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005bac,#49aaff><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성남시 | }}} |
{{{#!wiki style="color:#005bac,#49aaff; 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
경기순환 | |||
직행좌석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 ||
일반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 | ||
마을 | 7대일 7영상 | ||
''' {{{#ddd,#44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오리역) | 종점 | 경기도 부천시 상동(상동역) | ||
종점 행 | 첫차 | 05:10 | 기점 행 | 첫차 | 05:10(송내역 05:20) |
막차 | 23:10 | 막차 | 23:10(송내역 23:20) | ||
평일배차 | 10~20분 | 휴일배차 | 12~30분 | ||
운수사명 | 경기고속 | 인가대수 | 20대[1] |
경유 정류장 | ||||
성남(분당) | ↔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 | 부천(상동)[편도] |
오리역 | 의왕청계영업소 | 상동역1번출구.부천터미널소풍.홈플러스 | ||
미금역.청솔마을.2001아울렛 | 부천터미널소풍 | |||
정자역 | 하늘휴게소 | 하얀마을 | ||
롯데백화점.수내역 | 복사골문화센터.한아름마을 | |||
이매촌한신.서현역.AK플라자 | 시흥영업소 | 반달마을.법원.검찰청 | ||
판교역.낙생육교.현대백화점 | 송내역남부(광역버스) |
중간 출발 정류소 | |
오리역 방향 | 송내역평일 08:50 |
상동역 방향 | 이매촌한신.서현역.AK플라자평일 19:30 |
2. 개요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는 경기순환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105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2010년 8월 23일에 개통되었다. 개통 당시의 부천 구간은 송내역 북광장에 정차하고 '상동역 - 복사골문화센터 - 반달마을' 구간을 왕복으로 운행하였다.
- 회차의 어려움과 더 효율적인 운행을 하기 위해서 2011년 2월 21일에 일시적으로 송내역을 경유하지 않도록 변경되었다.
- 2011년 4월 9일에 송내지하차도를 통과한 후 U턴하면서 송내역 남광장에 정차하게 바뀌었다. 동시에 부천 구간이 왕복에서 편도로 변경되었다.
- 2015년 6월 3일에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와 부천시 버스가 모두 운행되어 정차시간이 늘어난 송내역에서 정차하는 구간이 8906번과 함께 변경되었다. 스쿨버스 타는 장소에서 승차하면 된다.
- 2018년 12월 7일에 양방향 첫차가 10분 늦어지고 막차는 10분 빨라졌다.
4. 특징
- 경기순환버스 중 수익이 가장 많고 배차간격이 제일 짧다. 상동 방향은 평일 저녁이 되면 정자역이나 수내역, 서현역부터 만석이 되는 경우도 있고, 성남에서의 마지막 정류장인 판교역(낙생육교)에서는 거의 무조건 입석으로 타게 된다. 분당신도시 및 판교테크노밸리에 입주하는 업체가 늘면서 경인권에서 분당, 판교로 통근하는 인구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분당 방향 역시 평일 아침에는 송내역 내지는 상동역에서부터 입석을 세운다. 시흥영업소, 하늘휴게소 및 의왕청계영업소에서 환승하는 사람도 꽤 된다.
- 막차는 오리역과 상동역 모두 23시 10분이다. 19~21시 사이 일부 시간대, 22시 이후에 오리역을 출발한 버스는 송내역까지만 운행하고 부천종합터미널에서 주박한 후 다음 날 순번에 맞추어 분당으로 간다.[4]
- 8106번이 개통되면서 단국대학교에서는 1일 2회 운행하던 송내역 방향 셔틀버스를 1회로 줄였다. 부천에서 가천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서울대학교, 신구대학교, 한국폴리텍Ⅰ대학 성남캠퍼스, 을지대학교/성남캠퍼스, 단국대학교/죽전캠퍼스[5],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6]등 성남, 용인권 학교에 다니거나 분당에서 성공회대학교, 유한대학교,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서울신학대학교, 부천대학교, 한국폴리텍Ⅱ대학, 인천대학교, 재능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 인천캠퍼스, 인천가톨릭대학교, 연세대학교 송도캠퍼스[7], 인하대학교[8], 가천대학교/메디컬캠퍼스등 부천, 인천권 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에게도 유용하다.
