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0" | <tablebordercolor=#00aa51>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colcolor=#ddd,#444> | |
광역콜 | |||
직행좌석 | |||
일반 | 시내버스 맞춤형버스 공공버스(시군간) | ||
똑버스 | |||
마을 | | ||
3200번 :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
|
1. 개요
대원고속에서 운행 중인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동원대학교와 잠실역을 잇는다. 왕복 운행거리는 약 79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500-1번, 500-1A번(광주시내 경유)2. 노선 정보
| |||||
기점 |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신촌리(동원대학교) | 종점 | 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잠실광역환승센터) | ||
종점행 | 첫차 | 04:35 | 기점행 | 첫차 | 05:45 |
막차 | 22:30 | 막차 | 23:40 | ||
평일배차 | 25~40분 | 주말배차 | 25~40분 | ||
운수사명 | 대원고속 | 인가대수 | 16대 | ||
노선 | 동원대학교 - 신촌리 - 수양리 - 묵방리 - 곤지암터미널 - 경기도자박물관.친환경농산물유통센터 - 벽산.대주아파트.모다아울렛 - 쌍동리경기주유소.광주하남예비군훈련장 - 초월역.롯데아파트 - 초월읍사무소.초월도서관입구 - 도평리 - 새광주주유소 - 역동사거리 - 장지동 - 중앙저수지.선광주유소 - 삼동역육교 - 삼동.갈마주유소 - 갈마터널 - 모란역 - 수진리고개.태평고개 - 가천대역.가천대학교 - 동서울대학교 - 복정초교 - 복정역 - 장지역.가든파이브 - 문정로데오거리입구 - 가락시장.가락시장역 - 송파역 - 석촌역 - 잠실광역환승센터 | ||||
| |||||
| |||||
기점 |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신촌리(동원대학교) | 종점 | 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잠실광역환승센터) | ||
종점행 | 첫차 | 23:00 | 기점행 | 첫차 | 00:10 |
막차 | 00:00 | 막차 | 01:10 | ||
배차간격 | 1일 3회(공휴일 미운행) | ||||
운수사명 | 대원고속 | 인가대수 | -[1] | ||
노선 | 동원대학교 - 신촌리 - 수양리 - 묵방리 - 곤지암터미널 - 경기도자박물관.친환경농산물유통센터 - 벽산.대주아파트.모다아울렛 - 쌍동리경기주유소.광주하남예비군훈련장 - 초월역.롯데아파트 - 초월읍사무소.초월도서관입구 - 도평리 - 새광주주유소 - 경안동 - 광주터미널[2] - 역동사거리 - 장지동 - 중앙저수지.선광주유소 - 삼동역육교 - 삼동.갈마주유소 - 갈마터널 - 모란역 - 수진리고개.태평고개 - 가천대역.가천대학교 - 동서울대학교 - 복정초교 - 복정역 - 장지역.가든파이브 - 문정로데오거리입구 - 가락시장.가락시장역 - 송파역 - 석촌역 - 잠실광역환승센터 |
3. 역사
- 2005년 9월 1일에 심야운행이 개시되었다. 이 때는 광주시내(중앙로 - 우회도로)를 경유한다. 광주시 새소식
- 기점(동원대): 22:50, 23:20, 00:00
- 종점(잠실역): 00:00, 00:30, 01:00
- 2006 ~ 2007년경에 경기고속이 공동배차에서 빠졌다.
- 2023년 12월 1일부로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로 이관됐다.
4. 특징
- 형제노선인 500-2번(동원대학 - 삼성역)과 서울구간을 제외하면 완전히 겹치다 보니 경쟁아닌 경쟁을 펼치기도 한다. 또한 광주시에서 성남을 오갈 경우에는 체감 배차가 줄어든다.
- 바꿔 말하면, 두 노선의 경합구간에서는 잘못 타는 일이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혹시라도 500-2번을 잘못 탔다면 복정역에 진입하기 전에 422번, 302번, 303번 등으로 갈아타거나 수서역에서 내려서 1007번, 5600번, 5700번, 2412번을 타면 된다.[3]
- 수도권 전철 경강선 개통 후 수요에 꽤 타격을 받았는데, 500-2번보단 정도가 덜하다는 것이 그나마 다행.[4]
- 동원대에서 23:00, 23:30, 00:00에 출발하는 차량과 잠실역에서 00:10, 00:40, 01:10[5]에 출발하는 차량은 광주시내(축협, 송정교, 터미널)를 경유하는데, 버스어플에서는 500-1A번으로 검색가능하다. 하지만 버스 전면 및 측면에는 그대로 500-1번으로 적혀 있으니 주의. 공휴일(일요일 포함)은 운행하지 않는다. 여담으로 이 노선은 수도권 심야버스 중 유일하게 주간노선과 심야노선의 노선경로가 다르다.[6]
- 평일 출근형 급행버스가 운행중이다. 동원대 기준 06:42, 07:02, 07:22에 출발한다.
