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6fb711><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남양주시 | }}}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
좌석 | [[남양주 버스 330번대| 330-1-2,-3 ]] | ||
일반 | |||
마을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
1. 노선 정보
| |||||
기점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진벌리(진벌리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현대코아) | ||
종점행 | 첫차 | 04:27 | 기점행 | 첫차 | 05:40 |
막차 | 23:50 | 막차 | 01:05 | ||
평일배차 | 10~15분 | 주말배차 | 20~40분 | ||
운수사명 | 경기운수 | 인가대수 | 22대[1] | ||
노선 | 진벌리차고지 - 경복대학 - 진접역4,5번출구.엠타워.단우타워 - 양지아파트 - 오남역.서일대사회교육원.양지리마을회관 - 오남읍사무소 - 진주아파트 - 금호아파트 - 진건고등학교 - 사릉역 - 퇴계원역 - 동구릉 - 교문사거리 - 망우역 - 상봉역 - 중랑역 - 삼육서울병원(회기역) - (청량리한신아파트 → 홍릉사거리 → 현대코아 → 청량리미주상가(청량리역)) - 삼육서울병원(회기역) → 이후 역순 |
기점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진벌리(진벌리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현대코아) | ||
종점행 | 첫차 | 04:27 | 기점행 | 첫차 | 05:40 |
막차 | - | 막차 | - | ||
평일배차 | 1일 1회 | 주말배차 | 1일 1회 | ||
운수사명 | 경기운수 (진벌리영업소) | 인가대수 | -[2] | ||
노선 | 진벌리차고지 - 경복대학교 - (진접역6번출구.삼성프라자.지안빌딩 - 진접고 - 연평리입구.중포마을 - 대대울 - 오남체육공원 - 장자말) - 금호아파트 이후 202번과 동일 |
2. 개요
경기운수에서 운행하는 일반형버스 노선. 9번과 함께 경기운수의 양대 주력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약 63km이다.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2번(사릉~청량리)의 좌석버전으로 개통하였다. 초창기에는 사릉 출발이었으나 이후 양지리로 연장되었다.
- 2004년 10월 15일부터 일반버스로 전환되었고,[3] 통합요금제 시행 이후에도 일반으로 운행하고 있다.
- 2010년 2월 8일 진접지구 입주에 따른 교통대책의 일환으로 양지차고지-삼금아파트-진접초교-휴먼시아.부영.금강-서일대사회교육원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 2012년 8월 27일 양지리차고지의 계약이 만료에 따른 차고지 이전으로 진벌리차고지-경복대-엠타워사거리-삼금아파트-양지아파트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 청량리행 노선의 경우 원래는 떡전교사거리 정류장을 경유하였지만 어느새 다른 현대코아행과 같이 시조사 정류장을 경유하게 되었다.
- 2021년 8~9월쯤에 65번, 165번, 166-1번과 함께 망우리공원 정류소.망우동고개 정류소에 추가 정차한다. 때문에 청량리행은 동부제일병원 중앙차로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는다. 아마도 혼잡도를 줄이려는 목적인듯.
4. 특징
- 오남읍의 발이였고, 엄청난 인기 수준은 아니었지만 오남읍 자체가 서울시내로 가려면 버스에 올인을 해야 하는 동네여서 좌석버스가 전부터 투입되었다. 배탈고개쪽에서도 이 노선이 워낙 자주 오다보니 53번이 경쟁노선으로 신설되었는데도 아무런 힘도 쓰지못하고 폐선되었다.
- 2013년 1월부터 같은 번호 파란떡칠와의 중복구간에서 버스도착 알리미는 이 버스를 '202G'라고 표기하고, '이천이십'이라고 읽었다. 시기미상 '202경기'로 표기하고 읽는다.
- 운행회사는 명진운수 → 세진버스 → 남양주교통 → 유성운수 → 경기운수 순으로 변경되었다. 사명변경이 계속 이어지면서 생긴 일.
- 04:27분경 출발하는 첫차의 경우 청량리 방면에 한해 오남읍 내부도로를 경유하지 않고 오남우회도로를 경유하는 차량이 운행중이다.[4]
- 저녁시간만 되면 9번과 같이 수요가 폭발한다. 현대코아부터 채워오는데 그게 배탈고개까지 지속된다. 거의다 빠지고 또 사릉에서 경춘선하고 시간이 맞으면 거기서 또 꽉채운다. 예전엔 52번, 165-3번[5]이 있어서 덜하긴 했지만 지금은 배탈고개, 오남, 진건 가는게 이 노선 밖에 없다. 165-3번은 같은 사릉행 노선이지만, 금곡동예비군훈련장을 경유하는 관계로 돌아가기때문에 보다 빠르게 남양주 북부로 꽂아주는 202번이 더 수요는 좋았다. 이후 165-3번은 오남우회도로 경유로 바뀌며 폐선의 길을 걷는다.
