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 프리미엄 | |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
일반 | ||
마을 | 용인시 마을버스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1. 노선 정보
| |||||
기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동(명지대) | 종점 |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강변역)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07:00 |
막차 | 08:35 | 막차 | 10:20 | ||
평일배차 | 30~35분 | 주말배차 | 30~35분 | ||
운수사명 | 경남여객 | 인가대수 | 7대 | ||
노선 | 명지대 - 용인예술과학대학교(구.송담대) - 용인터미널 - 운동장·송담대역 - 유림동 - 둔전역 - 55사단앞 - 포곡고 - 전대·에버랜드역 - (← 에버랜드 ←) - 영동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 화랑공원동편 - 판교테크노밸리 - 나라기록관.코이카 - 시흥사거리 - 공군아파트 - 세곡동사거리 - 수서역(SRT·지하철) - 가락시장역 - 송파역 - 석촌역 - 잠실역 - 잠실대교 - 강변역 - 이후 역순 | ||||
| |||||
| |||||
기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동(명지대) | 종점 |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강변역) | ||
종점행 | 첫차 | 09:15 | 기점행 | 첫차 | 11:00 |
막차 | 22:50 | 막차 | 00:10 | ||
평일배차 | 35~45분 | 주말배차 | 35~45분 | ||
운수사명 | 경남여객 | 인가대수 | 8대 | ||
노선 | 명지대 - 용인예술과학대학교(구.송담대) - 용인터미널 - 운동장·송담대역 - 유림동 - 둔전역 - 55사단앞 - 포곡고 - 전대·에버랜드역 - 에버랜드 - 영동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화랑공원동편 - 판교테크노밸리 - 나라기록관.코이카 - 시흥사거리 - 공군아파트 - 세곡동사거리 - 수서역(SRT·지하철) - 가락시장역 - 송파역 - 석촌역 - 잠실역 - 잠실대교 - 강변역 - 이후 역순 |
중간 출발 정류장 | |
강변역 방향 | 용인터미널 |
명지대 방향 | 없음 |
2. 개요
경남여객에서 운행 중인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에버랜드와 강변역을 잇는다. 왕복 운행거리는 110.7km(5700A번), 112.5km(5700B번)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2006년 3월 21일에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되었다.
- 2012년 6월 8일에 노선번호를 5700번으로 변경했고,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와 송파IC를 통해 송파대로로 가던 것에서 5600번과 동일하게 판교와 수서역을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그동안 승객이 적었던 것에 대해서 만회를 하고자 하는 움직임으로 보인다.
- 2018년 8월부터 5600번에 이어 전 차량 전세버스로 대체 운행되고 있다. 가끔씩 기존 차량도 운행 할 때가 있다.
- 2018년 12월부터는 기존 차량이 거의 매일 운행을 나온다. 5700번은 기사 충원이 완료된 듯 하다.[1]
- 2019년 3월 현재는 기존 차량이 정상 운행 중. 기사 수급이 완료되었다.
- 2020년 4월 14일부터 에버랜드 노선버스터미널이 정문과 가까운 위치로 이전되었고, 같은 해 5월 1일부터 5700번 버스가 새로운 정류소에 정차하기 시작해 더이상 셔틀버스를 이용하여 5주차장으로 갈 필요가 없어졌다.[2] 에버랜드에서 탑승 시, 매표소에서 감성교복, 오렌지주차장 방면으로 약 400m 이동하면 에버랜드 노선버스터미널이 있는데 거기서 7번 승강장에서 잠실역&강변역행, 12번 승강장에서 용인터미널&명지대행 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매표는 따로 하지 않으니 현금이나 교통카드를 이용해 승차하면 된다.
- 5월 1일 에버랜드터미널 경유와 동시에, 첫차부터 아침 출근시간대(오전 9시 이전)에 강변역 방면만 에버랜드를 안 들어가는 A노선과, 출근 시간대 이후부터 막차까지 양방향 에버랜드 터미널을 경유하는 B노선으로 구분되었다.
- 2021년 9월 1일에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었다.
4. 특징
- 전대리 안쪽으로 들어가지 않고 곧바로 우회도로로 빠져 에버랜드로 간다.
- 전대3리 정류장부터 명지대(종점)정류장까지의 노선은 5002번과 동일하다.
- 강변역(동서울터미널)에서 에버랜드로 가는 노선은 1113번도 있는데 매우 느리게 가고 경기광주를 거쳐가는 등 경유지가 많아 5700번이 우위에 있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1113번이 고속도로에서 속도를 전보다 내고 무엇보다 이 노선이 5800번 시절에 비해 무정차 구간이 축소되니 소요시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게 되어 착석 가능성이 더 높은 1113번이나 5002번을 타고 강남역에서 서울 지하철 2호선을 타는 것이 더 좋을 수도 있다.
