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6fb711><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남양주시 | }}}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
좌석 | [[남양주 버스 330번대| 330-1-2,-3 ]] | ||
일반 | |||
마을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남양주시 호평동(호평동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현대코아) | ||
종점행 | 첫차 | 04:40 | 기점행 | 첫차 | 05:35 |
막차 | 22:30 | 막차 | 23:50 | ||
평일배차 | 5~7분 | 주말배차 | 10~15분 | ||
운수사명 | 대원운수 | 인가대수 | 32대[1] | ||
노선 | 호평동영업소 - 초석빌리지 - 천마산입구종점.수진사 - 라인.호평파라곤아파트 - 호평상업지구.이마트 - 평내호평역 - 평내동아파트단지 - 남양주시청 - 금곡동구종점.금곡초교 - 진안사거리 - 남양주제2청사.남양주남부경찰서 - 도농역 - 롯데백화점(구리역) - 교문사거리 - 망우역 - 상봉역 - 중랑역 - 삼육서울병원(회기역) - 홍릉사거리 - 현대코아 - 청량리역(미주상가) - 이후 역순 | ||||
*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바람. |
| |||||
기점 | 경기도 남양주시 호평동(호평동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현대코아) | ||
종점행 | 첫차 | 04:30 | 기점행 | 첫차 | 05:35 |
막차 | - | 막차 | - | ||
배차간격 | 1회 | ||||
운수사명 | 대원운수 (호평동영업소) | 인가대수 | -[2] | ||
노선 | 호평동영업소 - (직통) - 호평상업지구.이마트 - 평내호평역 - 평내동주민센터 - 남양주시청 - 이후 165번과 동일하게 운행 |
2. 개요
대원운수에서 운행하는 남양주 호평지구에서 금곡,구리,상봉역 등을 경유하여 청량리까지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이다. 8002번, 95번과 함께 남양주 내 버스 이용객 TOP3를 차지하는 노선 중 하나다. 전체 정류소 목록 왕복 운행거리는 75.5km다.3. 역사
- 이 노선의 모태는 서울승합에서 운행하던 27번 입석버스로 금곡리~홍릉(청량리)을 운행하던 노선이다.
- 이후 1970년에 번호 개편이 이루어지며 165번을 부여받고 1974년에는 금성교통[3]에서 운행했었다. 노선개통당시 금곡리[4] ~ 을지로5가를 운행했었다. 노선번호는 같지만 금곡 출발이 아닌 구리시 토평동 출발 지선노선[5]도 함께 운행했었다. 1985년에 을지로5가 회차를 왕십리로 단축하기도 했고, 1989년에 경동시장 회차로 단축되었다. 이후 금성교통의 운영이 어려워지자 토평동 출발 지선을 임의로 경동시장까지 단축운행을 하여 신문에 보도되기도 했다. 당시 기사 토평동 지선이었던 '165-토' 노선은 나중에 165-1번[6]으로 노선번호를 변경하여 운행했다.
- 165번 계열 노선은 본선인 금곡 - 청량리 외에도 상술했던 토평동 지선인 165-1번 토평동 - 청량리[7] 노선과 호평리 지선인 165-2번 호평리 - 청량리[8], 그리고 용정리 지선인 165-3번 사릉 - 청량리[9]가 존재했었다.
- 2002년 금곡동 종점의 폐쇄로 인해 금곡동 종점에서 현 호평동으로 노선이 연장되었다. 그 전에는 지선노선격인 165-2번이 호평, 평내동을 커버하고 있었다가 165번의 호평동 출발로 인해 165번과 165-2번이 서울시 개편 직전까지 100% 중복 노선이 되었다.
- 2004년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개편으로 인해 지선 2231번으로 개편됐다가 면목동으로 단축되었고, 이를 대체하기 위해 경기면허 165번으로 신설되었다.
- 2005년, 평내/호평지구 개발로 인한 교통대책으로 천마산입구까지 운행하는 165-1번이 165번의 지선으로 신설되었다.
- 2011년 7월, 천마산 입구 종점이 폐쇄됨으로써 호평동차고지로 연장되었다. 이로서 천마산입구를 경유하면서 중복구간이 생겼다. 또한 옛 165-2번을 계승하여 호평동~청량리 구간을 운행하던 2227번[10]이 서울시계 내로 단축되면서 별도로 노선증차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 65번, 166-1번, 202번과 함께 망우리공원. 망우동고개 정류소에 추가 정차한다. 때문에 청량리행은 동부제일병원 정류소에 정차하지 않는다.
4. 특징
- 8002번과 함께 대원운수의 주력/간판 노선으로, 2020년 8월 기준 남양주 시내버스 일평균 승차량 1위다. 덕분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 속에서 대부분의 시내 노선들이 폭풍감차되는 와중에 가장 나은 배차간격을 보이고 있다.
