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5%" {{{#!folding [ 광주시내 운행 ] | <tablebgcolor=#fff,#1f2023><tablewidth=100%><colcolor=#fff> 직행좌석 | |
좌석 | ||
일반 | ||
마을 |
- [ 광주시 미경유 ]
- ||<tablebgcolor=#fff,#1f2023><tablewidth=100%><bgcolor=#000><color=#0ff><width=90> 광역급행 ||<width=3000> ||
<colcolor=#fff> 직행좌석 3200[통]좌석 일반 [통]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1. 노선 정보
| |||||
기점 | 경기도 광주시 역동(경기광주역) | 종점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모란역)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5:35 |
막차 | 22:10 | 막차 | 23:00 | ||
평일배차 | 30~45분 | 주말배차 | 40~60분 | ||
운수사명 | 경기고속 | 인가대수 | 5대 | ||
노선 | 경기광주역 - 광주중앙고등학교 - 구3번종점 - 축협 - 보건소 - 송정동주민센터 - 우림아파트 - 회덕동 - 신일아파트 - 목현동회관 - 이배재터널 - 상대원파출소 - 대원사거리 - 아튼빌아파트 - 중원구청 - 모란역.모란시장입구 - 모란역 |
2. 개요
경기광주역과 모란역을 잇는 시내일반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인가가 처음 났을 때는 '광주축협 - 모란역 - 광주축협 - 도평리 - 광주' 노선이었다. 하지만 인가 후 몇 번 운행하더니 GBIS에만 남아 있는 유령노선이 되었다.
- 그렇게 잊혀져 있다가 탄벌동 일원(숯가마골, 탄벌 우림루미아트아파트) 주민들의 청원으로 본래 하루 8회 정도 운행하던 33-1번을 폐선시키고, 탄벌동을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해 부활시켰다. 당시에는 평일, 주말 구분없이 2대로 16회만 운행했다.
- 2달 정도 지난 후 평일엔 3대가 23회, 주말엔 기존과 같이 2대로 16회 운행하게 되었다.
- 일자 미상으로 광주터미널까지 연장되었다.
- 2020년 2월 17일에 이배재고개 대신 이배재터널 경유로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4. 특징
- 31-3번과 달리 탄벌동을 경유한다.
- 500-5번과 더불어 파라다이스아파트가 아닌, 나산아파트를 경유한다. 파라다이스아파트 쪽으로 우회하지 않는 것은 31-3번과 배차를 맞추기 위해서다. 따로 증차없이 31-3번에서 차량을 차출했기 때문에 똑같이 파라다이스아파트로 가면 31-3번 앞차와 벌어지고, 뒷차와 가까워져 결국 배차간격이 깨지기 때문.
- 이배재를 경유하는 다른 노선들과 달리 송정동주민센터에서 직진하지 않고 11시 방향으로 좌회전하여 탄벌동 우림아파트를 경유한 후 SK주유소를 지나 합류한다. 덕분에 이배재로가 막힐 때는 나머지 노선들을 추월할 때도 있다.
- 31-3번에 신차가 대거 투입되고 나서, 가장 차량이 안 좋았지만, 시간이 지난 뒤 기존 차량 2대가 내구 연한으로 NEW BS090 디젤로 대차되었다. 대부분 차량이 NEW BS090 디젤인데 경기광주역 연장 이후 NEW BS106도 1대 투입되었다가 320번으로 빠지면서 전 차량 NEW BS090으로 돌아왔다가 33-1번 개통으로 NEW BS090이 빠져나가면서 다시 대형차량이 투입되어 운행하고 있다.(NEW BS106, BS106L F/L)
- 2015년 6~7월 경 경기고속에서 시 허가 없이 평일에도 1대를 감차한 2대로 운행하다 고발당했다. 해당 사실을 인지한 당국에서 이 노선 뿐만 아니라 17번 등 대부분 노선에서 4월 20일부터 7월 17일까지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했으며, 조사 결과 시정 369회, 과태료 35회(1,800,000원) , 과징금 23회(7,900,000원)으로 총 지적 427회, 총 합계금액 9,700,000원을 부과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