- 거리비례제 적용 노선이므로 현금 승차 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 대부분 차량들은 LED 방식 BLU이 장착 되었다[6]
- 9번과 함께 경기운수의 대표 노선이다.
4.1. 서울 202번으로 잘못 탔을 때의 대처법
- 해당 정보는 중랑역에서 남양주 방면 탑승시 기준. 서울(파란 버스) 202번은 중랑역 정류소를 지난 뒤 좌회전하는 반면, 남양주(민트색 버스) 202번은 중랑역 정류소를 지난 뒤 직진한다.
- 중화동한신아파트 ~ 묵동구길 구간 정류소에서 하차했을 때
- 그냥 바로 되돌아가는 게 답이다. 만약 태릉사거리를 지나지 않았다면 충분히 다시 중랑역까지 되돌아갈 수 있다. 202번 말고도 중랑역으로 가는 버스는 105번, 1224번, 1227번이 있다. 다만 105번의 경우 먹골역(07425) 정류소부터 이용이 가능하니 참고.
- 태릉사거리 ~ 삼육대 구간을 지나갈 때
- 화랑대역1번출구(11118, 79035) 정류소
- 남양주 65-1번을 같은 장소에서 바로 탑승이 가능하다. 탑승 후 건영.성원아파트(22073) 정류소 하차 후 딸기원 쪽으로 갈 경우에는 바로 경기 202번으로 환승하면 되고 퇴계원 쪽으로 갈 경우에는 횡단보도를 건너가서 구리문화원.원일가대라곡아파트(22079) 정류소에서 환승하면 된다. 다만 65-1번의 배차간격이 좋지 않으니 버스가 올 때 이용하면 된다. 안 오면 그냥 삼육대까지 가는 게 더 낫다.
- 삼육대앞(11154) 정류소
- 1156번으로 환승해서 퇴계원극동아파트.세란병원.엘병원(23061, 42122) 정류소 하차 후 퇴계원사거리에서 조금 걸어가서 힐스테이트아파트(23066), 힐스테이트아파트(23065) 정류소를 목적지에 따라 방향별로 이용하면 된다.
- 별내신도시까지 갔을 때
- 미리내마을4-4단지.쌍용예가(49419, 42418) 정류소 하차 후 73번, 땡큐50번, 80번 환승
- 73번, 80번의 경우는 퇴계원극동아파트.세란병원.엘병원(23062, 42114) 정류소 하차 후 힐스테이트아파트(23066), 힐스테이트아파트(23065) 정류소를 목적지에 따라 방향별로 이용
- 땡큐50번의 경우는 퇴계원다리(22102) 정류소 하차 후 목적지에 따라 방향별로 이용
- 별내동주민센터앞.쌍용예가정문(49442, 42416) 정류소 하차 후 횡단보도를 건너가 땡큐20번 이용. 이 노선은 202번이 일부 경유하는 진건읍도 다닌다.
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1호선: 청량리역, 회기역
수도권 전철 4호선: 진접역, 오남역
서울 지하철 7호선: 상봉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청량리역, 회기역, 중랑역, 상봉역, 망우역
수도권 전철 경춘선: 청량리역, 회기역, 중랑역, 상봉역, 망우역, 퇴계원역, 사릉역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청량리역
- 일반 철도역: 사릉역(ITX-청춘), 퇴계원역(ITX-청춘), 상봉역(KTX, ITX-청춘), 청량리역(KTX, ITX-새마을, ITX-청춘, 무궁화호, 정선아리랑열차)
6.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a7be38><colcolor=#fff> 강변역 | |
사릉역 | ||
당고개역 | ||
잠실역 | 2000-1출근 | |
진접역 셔틀 | ||
기타 노선 | 21의정부 73석계역 80별내별가람역 202청량리 |
[1] 실제로는 평일 16대, 주말 6대 운행[2] 202번 차량으로 운행.[3] 당시에는 현금 기준 1500원을 받았으며 청량리로 가는 데 있어서는 7-5번이 더 빨랐으나 이쪽이 배차간격이 더 좋은 편이라 707번처럼 비싸도 이 노선으로 다니며 구리시 구간도 7-8번(현 88번)보다 이용률이 높았다.[4] 주곡2교 → 진접역6번출구.삼성프라자.지안빌딩 → 신영지웰.원일플로라아파트 → 반도유보라아파트 → 이후 금호아파트까지 91번과 동일. 사실 이것은 과거 202-1번의 운행구간을 대체하는 용도.[5] 배탈고개를 들르지않고 쭉 내려가서 롯데백화점으로 간다.[6] 과거 세진버스 시절부터 달려 있던 것이며, 현재까지 잘 사용이 되고 있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이것이 과거 세진버스 시절의 흔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202번 외에는 9번이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