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
좌석 | [[남양주 버스 330-1, 330-2, 330-3| 330-1 330-2 330-3 ]] | |
일반 | ||
마을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 |
당고개역까지 운행하던 시절 | 현재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 양지리(오남역) | 종점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별내별가람역.별가람마을.단독3블록) | ||
종점행 | 첫차 | 05:20 | 기점행 | 첫차 | 06:25 |
막차 | 23:00 | 막차 | 00:00 | ||
평일배차 | 10~25분 | 주말배차 | 20~30분 | ||
운수사명 | 태산운수 | 인가대수 | 15대(예비 1대)[1] | ||
노선 | 오남역 - 휴먼시아16.17단지 - 반도유보라아파트 - 남양휴튼아파트.진접우체국 - 연평대교.이마트 - 밤섬들 - 동촌마을 - 임송 - 뱅이삼거리 - 퇴계원 - (퇴계원터널 경유) - 별내농협 - 별내상업지구 - 별내역(환승센터) - 메가볼시티 - 신일아파트 - 화접초교. 별내고 - 별내별가람역.별가람마을.단독3블록 |
2. 개요
태산운수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5km다.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2010년에 78번으로 신설되었다. (운행구간 : 퇴계원 - 퇴계원사거리 - 구.검문소 - 삼일공사(現 대원.모아.유승A 정류장) - 삼거리농원 - 덕릉교장 - 당고개역)
- 신설 당시에는 별내신도시가 개발되지 않은 상태였고, 당시 퇴계원과 당고개를 잇는 도로(송산로.순화궁로.덕릉로)가 사정이 열악했으며,[2][3] 이 시절만 해도 33-1번 마을버스와 경쟁구도였던 10-5번이 더 짧은 배차간격으로 운행했기 때문에 결국 2010년 6월에 폐선되었다.[4]
- 2012년 1월에 다시 재개통되었다. 이 때는 노선이 변경되었는데, 직선에 가깝던 노선이 별내신도시를 빙 돌아가게 변경되었다.('구.검문소 - 평양골 - 삼일공사 - 덕송삼거리 - 구.별내면사무소 - 부대앞' → '구.검문소 - 별내농협 - 별내동주민센터 - 쌍용A - 신일A - 화접초교. 별내고 - 별내스위첸A - 별가람중 - 현대아이파크A - 별가람마을 - 부대앞') 재개통 초기에도 배차간격 문제로 인해 인지도가 적었으나[5], 입주가 진행됨에 따라 수요도 어느 정도 생기게 되었으며 지속적으로 증차한 덕분에 배차간격도 꽤 개선되었다.
- 2013년 3월 4일에 양지리차고지로 연장되었다.
- 이후 18대까지 늘어났으나 82번이 82A와 B로 분리되면서 2대가 감차되었다가 2대가 늘어나 원상복구.
- 퇴계원터널이 개통되면서 2015년 10월 11일에 검문소사거리 대신 퇴계원터널 경유로 바뀌었다. 남양주시 공고 제 2015 - 1218호
- 운행이 중단되었던 83번이 다시 운행을 재개하면서 다시 2대가 감차되었다.
- 2017년 5월 13일에 10번, 33번, 33-1번과 함께 덕릉고개 대신 덕릉터널 경유로 변경되었다. 남양주시 공고 제 2017 - 738호
- 2020년 1월에 땡큐20번 증차로 1대 감차되었다.
- 2022년 2월 14일에 발표된 진접선 버스 노선 개편(안)에 따르면, 2022년 3월 19일 진접선 개통에 따라 별내별가람역까지 운행 구간이 축소된다. 또한, 기존에 해밀초등학교 앞 사거리에서 우회전하던 것이 진접역 경유로 인해 역 앞에서 우회전한 뒤, 진접초등학교를 거쳐 가는 것으로 노선이 변경된다.
- 2022년 4월 27일 첫차부터 오남역을 기점으로 하고 진접역을 미경유한다. 따라서 진접지구 구간은 진접역 경유 이전으로 환원되며, 양지차고지도 운행 노선 상 경유하지 않게 된다.
4. 특징
- 양지리로 연장되고 나서 얼마 되지 않아 진접지구에서도 정착이 됐고, 원래 진접에서 당고개까지 가던 10번은 꽤 타격을 입게 됐다.[6] 80번도 퇴계원과 별내를 지나가다보니 시간이 오래 걸리기는 하지만 오남과 사릉을 지나가는 10번보다는 약간 빠른 편이고, 진접 - 퇴계원 구간 등 부가적인 구간 수요도 확보하게 됐다.
- 배차간격이 고무줄이다. 가끔씩 앞차와 5분, 뒷차와 20분 간격일 때도 있을 정도.
- 당고개역까지 운행하던 시절에는 당고개역에서 승객들을 모두 내리고 상계역 코앞까지 갔다오는 방식으로 회차를 했었다. 당연히 중간에 있는 정류소들은 정차하지 않았다.
- 양지리차고지 가스 충전소 운영중단으로 인해 가스 충전은 내촌영업소에서 충전을 한다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a7be38><colcolor=#fff> 강변역 | |
사릉역 방면 | ||
당고개역 | ||
잠실역 방면 | 2000-1평일,출근 | |
남양주시 | ||
기타 노선 | 21의정부 73석계역 202청량리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373a3c><colbgcolor=#a7be38> 남양주시 | |
당고개역 | ||
잠실역 | ||
태릉입구역 | 202서울역행 | |
태릉 > 석계역 | ||
기타 행선지 | 84갈매역 169청량리역 |
[1] 실제로는 14대만 운행[2] 왕복 2차선이었는데 주변이 공사 투성이라 추월도 불가능했고, 속도도 얼마 내지 못했다.[3] 이 시기에는 덕릉터널이 없었고, 얄짤 없이 덕릉고개 입구부터 퇴계원까지 사실상 왕복 2차로였다.[4] 대신 77번이 평양골로 연장되었다.[5] 당시 2대로 다니던 85번도 30~60분 간격인지라 이 쪽도 만만치 않았다.[6] 10번의 경우는 시내버스이자 거리비례가 적용되기 때문이며, 80번은 같은 거리를 이동해도 기본요금인데다 마을버스라 좀 더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었기 때문.[7] 극동A에서 하차 후 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