- 인천시민들도 환승을 통해 8106번을 이용한다. 상동역과 송내역에 도시철도와 인천광역시 시내버스가 진입하고, 시흥TG에 9300번이, 시흥하늘휴게소에 9100번, 9200번, 9201번, 9300번이 들어오기 때문이다.[9]
- 송내역을 출발하면 곧바로 송내IC로 진입하여 서현역까지 40분 이내에 갈 수 있어서 소요시간이 짧다.[10]부천 방향으로는 장수IC부터 중동IC 구간이 상당한 정체인데다가 송내대로의 교통량에 영향을 받아 소요시간이 불규칙하지만, 부천 구간을 편도회차로 크게 도는 방식이라서 분당 방향으로는 중동IC로 가지 않고 바로 송내IC로 들어가는 방식이라 중동-송내 간의 헬게이트를 거칠 필요가 없어서 비교적 빠르게 이동한다. 그 외에도 청계TG에서 모란역이나 성남 구도심에 가는 333번, 2007번, 잠실역이나 강변역에 가는
1009번[11], 1650번이 운행하여 여기서 환승하는 승객들도 흔하게 보인다. 경강선이 판교 이서(월곶판교선)로 더 개통되어도 이 버스노선의 부천 구간은 서해선 라인에서 몇 정거장만큼 서쪽에 위치해 있어서, 이 버스 그대로 전철로만 다니려면 1호선[12] 혹은 7호선[13] - (소사역 혹은 부종운역에서 환승) - 서해선 - (시흥시청역에서 환승) - 경강선[14], 혹은 (신)분당선으로 1회 추가 환승[15]으로 환승을 최대 3회까지 너무 많이 필요로 하게 되어 환승저항으로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 8106번이 개통하기 전부터 8414번이 부천시와 성남시를 이어주고 있었는데 8106번이 개통하자 요금을 2,100원으로 인하하였다.[16] 하지만 8106번은 분당 남부와 판교신도시 수요로 유지되고, 8414번은 분당 북부와 성남 구도심 수요로 유지된다. 그래서 어느 노선도 타격 없이 상생하고 있었지만 2022년부터 8414번은 운휴에 들어갔다.
- 참고로 행선판에 '성남'이라고 적혀있는데, 실질적으로 좁은 의미에서 '성남'으로 불리는 소위 '구성남'(중원구, 수정구)에는 정차하지 않고 분당구에만 정차한다. 분당구 또한 성남시의 일부이므로 틀리다고까지야 할 수 없지만서도, 혼동의 소지가 크므로 창문에 8109번과 함께 '성남' 밑에 '(분당)'이라는 표기를 병기했다.
- 2020년 발생된 코로나19 사태 초기에 잠시 12대까지 감차된 적이 있었으나, 이 노선은 운송수입금이 감소하지 않고 유지된 것으로 확인되어 코로나 감차 기간동안 반대로 1~2대씩 다시 증차되었던 바 있다. 이후 10월 5일부터 별도의 사유[17]를 기반으로 기존 운행댓수로 복귀, 증감차 변동 없는 정상운행을 실시하고 있다.
- 개통 후 2020년 10월까지는 광주시가 면허를 발급한 아웃광주 노선이었으나, 공공버스 전환으로 성남시가 인면허기관으로 바뀌었다.
5. 시간표
2022년 12월 12일 기준6.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1호선: 송내역
서울 지하철 7호선: 상동역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서현역, 수내역, 정자역, 미금역, 오리역
신분당선: 판교역, 정자역, 미금역
수도권 전철 경강선: 판교역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f0000><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틀:경기도의 공항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14px"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0000> 성남시 | | |
의정부시 | |||
안산시 | | ||
양주시 |
[1] 부천 13, 분당 7, 토요일 12대 운행, 공휴일 10대 운행[편도] [3] 인천에는 9100번, 9200번, 9201번, 9300번이 휴게소에 정차한다.[4] 그래서 밤 10시가 넘은 야간 시간대에 부천 구간에서 승객들이 버스를 탑승하려고 할 때, 차고지행이라고 적힌 버스는 탑승하지 말라고 안내해준다. 이후 분당행으로 써 있는 버스에 탑승하면 된다.[5] 미금역, 오리역에서 102번, 1101번, 8100번, 7007-1번, 39-1번으로 환승.[6] 판교역, 서현역에서 1150번, 1500-2번으로 환승.[7] 하늘휴게소에서 9201번으로 환승.[8] 하늘휴게소에서 9200번으로 환승.[9] 9300번의 경우 분당 방향이라면 그냥 상동역에서 환승하면 된다. 애초에 상동역에서 하늘휴게소까지 노선이 같은데다가 아침 출근시간대라면 부천 구간에서부터 만석이 되므로 무조건 상동역에서 내려서 8106번을 타고 좌석을 잡는 게 최적의 선택이다. 굳이 시흥영업소나 하늘휴게소까지 가서, 특히 아침 출근 시간대라면 이미 만차가 된 차로 환승해 서서 가야 하는 고생을 할 이유가 없다. 반면 인천 방향의 경우 8106번이 부천 구간을 편도로 경유해 정차 정류장이 약간 다르기 때문에, 9300번이 곧 뒤따라 온다면 하늘휴게소나 시흥영업소에서 환승하는 것도 나쁘진 않다.[10] 지하철로 같은 구간을 이용할 경우 1시간 30분이 걸린다. 환승은 덤[11] 판교신도시와 서울공항을 경유하여 1650번보다 소요시간이 훨씬 오래 걸린다.[12] 송내역 일대[13] 상동역 및 소풍터미널 일대[14] 판교역 혹은 이매역 일대가 목적지[15] 경강선 이남의 분당 구간[16] 현재는 성인이 3600원, 청소년이 2500원, 어린이가 1800원.[17] 코로나19로 인한 수요변화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