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12-21 23:22:48

경기광주 버스 3200

파일:Semi_protect.svg   로그인 후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8b4513><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공항버스 노선
}}}
[[틀:경기도의 공항버스|
공항
]]ㆍ[[틀:경기도의 시외버스|
시외
]] · [[틀:경기 프리미엄버스|
프리미엄
]]ㆍ[[틀:경기순환버스|
경기순환
]]ㆍ[[틀:경기도의 일반좌석버스|
좌석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직행좌석 면허
<colbgcolor=#8b4513> 군포/수원/안양/의왕
성남
부천/시흥/안산
고양/양주/의정부/파주
용인
여주/이천
안성/오산/평택
화성
과천/광주
구리/남양주
하남
인천공항행 노선 / 김포공항행 노선 / 둘 다 경유하는 노선 / X : GBIS에서 조회되지 않는 노선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aa57><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광주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광주시내 운행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직행좌석
좌석
일반
마을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광주시 미경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광역급행
<colcolor=#fff> 직행좌석
3200[통]
좌석
일반
[통]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파일:KD3200-a.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시간표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광주시 CI_White.svg 광주시 직행좌석버스 320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경기광주 3200 노선도.png
기점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성사동(성사고교) 종점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종점행 첫차 05:00 기점행 첫차 06:30
막차 20:25 막차 22:10
배차간격 20~40분 1일 8회
운수사명 대원고속 인가대수 12대[1]
노선 성사고교 - 원당대림아파트 - 세창짜임아파트 - 신원당마을7단지 - 성사2동행정복지센터 - 고양어울림누리 - 명지병원 - 화정역.덕양구청 - 고양경찰서 - (← 옥빛마을16단지 ←) - 능곡역 - 행신초교 - 서정마을입구 - 권율대로 - 북로JC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신불IC - (← 국제업무단지 ←) - 인천공항T1[2] - 인천공항T2[3]

2. 개요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41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08년 11월 27일에 3300번에서 분리되었다. 당시 구간은 '능곡역 - 고양어울림누리 - 화정1동 - 화정역 - 능곡역 - 인천국제공항'이었다.
  • 2009년 3월 15일에 능곡역을 경유하지 않고 행신초등학교를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 능곡 주민들의 민원으로 2009년 9월 12일에 능곡역과 행신삼거리에 정차하도록 변경되었다.
  • 2010년 1월 30일에 기점이 성사고등학교로 연장됨과 동시에 화정 구간을 왕복 운행한다.
  • 2018년 1월 15일에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로 연장되었다. 이 과정에서 2대가 증차되었고 원당 첫차가 4시 10분에서 4시로, 원당 막차가 21시 30분에서 21시로 조정되었다. 또한 인천공항 막차가 23시에서 23시 10분으로 변경되었다.
  • 2021년 5월 1일부로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하여 운행 중단할 예정이었으나 이용객들의 민원으로 인하여 운행 중단을 철회하고 다시 운행 중이다.[4]

4. 특징

  • 인천국제공항에서 덕양구로 돌아올 때 처음 정차하는 정류장은 서정마을입구지만, 비공식적으로 소만마을(중)에 정차한다.
  • 막차가 끊기면 행신동 중앙로와 화정동의 경우 인천국제공항철도를 타고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 하차한 후 771번을 이용하거나 월드컵경기장 북측에 정차하는 9711번으로 환승하면 된다. 무원마을과 능곡의 경우, 771번을 타고 소만마을에서 내려서 707번으로 환승하면 된다.[5] 원당의 경우 771번을 타고 근처에 내려서 걸어가거나 고양에 진입한 후 적당한 장소에서 택시를 타야 한다. 3200번의 막차가 끊기는 시간이면 디지털미디어시티역 6번 출구가 막히기 때문에 8번 출구로 가야 한다.
  • 인천광역시를 경유하는 유일한 KD 운송그룹 시내버스이다.
  • 고양시 원당이 아닌 인천광역시 원당으로 가려는 사람들이 잘못 타는 경우가 있다. 인천 원당은 같은 승차홈으로 들어오는 308번을 타야 한다.
  • 공항버스임에도 시외버스가 아닌 시내버스로 운행한다. 경기도에서 공항버스를 운행하는 다른 업체들과 달리 원래 3200번을 개통한 명성운수는 시외버스 면허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정면허 버스로 인가를 받은 3300번에서 분리된 3200번도 시내버스 면허이다. 따라서 도색은 잘못되지 않았다. 그러나 교통카드 이용 내역을 조회하면 시내버스가 아닌 공항버스로 기록된다.
  • 전 구간 요금은 현금 9,000원, 카드 8,500원, 상주직원은 5,500원이고, 시내 구간만 이용할 시 직행좌석 기본요금인 현금으로 2,900원을 징수한다.
  • 3300번과 달리 시내 구간 승차도 가능하다.
  • 공항으로 갈 때에는 노선도에 나온 모든 정류소에 정차하지만, 원당으로 돌아올때는 공항에서 탑승한 승객의 목적지만 정차한다.그래서 원당방면 승차는 불가능하다.
  • 주박은 일산영업소에서 하며, 원당에서 운행을 마치면 일산영업소까지 공차회송한다.

4.1. 시간표

시간표 고양시 내 전구간 동일노선인 N7200번 시간표와 같이 기재되어있다.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경기도 휘장.svg 서울특별시내 미운행 경기도 직행좌석버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00><colcolor=#fff>파일:광주시 CI_White.svg<colcolor=#fff><colbgcolor=#f00>광주시[미]
3200[통]
····
파일:김포시 CI_White.svg김포시·
9008[통]
파일:성남시 CI_White.svg성남시····
파일:수원시 CI_White.svg수원시·······
파일:안산시 CI_White.svg안산시·
300[관]
··
파일:파주시 CI_White.svg파주시[관]··
파일:화성시 CI_White.svg화성시···
기타····
[관] 주말 관광노선 / [미] 광주시 미경유 / [통] 서울시를 경유하나 정류장이 없는 경우
}}}}}}}}} ||

파일:인천국제공항공사 영문 로고_상하.svg 인천국제공항 경유 시내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color=#fff> 공항
광역
좌석
간선
공영
직행좌석
직행좌석 3개 노선 모두 별도 요금 징수
}}}}}} ||
인천 · 김포 · 김해 · 제주 · 대구 · 청주 · 무안 · 울산 · 여수 · 포항경주 · 군산 · 원주 · 광주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8b4513><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공항버스 노선
}}}
[[틀:경기도의 공항버스|
공항
]]ㆍ[[틀:경기도의 시외버스|
시외
]] · [[틀:경기 프리미엄버스|
프리미엄
]]ㆍ[[틀:경기순환버스|
경기순환
]]ㆍ[[틀:경기도의 일반좌석버스|
좌석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직행좌석 면허
<colbgcolor=#8b4513> 군포/수원/안양/의왕
성남
부천/시흥/안산
고양/양주/의정부/파주
용인
여주/이천
안성/오산/평택
화성
과천/광주
구리/남양주
하남
인천공항행 노선 / 김포공항행 노선 / 둘 다 경유하는 노선 / X : GBIS에서 조회되지 않는 노선
}}}}}}}}} ||


[1] 실제로는 3대로 운행한다.[2] 하차: 3층/승차: 1층 8A[3] 하차: 3층/승차: 지하1층 42번홈[4] 본래는 N7200번으로 계승시킬려고 하였다.[5] 현재는 707번이 760번으로 변경되어서 막차 시간대가 앞당겨져 다른 방법을 이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