시 구간이기 때문에 시계외노선에 해당된다. 과거에는 반대로 창원시 지선 305번, 315번 버스 노선 중 일부가 부산 내 신항 구역을 통과했었으나 수요 부족으로 폐선됐고, 2020년 국민권익위 중재로 신항북로 경유로 변경됐으며, 강서 1 용원교 경유와 함께 창원 353번이 경제자유구역청까지 연장됐다. 물론 일부 정류장에서 해당 버스로 갈아탈 수도 있다. 아무튼 이런 점으로 인해 신항 쪽 노선 변경 시에는 창원시와의 협의가 필요하다.

4.4. 시간표

기점 기준 종점 기준
05:00 06:20
06:30 07:50
08:30 09:50
10:00 11:20
12:00 13:20
13:30 14:50
15:40 17:00
17:10 18:30
19:30 20:50
21:00 22:20

4.5. 연간 일평균 승차량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840.29
2015년 955.57 △ 115.28
2016년 977.29 △ 21.72
2017년 1084.71 △ 107.42
2018년 1133.42 △ 49.71
2019년 1134.71 △ 1.29

4.6.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1009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가덕해안로
현대상선 ▼▲ 선창
신항남로
글로벌물류센터 ▼▲ 부산신항만
신항로
▲ 신항 서문입구
신항5로
크로스독 ▼▲ 지앤지
신항북로
경제자유구역청사거리 ▼▲ 부산항홍보관
녹산산업대로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르노대로
신호산단1로
송정초등학교 ▼
신호산단4로
삼성자동차남문 ▼▲ 신호119안전센터
신호산단1로
▲ 삼성자동차남문
르노대로
신호대교 ▼
명지오션시티1로
퀸덤아파트1.2단지 ▼▲ 신호대교
명지오션시티10로
▲ 퀸덤아파트1.2단지
명지오션시티2로
극동스타클래스아파트 ▼
명지오션시티11로
행복마을 ▼▲ 남명초등학교
명지오션시티1로
명원초등학교 ▼▲ 행복마을
명지국제3로
더에듀팰리스부영 ▼▲ 법원검찰청사거리
}}}}}}}}} ||

5. 둘러보기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 창원시 버스 파일:창원시 CI_White.svg
부산 시내버스 1009 · 58-1 · 강서1 · 강서1-1 · 강서9-1 · 강서16
창원 시내버스 352 · 353
각 지자체간 광역환승할인제 미도입으로 창원 - 부산 상호 간 대중교통 환승 시 할인 되지 않음

파일:창원시 CI_White.svg 용원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급행좌석 3002 3006
<colbgcolor=#5fbf15> 지선 305 315 325[b]
마을 352[b] 353
부산좌석 58-1[b] 1009[a]
부산마을 강서1[a] 강서1-1[a] 강서9-1[ab]
[a] 청안동 미경유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명지신도시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급행 1005 <colbgcolor=#dddddd,#212121> 1009 1011[a] 2000[a]
좌석 58-1
일반 3 55-1 55-2 58
58-2 61 122 124
128-1 520 171 161
마을 강서 8 강서 20 강서 21 강서 22
김해 914
음영표기: 국제신도시 경유 노선
[a]르노삼성대로로 운행하는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가덕도 경유 버스 노선