- 수도권 양대 놀이공원인 에버랜드와 롯데월드를 한 번에 이어주는 유일한 버스 노선이다. 그러나 5700번 정차 지역인 광진구, 송파구에서는 놀이공원 갈 장소로 에버랜드보다 롯데월드를 선호하는데다가 광진구, 송파구에서 유림동, 둔전으로 가는 수요도 적다 보니 이 노선의 수요가 부진한 편이다. 그나마도 무정차구간 축소 이후 서울에서 에버랜드 가는 수요는 강남역에서 출발하는 5002번으로 옮겨가버렸다. 그래서 이 노선의 주요 수요는 송파구~판교 수요에서 나오고 있다.
- 용인터미널에서 에버랜드를 갈 때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배차간격이 길고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호텔 컬리넌 앞에서 시외버스(
8478, 8839, 8862)나 터미널 안에서 20번, 85번, 89번, 90번을 타거나 걸어가서 운동장.송담대역에서 66번, 66-4번 버스 또는 용인 경전철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85번의 경우, 용인터미널 뒤편 소형버스주차장에서 타면 전대.에버랜드역에서 내려 2번 주차장 셔틀을 이용해 정문을 갈 수 있으니 시간표를 보고 시간이 맞다면 이용하면 좋다.
- 유림동, 둔전, 에버랜드 일대에서 서울역을 연결해주는 노선이 없기 때문에 수서평택고속선이 완공되면 수서역으로 가는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길이 막히지 않는다면 수서역까지 둔전에서 40~50분, 에버랜드에서 30~40분 정도 걸린다. 다만 처인구 시가지에서는 수서역보다 동탄역으로 가는 버스가 신설된다면 동탄역을 이용하거나 평택고속연결선이 개통되면 수원역에서 KTX를 이용하는 것이 더 빠르다.[3]
- 5600번과 기점과 종점이 동일하나, 5600번은 처인구청·용인시청 일대와 기흥구 지역을 지나가고, 이 노선은 포곡읍과 에버랜드 지역으로 간다는 차이점이 있다. 단, 용인공용버스터미널[4], 화랑공원동편~강변역 구간 및 명지대~남동구미마을 구간은 두 노선이 동일하게 운행한다.
- 강변역에서는 1번 출구 건너편 C번 정류소 끄트머리에서 승차한다. 정류소 끝에 "5600번, 5700번 승차하는 곳"이라는 종이가 붙어 있다.
- 잠실역에서 판교, 용인방면으로 가는 경우 6번 출구 옆 잠실역사거리 중앙차로 정류소(24-002)에서 타면 된다.
- 판교를 경유함으로 인해서 광역버스의 장점인 신속성은 다소 떨어진다.[5] 이는 5600번 노선도 마찬가지다. 수서역을 지나서 판교를 무정차하고 용인서울고속도로 헌릉IC로 직행하는 급행화 노선이 필요하다.
4.1. 노선
용인시 직행좌석버스 5700번 | ||||||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 테크노마트앞.강변역(C) 05162 | |||||
잠실대교 미정차 | 잠실대교 미정차 | |||||
잠실역.잠실대교남단 24002 | ↓ | ↑ | 잠실역.잠실대교남단 24001 | |||
석촌호수.한솔병원 24004 | 석촌호수.한솔병원 24003 | |||||
석촌역 24006 | ↓ | ↑ | 석촌역 24005 | |||
송파역 24008 | 송파역 24007 | |||||
가락시장.가락시장역 24385 | ↓ | ↑ | 가락시장.가락시장역 24009 | |||
수서역 23408 | 수서역5번출구 23409 | |||||
고속철도수서역 23320 | ↓ | ↑ | 고속철도수서역 23150 | |||
쟁골마을 23426 | 쟁골마을 23425 | |||||
래미안포레아파트 23427 | ↓ | ↑ | 래미안포레아파트 23424 | |||
방죽마을 23428 | 방죽마을 23423 | |||||
세곡동사거리 23415 | ↓ | ↑ | 세곡동사거리 23422 | |||
신촌동앞 05021 | 신촌동앞 05022 | |||||
오야동.신촌동행정복지센터 05019 | ↓ | ↑ | 오야동.신촌동행정복지센터 05020 | |||
효성고등학교 05016 | 효성고등학교 05017 | |||||
공군아파트 05012 | ↓ | ↑ | 공군아파트 05014 | |||
공군부대제2정문.면회실 05198 | 공군부대제2정문.면회실 05199 | |||||
등자리 05011 | ↓ | ↑ | 등자리 05013 | |||
