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color:#8b008b"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운송 사업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colbgcolor=#8b008b> | ||||
시외 | 삼흥고속 | ||||
경기고속 | 대원고속[A] | ||||
시내 | |||||
경기버스 | 경기상운 | 경기여객 | 경기운수 | ||
대원버스 | 대원상운 | 대원여객 | 대원운수 | ||
대원교통 | 명진여객 | 진명여객 | 평안운수 | ||
화성여객 | 이천시내버스 | ||||
전세 | 경기고속관광 | 대원고속관광 | |||
대원관광 | |||||
터미널 | 감곡시외버스터미널 | 광주종합터미널 | |||
고양종합터미널 | 공도시외버스정류소 | ||||
부천종합터미널 | 수원버스터미널 | ||||
안동종합터미널 |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
영덕종합터미널 | 향남환승터미널 | ||||
하남시외버스정류장 | |||||
해체 | 대원공항 | 영덕T/R | |||
안동터미널관광 | |||||
[A]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회원사 | |||||
{{{#!wiki style="color:#8b008b"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차량 관련 사업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colbgcolor=#8b008b> | ||||
차량 관련 사업부 | KD 오토텍 | KD 오토리사이클링 | |||
KD 인쇄사업부 | KD 에너지텍 |
{{{#!wiki style="color:#8b008b"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비운송 사업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colbgcolor=#8b008b> | ||||
대원교육재단 | 세명대학교 | 세명고등학교 | |||
민송학원 | 대원대학교 | ||||
세명학원 | 성희여자고등학교 | 세명컴퓨터고등학교 | |||
의료기관 | 세명대학교부속제천한방병원 | ||||
세명대학교부속충주한방병원 | |||||
직원복지 및 내부거래 계열사 | KD 어패럴 | KD 푸드피아 | |||
KD 김치공장 | KD 상조회 |
시외버스 노선 · 영업소 · 이야깃거리 · 비판 |
| ||||
의정부시 | 대원여객1 | 명진여객 | 평안운수 | |
동두천시 | 대양운수2 | |||
양주시 | 양주교통2 | 진명여객 | ||
1: 의정부시에 연고를 둔 서울시내버스 회사 2: KD 운송그룹 계열사가 아닌 회사 |
| |||
마전2통공영버스 | 신암운수 | 양주교통 | 은현교통 |
장흥공영버스 | 진명여객 | 현성교통 |
주식회사 진명여객 Jinmyung Passenger Co., Ltd. | |
| |
핵심인물 | 허명회 (대표이사 회장), 허상준 (사장), 김승한(부사장) |
설립일자 | 2003년 7월 |
업종 | 시내버스 운송업 |
상장여부 | 비상장기업 |
기업규모 | 중견기업 |
지분구조 | 평안운수 61.00% 권동현 26.00% 허상준 13.00% |
슬로건 | 기다리고 싶은 버스, 타고 싶은 버스 길이 있는 곳에 KD 운송그룹이 있습니다. |
홈페이지 | 홈페이지 |
