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5 09:52:10

대원교통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대전광역시에 있었던 버스 회사}}}에 대한 내용은 [[산호교통]]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산호교통#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산호교통#|]]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대전광역시에 있었던 버스 회사: }}}[[산호교통]]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산호교통#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산호교통#|]]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KD 운송그룹 로고.svg
시외버스 노선 · 영업소 · 이야깃거리 · 문제점 및 비판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olding [ 운송 사업 ]
<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8b008b><colcolor=#fff> 고속/시외 <colcolor=#373a3c,#ddd>
시내
전세
터미널
매표소
해체
[a] 터미널 사업부가 아닌 삼흥고속에서 직접 운영
}}}}}}
[ 비운송 사업 ]
||<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8b008b><colcolor=#fff><width=80px> 차량 ||<colcolor=#373a3c,#ddd><width=1000>
KD 에너지텍
KD 오토리사이클링
KD 오토텍
||
직원복지
KD 김치공장
KD 상조회
KD 어패럴
KD 푸드피아
의료
교육
[b] CHTC의 수입사
}}} ||

파일:성동구 CI.svg 서울특별시 성동구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시내버스 태진운수 대원교통[a] 대원여객[a]
마을버스 금호교통 낙산운수 동호운수 성수운수
왕금운수 응봉운수 화송옥수운수
없어진 버스 회사
마을버스 성수여객 옥수운수
[a] 주사무소만 성동구에 위치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
주식회사 대원교통
Daewon Traffic Corp.
파일:KD 운송그룹 로고.svg
핵심인물 허명회 (명예회장)
허상준 (대표이사 회장)
김승한 (부사장)
설립일자 1974년 2월 1일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기업규모 중견기업
지분구조 대원고속 46.84%
권동현 35.44%
허상준 17.72%
슬로건 기다리고 싶은 버스, 타고 싶은 버스
길이 있는 곳에 KD 운송그룹이 있습니다.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
2.1. 대원교통, 대원여객, 메트로버스 삼각 트레이드
3. 노선 운용4. 차량 운용5. 영업소 현황6. 운행 노선7. 폐선, 형간 전환, 이관, 양도된 노선
7.1. 개편 전7.2. 개편 후
8. 면허 체계9. 보유차량10. 둘러보기

1. 개요

파일:2016_4278.png 파일:241_4333.png
지선버스
2016번
간선버스
241번

KD 운송그룹의 계열사로, 1974년 설립된 버스 회사이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2. 역사

  • 1974년 2월 1일에 "금성교통"의 이름으로 창립하였다.
  • 1996년 3월 4일에 KD 운송그룹에 인수된 후 "대원교통"의 이름으로 개칭하였다.
  • 2001년 5월에 태화상운의 서울 시내버스 노선 철수로 166번과 166-2번, 400번을 양도받았다.[1]
  • 2003년 8월 1일에 우신운수가 운행을 포기한 568번을 양도받았다.
  • 2004년 7월 1일에 대개편이 이루어졌다. 동시에 메트로버스에 지분을 출자하였다.[2]
  • 2005년 7월 5일에 9201번이 폐선되었고, 9205번이 마석에서 차산리까지 연장되었다. 동시에 2230번이 동대문운동장까지 연장되면서 2016번으로 변경되었다.
  • 2005년 10월 1일에 9203번과 9204번이 폐선되었다. 동시에 각가 1670번, 1660번으로 변경되었다.
  • 2005년 12월 16일에 2016번, 2229번이 폐선되었다. 동시에 240번이 신설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2015번이 대원여객에서 대원교통으로 이관되었다.
  • 2006년 12월 1일에 2231번이 폐선되었다. 동시에 9205번이 망우리까지 단축되면서 203번으로 변경되었고, 기존 구간은 765번으로 변경되었다.
  • 2007년 4월 23일에 203번이 폐선되었다. 동시에 241번이 개통되었다.
  • 2008년 9월 1일에 41번이 개통되었다.
  • 2008년 12월 20일에 2228번이 폐선되었다. 동시에 양평군에서 철수하였고, 2228번 차량을 활용하여 8443번이 개통되었다.
  • 2009년 4월 25일에 8401번이 개통되었다.
  • 2009년 6월 20일에 9202번이 폐선되었고, 남양주 1200번으로 변경되었다. 동시에 240번이 240A번(면목로), 240B번(면목천로)으로 분리되었다.
  • 2009년 7월 1일에 8443번이 4434번으로 변경되었다.
  • 2009년 7월 12일에 240B번이 건대입구역까지 단축되면서 2225번으로 변경되었다. 동시에 240A번이 240번으로 환원되었다.
  • 2010년 1월 8일에 241번이 241A번(중랑구청 경유), 241B번(신내지하차도 경유)으로 분리되었다.
  • 2011년 1월 1일에 8401번이 폐선되었다.
  • 2011년 2월 8일에 0213번과 2225번이 통합되면서 2016번이 개통되었다.
  • 2011년 8월 25일에 2227번의 단축과 함께 남양주시, 구리시에서 철수하였다.
  • 2013년 9월 26일에 241A번이 241B번으로 통합되면서 241번으로 환원되었다.
  • 2014년 1월 16일에 트레이드를 통해 2227번이 메트로버스로 이관되었다. 동시에 241번이 대원교통 단독배차, 2016번이 메트로버스 공동배차로 전환되었다.
  • 2015년 2월 27일에 41번과 4434번이 통합되면서 242번이 개통되었다.
  • 2019년 2월에 KD 운송그룹 본사가 광진구 자양동에서 성동구 성수동의 KD타워 신사옥으로 이전하면서 본사 역시 이전되었다.[3]
  • 2022년 6월 27일에 2016번이 대원교통 단독배차로 전환되었다.
  • 2023년 6월 26일에 262번을 양도받았다. (메트로버스 공동배차 철수)
  • 2023년 12월 4일에 현금승차 폐지 일부노선운영 업체로 선정되었다. 그래서 262번에 한하여 교통카드가 있어야 승차 가능하며, 교통카드가 없으면 승차할 수 없다.
  • 2025년 2월 1일부터는 240번도 현금승차가 폐지되었다.

