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6fb711><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남양주시 | }}}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
좌석 | [[남양주 버스 330번대| 330-1-2,-3 ]] | ||
일반 | |||
마을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차산리(차산리) | 종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기동(경동시장)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6:30 |
막차 | 23:10 | 막차 | 00:40 | ||
평일배차 | 15분 | 주말배차 | 30분~40분 | ||
운수사명 | 대원운수 | 인가대수 | 19대[1] | ||
노선 | 차산리 - 영남아파트.풍림아이원A - 우방아이유쉘 - 주공.중흥아파트.화도읍사무소.이석영뉴미디어도서관 - 보미청광아파트 - 해비치하우스 - 천마산역 - 경성아파트 - 평내호평역 - 평내동주민센터.남양주우체국 - 남양주시청 - 금곡동구종점.금곡초교 - 진안사거리 - 양정동사거리 - 도농역 - 구리역 - 교문사거리 - 망우역 - 상봉역 - 중랑역 - 삼육서울병원 - 청량리역환승센터(4번승강장) → 경동시장 → 현대코아 → 청량리역환승센터(1번승강장) → 이후 역순 |
2. 개요
대원운수에서 운행하는 일반형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83.1km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예전에는 인가대수 11대, 배차간격 2~30분인 노선이었다. 하지만 경춘선이 개통하고 765번, 765-1번, 766번 등 경춘대로를 이용하는 직행좌석버스들이 수요가 감소하자 765번을 남기고 나머지 두 노선을 2011년 3월 2일에 폐선시킨다. 이때 이전 765-1번 노선으로 변경하여 인가대수 27대에 배차간격 10~15분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 마석지구 주민들의 노선확충과 스키장마을 묵현리 주민들의 편의에 따라 168번과 같이 2016년 9월 12일에 '양현마을 - 마석가구공단 - 천마산휴게소' 구간이 '양현마을 - 천마산역 - 천마초교 - 스키장입구사거리 - 천마산휴게소'로 바뀌었다. 단, 168번의 배차간격이 나빠 사실상 천마산역을 연계하는 유일한 노선이 됐다.
- 2019년 4월 9일부로 10, 91, 167번을 감차시키는 과정에서 5대가 증차되어 30대로 운행하게 되었으나, 그 해 5월에 76번 개통으로 인해 7대가 다시 감차되었다.
- 2022년 기준으로 추가 감차가 이루어져 19대중 평일 13대, 주말 6대를 운행한다.
- 2022년 9월 5일에 166번 신설로 2대를 차출하여 18대가 됐지만 167번에서 1대를 가지고 와 19대가 됐다.
4. 특징
- 형제 노선으로 65-1번이 있는데, 천마산역이 아닌 가구공단과 마석시내를 경유하며, 교문사거리 이후 배탈고개, 북부간선도로, 화랑대역, 태릉입구역을 거쳐 석계역까지 운행한다. 2010년대 초반에는 출퇴근시간대에도 '가끔' 앉아갈 수 있는 노선이기도 했지만, 2010년대 중후반 이후 낮시간대에도 창현지구부터 만원으로 서서 가야하기도 하는 등 수요가 엄청 많이 늘어났다.[2]
- 서울에서 호평동/화도읍으로 가는 일반형버스 노선들 가운데 차산리 방향 한정으로 유일하게 평내호평역까지 경춘로를 단 한번도 벗어나지 않는 노선이다.[3] 서울 방향으로 이동시에는 다른 시내 노선들처럼 금곡동에서 양병원 옆쪽 샛길로 빠진다.
- 평균 15분 ~ 30분 사이의 불규칙한 시간으로 운행되기 때문에 남양주시의 경춘선 권역에서는 이 버스를 타고 청량리역에서 1호선으로 환승해 도심권으로 이동하는 고정수요도 꽤 된다. 이 노선의 메리트는 청량리역환승센터 경유이다. 홍릉사거리를 경유해 현대코아로 빠지는 타 노선들과 달리 역 접근성. 서울 버스 환승등에서 효율이 뛰어나기때문.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 2022년 기준으로 차량이 많이 감차되어 출근시간에도 배차간격이 15~20분정도로 늘어났으며 그만큼 혼잡도가 매우 높아졌다.
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1호선: 회기역, 청량리역
서울 지하철 7호선: 상봉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도농역, 구리역, 망우역, 상봉역, 중랑역, 회기역, 청량리역
수도권 전철 경춘선: 천마산역, 평내호평역, 망우역, 상봉역, 중랑역, 회기역, 청량리역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청량리역
- 일반 철도역: 상봉역(KTX, ITX-청춘[4]), 청량리역(KTX, ITX-새마을, ITX-청춘, 무궁화호, 정선아리랑열차)
6.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a7be38><colcolor=#fff> 남양주시 | |
잠실역 | 1000-1평일 1200-1평일 | |
청량리역 | ||
강변역 | ||
기타 | 1-4천호역, 하남미사 10-5당고개역 33-4문호리 65-1석계역 1100잠실, 강남, 신사역 |
[1] 실제로 평일 13~14대, 토요일/공휴일 6대 운행[2] 창현지구 탑승자들은 호평 즈음에 와서 많이 하차하기는 하지만, 호평 주민들이 또다시 타서 도농/금곡까지 만원이고 그 이후로 구리권은 원채 승객수요가 많은 지역이어서 출퇴근시간대에 특히 1시간 이상 쭈욱 서서 가야하는 지옥 같은 상황도 아주 간혹 펼쳐진다. 서울구간인 중랑구~청량리 수요도 많다.[3] 대부분의 시내버스 노선들은 양병원 옆 샛길로 빠지며, 그 중에서 165번이나 97번은 평내동 아파트단지까지 돈다. 1-4, 30, 93번 등은 양정동사거리에서 금곡예비군훈련장 쪽으로 빠진 뒤 구 목화예식장 앞 사거리에서 합류한다.[4] 평일6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