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09 12:33:16

경기광주 버스 500-2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aa57><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광주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광주시내 운행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직행좌석
좌석
일반
마을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광주시 미경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광역급행
<colcolor=#fff> 직행좌석
3200[통]
좌석
일반
[통]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파일:500-2_1350.png

1. 노선 정보
1.1. 심야노선
2. 개요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광주시 CI_White.svg 광주시 직행좌석버스 500-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경기광주 500-2 노선도.png
기점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신촌리(동원대학교) 종점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삼성역)
종점행 첫차 04:42 기점행 첫차 05:55
막차 22:25 막차 23:45
평일배차 20~30분 주말배차 30~45분
운수사명 경기고속 인가대수 13대
노선 동원대학교 - 곤지암터미널 - 도자박물관 - 초월역 - 초월읍사무소 - 쌍령동 - 장지동 - 삼동역육교 - 갈마터널 - 갈현동 - 모란역 - 성남수정경찰서 - 가천대학교 - 동서울대학교 - 복정역 - 세곡동사거리 - 래미안포레아파트 - 수서역 - 수서IC - 학여울역 - 삼성역 - 무역센터 - 이후 역순

1.1. 심야노선

파일:광주시 CI_White.svg 광주시 직행좌석버스 500-2N번
기점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신촌리(동원대학교) 종점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삼성역)
종점행 첫차 22:50 기점행 첫차 00:20
막차 23:25 막차 01:00
평일배차 1일 2회 주말배차 미운행[1]
운수사명 경기고속 인가대수 -[2]
노선 500-2번과 동일

2. 개요

경기고속에서 운행 중인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동원대학교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을 잇는다. 왕복 운행거리는 약 89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본래 경남여객에서 일반좌석버스로 개통한 노선이었으나 1998년경에 대원고속으로 이관되었으며, 1999년 3월부터 직행좌석으로 운행을 하였다.
  • 2022년 8월 8일부터 경기도의 광역버스 심야 운행 확대 정책으로 인해 평일 한정 심야 운행을 한다. 이 때 노선은 낮 시간대와 동일하나, 번호는 500-2N번으로 운행한다.

4. 특징

  • 한때 서울시내버스의 정류장 의무정차가 엄격하던 시절, 이 노선은 헌릉로 구간을 의무정차가 없이 거의 무정차로 달리는데다 정체가 심한 염곡사거리를 지하차도로 통과하여 성남-강남간을 서울면허 간선버스들에 비해 훨씬 빠르게 다니는 메리트가 있었으나, 이후 서울시내버스 의무정차가 예전보다 느슨해진데다 KD 운송그룹 노선들의 운행속도가 점차 느려짐에 따라 그렇지 못하게 되었으며 이제는 아예 삼성역으로 노선이 변경됨으로서 옛날 얘기가 되고 말았다.
  • 형제 노선인 500-1번과는 서울 구간을 제외하면 완전히 중복된다. 특히 양 노선 모두 모란역으로 가는 수요가 아주 많다. 500-1번과 중복되는 구간에서는 혼동할 여지가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삼성동을 가야 할 사람이 잘못해서 이 노선이 아닌 500-1번을 탔다면 잠실역까지 가서 2호선을 타면 삼성역으로 올 수 있다.

4.1.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경기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경기도 자료는 연간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매년 3월을 기준으로 작성했다.
  • 현금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는 게 좋다.
평일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8,463
2015년 8,443 ▽ 20
2016년 7,833 ▽ 610
2017년 4,015 ▽ 3,818
2018년 3,472 ▽ 543
주말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6,073
2015년 6,195 △ 122
2016년 6,308 △ 113
2017년 3,324 ▽ 2,984
2018년 3,087 ▽ 237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성남시 CI.svg 성남 - 파일:광주시 CI.svg광주간 버스
직행좌석 500-1 500-2N 1005 1117
1150 1151 1303 1500-2
3100
일반시내 3-1 9 17 17-1
31-2 31-3 32 32-1
52 60 119 300
320 520 521 522
마을 3-3 109-1

파일:경기도 휘장.svg 고속(화)도로 미경유 경기도 직행좌석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00>파일:가평군 CI_White.svg<colcolor=#fff><colbgcolor=#f00>가평군··
파일:고양시 CI_White.svg 고양시
1000[2]
···
파일:광주시 CI_White.svg 광주시 ·
파일:김포시 CI_White.svg 김포시 ·
파일:수원시 CI_White.svg 수원시 ···
파일:안산시 CI_White.svg 안산시 ·
300[주]
····
파일:용인시 CI_White.svg 용인시 ··
파일:파주시 CI_White.svg 파주시
7500[주]
·
7700[주]
·
7701[주]
···
기타··
[2] 2층버스 운행 노선 / [주] 주말에만 운행, 2층버스 운행 노선
이 틀에 기재된 노선은 입석금지 제도 적용을 받지 않아 합법적으로 입석 승차가 가능하나, 업체 재량으로 입석 승차가 불가능할 수 있음.
}}}}}}}}} ||



[1] 토→일요일로 넘어가는 밤과 일→월요일로 넘어가는 밤에는 운행하지 않는다.[2] 본선 차량으로 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