2.1. 대원교통, 대원여객, 메트로버스 삼각 트레이드

  • 2014년 1월 16일자로 세 회사간 대규모 노선 교환이 있었다. 사실 이렇게 된 것은 각 업체의 사정을 해결하기 위해서, 서로의 요구사항을 맞추면서 노선을 트레이드하게 된 것. 당시 각 사의 상황은 아래와 같았다.
    • 메트로버스는 당시 강동공영차고지의 관리비 인상으로 인한 비용을 절감하고, 중랑공영차고지 단일 차고지만 보유하면서 효율적인 노선 운용을 하고 싶었던 상황이었다.
    • 대원여객은 근무 환경 문제가 대부분이었다. 당시 신내동영업소에 소속되어있던 일부 대원여객 기사들의 근무 환경이 좋지 않았기 때문. 이는 당시 소속 기사들의 거주지가 대원여객의 주 영업권이었던 의정부, 양주지역에 분포되어 있어 출퇴근 거리가 매우 길어짐과 동시에 피로도 역시 증가하는 열악한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당시 하남공영차고지의 주차 용량도 다소 부족하였는데, 신내동영업소를 사용하는 대원버스 70번처럼 강동공영차고지에도 KD의 경기도 노선을 일부 주박하고 싶었다.
    • 대원교통의 경우, 대원여객과 비슷한 문제가 있었다. 바로, 차량 운용. 당시 9503번이 542번으로 전환되었으나, 차량이 부족한 탓에 증차를 하기에도 마땅히 차를 뺄 만한 노선이 없었다. 마침 대원여객은 근무지 재편성 등을 희망하였는데, 아예 신내동영업소 노선을 대원교통에 넘기고 남은 차량들을 대원여객 노선으로 뿌리는 방법을 생각해낸 것.
  • 그렇게 세 업체의 이해관계가 맞아서 삼각 트레이드가 발생하게 되었고, 메트로버스와 대원여객, 그리고 대원교통은 서로의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노선과 차량을 트레이드하는 결과를 얻게 된다. 이 과정에서 대원여객과 메트로버스는 서로의 운행 노선을 맞바꾸게 되었고, 대원교통이 가지고 있던 2227번을 메트로버스로 넘긴 후 소속 차량은 241번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트레이드를 끝마치게 된다.
  • 대원교통의 결과는 그리 큰 변화가 없다. 2227번이 메트로버스로 넘어가고, 해당 노선에서 운행하던 차량을 모두 241번에 몰아주면서 자연스럽게 대원여객 공동배차가 끝나게 된 것이 전부. 다만 메트로버스와 2022년과 2023년에 소규모 트레이드를 한 번 더 하게 되었는데, 각각 2016번의 공동배차 철수와 262번의 공동배차 교체가 그 원인이다. 이 과정에서 메트로버스가 5대 투입하던 262번의 공동배차를 대원교통이 참여하면서 나름대로 KD가 다시 262번을 운행하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3. 노선 운용

