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aa57><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광주시내 운행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 직행좌석 | ||
좌석 | |||
일반 | |||
마을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광주시 미경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광역급행 | ||
<colcolor=#fff> 직행좌석 | 3200[통] | ||
좌석 | |||
일반 | |||
[통]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오산리(오산리종점) | 종점 |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군자역)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6:20 |
막차 | 21:00 | 막차 | 22:20[1] | ||
평일배차 | 1일 8회 | 주말배차 | 1일 4회 | ||
운수사명 | 경기고속 | 인가대수 | 2대[2] | ||
노선 | 오산리차고지 - 능골 - 신현동 - 태재고개 - 장안타운 - 효자촌 - 새마을연수원 - 이매역 - 야탑역 - 성남시청 - 모란역 - 태평역 - 가천대역 - 복정역 - 장지역 - 가락시장역 - 송파역 - 석촌역 - 잠실역 - 광진구청 - 구의사거리 → 어린이대공원역 → 능동사거리(군자역) → 아차산역 → 구의사거리 → 이후 역순 |
2. 개요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오산리에서 군자역을 운행하는 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2000년대 초반 일반시내버스로 전환되었다.
- 2004년 12월 30일에 군자역을 경유하여 어린이대공원까지 연장되었다.
4. 특징
- 노선 선형이 아주 좋다. 특히 어린이대공원역/아차산역을 지나 분당 서현역에 이르기까지 단 한 번도 좌·우회전 없이 그대로 직진한다. 물론 그 이후의 구간에서도 심하게 굴곡진 곳이 없어 장거리 수요도 적지 않다.
- 게다가 신현리 - 분당신도시 - 모란, 성남 - 잠실역, 서울시내 이동수요 등 구간수요도 아주 많다. 야탑역 이후 9403번과 이동경로가 별 차이가 없어[4] 분당신도시 북부에서 잠실역으로 갈 때 요금이 저렴한 이 노선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모란역,야탑역에서 율동공원으로 갈때 서현역,수내역과 장안타운을 거쳐가는 17번과 다르게 연수원입구, 서현중학교를 거쳐 곧바로 율동공원으로 가기 때문에 17번보다는 이 노선을 타이밍 맞춰 타보자. 17-1번도 모란역,야탑역-율동공원 구간은 이 노선과 같은 코스로 운행하지만 배차간격이...
- 2020년 이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배차간격이 점점 길어지더니, 2021년 12월부터는 아예 평일 8회, 주말 4회로 농어촌버스 수준의 운행횟수를 자랑하게 되었다.[6] 이런 와중에도 노선이 유지되는 이유는 KD 운송그룹 윗선에서 잠실대교를 건너가는 유일한 경기도 일반시내버스라는 이유로 단축이나 폐선은 극구로 막고 있다는 말이 있다. 만약 서현중학교 이북 구간에서 20분이 넘도록 안 오면 그냥 바로 서울버스나 지하철 혹은 다른 서울행 경기도 노선을 타자. 이매역, 야탑역~복정역, 잠실역까지는 수인분당선, 8호선, 9403번과 완벽히 겹치기 때문에 3216번 등을 타면 알아서 군자역 회차 구간으로 이동하니 복정역 이후 구간에서 20분 내로 오는 경우에는 그냥 이 노선을 타고 20분이 넘어가면 바로 303번, 3216번 등을 타자.[7]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4.1. 시간표
경기광주 버스 119번 운행시간표 2021년 12월 22일 기준 출처 | ||
횟수 | 오산리 기준 | |
평일 | 주말 | |
1 | 05:00 | 05:00 |
2 | 06:50 | 10:30 |
3 | 09:10 | 16:00 |
4 | 11:30 | 21:00 |
5 | 13:50 | |
6 | 16:10 | |
7 | 18:35 | |
8 | 21:00 |
5. 연계 철도역
서울 지하철 2호선: 구의역[8], 잠실역
수도권 전철 3호선: 가락시장역
수도권 전철 5호선: 군자역, 아차산역
서울 지하철 7호선: 군자역, 어린이대공원역
서울 지하철 8호선: 잠실역, 석촌역, 송파역, 가락시장역, 문정역, 장지역, 복정역, 모란역
서울 지하철 9호선: 석촌역
수도권 전철 경강선: 이매역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복정역, 가천대역, 태평역, 모란역, 야탑역, 이매역
[1] 교통상황이나 기상상황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2] 코로나 19 이전 인가대수는 15대. 현재는 코로나 19 감차로 평일 2대, 토,일요일 1대 운행.[3] KD 운송그룹에서 운행하는 11X번대 노선은 거의 다 좌석버스였다. 111번, 114번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4] 원래는 9403번이 차병원 경유였으나 야탑역 경유로 변경[5] 그나마 2009년 7월부터 2011년 1월까진 2225번도 있어 2225번이 운행하는 동안은 유일하지 않다가 2225번 폐선 이후 다시 유일해졌다.[6] 사실상 폐선에 가까워 잔거랑 비슷하다고 봐야 할듯.[7] 303번은 배차가 매우 짧지만, 서울어린이대공원 정문 쪽은 구의동 등지에서 환승해야 한다.[8] 광진구청 정류장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