[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단독] [단독] [4] 신호산단1로상에 위치한 단독 정류장에 정차한다.[5] 삼진여객 차량은 1009번의 금곡동 ~ 김해공항 구간을 대동화명대교 경유로 변형한 1012번 차량으로 운행하고 있고, 성원여객 차량은 강서공영차고지 개장과 동시에 신설된 122번 차량으로 운행하고 있다. 또한, 급행버스를 그대로 활용하고 있다.[6] 신호산단4로가 아닌 신호중학교가 위치한 신호산단1로로 운행될 예정이다.[7] 상황에 따라선 30분 이내로 좁혀진 적도 없지 않아 있다.[8] 107km. 게다가 성원여객과 금진여객은 차고지가 있는 김해에서 공차회송을 했기 때문에 길이가 더더욱 길었었다.[9] 안그래도 1009번은 김해공항, 서부산유통지구, 명지국제신도시, 명지오션시티, 신호주거단지를 거쳐가면서 굴곡이 심했는데 금곡동 아파트단지까지 경유했다면...[10] 다만 성원여객과 금진여객은 김해에서 금곡동까지 공차회송을 했기때문에 2000번을 훨씬 능가하는 길이였다.[11] 해운대-영선동 간을 운행했던 109번이 폐지된 지 오래이므로 써도 무방하다.[12] 그러니까 1009번 좌석버스 노선에 일반버스 차량을 투입하는 건 불법이지만 109번 일반버스 노선에 일반버스 차량을 투입하는 건 합법이라는 것이다.[13] 그나마 옆 동네보다는 낫다. 거기는 급행, 좌석에 저상버스까지 배차를 하며, 요금은 좌석 요금 그대로 받는다.[14] 이 두 노선 또한 배차간격이 짧은 간격이 아니지만 요금 면에서는 메리트가 있기 때문에 김해공항 시설 직원이나 승무원들이 주로 이용한다.[15] 출퇴근 시간대에는 이 정류장에서 승객 수요가 대거 발생했다.[16] 금진여객끼리, 삼진여객끼리, 성원여객끼리 몰려다녔다.[17] 신호주거단지와 명지오션시티, 명지국제신도시에서 발생한 코로나19 확진자로 인해 접촉자들이 강서브라이트센터(부산 강서보건소)로 코로나 검사를 받으러 가면서 수요가 그나마 조금이라도 늘긴 했다. (예: 중흥1차.부영동문 -> 덕두시장) 그래도 강서구에서 사상구와 사하구를 경유하여 강서구를 가는 그 노선보다는 낮다.[18] 근데 555번은 1일 6회(출근 3회, 퇴근 3회)만 운행하기 때문에 적자가 매우 심했었다. 이 때문에 2021년 1월 16일에 폐선됐다.[19] 급행노선의 취지답게 금곡주공아파트를 미경유하고 금곡대로를 직통하여 와석교차로, 화명역까지 논스톱으로 운행하는데 금곡주차장의 경우 금곡주공1단지 아파트 주민들의 수요로만 연명하는 수준이었으며 덕천역까지 빠르게 갈 목적이라 해도 긴 배차간격으로 인해 효과가 반감되었다.[20] 131번, 138-1번, 168번과 비슷했다. 금진여객, 성원여객의 경우 공차거리까지 합하면 대략 왕복 150~160km로 2000번의 길이를 압도적으로 뛰어넘은 것은 물론이고 1002번, M5438번, M6450번, G2001번, 303-1번이랑 맞먹거나 더 길었다.[21] 다만 녹산산업대로로만 운행하니 환승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22] 그나마 화명동까지는 승객이 있지만 화명동을 지나면 텅 비는 수준이였다.[23] 비슷한 운송수입금을 기록하는 노선으로는 1011번이 있다. 그런데 1011번은 3천명 넘게 이용하지만 환승 수요가 대부분이라 수입금이 매우 낮은 노선이다. 심지어 승객 수는 늘었어도 운송수입금은 하나도 오르지 않았던 때가 있었다.[24] 창원시 진해구로 잠깐 들어갔다 나오기는 하지만 가덕대교, 눌차대교를 이용하지 않으며 신항 내 물류단지를 거쳐 이동해야 하는데, 부산신항 매립지 지역의 부산과 경남 간 행정구역 소송 후 경계가 전체적으로 조정되며 잠시 통과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25] 게다가 1기 노선은 107km로 어마무시한 초장거리노선이였기에 체감상 더욱 짧아보이기도 한다.[26] 그러나 정작 노선 길이는 1000번, 1006번보다도 길다. 이는 가덕도 구간을 왕복 운행 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