4.1.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경기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하였다.
- 경기도 자료는 연간데이터가 없어 매년 3월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 현금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 500-1번과 500-1A번의 통계를 합산하였다.
평일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5,491 | |
2015년 | 5,302 | ▽ 189 |
2016년 | 5,026 | ▽ 276 |
2017년 | 4,236 | ▽ 790 |
2018년 | 4,406 | △ 170 |
주말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4,313 | |
2015년 | 4,548 | △ 235 |
2016년 | 4,144 | ▽ 404 |
2017년 | 2,940 | ▽ 1,204 |
2018년 | 2,979 | △ 39 |
4.2. 노선
| ||||||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 잠실광역환승센터 24050 | |||||
잠실역환승센터출구(경유) 미정차 | ↓ | ↑ | ||||
석촌역교차로(경유) 미정차 | ||||||
석촌호수.한솔병원(중) 24004 | ↓ | ↑ | 석촌호수.한솔병원(중) 24003 | |||
석촌역(중) 24006 | 석촌역(중) 24005 | |||||
송파역(중) 24008 | ↓ | ↑ | 송파역(중) 24007 | |||
가락시장.가락시장역(중) 24010 | 가락시장.가락시장역(중) 24009 | |||||
문정로데오거리입구(중) 24012 | ↓ | ↑ | 문정로데오거리입구(중) 24011 | |||
문정법조단지.건영아파트(중) 24014 | 문정법조단지.건영아파트(중) 24013 | |||||
장지역.가든파이브(중) 24016 | ↓ | ↑ | 장지역.가든파이브(중) 24015 | |||
복정역2번출구 24420 | ||||||
복정동행정복지센터 05026 | ↓ | ↑ | 복정동행정복지센터 05027 | |||
복정초등학교 05142 | ||||||
동서울대학교 05025 | ↓ | ↑ | 동서울대학교 05141 | |||
복정파출소.복정캠퍼스맛집거리 05170 | 복정파출소.복정캠퍼스맛집거리 05205 | |||||
복우물.웃말입구 05028 | ↓ | ↑ | 복우물.웃말입구 05031 | |||
가천대역.가천대학교 05143 | 가천대역.가천대학교 05030 | |||||
수진리고개.태평고개 05029 | ↓ | ↑ | 수진리고개.태평고개 05032 | |||
성남수정경찰서앞 05150 | 성남수정경찰서 05033 | |||||
모란고개 05036 | ↓ | ↑ | 모란고개 05037 | |||
모란역(광역.시외버스) 06216 | 모란역4번출구 06153 | |||||
섬마을 06044 | ↓ | ↑ | 섬마을 06047 | |||
갈현동 06120 | 갈현동 06129 | |||||
성남시장례문화사업소.장례식장입구 06246 | ↓ | ↑ | 갈현교차로(경유) 미정차 | |||
삼동.갈마주유소 38097 | 삼동.갈마주유소 38101 | |||||
삼동역육교 54148 | ↓ | ↑ | 삼동역육교 54149 | |||
텃골.중대동 38128 | 텃골.중대동 38491 | |||||
↓ | ↑ | 임마누엘교회 38149 | ||||
중앙저수지.성광주유소 38155 | 중앙저수지.성광주유소 38156 | |||||
중간말.오디벨로 38179 | ↓ | ↑ | 장지동.조은교회앞 54088 | |||
장지동.절골 38193 | 절골.장지동.미빙냉장 38194 | |||||
경안장례식장.이편한세상광주역아파트 38225 | ↓ | ↑ | 경안장례식장.이편한세상광주역아파트 38229 | |||
역동 38275 | ||||||
광주IC(경유) 미정차 | ↓ | ↑ | 광주IC(경유) 미정차 | |||
새광주주유소 38315 | 쌍령동 38637 | |||||
쌍령동.김촌말.센트럴푸르지오아파트 38316 | ↓ | ↑ | 쌍령동.김촌말.센트럴푸르지오아파트 38490 | |||
동성.현대아파트.대광로제비앙아파트 38492 | 동성.현대아파트.대광로제비앙아파트 38321 | |||||
도평리.우림.신일.대주아파트 38493 | ↓ | ↑ | 도평리.우림.신일.대주아파트 38489 | |||
초월읍행정복지센터.초월도서관입구 38494 | 초월읍행정복지센터.초월도서관입구 38329 | |||||
소쌍.동광.e편한세상.모아미래도 38338 | ↓ | ↑ | 소쌍.동광.e편한세상.모아미래도 38339 | |||
초월역.롯데아파트 38341 | 초월역.롯데아파트 38340 | |||||
쌍동리경기주유소.광주하남예비군훈련장 38347 | ↓ | ↑ | 쌍동리경기주유소.광주하남예비군훈련장 38349 | |||
벽산대주아파트 38379 | 벽산.대주아파트.모다아울렛 38383 | |||||
모다아울렛 38384 | ↓ | ↑ | ||||
빙그레.코아루아파트 38392 | 빙그레.코아루아파트 38391 | |||||
삼리.킴스빌리지.현진에버빌아파트 38409 | ↓ | ↑ | 삼리.킴스빌리지.현진에버빌아파트 38406 | |||
도자박물관.친환경농산물유통센터.경기도농수산진흥원.팀업캠퍼스 38412 | 도자박물관.친환경농산물유통센터.경기도농수산진흥원.팀업캠퍼스 38413 | |||||
