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005bac,#49aaff><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성남시 | }}} |
{{{#!wiki style="color:#005bac,#49aaff; 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
경기순환 | |||
직행좌석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 ||
일반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 | ||
마을 | 7대일 7영상 | ||
''' {{{#ddd,#44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clearfix]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오리역) | 종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킨텍스 제2전시장) | ||
종점 행 | 첫차 | 05:00 | 기점 행 | 첫차 | 05:00 |
막차 | 23:30 | 막차 | 23:30 | ||
평일배차 | 30~70분(1일 26회) | 주말배차 | 토요일 30~70분 / 공휴일 30~140분(1일 23회) | ||
운수사명 | 경기고속 | 인가대수 | 8대 |
경유 정류장 | ||||
성남(분당) | ↔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 | 고양(일산) |
오리역 | 가천대 | 안산공원(상) 백석역(하) | ||
미금역.청솔마을.2001아울렛 | ||||
정자역 | 구리영업소 | 마두역 | ||
롯데백화점.수내역 | 일산동구청 | |||
서현역.AK플라자 | 불암산영업소 | 주엽역 | ||
이매역.농업기술센터.진흥아파트.동신아파트(상) 이매역(하) | 대화역 | |||
야탑역.종합버스터미널 | 양주영업소 | 킨텍스제2전시장 |
2. 개요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는 경기순환버스 노선으로, 분당신도시와 일산신도시를 잇는다. 왕복 운행거리는 171.8km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2010년 8월 23일에 개통되었다.
- 2011년 2월 11일에 '이매촌 한신아파트 - 서현로 - 판교IC - (경부고속도로) - 판교J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성남IC' 구간이 서현역 - (성남대로) - 야탑역 - 성남IC'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16년 11월 5일에 성남TG 내 정류장이 폐지되면서 무정차 통과한다.
- 2020년 1월 2일부터 이매역에 추가로 정차한다.
- 2021년 9월 1일부터 적자 누적으로 인해 운행이 중단될 예정이었으나 운수업체 공식 입장, 고양시에서 8109번의 10월 중 경기도 공공버스 편입과 보조금을 더 지원하는 전제 하에 운행을 계속하기로 하였다. 관련 글 고양시가 유독 경기도의 공공버스 정책에 부정적이라 이 노선에도 참여를 거부하여 결국 폐선으로 가닥지었는데, 폐선 직전 운수업체와 지자체, 경기도간 회의 끝에 8월 31일 저녁에 고양시의 예산 투입이 극적으로 결정되면서 폐선만은 막게 된 것. 다만 이후에도 고양시의 우호적이지 않은 반응에 대한 기사가 나오는 등 갈등이 완전히 봉합된 것은 아니었다.
- 2021년 11월 1일에 예정대로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었다. 이 과정에서 노선 면허 지자체가 광주시에서 성남시로 변경되었고 동시에 인가대수는 차량출고 전까지는 14대에서 8대로 축소되었다. 다만 공공버스 전환 직전까지 4대만 운행하는 파행운행이 이어져왔기에 실제 운행대수는 늘어났고 배차간격도 30~70분으로 크게 좁혀졌다.
- 평일 28회, 주말 24회로 운행횟수가 정해졌는데, 첫날부터 월요일 정체와 맞물려 배차간격이 깨지는 상황이 벌어졌다. 당시 배차 기록
- 2022년 2월 5일부터 운행횟수가 평일 26회, 주말 23회로 감회되었다.
4. 특징
- 현재 대한민국 육지에서 운행거리가 가장 긴 시내버스 노선이다. 개통 당시에는 경기도 시내버스 중 가장 거리가 긴 노선이었으며, 전국에서 가장 긴 노선이었으나 8906번이 안양시와 양주시로 연장되면서 왕복 거리가 191km로 길어지자 8109번은 2위로 밀려났다. 전국 레벨로 보면 제주도 버스들이 시내버스로 형간전환하면서 더욱 밀려났다. 그러나 2022년 11월 1일에 8906번이 단축되면서 다시 한반도에서 제일 긴 시내버스 타이틀을 받게되었다.