1. 개요
KD 운송그룹 계열사중 하나인 버스 회사. 양주시 면허를 가지고 있다.2. 역사
2003년에 명진여객에서 일부 차량을 분리하여 양주시 업체로 신설되었다. 22, 22-1번을 본사와 공동배차했으며[1], 2008년 5월 명진여객과 함께 KD 운송그룹에 인수되었다. 이때 계열사인 명진관광은 독립한다.인수 전까지는 10대 정도의 규모의 작은 회사였으나 KD 운송그룹에서 인수한 이후 평안운수, 명진여객에서 각각 30, 30-1, 30-2, 31, 39-1, 39-4, 50, 51, 55번과 22, 28번 노선을 양수받았다. 그 과정에서 원래의 본사자리는 재개발에 들어가면서 없어지고 새로 생긴 진명여객의 본사는 양주시 덕정동(봉양동 입구)에 위치해 있다. 여기는 덕정동에서 출발하는 대원여객 노선인 108번과 대원고속 노선인 8906번의 출발지이기도 하다.[2]
2009~2010년에는 대원여객 노선을 폐선하면서 대체 노선(48, 118)을 신설하며 규모가 커졌다. 하지만 2011년에는 22, 30-1, 30-2, 39-1, 39-4번을 명진여객, 평안운수로 다시 반납하였다. 그리고 평안운수 석우리 영업소와 가업리 영업소를 홍죽리 영업소로 통합하여 당사와 평안운수가 공동으로 활용하고 있다.[3][4]
2017년에는 19번 시내버스를 신설하고[5] 48번을 폐선하고 1100번 직행좌석버스를 신설했다. 2018년에는 G1300번을 신설하고 55번을 365번 맞춤형버스[6]로 전환했다. 2019년에는 28, 50, 51번을 마을버스로 전환하고[7] 22번을 신설했다. 그리고 상봉으로 가는 1200번을 신설하려고 하였으나
3. 운행 중인 노선
노선 옆에 있는 각주는 소속 영업소이다.3.1. 마을버스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28[덕정동] | 덕정역 | 덕정사거리ㆍ서정대학ㆍ은현면사무소ㆍ서원마을 | 봉암리 | 35~65분 |
50[홍죽리] | 홍죽리차고지 | 안골ㆍ한승미르빌아파트ㆍ백석읍사무소ㆍ8사단사령부ㆍ유양공단ㆍ양주시청 | 양주역 | 40~50분 |
51[홍죽리] | 양주역 | 양주시청ㆍ불곡산ㆍ8사단사령부ㆍ가래비시장ㆍ조양중ㆍ연곡리 | 비암리 | 일 20회 |
3.2. 맞춤형버스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365[홍죽리] | 안고령 | 기산리ㆍ홍죽리차고지ㆍ가업리ㆍ백석공단ㆍ복지사거리ㆍ산성말 | 백석읍사무소 | 평일 일 8회, 주말 일 10회 |
365-1[평일][홍죽리] | 홍죽리차고지 | 두라푸트ㆍ코오롱패션ㆍ단촌삼거리ㆍ백석읍사무소ㆍ오산삼거리ㆍ양주시청 | 양주역 | 일 12회 |
365-2[주말][홍죽리] | 영장삼거리 | 안고령ㆍ기산리ㆍ말머리고개ㆍ장흥자연휴양림 | 윗가마골 | 일 10회 |
3.3. 일반시내버스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19[홍죽리] | 장흥자연휴양림 | 석현삼거리ㆍ돌고개입구ㆍ장흥아트파크ㆍ장흥면행정복지센터ㆍ일영역ㆍ삼하리ㆍ효자동주민센터ㆍ은평뉴타운ㆍ구파발역 | 진관동행정복지센터 | 일 7회 |
19-1[홍죽리] | 장흥자연휴양림 | 석현삼거리ㆍ돌고개.신털뫼ㆍ장흥아트파크ㆍ장흥면행정복지센터ㆍ일영역ㆍ삼하리ㆍ효자동주민센터ㆍ은평뉴타운ㆍ구파발역 | 진관동행정복지센터 | 일 2회 |
22[홍죽리] | 송추반석전원교회.부곡리종점 | 석현삼거리ㆍ돌고개입구ㆍ장흥아트파크ㆍ푸른옥마을 | 장흥고가 | 55~115분 |
31[덕정동] | 봉양동 | 덕정역ㆍ덕정주공1~5단지[20]ㆍ양주시청ㆍ양주역ㆍ녹양역ㆍ가능역ㆍ부대찌개거리.의정부중앙역ㆍ제일시장 | 의정부역 | 12~20분 |