  • 시초는 서울승합 금곡영업소에서 분사한 '금성교통'이라는 업체로, 1974년에 설립되었다. 당시 본사는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153번지. 흔히 금곡동 구종점이라고 불리는 곳이 바로 이 곳이다. 이후 1990년대 후반 46번 국도 확장으로 본사 차고지가 상당부분 수용되면서 호평동차고지에 통합되어, 금성교통 역시 호평동으로 이전하였다. 그러나 1994년 10월 28일 오전 좌석버스 765번이 망우리고개 전복 사고를 냈고, 이에 대한 사상자 보험처리문제로 인해 경영상의 문제가 생기게 되어 1996년 3월 4일 KD 운송그룹에 인수된 후 대원교통으로 사명을 바꾸게 되었다. 이 시기에는 남양주시 업체인 삼용버스오 남양주에 진출했던 서울 시내버스 업체인 태화상운 등과의 경쟁을 위해 165번, 165-2번, 165-3번 모두 구간요금을 받지 않았다.
  • 대원교통은 주로 구리시남양주시로 나가는 노선, 특히 광역버스 위주로 보유하고 있었던 것이 특징이며 아예 광역버스는 독점이었다. 태화상운이 가지고 있던 좌석버스를 인수하기 전에도 165번 하나만으로 경춘로 승객들을 쓸어담았고, 태화상운 좌석버스를 인수한 뒤에는 대원운수와 함께 오남읍, 진접읍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한 남양주시 전체 교통을 책임지는 회사가 되었다. 그러나, 서울특별시청의 정책과 운용 상의 이유로 여러 노선이 없어지거나 대원운수로 매각되면서 규모가 줄어들고 구리시와 남양주시에서 순차적으로 철수하는 결과를 안게 되었다.[5]
  • 대개편 전과 후의 모습이 가장 다른 회사라면 바로 이 대원교통을 꼽을 수 있겠다. 과거에는 구리와 남양주의 대표적인 터줏대감이었으나, 노선을 정리하면서 기존 노선을 대원운수가 계승하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대원운수의 규모도 커지게 된 것. 현재는 대원교통의 기존 노선 대부분을 대원운수가 물려받게 되었다. 그리고 대원교통은 240번을 시작으로 241번, 242번 등 강남행 간선버스 위주로 운행을 시작하게 되었고, 동시에 대원여객으로부터 2015번을 인수한 뒤 2016번까지 개통하면서 현재는 모든 노선이 경기도로 나가지 않고 서울 내부에서만 운행하는 특징을 갖게 되었다. 아예 영업권을 바꿔버린 셈.[6]
  • 사실 노선을 정리하게 된 이유도 서울특별시청의 버스 증차 금지 정책 때문인데, 이 정책의 최대 피해자라 할 수 있는 업체이다. 대부분의 보유 노선이 경기도 진입 노선이었기 때문에, 자사 노선을 경기도 면허 KD 운송그룹 계열사로 넘긴 다음, 서울시내만 이동하는 다른 노선에 공동 배차하거나 새로운 노선을 만들어서 운행하는 일이 상대적으로 잦았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노선을 대원운수가 받게 되었고, 대원교통은 폐선된 노선에서 차량을 빼와 41번, 4434번, 2016번 등 신규 노선 위주로 운행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 시점부터 강남으로 영업권을 돌리게 되었고, 현재까지도 '중랑구 - 강남구' 노선 다수와 '중랑구 - 도심' 노선 위주로 운행하는 업체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동시에 경기도의 영업소도 모두 정리하고 신내동영업소 단독으로만 사용하게 되었다. 이는 대원여객도 비슷한 결과를 가지게 되었다.
  • 특이하게도,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업체 중 4번째[7]이자 당시로서는 유일하게 간선, 지선, 광역, 순환 4색도색을 모두 채용한 업체였다. 시기는 41번(3기)이 신설된 2008년 9월부터 9202번이 없어진 2009년 6월까지였다.[8] 그리고 이 4색 도색을 적용한 마지막 업체이기도 하며, 이후로 4색 도색을 모두 보유한 업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 현재 KD 운송그룹의 본사는 성동구 성수동에 위치한 신사옥(KD빌딩)으로 옮겼는데, 실제 영업소는 중랑구에만 있는 아이러니함이 있다. 그나마 2016번이 본사 앞에 위치한 '성동교입구' 정류소를 경유하며, 그 외 262번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성동구에 진입하는 점이 특징이다.[9]
  • 메트로버스가 2016번 공동 배차에서 철수 이후 한동안 보광운수에 이어 중랑구 소속 버스 회사 중 모두 단독 배차 노선을 보유한 두 번째 업체였다. 그러나 2023년 6월 26일 이후 메트로버스가 262번 공동 배차에서 철수하고, 그 빈 자리에 대신 참여하게 돼 다시 공동 배차 노선을 운행하게 됐다. 상기 트레이드 내용에서도 언급했지만, 메트로버스와 노선을 자주 바꾼 것이 특징.
  • KD 내부 규정 상 경기도 KD 계열사에서 서울 면허의 대원여객과 대원교통으로 이직은 불가능하다.[10]