- 청계TG 방향으로 이동하면 운행 거리가 단축되지만 경기순환버스의 개통 취지인 환승 유도와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일산~중동~시흥 구간의 유달리 심각한 상습정체를 피하고, 구리시, 남양주시에서의 환승 수요를 확보하기 위해서 일부러 구리남양주TG 방향으로 노선을 선정하였다.[1] 그래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의 민자구간을 모두 경유하는 유일한 버스가 되었다.
- 신설 당시 노선 번호가 잘못 부여되었다. 간선급행버스 노선 번호 규칙을 따르면 8107번이 맞지만 노선이 개통된 후 지금도 8109번이 유지되는 중이다.[2] 경기도 역시 잘못된 부분을 파악하였지만 비용 문제도 있고 이용객들도 그렇게 신경쓰지 않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유지되고 있다.
- 행선판과 LED에는 '성남'과 '고양'이라고 적혀있지만 통상적으로 성남이라고 불리는 중원구를[3] 경유하지 않고, 고양으로 불리는 덕양구를 경유하지 않는다. 경유하는 것은 맞지만 시 전체를 경유하지는 않는 것이다. 그래서 개통하고 얼마 뒤에는 성남 밑에 '분당', 고양 밑에는 '일산 킨텍스'라는 표기를 병기하였다. 이후 8109번의 인지도가 올라가면서 부가 표기는 사라지게 된다.
- 대학생들의 이용률이 높다. 고양은 물론 구리/남양주에 거주하는 성남/용인/광주 권역 대학교의 대학생들에겐 이만한 노선이 없기 때문.
- M7731번과 비슷하게, KINTEX에서 행사가 열리면 만차가 되는 경우가 잦다. 대표적으로 2021년 12월 31일 HYBE 레이블즈 콘서트로 인해 킨텍스발 21:20차가 만석을 찍었고, 2022년 4월 2일에도 2022 LCK 스프링 결승전으로 인해 킨텍스발 22:20차가 만석을 찍었다.
4.1. 시간표
2023년 1월 1일 기준 링크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3호선: 백석역, 마두역, 정발산역[8], 주엽역, 대화역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가천대역, 야탑역, 이매역, 서현역, 수내역, 정자역, 미금역, 오리역
신분당선: 정자역, 미금역
수도권 전철 경강선: 이매역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f0000><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틀:경기도의 공항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14px"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0000> 성남시 | | |
의정부시 | |||
안산시 | | ||
양주시 |
[1] 실제로 구리남양주TG, 불암산TG에서 8109번으로 환승하여 성남시 방면으로 이동하는 수요가 많다.[2] 9번은 의정부, 양주, 동두천 권역 번호이다.[3] 수정구를 경유하긴 하지만 가천대 하나 뿐이다.[4] 실제로 8109번이 개통하고 단국대학교는 일산행 통학버스를 폐지하였다.[5] 신구대의 경우 단대오거리역에서 한 번 더 환승해야 한다.[6] 야탑역에서 1005번을 타는 방법도 있지만, 우선 길을 건너서 타야하고 1005번에 노선 굴곡이 있으며 무엇보다 배차간격이 기본 30분이다. 또한 서현역에서 1150번이나 1500-2번으로 환승하는 방법도 있지만, 두 노선이 정차하는 이매촌한신아파트 정류장은 8109번의 서현역 정류장과는 600m 넘게 떨어져있다. 그리고 정자역, 미금역, 오리역에서 1303번이나 오리역에서 60번으로 환승하는 방법도 있지만, 분당 아래쪽까지 내려가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7] 다만 이쪽은 구리영업소에서 11번, 100번 환승 후 강변역에서 1113-1번을 타는 게 훨씬 빠르다.[8] 일산동구청 정류장 하차 후 도보로 약 15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