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5200><tablewidth=310> | 화성시 | }}} |
{{{#!wiki style="color:#ff5200,#49aaff;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15px" | <colcolor=#fff> 프리미엄 | ||
광역급행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 ||
직행좌석 | |||
좌석 | |||
일반 | 5-2조암 5-2동탄 11조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 | ||
''' {{{#ddd,#44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화성시 마을버스 목록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전곡리(전곡항) | 종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사당역) | ||
종점행 | 첫차 | 04:30 | 기점행 | 첫차 | 06:10 |
막차 | 21:10 | 막차 | 22:50 | ||
배차간격 | 30~70분(1일 20회) | ||||
운수사명 | 제부여객 | 인가대수 | 5대 | ||
노선 | 전곡항 - 제부도입구 - 장외리 - 광평삼거리 - 서신터미널 - 상안2리교차로 - 육일2리·코스코밸리 - 사강시장 - 외국인보호소 - 마도사거리 - 우림아파트 - 경기남부수협.보건소 - 남양중고입구.기아남양점 - 화성시청후문 - 남양아이파크 - 남양뉴타운1단지 - 양노3리 - 비봉매송로 - 천천IC - 봉담과천로 - 의왕TG - 과천대로 - (→ 남태령역 →) - 사당역 |
2. 개요
제부여객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38.1km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과거 화성시 서부 지역은 서울행 직행버스가 없어 불편함을 겪어야 했다[1]. 이때문에 서울로 가려면 330번을 타고 한참을 달려 반월역이나 금정역까지 가서 전철을 타야만 했다. 그러나 지역 업체의 영세함으로 인해 직행버스 노선 개설이 계속 이뤄지지 못하다가[2] 2012년 뒤늦게 남양-사당역 간을 운행하는 1008번이 개통되었다.
- 하지만 여전히 남양 서쪽에서는 환승해서 이용하는 경우가 없다시피한데다 여름철에 많은 관광객이 찾는 제부도에 서울행 직행버스가 꼭 필요하다는 요구가 제기되자 2015년 11월 11일자로 제부도입구에서 사당역까지 운행하는 이 노선을 개통하게 되었다. 군포시청 새소식
- 처음에는 남양을 미경유하여 군포에서 마도까지 신도로 직통(39번 국도-313번 지방도)으로 달렸었다. 하지만 운행 4주만에(2015년 12월 7일) 남양을 경유하기로 했다.
- 2016년 4월 1일에 전곡항으로 연장되었다. 이를 통해 대부도 수요를 노릴 수 있게 되었으며, 123번과 연계가 가능해졌다.[3] 또한 727-1번이 단축된 후 1004-1번에만 의존해야 했던 전곡항에도 새로운 교통편, 그것도 한번에 서울로 갈 수 있는 교통수단이 생겼다. 용남고속 공지사항 대신 1일 운행횟수가 1회 감회되었으며, 막차는 20~30분 정도 빨라졌다.
- 2018년 11월 26일에 '남양사거리-남양읍사무소' 경로가 남양뉴타운 경유(남양중·고 - 화성시청후문 - 남양아이파크)로 변경되며, 의왕시·군포시 구간은 미운행 및 비봉매송고속화도로 직통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19년 11월 25일에 사당역 탑승 정류장 위치가 1008번과 함께 4번 출구에서 10번 출구로 변경되었다.
- 2020년 11월부터 경기도 공공버스에 편입되었다.
4. 특징
- 왕복 120km가 넘는 운행 거리나 고속화도로 노선 특성으로 봐서 시외버스로 운행해도 별 불만은 없을 듯하지만, 화성시의 보조금 지원에 힘입어 과감하게 직행좌석버스로 개통했다.
- 개통초기 운행거리는 왕복 128.3km. 이는 현재 경기순환버스를 제외한 경기도 직행좌석버스/간선급행버스 중 4위이다. 추가로, 전곡항으로 연장되면서 운행거리도 왕복 138.1km[4]으로 늘어났다.[5]
- 제부도입구에서는 회차 등의 문제로 인해 버스정류장에 조금 못 미친 곳에서 정차했다. 관련 게시물 전곡항까지 연장된 지금은 다른 노선들과 마찬가지로 정위치에 정차한다. 제부도입구를 지나 제부여객차고지, 전곡산단을 순서대로 경유한 다음 전곡항으로 간다.
- 서신면, 마도면, 송산면(화성)지역에서 처음으로 운행하는 서울행 직행버스인 만큼 제대로 홍보해야 하는데도 업체측에서 정류장에 시각표도 안 붙여놓을 정도로 노선 홍보에 소극적인데다가 초창기 잦은 시각표 개정으로 이용률이 저조했지만, 버스 동호인의 홍보 등으로 서서히 주민들에게 노선이 알려지면서 2015년 12월부터 승객이 꽤 늘었다. 앞으로 여름이 다가오면 주말마다 제부도, 전곡항, 대부도 관광 수요가 예상되는 노선이다.
- 가스 충전에 애로사항이 많아 디젤 차량으로 운행한다.
- 화성시청을 경유하느라 돌아가서 화성시 구간에서는 다른 버스들과 소요시간이 비슷하다.
