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06 16:35:58

남양주 버스 2000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bordercolor=#6fb711><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남양주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fff> 광역급행
직행좌석
좌석 [[남양주 버스 330번대|
330-1-2,-3
]]
일반
마을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

파일:KD2000-a.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사건사고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남양주시 CI_White.svg 남양주시 직행좌석버스 200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남양주 2000 노선도.png
기점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진벌리(진벌리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강남역.강남세무서)
종점
첫차 04:55 기점
첫차 06:35
막차 22:55(주말 22:10) 막차 00:45(주말 23:45)
평일배차 10~20분 주말배차 15~25분
운수사명 경기운수 인가대수 19대
노선 진벌리차고지 - 경복대학교 - 진접역6번출구.삼성프라자.지안빌딩 - 휴먼시아16단지 - 오남역.서일대사회교육원.양지리마을회관 - 오남읍사무소 - 진주아파트 - 한신1차아파트 - 진건고등학교 - 사능한신.현대.세아아파트 - 지용빌라 - (→ 현암싸릿골 →) - 뱅이삼거리 - 퇴계원농협 - 사노리나들목 - 퇴계원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구리요금소 - 토평IC - 강변북로 - 잠실대교 - 잠실역 - 잠실새내역 - 종합운동장역 - 삼성역 - 선릉역 - 역삼역 - 강남역(12번 출구) → 서초푸르지오써밋 → 신논현역.우신빌딩 → 강남역.역삼세무서 → 이후 역순
파일:남양주시 CI_White.svg 남양주시 직행좌석버스 2000-1번
기점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진벌리(진벌리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강남역.강남세무서)
종점
첫차 06:22 기점
첫차 ?
막차 06:47 막차 ?
평일배차 1일 2회 주말배차 미운행
운수사명 경기운수 (진벌리영업소) 인가대수 -[1]
노선 진벌리차고지 - 경복대학교 - 진접역6번출구.삼성프라자.지안빌딩 - 휴먼시아16단지 - 오남역.서일대사회교육원.양지리마을회관 - 오남읍사무소 - 진주아파트 - 한신1차아파트 - 진건고 - 사능한신.현대.세아아파트 - 지용빌라 - (→ 현암싸릿골 → 금강로 직통 →/← 뱅이삼거리 ← 퇴계원농협 ←) - 사노리나들목 - 퇴계원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구리요금소 - 토평IC - 강변북로 - 잠실대교 - 잠실역 - 종합운동장역 - 삼성역 - 선릉역 - 역삼역 - 강남역(12번 출구) → 서초푸르지오써밋 → 신논현역.우신빌딩 → 강남역.역삼세무서 → 이후 역순

===# 폐지된 노선 #===
파일:남양주시 CI_White.svg 남양주시 직행좌석버스 2000-2번(출근전용)
기점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 양지리(오남읍사무소) 종점 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잠실광역환승센터)
종점
첫차 07:00 기점
첫차 ?
막차 07:30 막차 ?
평일배차 1일 2회 주말배차 미운행
운수사명 경기운수 인가대수 -[2]
노선 오남읍사무소 → 오남초교 → 어람초교 → 진건고 → 사능한신.현대.세아아파트 → 지용빌라 → 현암싸릿골 → 뱅이삼거리 → 퇴계원농협 → 사노IC → 퇴계원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구리요금소토평IC강변북로 → 잠실대교잠실광역환승센터

2. 개요

경기운수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000번 92.8km, 2000-1번 95.2km다.2000번, 2000-1번

3. 역사

  • 2009년 3월 9일에 1100번, 1700번과 함께 신설되었다. 이 노선이 신설되기 전까지 진접지구는 서울행 광역버스가 1115-7번밖에 없었다.
  • 2013년 3월 4일에 1115-7번과 통합되었다. 이에 따라 1115-7번 출신차량 6대가 증차되어 배차가 20~30분에서 15~20분으로 단축되었다. 처음 통합되고서는 공동배차로 다녔지만, 1달도 지나지 않아 대원운수가 철수하고 경기운수가 단독운행하게 되었다.
  • 2014년 광역버스 입석금지로 잠실역까지만 운행하는 계통이 추가되었다. 이는 출, 퇴근 전용으로만 편성된다.[3]
  • 2015년 12월 19일에 진벌리에서 광릉내까지 연장되었다. 아무래도 진벌리차고지가 과포화상태라 이를 해소하기 위해, 내촌 영업소의 직행좌석들과 같이 묶어서 광릉내에서 관리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
  • 2019년 10월 14일 다시 진벌리로 단축(환원)되었다.
  • 2022년 12월에 1대가 증차되었다.

