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 프리미엄 | |
직행좌석 | ||
좌석 | ||
일반 | ||
마을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1가(수원역) | 종점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신흥동(단대오거리역) | ||
종점행 | 첫차 | 04:40 | 기점행 | 첫차 | 05:30 |
막차 | 23:00 | 막차 | 23:50 | ||
평일배차 | 8~13분 | 주말배차 | 12~18분 | ||
운수사명 | 삼경운수 | 인가대수 | 15대 | ||
노선 | 오목천차고지 - 수원역 - 고등동사거리 - 수원여고 - 화서시장 - 장안공원 - 수원종합운동장 - 한일타운 - 수일중학교 - 경기도인재개발원 - 의왕IC - 의왕TG - 봉담과천로 - 학의JC - 청계TG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성남IC - 모란역 - 수진역 - 신흥역 → 단대오거리역 → 세이브존 → 신흥역 → 이후 역순 |
2. 개요
삼경운수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1991년 6월 7일에 태화상운이 공동 배차에서 빠지고 삼성여객 단독 배차로 변경되었다.
- 1994년 11월 29일에 일반좌석버스로 전환되고 2007번으로 번호를 부여받았다.
- 1997년 7월 14일에 삼성여객이 부도나게 되면서 경기고속이 노선을 운행하게 되었다.
- 1998년 9월 1일에 용남고속으로 인수되면서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되었다.
- 2000년 1월 24일에 삼경운수로 인수되었다.
4. 특징
- 수원시와 성남시를 가장 빠르게 이어주는 노선이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이 수원역으로 연장된 후 수원역에서 성남시로 가는 수요는 줄었지만 도시철도를 이용하기 불편한 한일타운 등 북수원 지역에서의 수요가 매우 많고 나아가 정자동, 호매실 등 타지에서 온 승객들이 의왕TG에서 내린 후 2007번으로 갈아타는 수요도 많기 때문에 아직 선호도가 높은 노선이다. 성남 구도심에서 수원권 대학교로 가는 학생들도 이용한다.
- 수원시에서 송파구, 강동구로 이동하는 승객도 많이 볼 수 있다. 1007번은 북수원이 아닌 동수원을 경유하고 판교신도시와 수서역을 경유하여 소요시간이 짧지 않기 때문이다. 2007번을 타고 모란역에서 8호선으로 환승하거나 청계TG에서 1650번으로 환승하는 것이 1007번보다 더 빠르다. 그리고 수원종합운동장 및 남한산성 수요도 많은 편이다.
- 단대오거리역으로 가는 차량은 의왕TG에 정차할 때 다른 노선과 다르게 바닥에 페인트로 버스 표시가 그려진 가장 앞에서만 정차한다. 부스에서 많이 앞으로 나가야 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수원역에서 모란역으로 가려면 2007번 대신 수인·분당선을 이용할 수 있다. 교통이 원활하다면 2007번은 40~45분 가량 소요되고 수인·분당선은 완행 51분, 급행 42분이 소요되어 완행은 버스보다 느리다는 단점이 있지만 급행을 탈 경우는 소요 시간이 비슷하고, 요금이 더 저렴하기 때문에 경쟁력은 강하다. 그리고 수인·분당선은 출퇴근 시간에도 정체가 없지만 2007번은 도로 정체가 심할 경우 모란역에서 경기도인재개발원까지 50분이 소요되기도 한다. 저렴하고 더 빠르게 수인·분당선을 이용하거나 돈을 더 지불하고 2007번을 타고 앉아서 가는 방식으로 이용객들의 패턴이 나뉜다.
- 유니시티 2대를 제외하면 대부분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로 운행한다. 2020년에는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럭셔리도 도입된다. 하지만 자체적으로 출고한 차량보다 용남고속에서 출고하려다 취소한 차량들이 다수를 차지한다.
- 지금은 폐지된 KBS 제2라디오의 '음악이 있는 풍경 이정민입니다'에서 1001호를 운행하는 기사가 프로그램을 틀어준다는 사연이 공개되었다.
- 수인·분당선으로 수요가 분산되면서 과거에 비해 승객이 줄어들었다. 주말에도 10분 간격으로 다니던 노선이 15분이 넘게 벌어질 정도로 수요가 줄어들었다.
- 고속도로 에서 100km/h 이상의 속도로 달리는 노선이다.
4.1.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경기교통DB이고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함.
- 경기도 자료는 연간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매년 3월을 기준으로 작성함.
- 현금 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았고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 확인하길 바람.
평일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2년 | 8,135 | |
2013년 | 7,578 | ▽ 557 |
2014년 | 6,006 | ▽ 1,572 |
2015년 | 5,550 | ▽ 456 |
2016년 | 5,020 | ▽ 530 |
2017년 | 4,455 | ▽ 565 |
2018년 | 4,324 | ▽ 131 |
2019년 | 4,227 | ▽ 97 |
주말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2년 | 5,487 | |
2013년 | 3,511 | ▽ 1,976 |
2014년 | 4,434 | △ 923 |
2015년 | 4,303 | ▽ 131 |
2016년 | 4,286 | ▽ 17 |
2017년 | 3,211 | ▽ 1,075 |
2018년 | 3,249 | △ 38 |
2019년 | 2,593 | ▽ 656 |
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1호선 : 수원역
서울 지하철 8호선 : 모란역, 단대오거리역, 수진역, 신흥역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수원역, 모란역
- 일반 철도역 : 수원역(KTX,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6. 둘러보기
| |||
직행좌석 | 1007 | 1007-1 | 1009 |
2007 | 4000 | 4500 | |
일반시내 | 60 | 700-2 | 720-1 |
720-2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f00> 광주시[미] | 3200[통] |
김포시 | 9008[통] | |
성남시 | ||
수원시 | ||
안산시 | 300[관] | |
파주시[관] | ||
화성시 | ||
기타 | 1303용인 3000광명 3000하남[통] 3300고양 6800평택 G8808부천 | |
[관] 주말 관광노선 / [미] 광주시 미경유 / [통] 서울시를 경유하나 정류장이 없는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