- 남양주시와 구리시 일대 버스 일반시내노선들 중 95번, 23번 등과 더불어 수요가 가장 많다. 호평동과 평내동은 금곡의 몰락 이후 택지지구 개발을 통해 남양주의 준(準)중심지로 자리잡은 곳으로 남양주시에서 가장 번화한 곳으로 여가, 상업시설이 많이 들어왔지만 산으로 둘러싸인 지리적 여건으로 인해 일정 규모 이상 성장할 수가 없어서[11] 구리시나 서울시에 의존 할 수 밖에 없는 동네이기 때문에 시외로 나가는 수요가 많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경춘선 복선전철이 개통됐으나, 구리시가 아닌 퇴계원을 거쳐 서울로 향하기 때문에 구리시와의 교류가 많은 평내호평은 구리로 나가기 위해서는 여전히 버스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인데다, 서울로 나가기 위해서 165번을 타고 평내호평역이나 도농역에서 갈아타는 수요도 굉장히 많아 여전히 경기도 TOP 30 이내에 들을 정도의 흑자 노선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외에도 호평동에서 구리나 서울을 이어주는 노선은 65번, 30번도 있는데 직행좌석버스들은 경춘선 전철 개통 이후 경쟁에서 밀려 대부분 사라졌으나 시내버스들은 구리연계와 통학 등 구간이동 수요로 살아남아 현재까지 잘 운행중이다.
- 호평동~평내호평역 연계, 평내동, 금곡에서 도농역 및 구리연계 뿐만 아니라 구리시와 상봉, 청량리 간 수요도 굉장히 많다. 경의중앙선이 덕소에서부터 꽉 차서 오는데다가 165번 등이 도농역에서 이미 경중선 환승셔틀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구리기준으로는 너무 혼잡해서 탑승이 쉽지 않은데다가 지연까지 심해 배차간격이 안 좋아 3~4정거장 단거리를 가기 위해선 전철보단 버스를 선호하게 된 영향도 있고, 중랑구에서 구리로 나가는 수요도 많은데다 구리~서울을 꽉 잡고 있던 55번, 55-3번 버스가 개편 이후 전자는 폐선되고, 후자는 201번으로 변경(사실상 55번을 계승하긴 했지만)되어 현재까지 운행하고 있지만 경희대 우회 및 지속적인 감차로 인해 현재 20분을 웃도는 배차간격이라 구리시민들은 경기도 버스의 비싼 요금을 감수하고 배차간격이 좋은 165번을 많이 이용하는 편이다.
- 천마마트.임광그대가 ~ 천마산입구 구간은 상·하행이 중복되므로 이용시에 행선지 표지판을 확인해야 한다.
호평동차고지 방향[12] | 청량리 방향 |
남양주시방면 (차고지) | 청량리방면 |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1호선: 회기역, 청량리역
서울 지하철 7호선: 상봉역
수도권 전철 경춘선: 평내호평역, 망우역, 상봉역, 중랑역, 회기역, 청량리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도농역, 구리역, 망우역, 상봉역, 중랑역, 회기역, 청량리역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청량리역
- 일반 철도역: 상봉역(KTX, ITX-청춘), 청량리역(KTX, ITX-새마을, ITX-청춘, 무궁화호, 정선아리랑열차), 평내호평역 (ITX-청춘)
6.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a7be38><colcolor=#fff> 남양주시 | |
잠실역 | 1000-1평일 1200-1평일 | |
청량리역 | ||
강변역 | ||
기타 | 1-4천호역, 하남미사 10-5당고개역 33-4문호리 65-1석계역 1100잠실, 강남, 신사역 |
[1] 실제로는 평일 21대, 토요일 17대, 공휴일 13대 운행[2] 165번 차량으로 운행[3] 서울승합에서 1974년 분사한 회사이자 현 대원교통의 전신.[4] 현재의 남양주시 금곡동[5] 노선번호는 '165-토'라고 표기[6] 토평동 지선 외에 금곡발 동원훈련장 경유 노선인 165-1번이 별도로 있었으나 폐지되고, 토평동 지선이 이 번호를 계승했다[7] 후에 부흥교통에 매각[8] 개편 후 구 2227번[9] 훈련장 경유 165-1번의 후신이기도 하며 개편 후 서울 2230번 → 2016번 → 폐선 및 2015번에 통합[10] 165번과 다르게 평내지구를 경유하지 않았다.[11] 평내4지구나 서울리조트 부지, 문화촌마을 일대 등 개발중이거나 개발의 손길이 닿지 않는 땅이 정말 얼마 없다.[12] 일부 차량은 초록바탕에 종점방향이라는 팻말을 사용.[13] 10-5번과 같이 호평동차고지 → 평내호평역 → 진주아파트 → 평내농협 → 장내마을 → 돌팍고개로 운행하며 이후 구간은 정규노선과 동일하다.[14] 차량이 돌팍고개를 지나기 전까지는 BIS에 잡히지 않으므로 유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