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6fb711><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남양주시 | }}}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
좌석 | [[남양주 버스 330번대| 330-1-2,-3 ]] | ||
일반 | |||
마을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진벌리(진벌리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강남역.강남세무서) | ||
종점 행 | 첫차 | 04:55 | 기점 행 | 첫차 | 06:35 |
막차 | 22:55(주말 22:10) | 막차 | 00:45(주말 23:45) | ||
평일배차 | 10~20분 | 주말배차 | 15~25분 | ||
운수사명 | 경기운수 | 인가대수 | 19대 | ||
노선 | 진벌리차고지 - 경복대학교 - 진접역6번출구.삼성프라자.지안빌딩 - 휴먼시아16단지 - 오남역.서일대사회교육원.양지리마을회관 - 오남읍사무소 - 진주아파트 - 한신1차아파트 - 진건고등학교 - 사능한신.현대.세아아파트 - 지용빌라 - (→ 현암싸릿골 →) - 뱅이삼거리 - 퇴계원농협 - 사노리나들목 - 퇴계원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구리요금소 - 토평IC - 강변북로 - 잠실대교 - 잠실역 - 잠실새내역 - 종합운동장역 - 삼성역 - 선릉역 - 역삼역 - 강남역(12번 출구) → 서초푸르지오써밋 → 신논현역.우신빌딩 → 강남역.역삼세무서 → 이후 역순 |
| |||||
기점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진벌리(진벌리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강남역.강남세무서) | ||
종점 행 | 첫차 | 06:22 | 기점 행 | 첫차 | ? |
막차 | 06:47 | 막차 | ? | ||
평일배차 | 1일 2회 | 주말배차 | 미운행 | ||
운수사명 | 경기운수 (진벌리영업소) | 인가대수 | -[1] | ||
노선 | 진벌리차고지 - 경복대학교 - 진접역6번출구.삼성프라자.지안빌딩 - 휴먼시아16단지 - 오남역.서일대사회교육원.양지리마을회관 - 오남읍사무소 - 진주아파트 - 한신1차아파트 - 진건고 - 사능한신.현대.세아아파트 - 지용빌라 - (→ 현암싸릿골 → 금강로 직통 →/← 뱅이삼거리 ← 퇴계원농협 ←) - 사노리나들목 - 퇴계원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구리요금소 - 토평IC - 강변북로 - 잠실대교 - 잠실역 - 종합운동장역 - 삼성역 - 선릉역 - 역삼역 - 강남역(12번 출구) → 서초푸르지오써밋 → 신논현역.우신빌딩 → 강남역.역삼세무서 → 이후 역순 |
===# 폐지된 노선 #===
| |||||
기점 |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 양지리(오남읍사무소) | 종점 | 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잠실광역환승센터) | ||
종점 행 | 첫차 | 07:00 | 기점 행 | 첫차 | ? |
막차 | 07:30 | 막차 | ? | ||
평일배차 | 1일 2회 | 주말배차 | 미운행 | ||
운수사명 | 경기운수 | 인가대수 | -[2] | ||
노선 | 오남읍사무소 → 오남초교 → 어람초교 → 진건고 → 사능한신.현대.세아아파트 → 지용빌라 → 현암싸릿골 → 뱅이삼거리 → 퇴계원농협 → 사노IC → 퇴계원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구리요금소 → 토평IC → 강변북로 → 잠실대교 → 잠실광역환승센터 |
2. 개요
경기운수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000번 92.8km, 2000-1번 95.2km다.2000번, 2000-1번3. 역사
- 2013년 3월 4일에 1115-7번과 통합되었다. 이에 따라 1115-7번 출신차량 6대가 증차되어 배차가 20~30분에서 15~20분으로 단축되었다. 처음 통합되고서는 공동배차로 다녔지만, 1달도 지나지 않아 대원운수가 철수하고 경기운수가 단독운행하게 되었다.
- 2015년 12월 19일에 진벌리에서 광릉내까지 연장되었다. 아무래도 진벌리차고지가 과포화상태라 이를 해소하기 위해, 내촌 영업소의 직행좌석들과 같이 묶어서 광릉내에서 관리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
- 2019년 10월 14일 다시 진벌리로 단축(환원)되었다.
- 2021년 8월 1일 경기도 공공버스로 편입되었다.
- 2022년 12월에 1대가 증차되었다.
