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고양시의 전반적인 교통 환경}}}에 대한 내용은 [[고양시/교통]]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고양시/교통#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고양시/교통#|]]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고양시의 전반적인 교통 환경: }}}[[고양시/교통]]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고양시/교통#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고양시/교통#|]]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관내 시내 | 고양교통 | 대덕운수 | 명성 |
백마운수 | 서울여객 | 선진버스 | ||
여산교통 | 대원고속 | |||
관외 시내 | 경기고속 | 동해운수 | 신촌교통 | |
서울매일버스 | 선진운수CL | |||
마을 | 고양도시관리공사 | 관산운수 | 대림교통 | |
대진교통 | 대화교통 | 동일여객 | ||
보람운수 | 보은교통 | 성우교통 | ||
신일산교통 | 신일산운수 | 여산교통 | ||
자안운수 | 주원교통 | 하나교통 | ||
한진교통 | 화정교통 | 홍성 | ||
CL: 현금 승차 제한 업체 | ||||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목록 |
고양교통 주식회사 高陽交通 株式會社 Goyang Traffic Co., Ltd. | |
설립일 | 2004년 6월 9일 |
업종 | 시내버스 운송업 |
대표자 | 온영삼, 조남선 |
주요 주주 | 조남선: 20% 온석권: 12% 온영환: 10% 온영삼: 10% (2024년 12월 31일 기준) |
기업구분 | 중소기업 |
상장여부 | 비상장기업 |
차량 대수 | 104대(2025년 9월 30일 기준) |
직원 수 | 253명(2024년 12월 기준) |
자본금 | 4억원(2024년 기준) |
매출액 | 162억 7,920만 7,675원(2024년 기준) |
영업이익 | -14억 1,441만 4,239원(2024년 기준) |
순이익 | -2만 2,686원(2024년 기준) |
자산총액 | 159억 2,117만 714원(2024년 기준) |
부채총액 | 158억 6,595만 8,149원(2024년 기준) |
부채비율 | 99.65%(2024년 기준) |
자회사 | 지와이씨 |
소재지 | 본사(대화)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수길 105 (대화동, 고양공영차고지) 문봉영업소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동국로 283-35 (문봉동) 김포대학영업소 -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김포대로2970번길 117 (포내리) |
전화번호 | 대화영업소: 031-921-0122 문봉영업소: 031-968-6624 김포대학영업소: 031-997-9590 |
1. 개요
| |
일반버스 88B번 | 직행좌석버스 1001번 |
경기도 고양시를 연고로 하는 버스 회사이다.
본사는 고양공영차고지에 있으며, 문봉동과 김포대학 인근에 영업소를 두고 있다.[1]
2. 역사
- 2004년 6월 9일에 선진버스가 고양영업소 노선들을 분리하면서 버스 사업에 진출하였다.
- 2005년 1월에 김포선진여객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 2007년 8월에 고양교통으로 사명이 환원되었다.
- 2010년 7월에 선진그룹으로부터 독립하였다.
3. 특징
3.1. 회사 관련
- 선진그룹의 계열사로 설립된 업체이다. 그래서 고양교통의 차량 중에 김포시 면허인 경기 79바로 등록된 차량이 있는 이유가 그것이다. 2010년에 선진그룹에서 분리되었다. 그래서 신동아교통이 M7119번을 입찰받고 바로 고양교통으로 양도해 운행하지 못하고 일산엠버스를 설립한 후 차고지를 새로 만들었다.
- 고양시 면허를 보유한 회사지만 명성의 규모가 워낙 크기 때문에 고양시에서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적다. 하지만 일산신도시에서 수요가 많은 일반버스인 88번을 운행하고 가스 충전소를 보유하고 있어서 영향력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그리고 명성과 마찬가지로 고양시 면허를 보유한 버스 회사답게 고양시청의 지원이 탄탄하다.
- KD 운송그룹의 일산영업소 소속 노선들은 9700번을 제외하고 모두 고양교통의 본사에서 가스를 충전하고, 바로 위에 차고지가 위치한 선진버스의 M7119번도 고양교통의 충전소에서 가스를 충전한다. 대덕운수에서 자체적으로 만든 충전소를 이용하는 마을버스들을 제외하면 마을버스들도 고양교통 본사에서 충전한다.