118[덕정동] | 덕정동차고지 | 덕정역ㆍ덕정주공4~5단지ㆍ의정부예비군훈련장ㆍ옥정고교ㆍ고읍동ㆍ뫼루지마을ㆍ(신평화로 직통)ㆍ의정부성모병원ㆍ의정부터미널ㆍ장암주공2,5단지ㆍ도봉산역ㆍ방학역.도봉구청 | 수유역 | 20~35분 |
3.4. 직행좌석버스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1100[덕정동] | 덕정역 | 덕정주공1단지ㆍ옥정고교ㆍ옥정E편한11단지ㆍ옥정유승한내들9단지.한양수자인2단지ㆍ(신평화로 직통)ㆍ의정부민락ㆍ(신평화로ㆍ서계로 무정차) |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 20~30분 |
G1200]]--[덕정동] | | | |
3.5. 경기도 급행버스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G1300[덕정동] | 덕정역 | 덕정주공1단지ㆍ옥정고교ㆍ옥정E편한11단지.푸르지오9단지ㆍ옥정유승한내들9단지ㆍ(신평화로 직통)ㆍ의정부민락ㆍ민락IC.활기체육공원ㆍ(구리포천고속도로ㆍ강변북로) | 잠실광역환승센터 | 15~20분 |
3.6. 외곽순환버스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8906[덕정동] | 덕정역 | 옥정고ㆍ옥정2.9.11단지ㆍ경기도청북부청사ㆍ의정부터미널ㆍ의정부역ㆍ동명빌라ㆍ송추계곡 ㆍ양주영업소ㆍ김포영업소ㆍ부천터미널소풍(상동역)ㆍ송내동ㆍ시흥영업소ㆍ안양역(대동문고)ㆍ비산사거리 | 범계역 | 30~60 |
3.7. 폐선된 노선, 이관된 노선
- 22(덕정주공 - 덕정역 - 덕계동 - 양주역 - 가능역 - 의정부역)[26][27]
- 22-1(덕정주공 - 구 덕정성당 - 덕계동 - 양주역 - 가능역 - 의정부역)[28]
- 30(양주역 - 덕현초교 - 율정동 - 덕정동 - 칠봉산숯가마)[29]
- 30-1(덕정동 - 고읍동 - 양주시청 - 의정부역)
- 30-2(지게동 - 고읍동 - 양주시청 - 의정부역)
- 39-1(연천 - 전곡 - 동두천 - 덕계리 - 의정부 - 도봉산역)
- 39-4(백의리 - 동두천 - 덕계리 - 의정부 - 도봉산역)
- 48(덕정동 본사 - 덕정역 - 양주시청 - 대원여객 - 송산교차로 -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30]
- 55(안골 - 홍죽리 - 한승미르빌아파트 - 백석읍사무소 - 오산삼거리 - 유양공단 - 양주시청 - 양주역 - 녹양역 - 대원여객 - 가능역 - 의정부역 → 의정부중앙역) [31]
- 55-1(안고령 - 기산리한우마을 - 안골 - 55번과 동일하게 운행)
- 55-2(영장리 - 안골 - 백석농협 - 유양동 - 양주역 - 가능역 - 의정부역) [32]
4. 사업장 현황
5. 논란
- 이 회사도 일부 경기도 업체[33]처럼 재생타이어를 쓴다는 논란이 있다. 기사 아이러니하게 모기업인 KD 운송그룹은 100키로 정속운행과 함께 새 타이어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원칙 무시
- 또한 이 회사는 KD 계열사 답지 않게 승무원들의 난폭운전과 불친절이 매우 심한 업체다. 특히 G1300번의 경우 1680번은 물론 선진 소속의 3006번도 구리포천고속도로에서 따고 다니는 일도 비일비재할 정도며 덕정역~봉우재사거리 그 짧은 구간을 급발진으로 리밋까지 치켜오른다. 옥정구간은 말이 필요없을 정도로 난폭운전이 심하다..
- 재정이 영 좋지 않은 정도를 넘어서 아예 자본잠식 상태다. KD 운송그룹 계열으로서는 유일.