4. 차량 운용

  • 당연히 KD 운송그룹 계열사 소속이기 때문에, ZF 자동변속기와 자일대우버스를 선호하던 업체였다. 대원여객과 마찬가지로, 도시형버스도 운행하였으며 대개편 이후로는 서울에서 유일하게 광역버스 이외의 노선에도 좌석형 차량을 도입한 것이 특징. 사내 옵션 통일을 위해 서울특별시 측에 세금을 더 내고 좌석형 옵션을 출고하였다. 이후, 저상버스 의무화가 시행되면서 현재는 저상버스와 전기버스만 출고하는 것이 특징.
    • 2007년에 경성여객과 같이 중랑구에서 두 번째로 저상버스를 도입하였다. 두 업체 모두 BS110CN을 출고하였으며, 이후 F/L된 모델도 같이 출고하였다.[11]
    • 2010년에 대규모로 차량을 출고하였는데, BS106 좌석버스와 BS110CN 저상버스를 섞어 출고하였다. 한때 보유 차량 대부분이 이때 출고한 것.
    • 2016년에 출고한 NEW BS106을 끝으로 더 이상의 좌석형 버스는 출고하지 않는다.
    •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초기형 F/L 차량을 대차하기 위해 저상버스를 대거 출고하였다. 2018년 이후에 출고한 NEW BS110은 송파상운, 상진운수, 서울버스, 보영운수, 보성운수, 군포교통처럼 탄소 섬유 가스 탱크 옵션을 적용한 것이 특징.
    • 2020년에 자일대우버스 베트남 이전 논란으로 인한 노사갈등으로 울산 공장이 한동안 폐쇄되면서 현대 저상버스를 자체 출고하였다. 북부운수와 동일하게 ZF 자동변속기와 하이백 시트를 적용하였다. 이후에 출고하는 KD의 모든 현대 저상버스는 해당 옵션을 사용하게 된다.
    • 2021년부터 전기버스로만 신차를 출고중이다. 당시 서울특별시의 전기버스 쿼터제 규정 때문에 일렉시티와 아폴로 1100을 균등하게 출고하였으며, 240번과 2015번에 우선적으로 전기버스 신차를 배정하였다.
    • 2022년부터는 다시 일렉시티만 출고하고 있으며, 12월 팬더가 전멸되고 계열사 중 인수된 삼흥고속을 제외하고 최초로 현대자동차의 댓수가 자일대우버스의 댓수를 역전했다.
    • 2023년에는 아폴로 1100 2대를 다시 뽑았고, 2015번에 전량 투입하였다.
    • 2024년에 다시 일렉시티로 출고하였다. 이때 출고한 일렉시티는 무지개 손잡이가 아닌, 기본 손잡이가 적용된 것이 특징. 이 시점부터 262번을 제외한 모든 노선에 전기버스가 투입되었다.
  • 대원여객과 달리 대원교통은 일괄적으로 몰아서 대차를 하는 케이스가 많았다. 이는 행당동 가스버스 폭발 사고 때문이며, 이 사고 이후 허명회 회장의 지시로 유사 연식의 차량이 모두 조기 대차되었기 때문이다. 이후 그 점이 더욱 부각되어 차량 교체주기가 일정 시기에 대규모 물량을 처리하게 되었다. 대원여객은 그에 비해 연식 분포도가 다양하고 상대적으로 구형 가스차량을 오래 사용했기에 아직까진 대우버스의 비율이 많지만, 이마저도 2024년 이후로는 본격적으로 현대버스로 대차되는 중이다.
  • 연비운전을 중요시하는 KD 운송그룹 내에서도 월등히 속도가 빠른 편이다. 대부분의 차량이 50km/h 전후로 속도 제한이 걸려있지만, 다수의 차량 속도가 빠른 편. 이는 대원교통 보유 노선 모두 정체 구간을 많이 지나기 때문이다. 240번과 242번은 영동대교와 동일로(면목로), 241번과 2016번은 응봉동 ~ 한남동, 2015번은 왕십리역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구간의 정체가 심한 편이다. 사내에서도 241번과 2015번, 2016번의 근무 강도는 상대적으로 강한 편이다.
  • 대원여객과 달리 대원교통 차량은 차량번호를 부착한다. 전기버스는 나눔고딕 계열을 사용하며, 일반 가스차량은 고딕 계열을 사용한다. 다만 신내동영업소 소속의 대원여객 2312A번, 2416번도 대원교통과 동일하게 적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는 KD가 회사 법인이 아닌 영업소 기준 운영 체계를 중시하기 때문.
  • 요금통에 표기하는 회사 명칭은 '교통'이다. 주로 의정부나 구리 쪽의 일부 노선과 동일한 양식의 구분표를 사용하고 있다.

5. 영업소 현황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KD 운송그룹/영업소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 대원여객과 달리 오로지 신내동영업소만 사용하며, 이마저도 대원여객과 공유한다. 한때 구리영업소, 덕소영업소, 차산리영업소, 호평동영업소도 사용하였으나 노선 폐선 후 철수.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고.
  • 이전에는 호평동영업소가 메인이었으나, 대개편 이후 노선을 정리하면서 신내동영업소 본사 격으로 사용중이다.

6. 운행 노선

  • 대원여객과 달리, 서울 내부에서만 운행하는 노선을 보유하고 있다. 2000년대 후반까지는 남양주시, 구리시와 서울을 오가는 노선을 많이 보유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대부분의 노선이 경기도 면허로 전환되면서 정리된 편.
  • 전 노선이 중랑구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간선버스는 강남행, 지선버스는 도심행 위주로 보유중이다. 물론 북부운수와 공동배차하는 262번을 통해 서울 서부권(여의도)에도 일부 진출하였다.
  • 240번, 262번에 한하여 교통카드 전용버스로 운용중이다.