- 김포시, 마포구, 은평구, 서대문구, 고양시, 파주시에 살면서 버스 경력을 쌓으려는 초보자들이 많이 찾아오는 회사이다. 초보자들이 마을버스보다 더 좋은 환경에서 근무하고 싶은 경우 고양교통에 입사 서류를 많이 제출하였다. 초보 기사를 받는다는 입소문이 퍼지게 되자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초보자들이 고양교통에 입사하여 경력을 쌓고 나서 귀향하는 사례도 흔하게 볼 수 있었다. 지원 서류가 산더미같이 쌓인 현재는 1종 대형을 취득하고 1년이 넘었거나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실시하는 버스운전자양성교육을 이수한 사람에게만 입사를 허락한다. 그리고 초보자를 받아주는 것도 내부 상황에 따라서 달라진다.
3.2. 차량 관련
- 경기도 시내버스에서 최초로 에코드라이브를 도입한 회사였다. 운전자 코드를 입력해 기사가 이 날은 어떤 수준으로 운전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하지만 어떤 차량은 천천히 운전해도 연비가 나오지 않는데 어떤 차량은 과속을 자주 해도 연비가 나쁘지 않게 나온다. 차량마다 상황이 다르지만 2018년에 에코드라이브 도입의 효과로 10%의 연비 개선을 달성하였다. 2018년부터는 88번, 1001번에 속도제한장치를 부착해 60~70km/h를 초과할 수 없다. 96번과 97번은 이미 설치가 완료되여 70km/h를 넘길 수 없으나 계속 난폭운전을 자행하였고 2022년 9월부터 결국 철거되었다. 김포대학영업소 소속 2018년식 차량들은 110km/h 가량 질주할 수 있는 속도제한장치가 없는 차량도 존재한다.
- 선진그룹 시절에는 자일대우버스 비중이 많았다. BM090과 BS090 등 중형버스를 많이 보유하고 있었으나, 88번을 필두로 고수요 노선이 대폭 늘어나면서 BS110CN과 BC211M 등 저상버스를 도입하였다. 물론 현대버스도 병행하여 도입하였고, 좌석형 NSAC과 SE 저상을 도입하였다. 한때 BH116도 좌석버스로 운용하였으나, 현재는 모두 현대버스로 대차되었다.
- 선진그룹에서 독립한 후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현대버스만 출고하게 되었다. 신규 개통 노선인 95번에 NSAC 신차를 대거 도입한 것을 시작으로 88번과 95번에 입석형 신차를 대거 도입하였다. 입석형 버스는 고상과 저상 모두 회색 기본 손잡이를 적용하였으며, 자동변속기는 ZF를 사용하였다. 2017년 이후에는 저상버스와 고상버스 모두 로우백 시트로 옵션을 바꾸어 개선형까지 출고하였다.[2] 이후 96번, 97번, 1001번에서 운행하던 초기형 좌석형버스도 2 X 2 옵션의 도시형 좌석버스로 전량 교체하였다.
- 2021년 2월에 저상버스[3]를 출고하여 88B번에 투입한 이후로 신차 출고 소식이 없었다가 2년 9개월만인 2023년 11월에 BYD eBus-12를 출고하였다.[4]새로운 본사인 문봉동차고지에 전기충전소가 설치되었기 때문이다. 고양교통이 창립되고 처음으로 출고한 전기버스. 동시에 일렉시티도 출고하였다. 전기버스는 BYD와 현대자동차를 혼용 출고한다.
- 2023년부터 전기버스 도입이 가속화되면서 기존에 남아있던 CNG 고상차량을 중고로 매각하거나 전기 혹은 수소버스로 대차, 혹은 예비로 격하하는 추세로 변했다. 주로 태창운수, 동신운수 등의 강원권 업체로 대거 매각되었으며, 일부 차량은 자가용으로 판매되기도 했다. 또한 부산의 태성여객으로도 일부 차량이 매각되었으며, 현재는 1001번과 시내버스 예비로 남은 일부 고상차량을 제외하면 모두 저상버스로 운행중이다. 다만 CNG 저상차량도 대거 매각되거나 내구연한 만료로 전기 혹은 수소버스로 대차되면서 2025년 9월 기준 88A번에 6대, 95번에 4대만 남았으며[5], 남아있던 고상 차량 중 2017년 이전에 출고한 차량은 모두 휴차되었다.[6]
- 2025년 4월에는 현대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도 출고함에 따라 처음으로 수소전기버스를 출고했다.[7]
- 2025년 9월 기준 현대 7 : BYD 3 비율로 보유하고 있다.