6. 면허 체계
7. 보유차량
7.1. 현재 보유차량
7.1.1. 볼보버스
7.1.2. 자일대우상용차
- 대우 레스타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F/L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F/L 천연가스버스
- 대우 NEW BS090 뉴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대우 NEW BS106 뉴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110CN 로얄논스텝 F/L 천연가스버스
- 대우 FX II 116 크루징애로우 디젤
- 대우 FX116 하모니 천연가스버스
7.1.3. 현대자동차
7.2. 과거 보유차량
7.2.1. 자일대우상용차
7.2.2. 현대자동차
[1] 하지만 서류상 이 업체에서 운영하던 노선은 '28번'이었다. 정작 28번은 명진여객이 운행했고 22, 22-1번 운행을 공동으로 하게 되었다.[2] 원래는 대원여객의 덕정리 영업소이던 것이, 진명여객의 본사가 된 것.[3] 덕분에 석우리까지 가던 133번은 결국 양주문예회관과 홍죽산업단지 방향으로 노선이 바뀌었다.[4] 기존에 50, 51, 55번은 가업리에서 주박하다가 홍죽리로 들어왔다.[5] 19번은 레스타가 투입되었는데 이는 KD 운송그룹의 계열사 최초의 레스타이다.[6] KD 운송그룹 내에서는 처음으로 맞춤형버스를 운영하는 회사가 되었다.[7] 따라서 KD 운송그룹 내에서는 마을버스도 최초로 운행하는 회사가 되었다.[덕정동] [홍죽리] [홍죽리] [홍죽리] [평일] 평일에만 운행[홍죽리] [주말] 주말, 휴일에만 운행[홍죽리] [홍죽리] [홍죽리] [홍죽리] [덕정동] [20] 5-4-3-2-1-5단지 순으로 운행.[덕정동] [덕정동] [덕정동] [덕정동] [덕정동] [26] 명진여객에서 당사로 인수받았던 노선이었으나 31번과 48번이 배차간격을 줄이면서 인기가 하늘을 찌르자 철저히 외면받았고, 심지어 감차로 인해 배차간격도 40분~1시간으로 늘어난 데다, 명진여객으로 반품되고서 반 년 정도 다니다가, 평안운수 항목에 서술한 37번으로 번호와 노선이 통째로 바뀌면서 기존의 덕정 노선은 31번과 48번에게 넘겨 주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27] 사실 이 노선도 덕정권을 들어가던 30, 30-1번을 폭풍 감차시켜서 진명 인수 후에 증차가 조금 되었다. 심지어 30번은 이 노선에 대형차량을 모두 빼앗기고 여기서 쓰던 중형차들로 다니다가, 소리없이 폐선......[28] 당시 22번의 지선이자 벌말직통으로 운행하던 노선이었으며 명진여객과 공동배차를 했었다.[29] 원래는 의정부역-덕정동-회암동을 운행하던 평안운수의 노선이었고, 2008년쯤에 진명으로 이관되었다. 그러나, 명진여객을 인수하면서 이 노선의 쓰임새는 줄어만 갔고, 결국은 22번에 대형차량을 다 뜯기고 모두 중형차로 운행하더니, 칠봉산으로 변경..... 결국 2011년경에 폐선되었다. 지선으로는 30-2번이 있으나 평안운수로 반품되었다.[30] 서울버스 1148번의 대체 노선이자 31번과 더불어 간판 스타 노선이었다(타 노선으로 대차됨에 따라 40~80분 간격으로 운행). 항목에서도 서술하겠지만, 31번과의 차이점은 덕정주공 1~8단지 전체를 경유하는 데에 있었다. 폐선 후 후속 노선은 상술한 직행좌석인 1100번.[31] 2018년 3월 9일에 따복버스로 전환되었고 번호도 365번으로 변경[32] 2015년 5월 1일부로 55번과 55-1번에 통폐합[33] 기사에 나온 업체는 과천시 G여객, 양주시 Y교통·J여객, 안성시 B운수, 양평군 K고속, 수원시 N여객, 안양시 S운수·B운수, 평택시 H여객·S고속·P여객, 부천시 S 여객이 있다.[34] 의정부시 면허 버스 회사 주 면허[35] 명진여객 노선(22, 28), 평안운수 노선(30, 30-1, 30-2, 31, 50, 51, 55)번 인수분[36] 본 회사 주면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