4. 특징
- 진접지구를 지나가지만 진접지구에는 8012번이 있어서 그다지 많이 타지는 않고,[4][5] 중간 경유지인 오남읍[6], 진건읍이나 퇴계원읍에서 많이탄다. 특히 1115-7번이 폐선된 이후로는 이 동네에서는 서울가는 유일한 광역버스가 되어[7] 중요성이 높아졌다. 또한 강남까지 한번에 간다는 이점이 있어서 환승저항을 피하려는 이용객들로 인해 진접에서도 이용객이 소수 있다.
- 그 외에 잠실역 정류장 위치 차이로 지상구간에서 승차할 때 이용하기도 한다. 8012번은 지하에서 승객을 받기 때문.
- 출근급행노선을 운행한다. 평일에만 운행하며, 서울로 갈 때는 퇴계원을 들르지 않는 것이 차이점.[8]
- 강남역, 강남역사거리가 회차지점이라서 몇 분간 대기하고 출발한다.
- 남양주 구간은 도로상태가 좋지 못하다. 오남~사릉 구간은 경사가 있는 편이며, 사릉~퇴계원은 길이 좁고 일부는 이면도로이며, 폭이 좁은 왕숙천 뱅이다리를 건넌다. 이 때문에 수요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2층버스를 넣을 수 없다.
- 퇴계원을 경유하기 때문에 고속도로 진입까지 시간이 많이 걸린다. 만약에 100번이 먼저온다면 100번을 타고 2호선을 갈아타는것이 더 빠르다. 그러나 2000번이 먼저 온다면 그냥 타고가자. 시간차이가 몇분정도 밖에 차이나지 않기 때문.
- 만약 23:48분에 강남역.역삼세무서 정류소에서 이 버스를 놓쳤다면 마지노선으로 23:55분에 출발하는 2호선을 타고 잠실역에서 내리면 된다. 00:15분에 2000번이 잠실역을 통과한다.
- 뱅이다리를 건너는 단 둘뿐인 노선버스이다. 다른 하나는 땡큐20번.
- 서울 지하철 8호선 별내선이 개통하면 퇴계원읍민들의 수요가 급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8호선을 타면 시간도 훨씬 절약되고(특히 출퇴근시간) 비용도 훨씬 적게 드는데 한강을 보면서 여유롭게 투어를 즐길 것이 아니라면(...) 굳이 이 버스 탈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주로 별내나 구리에 가서 8호선을 타는 루트를 선택할 것으로 보인다.
- 올림픽대로가 아닌 신호등이 많은 강변북로 평면화 구간을 경유하는 것도 운행 시간을 더 잡아먹는 원인 중 하나다. 차후에 8호선과 경쟁하려면 표정 속도가 개선되어야 하는데 차후에 토평IC가 아니라 강일IC로 진출입하는 식으로 운행 경로를 바꿔야 한다.
4.1. 사건사고
- 2020년 11월 2일, 도난 신고가된 기아 봉고 1톤 탑차를 훔쳐 도주하던 30대가 중앙선을 넘어 달리다 2000번 버스와 충돌해 버스 탑승자 5명이 다치고 탑차를 운전하던 30대 도주자가 사망했다.기사#
5. 연계 철도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잠실역, 잠실새내역, 종합운동장역, 삼성역, 선릉역, 역삼역, 강남역
수도권 전철 4호선: 진접역, 오남역
서울 지하철 8호선: 잠실역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 종합운동장역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선릉역
신분당선: 강남역, 신논현역
6.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광역급행 | |
<colcolor=#fff> 직행좌석 | ||
일반시내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a7be38><colcolor=#fff> 강변역 | |
사릉역 | ||
당고개역 | ||
잠실역 | 2000-1출근 | |
진접역 셔틀 | ||
기타 노선 | 21의정부 73석계역 80별내별가람역 202청량리 |
[1] 2000번 차량으로 운행.[2] 2000번 차량으로 운행.[3] 1115-7번이 출근시간대 한정으로 굴리던 급행노선을 정식 노선으로 승격시킨 것이다. 잠실에서 시종착하는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4] 그도 그럴 것이 이 노선은 진접지구 이후에는 서지 않고 바로 잠실역으로 간다. 소요시간 차이가 큰 편.[5] 그래서 이 노선의 전신격인 1115-7번은 진접지구의 부족한 수요 문제, 그리고 회전율을 높이기 위해 양지리로 단축되었던 시절이 있었다. 물론 차고지를 이전하면서 다시 진벌리로 연장되었고 2000번과 합쳐졌지만.[6] 특히 양지리.[7] 오남, 진건이나 퇴계원 모두 다른 직행좌석노선이 있지만 이 노선들은 강변역 까지만 운행하며 잠실까지 한방에 가지 않는다.[8] 차량 앞에 광역급행(퇴계원 미경유) 행선판을 꽂아둔채 운행하니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