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
좌석 | [[남양주 버스 330-1, 330-2, 330-3| 330-1 330-2 330-3 ]] | |
일반 | ||
마을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1. 노선 정보
기점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차산리(차산리) | 종점 | 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잠실광역환승센터) | ||
종점 행 | 첫차 | 05:00 | 기점 행 | 첫차 | 06:00 |
막차 | 22:30 | 막차 | 23:30 | ||
평일배차 | 25~30분 | 주말배차 | 20~30분 | ||
운수사명 | 대원운수 | 인가대수 | 8대 | ||
노선 | 차산리 - 창현초교 - 화도읍사무소 - 묵현교차로 - 천마산휴게소 - 경성아파트 - 효성해링턴플레이스.구룡터 - 평내호평역 - 평내동주민센터 - 남양주시청1청사 - 금곡동구종점 - 진안사거리 - 남양주시청2청사 - 도농역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구리영업소 - 강변북로 - 잠실광역환승센터 | ||||
| |||||
기점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차산리(차산리) | 종점 | 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잠실광역환승센터) | ||
종점 행 | 첫차 | 06:30 | 기점 행 | 첫차 | 07:50 |
막차 | 07:00 | 막차 | 08:30 | ||
평일배차 | 30분 | 주말배차 | 미운행 | ||
운수사명 | 대원운수 | 인가대수 | -[1] | ||
노선 | 차산리 - 창현초교 - 화도읍사무소 - 묵현교차로 - 천마산휴게소 - 경성아파트 - 효성해링턴플레이스.구룡터 - 평내호평역 - 평내동주민센터 - 남양주시청1청사 - 금곡동구종점 - (→ 금곡동주민센터 → 금곡예비군훈련장 →/← 진안사거리 ←) - 남양주시청2청사 - 도농역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구리영업소 - 강변북로 - 잠실광역환승센터 |
2. 개요
대원운수에서 운행 중인 직행좌석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두 노선 모두 70.0km. (1200번 전체 정류소 목록), (1200-1번 전체 정류소 목록)3. 역사
- 2009년 6월 20일에 9202번을 폐선하고 신설되었다. 관련 기사 단 9202번 시절과 다른 점이 좀 있는데, 창현지구 구간이 창현중앙로 경유로 직선화되고, 마석지구를 추가로 경유하며, 대신 기존 심야운행이 폐지됐다.
- 2009년 7월 16일 마석지구와 창현지구에서 서울춘천고속도로를 거쳐 가는 간선급행버스 8002번[2]의 개통으로 승객들이 조금 줄어들었는데 거기에다가 간선급행(8002)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증차할 때 이 노선에서도 차출되어 계속 수요가 감소하고 있는 상황.
- 2016년 1월 11일부터 잠실역 방면으로 운행시 금곡동훈련장(GS아파트, 신성아파트)를 경유하는 1200-1번 출근형버스가 운행된다. 운행시간은 차산리 기준 06:30, 07:00로 2회 운행된다.
- 2016년 12월부터 시범운영 개시, 2017년 1월부터 정식운영 개시 예정인 잠실광역환승센터에 들어가는 노선에서 제외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들어가는 대상 노선은 경기도에서 출발해서 잠실역에서 회차하는 노선중 강남역으로 가는 형제노선이 없는 노선인데, 이 노선은 강남역으로 가는 형제노선이 없음에도 제외되었다. 이를 두고 수서역 연장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예상이 조심스레 제기되고 있다.
- 2017년 6월 5일부터 잠실역 회차 방식과 승하차 정류소가 완전히 변경된다. 1번.11번 출구 승하차와 장미아파트 루프회차가 사라지고, 하차는 성남방향 중앙차로정류소, 승차는 7번출구(맥도날드, 교보문고 앞)으로 나뉘어지며 1670번과 똑같이 회차한다.
- 기존 잠실역 7번출구 정류장의 혼잡 완화를 위해 2019년 9월 16일에 잠실역 승차 위치가 잠실광역환승센터 GATE 4로 변경되었다. 관련 기사
- 2021년 8월 1일 경기도 공공버스로 편입되었다.
4. 특징
- 잠실역 광역환승센터로 출퇴근시간대에 가보면 이 노선을 비롯한 구리/남양주 광역버스의 무서움을 알 수 있다. 특히 잠실에서 도농, 금곡, 평내, 호평 간 구간수요가 대부분이다.
- 1200번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도농, 금곡, 평내, 호평구간 이용자들이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의 구리요금소 정류장에서 8109번(분당, 일산), 8409번(의정부, 수원)으로 환승가능한 유일한 버스라는 점에서 중요성이 있다. 이 두 노선을 이용하지 않고 대중교통으로 경기남부(분당, 수원)나 경기북부(일산, 의정부)로 이동하고자 한다면 서울까지 가서 환승해야 하는 불편함과 시간소요가 상당히 늘어날 수 있다. 또한, 평일낮시간에는 차산리에서 구리영업소까지 50~60분, 잠실역 까지는 70~79분 소요되며 막히면 80분 이상 걸릴 때도 있다.
5. 연계 철도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잠실역
서울 지하철 8호선: 잠실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도농역
수도권 전철 경춘선: 평내호평역
- 일반 철도역: 평내호평역(ITX-청춘)
6.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광역급행 | |
<colcolor=#fff> 직행좌석 | ||
일반시내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a7be38><colcolor=#fff> 남양주시 | |
잠실역 | 1000-1평일 1200-1평일 | |
청량리역 | ||
강변역 | ||
기타 | 1-4하남시 10-5당고개역 65-1석계역 1100강남역 |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프리미엄 | |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
일반시내 | ||
일반 취소선은 미개통 노선이며 검은 취소선은 운행중단된 노선이다. |
| ||
<colbgcolor=#f00><colcolor=#fff> 2권역 | <colbgcolor=#a00><colcolor=#fff> 남양주 | |
3권역 | 하남 | |
4권역 | 용인 | |
성남 | ||
7권역 | 김포 | |
파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