6.1. 간선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240
[카드전용]
중랑공영차고지 봉화초등학교 - 신내6단지 - 서울의료원 - 능산지하차도 - 상봉터미널 - 면목역 - 면목시장 - 중곡역입구 - 세종초등학교 - 광진광장 - 건대입구역 - 영동대교 - 프리마호텔 - 압구정현대아파트 → 압구정역학동역신사역 → 현대고등학교 신사역 8~14
241 신내데시앙포레아파트 - 새우개마을 - 봉화산역 - 신내7단지.홈플러스 - 서울의료원 - 중랑구청사거리 - 망우역 - 중랑역.동부시장 - 청량리역 - 서울시동부병원 - (→ 왕십리도선동주민센터 →/← 상왕십리역 ←) - 신당초등학교 - 행당역 - 응봉동주민센터 - 금남시장 - 한남동 - 신사역 - 논현역학동역언주역신논현역 논현역 7~12
242 능산지하차도 - 면목역 - 면곡시장 - 군자교 - 화양사거리 - 영동대교 - 프리마호텔 - 강남구청.강남세무서 - KT강남지사 - 영동중앙교회 - 한티역 - 중대부고 - 개포현대1차아파트 → 개포래미안포레스트 → 포이초교 → 풍양빌딩 개포동 10~17
262
[공동배차]
[카드전용]
양원역 - 망우역 - 면목역 - 면목두산아파트 - 촬영소사거리 - 청량리역 - 신설동역 - 동대문 - 종로2~6가 - 남대문시장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 청파동 - 원효로2.3가 - 청암동강변삼성아파트 → 삼부아파트 → 샛강역여의도역여의도환승센터 여의도 6~10

6.2. 지선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2015 중랑공영차고지 중랑구청사거리 - 망우역 - 상봉역 - 사가정역 - 장안2동주민센터 - 전농사거리 - (→ 답십리역 →/← 동대문중학교 ←) - 동대문구청.용두역 - 성동구청 - 신당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 6~10
2016 능산지하차도 - 상봉역 - 면목두산1차아파트 - 면곡시장 - 동곡삼거리 - 세종초등학교 - 광진광장 - 건대입구역 - 성수역 - 왕십리역 - 응봉동주민센터 - 금남시장 - 한남역 - 동빙고동 - 서빙고역 - 이촌역 이촌2동 8~13

7. 폐선, 형간 전환, 이관, 양도된 노선

  • 폐선된 노선이 많아 관련 항목이 있는 경우만 표기했다.

7.1. 개편 전

  • 165(호평동) : 호평동 - 남양주시청 - 금곡역 - 73사단 - 도농동 - LG백화점 - 돌다리 - 망우리 - 상봉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현대코아
  • 165-2(호평동) : 호평동 - 남양주시청 - 금곡역 - 73사단 - 도농동 - LG백화점 - 돌다리 - 망우리 - 상봉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현대코아
  • 165-3(사릉) : 사릉(용정리) - 사릉한신아파트 - 홍유릉 - 지금동 - 도농동 - LG백화점 - 돌다리 - 망우리 - 상봉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현대코아
  • 166(덕소) : 도곡리 - 덕소역 - 양정동 - 도농동 - LG백화점 - 돌다리 - 망우리 - 상봉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현대코아
  • 166-2(양수리) : 양수리 - 다산유적지 - 팔당댐 - 도곡리 - 덕소역 - 양정동 - 도농동 - LG백화점 - 돌다리 - 망우리 - 상봉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현대코아
  • 568(구리) : 수택동 - 망우리 - 송곡여자고등학교 - 상봉터미널 - 상봉시장 - 면목동 - 장안교 - 군자교 - 건대입구 - 구의역 - 강변역(동서울터미널)
  • 765(대성리) : 대성리 - 구암리 - 마석시내 - 평내동 - 금곡동 - 도농동 - LG백화점 - 돌다리 - 망우리 - 상봉터미널 - 중랑교 - 청량리역
  • 765-1(차산리) : 차산리 - 창현지구 - 마석시내 - 평내동 - 금곡동 - 도농동 - LG백화점 - 돌다리 - 망우리 - 상봉터미널 - 중랑교 - 청량리역
  • 901(차산리) : 차산리 - 창현지구 - 마석시내 - 평내동 - 금곡동 - 도농동 - 남양주IC - 구리요금소 - 강변북로 - 잠실역
  • 1660(덕소) : 도곡리 - 덕소역 - 수석동 - 토평IC - 워커힐/강변북로 - 강변역(동서울터미널)
  • 1670(덕소) : 도곡리 - 덕소역 - 수석동 - 토평IC - 강변북로 - 잠실역