4. 특징

  • 진접지구를 지나가지만 진접지구에는 8012번이 있어서 그다지 많이 타지는 않고,[4][5] 중간 경유지인 오남읍[6], 진건읍이나 퇴계원읍에서 많이탄다. 특히 1115-7번이 폐선된 이후로는 이 동네에서는 서울가는 유일한 광역버스가 되어[7] 중요성이 높아졌다. 또한 강남까지 한번에 간다는 이점이 있어서 환승저항을 피하려는 이용객들로 인해 진접에서도 이용객이 소수 있다.
  • 그 외에 잠실역 정류장 위치 차이로 지상구간에서 승차할 때 이용하기도 한다. 8012번은 지하에서 승객을 받기 때문.
  • 출근급행노선을 운행한다. 평일에만 운행하며, 서울로 갈 때는 퇴계원을 들르지 않는 것이 차이점.[8]
  • 강남역, 강남역사거리가 회차지점이라서 몇 분간 대기하고 출발한다.
  • 남양주 구간은 도로상태가 좋지 못하다. 오남~사릉 구간은 경사가 있는 편이며, 사릉~퇴계원은 길이 좁고 일부는 이면도로이며, 폭이 좁은 왕숙천 뱅이다리를 건넌다. 이 때문에 수요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2층버스를 넣을 수 없다.
  • 퇴계원을 경유하기 때문에 고속도로 진입까지 시간이 많이 걸린다. 만약에 100번이 먼저온다면 100번을 타고 2호선을 갈아타는것이 더 빠르다. 그러나 2000번이 먼저 온다면 그냥 타고가자. 시간차이가 몇분정도 밖에 차이나지 않기 때문.
  • 만약 23:48분에 강남역.역삼세무서 정류소에서 이 버스를 놓쳤다면 마지노선으로 23:55분에 출발하는 2호선을 타고 잠실역에서 내리면 된다. 00:15분에 2000번이 잠실역을 통과한다.
  • 뱅이다리를 건너는 단 둘뿐인 노선버스이다. 다른 하나는 땡큐20번.
  • 서울 지하철 8호선 별내선이 개통하면 퇴계원읍민들의 수요가 급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8호선을 타면 시간도 훨씬 절약되고(특히 출퇴근시간) 비용도 훨씬 적게 드는데 한강을 보면서 여유롭게 투어를 즐길 것이 아니라면(...) 굳이 이 버스 탈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주로 별내나 구리에 가서 8호선을 타는 루트를 선택할 것으로 보인다.
  • 올림픽대로가 아닌 신호등이 많은 강변북로 평면화 구간을 경유하는 것도 운행 시간을 더 잡아먹는 원인 중 하나다. 차후에 8호선과 경쟁하려면 표정 속도가 개선되어야 하는데 차후에 토평IC가 아니라 강일IC로 진출입하는 식으로 운행 경로를 바꿔야 한다.

4.1. 사건사고

  • 2020년 11월 2일, 도난 신고가된 기아 봉고 1톤 탑차를 훔쳐 도주하던 30대가 중앙선을 넘어 달리다 2000번 버스와 충돌해 버스 탑승자 5명이 다치고 탑차를 운전하던 30대 도주자가 사망했다.기사#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newnyj가로.png 남양주시 - 잠실역간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광역급행
<colcolor=#fff> 직행좌석
일반시내
}}}}}}}}} ||

파일:newnyj가로.png 남양주시 진접지구 운행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a7be38><colcolor=#fff> 강변역
사릉역
당고개역
잠실역
2000-1출근
진접역 셔틀
기타 노선
21의정부
73석계역
80별내별가람역
202청량리
}}}}}}}}} ||


[1] 2000번 차량으로 운행.[2] 2000번 차량으로 운행.[3] 1115-7번이 출근시간대 한정으로 굴리던 급행노선을 정식 노선으로 승격시킨 것이다. 잠실에서 시종착하는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4] 그도 그럴 것이 이 노선은 진접지구 이후에는 서지 않고 바로 잠실역으로 간다. 소요시간 차이가 큰 편.[5] 그래서 이 노선의 전신격인 1115-7번은 진접지구의 부족한 수요 문제, 그리고 회전율을 높이기 위해 양지리로 단축되었던 시절이 있었다. 물론 차고지를 이전하면서 다시 진벌리로 연장되었고 2000번과 합쳐졌지만.[6] 특히 양지리.[7] 오남, 진건이나 퇴계원 모두 다른 직행좌석노선이 있지만 이 노선들은 강변역 까지만 운행하며 잠실까지 한방에 가지 않는다.[8] 차량 앞에 광역급행(퇴계원 미경유) 행선판을 꽂아둔채 운행하니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