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aa57><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광주시내 운행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 직행좌석 | ||
좌석 | |||
일반 | |||
마을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광주시 미경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광역급행 | ||
<colcolor=#fff> 직행좌석 | 3200[통] | ||
좌석 | |||
일반 | |||
[통]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위시티3.4단지) | 종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강남역)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6:15 |
막차 | 22:45 | 막차 | 00:00 | ||
운행횟수 | 50~100분 | ||||
운수사명 | 대원고속 | 인가대수 | 10대[1] | ||
노선 | 위시티3.4단지 - 위시티주상복합단지 - 동국대병원사거리 - 고양시청 - 원릉역 - 원당래미안 - 성사2동주민센터 - 화정1동주민센터 - 화정역 - 고양경찰서 - 능곡중학교 - 행주동주민센터 - 올림픽대로/강변북로[2] - 신사역 - 논현역 - 신논현역 → 언주역 → 역삼역 → 강남역(12번 출구) → 신논현역 → 이후 역순 |
2. 개요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 고양시 식사/능곡/화정지구와 서울 강남을 오간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2011년 2월 8일에 9700번에서 분리신설되었다. 기존 9700번이 능곡, 화정지구를 경유하다보니 고양시 내에서 시간이 오래 걸려서 불편이 많았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 노선을 분리하게 되었다. 대원고속과 명성운수에서 9700번 운행비율에 맟춰서 차량을 투입했다.
- 2015년 1월 16일에 '신사역 → 신논현역 → 강남역 → 양재역 → 교육개발원' 구간이 '신논현역 → 언주역 → 역삼역 → 강남역(12번 출구) → 신논현역'으로 변경되었다.
- 2021년 9월 1일부터 적자 누적으로 운행이 중단되었으나 9월 3일부터 운행을 재개한다. 관련 게시물
4. 특징
- 노선 선형이 영 좋지 않다. 무려 언론에도 소개되었을 정도. 기사1, 기사2 우선 식사동에서 이 노선을 탄다면 엄청난 시간낭비이다. 771번[3]이 경유하는 바로 그 성사동 굴곡을 따라 원당, 화정동을 정차하는데다가 심지어 능곡까지 경유하다보니 식사동에서 화정까지 가는데만 30분이 걸린다. 이러한 이유로 출퇴근 시간을 제외한 평시에는 M7412번을 타고 백석역이나 마두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더 빠르니 수요가 상당히 적은 게 현실.
- 하지만 강변북로의 교통상황이 원활할 경우 능곡에서 신사역 버스정류장까지 20분대로 주파 가능하다. 출근시간대에 탑승하더라도 능곡병원에서 신사역까지 54분, 신논현역까지 1시간 정도 소요되었는데, 능곡역에서 경의중앙선을 이용하여 한남역에서 421번으로 환승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다.[4] 원당, 화정, 능곡에서 강남대로 방면으로 갈 때 3호선, 경의중앙선을 이용하여 환승하는 것보다 이 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강변북로의 교통 상황이 양호하고 정류장에 10분 이내 버스가 도착하는 경우.[5]
- 배차간격이 매우 길다. 막차가 끊기지 않았다면 지하철을 타고 다른 버스로 환승하는 것을 추천한다.[6]
- 여담으로 9700번 차량이 고장으로 운행하지 못할때 가끔 이 노선의 차량이 9700번으로 지원 나가기도 한다. 반대로 9600번 차량이 고장났을때도 9700번 차량도 지원 나가는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전 차량 디젤이었던 시절에는 공항버스 3200번으로도 지원 나가는 경우도 있었다. 현재는 단말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일은 전혀 없다.
4.1. 시간표
교통 상황 등 기타 사유로 인해 출발이 지연되거나 결행될 수도 있으니 유의할 것.경기광주 버스 9600번 운행시간표 | |||
횟수 | 1 | 2 | 3 |
1 | 05:00 | 06:00 | 06:50 |
2 | 08:00 | 10:00 | 11:20 |
3 | 12:20 | 14:00 | 15:20 |
4 | 16:10 | 18:30 | 20:10 |
5 | 21:30 | 22:45 | - |
5. 연계 철도역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 역삼역
수도권 전철 3호선: 화정역, 신사역
서울 지하철 7호선: 논현역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 언주역
신분당선: 신사역, 논현역, 신논현역, 강남역
6. 둘러보기
<colcolor=#0060b5,#49aaff> | ||
{{{#!wiki style="margin: 0px -10px; min-height: 26px" {{{#!folding [ 서울특별시 방면 ] | | |
| ||
| ||
| ||
| ||
| ||
상암, 수색 |
- [ 인천광역시 · 경기도 방면 ]
[1] 실제로는 3대 내외로 운행한다.[2] 도로상황에 따라 다르다. 기본적으로는 서울방향은 강변북로를, 화정방향은 올림픽대로를 이용한다. 버스 기사들간에 전화로 정보를 주고 받다 보면 ㄹ자 형태(행주동주민센터 - 가양대교(또는 행주대교) - 올림픽대로 - 마포대교 - 강변북로 - 한남대교를 지나 강남 진입)로 운행하는 해괴한 경우도 있다. 그런데 그렇게 해도 민원으로 인해 교통통제가 이뤄지지 않는 이상 이렇게 우회하지는 않는다.[3] 재밌는 건 이 노선도 9713번 광역버스 시절에 이 굴곡 때문에 언론을 탄 적이 있다는 점이다. 결국 국토부 조정으로 직선화에 성공했지만 7728번 노선변경으로 해당 구간을 재경유하게 된 것.[4] 능곡역에서 한남역까지 다이어 상 소요시간은 38분이며, 환승대기시간을 감안하면 신논현역까지 50분 정도 걸린다.[5] 9600번이 경유하는 능곡 지역의 대부분이 능곡역과 거리가 있기 때문이다.[6] 식사동 - 고양 버스 080/고양 버스 081 - 마두역 - 고양 버스 9700/서울 버스 9711 - 강남대로 경로가 주로 추천되며 영등포구 연계 노선이 많은 교통 환경에 따라 덕양구에서는 고양 버스 1082 - 당산역 경유 노선도 추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