7.2. 개편 후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비고
41
[탄천]
탄천주차장 현대백화점 - 삼성역 - 강남구청 - 강남구청역 - YMCA - 총지사 - 경남아파트 - 구룡사입구 도곡교회
인바디빌딩
[22]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비고
203
[신내동]
중랑공영
차고지
망우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청량리역 - 신설동역 - 동대문 = 종로 - 롯데영플라자 서울역 [24]
240B
[신내동]
중랑공영
차고지
신내동 - 상봉터미널 - 면목천길 - 화양리 - 건대입구역 - 압구정갤러리아 - 압구정역 신사역 [26]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비고
2016
[사능]
사능
(용정리)
금곡 - 양정동 - 돌다리 - 망우리 - 상봉역 - 장안교 - 전농동 - 동대문구청 - 왕십리 - 신당역 동대문운동장 [28]
2225
[신내]
중랑공영
차고지
신내동 - 상봉터미널 - 면목천길 - 화양리 건대입구역 [30]
2227
[신내]
중랑공영
차고지
양원역 - 금란교회 - 용마공원입구 - 면목역 - 면목2.5동 - 사가정역 - 용마산역 중곡역 [32]
2228
[양수리]
양수리 능내역 - 팔당역 - 도곡리 - 덕소 - 이패동 - 도농역 - 돌다리 - 망우리 - 상봉역 - 중랑교 - 청량리역 경동시장 [34]
2229
[덕소]
덕소(도곡리) 도농역 - 돌다리 - 망우리 - 상봉역 - 중랑교 청량리역 [36]
2230
[사능]
사능
(용정리)
금곡 - 양정동 - 돌다리 - 망우리 - 상봉역 - 중랑교 - 청량리역 경동시장 [38]
2231
[호평동]
호평동 금곡동 - 돌다리 - 망우리 - 면목역 - 면목역 면목2.5동 [40]
4434
[탄천]
탄천주차장 삼성역 - 선릉역 - 한티역 - 도곡역 - 구룡중학교 - 개포동 국악중고교 [42]
8401
[탄천]
고속터미널 센트럴시티 - 잠수교 - 크라운호텔 - 녹사평역 삼각지역 [44]
8443
[탄천]
탄천주차장 삼성역 - 선릉역 - 한티역 - 도곡역 - 구룡중학교 - 개포동 국악중고교 [46]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비고
9201
[차산리]
차산리 마석 - 평내동 - 금곡동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상봉역 - 중랑교 - 위생병원 청량리역 [48]
9202
[차산리]
차산리 화도읍사무소 - 경성아파트 - 호평동 - 평내동 - 금곡동 - 도농역 잠실역 [50]
9203
[덕소]
덕소
(도곡리)
도심역 - 덕소고등학교 - 덕소현대아파트 - 덕소삼거리 - 덕소역 - 강북정수장 잠실역 [52]
9204
[덕소]
덕소
(도곡리)
도심역 - 덕소현대아파트 - 와부읍사무소 - 덕소성당 - 덕소역 - 강북정수장 - 광나루역 강변역 [54]
9205
[차산리]
차산리 마석 - 평내동 - 금곡동 - 돌다리 - 망우리 - 청량리 - 신설동 - 종로 서울역 [56]

8. 면허 체계

  • 서울 70 사 2719, 2759 ~ 2765, 2771, 2783 ~ 2784, 2788, 2791 ~ 2795
    • 중랑구 소재 시내버스 회사 증차면허.
  • 서울 70 사 6203, 6333, 6341, 6349 ~ 6350, 6354 ~ 6355, 6357, 6359
    • 중랑구 소재 시내버스 회사 증차면허.
  • 서울 74 사 4249 ~ 4290, 4331 ~ 4350호
    • 대원교통 주 면허. 사실상 서울승합의 면허이지만 금곡영업소를 분리 설립하면서 생긴 흔적이다.
  • 서울 74 사 9100 ~ 9149
    • 대원교통으로 흡수 된 기존 태화상운 서울면허의 면허대역이다. (일부는 메트로버스에 출자되어 운영중이다.)
  • 서울 75 사 2912 ~ 2920호
    • 대원교통 증차 면허. 구.765번(좌석) 증차분이다.

===# 타 회사 출신 면허 #===
  • 서울 74 사 1569, 1577, 1598호
  • 서울 74 사 5009호
    • 구.승원여객 면허. 대원여객이 1994년에 의정부영업소를 인수하면서 받은 구.승원여객 면허들과는 달리 이 면허는 감차과정에서 진화운수로 넘어갔던 면허다. 이후 대원여객과의 차량 트레이드로 넘어왔다.
  • 서울 74 사 6315 ~ 6316, 6331, 6335호
    • 구.한성버스 면허. 감차과정에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4 사 7415, 7422호
    • 구.우성버스 면허. 감차과정에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4 사 7587, 7588, 7590, 7596호
    • 구.부흥교통 면허. 진화운수와 통합되면서 넘어온 면허다. 이후 대원여객이 구리영업소를 인수하면서 넘어갔다가 대원여객과의 차량 트레이드로 넘어왔다.
  • 서울 74 사 7940 ~ 7947, 7951 ~ 7953호
    • 제일여객 면허. 구.부흥교통이 구.755번 증차분으로 받은 면허였다. 이후 노선이 변경되면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4 사 8201, 8205, 8210, 8219호
  • 서울 74 사 9725, 9790호
    • 구.서울시영버스 면허. 구.신우교통이 구.235번을 인수하면서 받은 면허다. 해당 노선이 폐선되면서 대원여객으로 넘어갔다가 대원여객과의 차량 트레이드로 넘어왔다.
  • 서울 75 사 2351 ~ 2353호
    • 태화상운 증차 면허. 서울면허 노선을 인수하면서 넘어왔다.
  • 서울 75 사 2874호