4.1. 시간표
남양은 전곡항 출발시간 +약 50분이다. 물론 평일 기준이며, 도로사정에 따라 빨리 지나가는 경우도 있으니 어플을 보거나 여유있게 나와야 한다.화성 버스 1002번 운행시간표 출처 : 차내 부착 | ||||||||||
횟수 | 1회 | 2회 | 3회 | 4회 | ||||||
순번 | 전곡항 | 사당역 | 전곡항 | 사당역 | 전곡항 | 사당역 | 전곡항 | 사당역 | ||
1 | 04:30 | 06:10 | 08:40 | 도착후 회차 | 13:10 | 도착후 회차 | 17:20 | 도착후 회차 | ||
2 | 05:00 | 06:40 | 09:40 | 14:00 | 18:30 | |||||
3 | 05:50 | 07:40 | 10:30 | 14:50 | 19:20 | |||||
4 | 06:30 | 08:20 | 11:20 | 15:30 | 20:00 | |||||
5 | 07:40 | 09:30 | 12:20 | 16:20 | 21:10 | 22:50 |
4.2. 노선
화성시 직행좌석버스 1002번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사당역10번출구 · 사당역 20500 · 22028 | |||||
- | ↓ | ↑ | 남태령역 22026 | |||
과천대로 미정차 | 과천대로 미정차 | |||||
의왕톨게이트 27112 | ↓ | ↑ | 의왕톨게이트 27113 | |||
봉담과천로 미정차 | 봉담과천로 미정차 | |||||
천천IC 미정차 | ↓ | ↑ | 천천IC 미정차 | |||
비봉매송고속화도로 미정차 | 비봉매송고속화도로 미정차 | |||||
양노IC 미정차 | ↓ | ↑ | 양노IC 미정차 | |||
양노리 37154 | 양노리 55087 | |||||
양노3리 55393 | ↓ | ↑ | 양노3리 37153 | |||
북양1통.염티고개 36042 | 북양1통.염티고개 36043 | |||||
남양뉴타운4단지 55434 | ↓ | ↑ | 남양뉴타운4단지 36742 | |||
남양뉴타운1단지 36431 | 남양뉴타운1단지 55433 | |||||
남양아이파크 36506 | ↓ | ↑ | 남양아이파크 36738 | |||
화성시청후문 36507 | 화성시청후문 36510 | |||||
남양뉴타운.상가단지 36002 | ↓ | ↑ | 남양뉴타운.현대2차 36001 | |||
남양뉴타운.양우내안애 36604 | 양우내안애 36024 | |||||
남양중고교입구 36023 | ↓ | ↑ | 남양중고입구.기아남양점 37774 | |||
동양초.남양중고교 37567 | 기업은행 37018 | |||||
남양성지 36014 | ↓ | ↑ | 남양성지 36015 | |||
경기남부수협.보건소 55116 | 경기남부수협.보건소 55115 | |||||
우림아파트 36010 | ↓ | ↑ | 우림아파트 36009 | |||
재래시장.마도삼거리 37108 | 재래시장.마도삼거리 37107 | |||||
마도사거리 37105 | ↓ | ↑ | 마도사거리 37106 | |||
외국인보호소 37104 | 외국인보호소 37103 | |||||
송산농협.사강정형외과 37089 | ↓ | ↑ | 사강정형외과 37088 | |||
사강시장 37085 | 사강시장 37084 | |||||
사강복지회관 37081 | ↓ | ↑ | 사강복지회관 37080 | |||
육일리마을회관 36440 | 육일리마을회관 55172 | |||||
코스코밸리아파트 55356 | ↓ | ↑ | 육일2리.코스코밸리 37068 | |||
상안2리교차로 55361 | 상안2리교차로 55360 | |||||
서신 37043 | ↓ | ↑ | 서신터미널 37045 | |||
광평삼거리 37564 | 광평삼거리 37563 | |||||
장외리 37020 | ↓ | ↑ | 장외리 37021 | |||
장외리.지긋말 37016 | 장외리.지긋말 37017 | |||||
살고지입구 36947 | ↓ | ↑ | 살고지입구 37008 | |||
제부도입구 37001 | 제부도입구 37002 | |||||
장외리.오리골 55348 | ↓ | ↑ | 장외리.오리골 37929 | |||
전곡항 37921 · 37932 |
5. 연계 철도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사당역
수도권 전철 4호선: 사당역, 남태령역[7]
==# 둘러보기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5e00> 동탄 방면 | 1000제부도 |
마도, 향남 | 13-2향남 50-2마도 H50-7마도 H53매향 H106조암 | |
남양읍 | H50제부도 내부 | |
기타 방면 | 310안산 330제부도-금정 1002제부도-사당 1008사당 G1003서초,양재 |
[1] 삼성여객이 있던 아주 먼 옛날에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 사당역, 군포시를 경유하여 서신터미널까지 운행하는 시외완행버스가 있었다.[2] 제부여객이 용남고속에 인수되기 전이다.[3] 전곡항과 탄도항이 바로 붙어있는 건 아니고 15분 정도 걸어야 한다.[4] 37번, 71번을 포함한 수도권의 모든 일반시내버스보다 더 긴 운행거리이다.[5] 1002번보다 더 긴 노선은 전부 경기순환버스들뿐이었으나, 왕복 150.4km를 자랑하는 가평교통의 7000번이 형간전환되면서 최장거리 직행좌석버스는 아니다. 왕복 146.4km라는 연천 G2001번, 141.9km의 포천 1403번도 있다.[6] 사강시장에서 나타났다.[7] 사당역 방면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