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리미엄 | 경기순환 | 직행좌석 | 좌석 | 일반 | 마을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기도지사 | 정책 브랜드 |
김문수 | | |
경기순환버스 | ||
남경필 | | |
맞춤형버스 (舊 따복버스) | ||
이재명 김동연 | 경기 프리미엄버스 | |
경기도 공공버스 |
|
1. 개요
2020년 11월 2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경기도 시내버스의 새로운 등급이다.2. 상세
자가용 운전자들의 대중교통 이용을 유도하기 위해 기존 시내버스에 비해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체계다. 기존 시내버스의 높은 혼잡도로 인한 입석, 너무 긴 대기시간, 잦은 환승등으로 불편을 느낀 이용자들이 자가용으로 이탈하고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프리미엄버스 도입을 통해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줄이고 입석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보도자료Miri 앱에서 미리 예약을 해야 이용할 수 있는 예약제로 운영된다.구글 플레이스토어, 애플 앱스토어
간선급행버스처럼 일부정류소만 정차한다. 또한, 단말기에 직접 카드를 접촉하지 않고 블루투스로 승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태그리스 방식, 직접 하차벨을 누르지 않고 스마트폰으로도 하차벨을 누를 수 있는 등 비대면 시대에 맞춘 체계를 도입할 예정이다.
현재 시범운영중으로 12월까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점차 서비스 노선, 시간대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3. 노선
| ||
[[틀:경기도의 공항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14px"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aa9872> 수원시 | |
용인시 | ||
화성시 | ||
의정부시 | ||
시흥시 | ||
양주시 | ||
동두천시 | }}}}}}}}} |
- 의정부 민락2지구 - 창동역 간 P9403번은 21.09.01자로 폐선되었다.
4. 기타
프리미엄 버스와는 이름만 비슷할 뿐 관련이 없다. 프리미엄 고속버스는 21석에 커튼, 모니터까지 있지만 이건 28석에 중앙 모니터 정도만 있는 일반적인 우등 차량이다.간선급행버스, 광역급행버스처럼 일부 정류장에만 정차하고 출퇴근 시간에만 운행하는 예약제 버스이기 때문에 출퇴근시간을 아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경기순환버스와 요금이 3050원으로 같다. 다른 버스와의 환승도 가능하다. 가격은 창렬이라고 보일 수는 있는데 김천구미역과 구미를 잇는 리무진버스를 생각해보면 상당히 저렴하다.[1] 그래서 본전우등이라는 소리가 있다.
노선번호에 대한 공식적인 규칙은 알려진 바가 없으나, 모든 노선의 번호가 'P9###'이다. 두번째 자리는 1은 수원시, 2는 용인시, 3은 화성시, 4는 의정부시, 5는 시흥시, 6은 양주시, 7은 동두천시 노선에게 부여되고 있다. 후에 이 정책이 확대 시행된다면 서울시처럼 권역으로 지정할 가능성이 있다.
의정부 노선들은 KD 운송그룹에서 운행하기 때문에 해당 차량이 프리미엄 노선을 운행하지 않는 시간대에는 자사 노선인 동서울 - 충주, 동서울 - 제천, 성남 - 춘천 등 단거리 시외버스 노선을 운행한다.[2]
광역버스에 자전거를 적재해야 한다면, 프리미엄버스 쪽의 적재 성공 확률이 더 높다. 대체로 기존 관광버스나 고속버스 차량을 사용하기에 화물칸 사용이 비교적 수월하기 때문이다.[3]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1] 비슷한 지역으로 우등을 타면 5000원은 기본으로 찍는다.[2] 시내 노선이라도 경남여객과는 달리 전세부 면허이므로 운행에 문제가 없다.[3] 단, 경남여객의 P9201번은 CNG차량이기에 적재가 불가능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