9. 보유차량

9.1. 현재 보유차량

9.1.1. 현대자동차

9.1.2. 자일대우버스

9.1.3. 우진산전

9.2. 과거 보유차량

9.2.1. 자일대우버스

9.2.2. 현대자동차

9.2.3. 아시아자동차

9.2.4. KG모빌리티

10. 둘러보기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강남구 도선여객 정평운수
강동구 서울승합
강북구 동아운수 선일교통 삼양교통
영신여객 한성운수
강서구 공항버스 김포교통 다모아자동차
영인운수 정평운수
관악구 관악교통 보성운수 한남여객운수
광진구 신흥운수
구로구 군포교통 보성운수 서울매일버스
금천구 범일운수 보영운수 신인운수
노원구 흥안운수 삼화상운 한성여객
진아교통 태릉교통
도봉구 서울교통네트웍 아진교통
마포구 다모아자동차 유성운수
서대문구 서부운수 신촌교통 원버스
현대교통
서초구 대흥교통 삼성여객 우신운수
우신버스
성동구 태진운수 대원교통 대원여객
성북구 대진여객 도원교통 상진운수
송파구 남성버스 동성교통 대성운수
서울버스 송파상운 진화운수
한국brt 한서교통
양천구 관악교통 도원교통 세풍운수
신길교통 양천운수 중부운수
은평구 보광교통 신수교통 선진운수
원버스 유성운수 한남버스
종로구 동해운수
중랑구 경성여객 대원교통 메트로버스
보광운수 북부운수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동대문구 동작구 영등포구 용산구
범례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흥안운수 계열사 다모아자동차 계열사 KD 운송그룹 계열사
서울특별시 관외에 차고지를 둔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파일:중랑구 CI.svg 서울특별시 중랑구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시내버스 경성여객 대원교통[a] 메트로버스[b]
보광운수 북부운수
마을버스 중랑운수 금창운수[a]
사라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 선진교통 우성버스
마을버스[c] 대중교통 세화마을버스 태릉시장마을버스
[a] 중랑구 이외 지역에 주사무소를 둔 회사 / [b] 주간선버스 회사 / [c] 현 보광운수(舊 용림교통)로 통합된 회사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