곤지암1리.소머리국밥 54091 | ↓ | ↑ | 농협.곤지암연세의원 38422 | |||
곤지암터미널 38426 | 곤지암터미널 38538 | |||||
↓ | ↑ | 곤지향어울림마당 38737 | ||||
곤지암LG아파트 38431 | 곤지암LG아파트 38433 | |||||
묵방리 38436 | ↓ | ↑ | 묵방리 38437 | |||
이화전기앞 54042 | 이화전기 54041 | |||||
수양1리 38449 | ↓ | ↑ | 수양3리마을입구 38448 | |||
수양2리 38456 | 수양2리 38934 | |||||
수양4리 38460 | ↓ | ↑ | 수양4리 38461 | |||
신촌리 38462 | 신촌리 38463 | |||||
동원대학교앞 38464 | ↓ | ↑ | 동원대학교.넋고개앞 38465 | |||
동원대학교출발(경유) 미정차 | ||||||
동원대학교 38467 · 38466 |
5. 연계 철도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잠실역
수도권 전철 3호선: 가락시장역
수도권 전철 8호선: 모란역, 복정역, 장지역, 문정역, 가락시장역, 송파역, 석촌역, 잠실역
서울 지하철 9호선: 석촌역
수도권 전철 경강선: 삼동역, 초월역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모란역, 태평역, 가천대역, 복정역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53864> |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준공영제 대상 노선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광역급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직행 좌석 | <colbgcolor=#ee2737><colcolor=#fff>가평 | · · · · · · · | |
고양 | · | ||
광명 | · · · | ||
광주 | · · · · · · · · · | ||
구리 | · · · | ||
군포 | · | ||
김포 | · · · · · · · · · | ||
남양주 | · · · · · · · · · · · · · · · · · | ||
성남 | · · · · · · · · · · · · | ||
수원 | · · · · · · · · | ||
시흥 | · | ||
안산 | |||
안성 | · · | ||
양주 | · · · · · | ||
양평 | · | ||
연천 | |||
오산 | · · · | ||
용인 | · · · · · · · · · · · · · · · · · · · · · · | ||
의정부 | · · · | ||
의왕 | |||
이천 | · | ||
파주 | · · | ||
평택 | · · | ||
포천 | · · · · | ||
하남 | · · · · · | ||
화성 | · · · · · · · · · · · · · |
| ||||
<colcolor=#fff> 직행좌석 | 500-1A | 500-2N | 1005 | 1117 |
1150 | 1151 | 1303 | 1500-2 | |
3100 | 3302 | |||
일반시내 | 3-1 | 9 | 17 | 17-1 |
31-2 | 31-3 | 32 | 32-1 | |
52 | 60 | 119 | 300 | |
320 | 520 | 521 | 522 | |
마을 | 3-3 | 109-1 | 109-2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ee2737> | <colcolor=#fff><colbgcolor=#ee2737>가평 | · · |
고양 | 1000[2] · · · | ||
광주 | · | ||
김포 | · | ||
수원 | · · | ||
안산 | · · | ||
용인 | · · | ||
파주 | · · 9710-1[2] | ||
기타 | · · [미] · | ||
[2] 2층버스 운행 노선 / [미] 면허지 미경유 | }}}}}}}}} |
{{{#!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width=31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64194>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일노선 | · · · · |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프리미엄 | |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
일반시내 |
[1] 본선 차량으로 운행.[2] 양방향 동시경유 구간.[3] 다만 장지역, 문정역을 갈 경우 가락시장, 송파역에서 한번 더 환승을 해야 한다. 아니면 331번을 타고 갈 수 있다.[4] 이쪽은 강남역으로 가는 최단거리인 경강선 - 신분당선 루트에 도저히 상대가 되지 않아 종점을 아예 변경한 케이스이다. 물론 변경 전보다 못한 수요를 보이고는 있지만, 그래도 같은 이유로 줄줄이 폐선된 다른 강남행 광역버스들과 달리 활로를 개척해 그나마 선방하고 있다.[5] 잠실역 기준은 교통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성 있음.[6] 형제격 노선인 500-2번은 전산에 500-2N으로 검색되며 경로가 주간노선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