고등동우체국 05005 | 고등동우체국 05008 | |||||
시흥사거리.고등공공주택지구 05007 | ↓ | ↑ | 시흥사거리.고등공공주택지구 05010 | |||
시흥사거리 05006 | 시흥사거리 05009 | |||||
나라기록관.코이카 05181 | ↓ | ↑ | 나라기록관.코이카 05181 | |||
판교제2테크노밸리 05001 | 판교제2테크노밸리 05002 | |||||
삼평교 07498 | ↓ | ↑ | 삼평교 07496 | |||
금토천교 07499 | 금토천교 07495 | |||||
화랑공원동편 07516 | ↓ | ↑ | 화랑공원동편 07552 | |||
판교IC 미정차 | 판교IC 미정차 | |||||
경부고속도로 미정차 | ↓ | ↑ | 경부고속도로 미정차 | |||
신갈JC 미정차 | 신갈JC 미정차 | |||||
영동고속도로 미정차 | ↓ | ↑ | 영동고속도로 미정차 | |||
마성IC 미정차 | 마성IC 미정차 | |||||
전대3리 29865 | ↓ | ↑ | 전대3리 29459 | |||
에버랜드(승차홈)[6] 47904 | 에버랜드(승차홈)[7][8] 47904 | |||||
- | 리조트지원센터 47555 | |||||
라마다용인호텔.골든튤립용인호텔 47201 | ↓ | ↑ | 라마다용인호텔.골든튤립용인호텔 29469 | |||
전대.에버랜드역 29480 | 전대.에버랜드역 29468 | |||||
부대앞 29476 | 부대앞 29475 | |||||
녹십자 29485 | ↓ | ↑ | 전대리입구.녹십자 29484 | |||
포곡중.에버찜질사우나 47626 | 포곡중.에버찜질사우나 47676 | |||||
포곡읍행정복지센터 29501 | ↓ | ↑ | 포곡읍행정복지센터 29496 | |||
포곡농협.대륙 29491 | 포곡농협.대륙 29490 | |||||
포곡고등학교 47732 | ↓ | ↑ | 포곡고등학교 47789 | |||
55사단앞.삼성쉐르빌아파트 47534 | 55사단앞.삼성쉐르빌아파트 47348 | |||||
둔전 29472 | ↓ | ↑ | 둔전 47720 | |||
포곡농협둔전지점 47705 | 포곡농협둔전지점 29470 | |||||
신원아파트 29463 | ↓ | ↑ | 신원아파트 29465 | |||
둔전역.인정멜로디아파트 29455 | 둔전역.인정멜로디아파트 29456 | |||||
둔전다리 29442 | ↓ | ↑ | 수포교 29824 | |||
화원 29444 | 화훼단지앞 29443 | |||||
유림동.방축 29447 | ↓ | ↑ | 유림동.방축 29552 | |||
유림동행정복지센터 29446 | 유림동행정복지센터 29451 | |||||
무수막 29448 | ↓ | ↑ | 무수막 29453 | |||
고진역입구 29450 | 고진역입구 29454 | |||||
운동장.송담대역 29429 | ↓ | ↑ | 운동장.송담대역 29430 | |||
용인터미널 29436 | 용인터미널 29434 | |||||
라이프아파트 29457 | ↓ | ↑ | 라이프아파트 29458 | |||
용인예술과학대학교 29464 | 용인예술과학대학교 29462 | |||||
남동구미마을 29432 | ↓ | ↑ | 남동구미마을 29431 | |||
보보스타운 29424 | 보보스타운 29423 | |||||
교수마을 29414 | ↓ | ↑ | 교수마을 29850 | |||
동진마을 29851 | 동진마을 29407 | |||||
명지대앞 47946 | ↓ | ↑ | 명지대앞 47945 | |||
명지대 29403 · 47632 |
5. 연계 철도역
서울 지하철 2호선 : 잠실역, 강변역
수도권 전철 3호선 : 수서역, 가락시장역
서울 지하철 8호선 : 가락시장역, 송파역, 석촌역, 잠실역
서울 지하철 9호선 : 석촌역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수서역
용인 경전철 : 운동장·송담대역, 둔전역, 전대·에버랜드역
일반 철도역 :수서역(SRT)
6.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 터미널 출발 | 중간 경유노선 |
시외 | *입구(전대리) 경유 | ||
직행좌석 | |||
일반시내 | 85*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