[1] 166번과 166-2번은 차량과 노선을, 400번은 차량만 인수받았다.[2] 이와 동시에 대원여객에서 시범 도입한 저상버스가 메트로버스로 이관되었다.[3] 본래도 성수동에 본사를 두고 있었으나, 신사옥 증축을 하면서 한시적으로 광진구청 옆으로 이전하였다. 현재 광진구 사옥 자리에는 RBW가 들어와있다.[4] 대원여객의 운행분까지 모두 2227번 출신 차량으로 채우면서 대원교통 단독 배차로 전환되었다.[5] 현재 대원교통이 과거 남양주에 존재했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흔적은 도곡리 차고지에 있는 충전소로 대원교통 명의로 표기되어 있었다. 물론 철수 이후로도 한동안 41번과 4434번의 가스 충전 또한 이곳에서 했었다. 한때 대원교통의 주 사무소 소재지가 호평동영업소로 조회되며, 연락처 또한 경기도 지역번호인 031로 시작했던 것도 바로 여기에 기인.[6] 또 다른 사례인 아진교통의 경우에는 기존 도봉산 본사 차고지만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보유 노선은 모두 바뀌어버렸다. 신인운수는 과거 신인운수의 빗자루질 노선인 옛 150번5528번을 통하여 부분적으로 계승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노선이 바뀌었다. 삼성여객 역시 개편과 동시에 오랫동안 본사였던 염곡공영차고지에서 한번 나가고 한동안은 보광동에서 영업했다가, 노선 운영 상의 여러 문제점으로 인하여, 자사의 여러 노선들을 통·폐합하는 과정에서 다시 또 염곡동으로 복귀했다. 상기 업체들이 개편 이전의 흔적들이 조금이라도 남아있는 반면, 대원교통은 아예 모든걸 다 지우고 새롭게 재시작을 한 것이나 다름없다.[7] 동성교통신길운수, 신성교통이 41번(1기)을 운행했을 때 4색 도색을 전부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정작 이 41번을 실제로 운행한 건 해당 업체들이 출자하여 만든 한국brt였다. 사실상 이 회사들은 무의미하다.[8] 240번 신설 이전에는 2가지 도색이라도 보편적인 파란색/녹색이 아닌 녹색/빨간색으로 다닌 회사 중 하나였다(대원교통 외에는 대성운수랑 동해운수, 서울매일버스가 당시 이 조합이었다.). 반대의 사례는 한국brt로, 여긴 41번(1기)이 폐선된 2006년까지 파란색/노란색으로 다녔다.[9] 반대로 대원여객 노선 중 제대로 성동구를 경유하는 소속 노선은 2025년 기준 2416번이 전부이다. 370번은 천호대로 경계 상에 있는 용답동 구간만 일부 경유하는 것이 전부이기에 실질적인 성동구 본토로는 들어가지 않는다.[10] 이것 때문에 서울시내버스로 이직하려는 기사들이 KD에 입사했다가 퇴사를 한 사례가 많다.[11] 이때 출고한 차량과 2008년에 출고한 일부 차량은 KD에서 보기 힘든 앨리슨 자동변속기와 수평와이퍼 옵션이 적용된 것이 특징.[12] 대원교통이 철수한 이후에도 해당 가스 충전소는 대원교통의 명의로 되어 있었다.[13] 165번, 165-2번은 가스차가 들어왔다가 일부차량이 여러 가지 이유로 대원여객 55번과 이동식 충전소가 있는 사릉 차고지에 있던 동사의 165-3번, 구리 수택동차고지의 동사 568번으로 트레이드 되었다. 다만 전부 넘어간 것은 아니여서 남은 차량은 대개편을 앞둔 시점까지 운행하다가 메트로버스로 이관 후 대차되었다. 개편 이후에 2227번, 2231번은 165-2번, 165번으로 다니던 시절에 비해 운행댓수도 줄어들고 타 노선에서 쓰던 디젤차들이 투입되어 다니게 된다.[14] 당시 대원여객 55번은 수택동차고지에 충전소가 없었고 배차관리가 되지 않아서 그리 오래 운행하지 못 했다. 2003년에 갓 종로5가로 연장되고 민락동에 충전소가 있어서 가스차를 투입하던 12-5번으로 곧 이동했다. 568번은 그래도 운행대수가 적었고 전 차량이 가스차였던 덕분에 그래도 개편 이후까지 덕소로 공차 회송을 해가면서 굴렸고, 현재는 201번이 이 상황을 그대로 물려받았다.[15] 비슷한 케이스로는 태영운송그룹이 있으며, 부산광역시 마을버스김해시 시내버스로 중국산 전기버스를 도입하는 것과 달리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조합 자체가 중국산에 대해 부정적이다 보니 태영버스는 중국산 전기버스를 1대도 운용하지 않는다.[16] 대원여객과 시설을 공유한다.[북부] 북부운수와 공동배차.[카드전용] 현금승차가 불가하며, 교통카드로만 승차 가능한 노선이다.[공동배차] 북부운수와 공동배차.[카드전용] [탄천] 탄천공영차고지 소속. 실제로는 신내동에서도 관할하였다.[22] 2015.2.27 서울 버스 개편으로 인해 4434번과 통합되어 242번으로 변경[신내동] 신내동영업소 소속[24] 잉여 노선. 9205번에서 203번으로 바뀐 후 단 1분기만에 241번으로 노선 변경이 이뤄졌다.[신내동] [26] 정확히 3주동안만 운행하다 2225번으로 변경. 240A번과는 면목천길 경유라는 점만 달랐다. 일부 차량은 240번으로 돌아갔다.[사능] 사능영업소 소속.[28] 현재의 2016번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개편 전 165-3번으로 개편 당시 2230번 번호를 부여받았다. 2005년 7월 동대문운동장으로 연장되면서 2230에서 2016번으로 변경, 2005년 12월 중앙선 개통과 동시에 폐선.[신내] [30] 240B번 폐선 후 차량을 활용하여 신설하였고, 이후 0213번과 통합해 2016번이 되었다.[신내] [32] 본래 호평동 - 금곡 - 구리시 - 청량리를 운행하다가 2008년에 신내동으로 1차 단축. 2011년에 신내동 - 상봉동으로 2차 단축을 겪었다. 이후 1213번이 서일대로 잘리면서 2013년에 중곡동으로 연장되었다. 2014년 1월에 메트로버스로 이관되었다.[양수리] 양수리영업소 소속.[34]대원운수 167번. 이게 경기면허로 대체되고 남은 차량을 가지고 41번을 개통하게 되었다.[덕소] 덕소영업소 소속.[36] 2005년 12월 16일에 2231번과 같이 폐선되고, 이후 166번으로 대원운수에서 운행하다 2008년에 경기여객으로 넘어가더니 조용히 폐선.[사능] [38] 2005년 7월에 2016번으로 변경.[호평동] 호평동영업소 소속.[40] 9205가 203으로 형간전환 하던 날 동시에 폐선.[탄천] [42] 2015.2.27 서울 버스 개편으로 인해 41번과 통합되어 242번으로 변경[탄천] [44] 잠수교를 반포시민공원으로 개량하면서 2009년 여름부터 대원교통과 공동배차로 다니던 맞춤버스, 2011년에 조용히 폐선.[탄천] [46] 정규노선인 4434번으로 승격[차산리] 차산리영업소 소속.[48] 구 765-1번, 현 대원운수 65번으로 운행중. 이 노선이 폐지되고서, 9205가 대성리에서 마석으로 잘리고, 종로를 따라서 서울역 환승센터로 들어가게 된다.[차산리] [50] 구 901번, 현 대원운수 1200번으로 운행중. 광역버스 중 최후의 아웃서울 노선[덕소] [52] 현재는 대원운수 1670번으로 전환되었다.[덕소] [54] 현재는 대원운수 1660번으로 전환되었다.[차산리] [56] 폐선 이후 203번 → 241번으로 변경되었고, 경기고속 765번으로 전환. 이후 30번이 역할을 대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