4. 비판
4.1. 열악한 근무 환경
- 마을버스처럼 승객들의 승하차량으로 기사의 근무태도를 평가한다. 특히 88번의 기사로 배정받으면 일정 할당량을 무조건 채우라고 요구했다. 할당량을 채우지 못하면 사무실로 불려가서 질책을 당했으며, 할당량을 채우려는 기사들이 저속주행을 하는 등의 행동으로 할당량을 채우려고 노력했다. 현재는 88번 기사에게만 할당량을 채우라고 요구하며, 다른 노선들은 승하차량이 낮은 기사들의 명단을 프린트하여서 사무실에 붙여놓는다. 공공관리인 88B번도 카드 실적을 본다.
- 초보자들이 경력을 쌓기 위한 용도로 취업하는 회사들이 거의 그렇지만 초보자를 받아주는 것을 빌미로 극심한 갑질이 자행되어 근로 여건이 상당히 열악하다. 그래서 고양교통에는 정규직 기사들보다 비정규직 기사들이 더 많고 마을버스처럼 기사들이 자주 교체된다. 기사들에게 고양교통은 김포운수, 선진버스, 선진상운과 마찬가지로 기사들에게 아오지 탄광이라고 불릴 정도로 악명이 높다.[8] 과거에는 고양교통의 처우가 약간 좋아서 김포운수와 선진버스에서 고양교통으로 이직한 기사들이 많았으나 주 52시간 근무제와 최저임금 인상이 시행된 현재는 고양교통도 별반 다르지 않다. 그래서 빡빡한 배차와 부족한 휴식 시간으로 급가속, 급출발, 신호위반의 빈도가 높다. 요즘은 일부 기사들도 정속한다. 신참 기사들을 우선적으로 배차시키는 88번은 급가속과 급출발이 심하다.
- 경력이 낮은 기사의 경우 경영진은 물론이고 배차실 직원부터 정비사, 사무실 직원, 고참 기사 등 모두가 무시한다. 특히 정비사들은 경력이 낮은 기사의 버스를 빨리 고치지 않으려 한다는 증언도 존재한다.
- 전체적으로 노선들의 배차간격이 매우 나빠졌다. 특히 96번과 97번의 배차간격이 매우 길어졌다.[9] 그만큼 기사가 부족하다는 의미지만 고양교통의 처우는 좋지도 않고 근무 여건도 빡빡하니 신규 기사의 유입이 거의 없다. 버스 기사의 열악한 실태가 알려져 기사 부족이 심해지는 상황에 문제를 해결하려면 모집공고만 붙이는 게 아니라 고양교통의 근무 여건부터 철저히 개선해야 한다.[10] 그나마 88번과 95번, 1001번의 배차는 나쁘지 않은 편이다.
- 한때 열악하기로 손에 꼽혔던 고양교통은 88B번, 1001번의 공공버스 전환 이후 급격한 변화의 길을 걷고 있다. 2024년에는 30%에 달하는 파격적인 임금 인상이 이루어졌으며, 이어 2025년에도 25%의 임금 인상에 합의하며 단숨에 고양시 상위권 버스회사 반열에 올랐다. 다만 아직까지도 신규로 입사를 하면 만근을 일부러 안시켜주는 관행이 있다. 기사가 부족하면 시켜주지만, 기사가 많아지면 다시 시행한다. (3개월 미만일 경우)
4.2. 구두쇠에 가까운 차량 운용
- 2024년 이전에는 LED 행선판을 도입하지 않고 사용하지도 않았다. 예전에는 사용하였으나 2016년 이후 구형 차량들이 모두 대차된 후로는 아예 도입하지 않는다. 버스 번호와 행선지가 적힌 안내 표기 스티커를 앞유리 상단에 붙이고 다닌다. 낮에는 밝아서 번호가 보이지만 밤이면 어두워서 번호와 스티킹이 보이지 않아 불편을 호소하는 승객들이 속출한다. 게다가 차량 관리도 미흡한 편이라 소속 차량들의 상태도 그렇게 좋은 편이 아니다. 하지만 1001번은 2023년부터 경기도 공공버스에 참여하면서 LED 행선판을 다시 도입하였다. 그러나, 88번과 95번은 전기버스를 출고하면서도 스티킹 행선판(...)을 붙이는 등 LED 행선판을 그렇게 애용하지는 않았었다. 게다가 직행좌석버스 1001번도 일부 차량이 슬쩍 LED를 끄고 노선번호를 부착하고 다니기도 하는 등 또 LED를 정리하고 있었지만 2025년 이후로는 전 노선에 LED 행선판이 도입되었다.
- 직행좌석버스인 1001번에 유니버스나 유니시티도 아닌 일반버스에 좌석형 시트를 설치한 뉴 슈퍼 에어로시티로 운행한다.[11] 도시형버스 차종이라서 차량이 크지 않은데 좌석을 무리하게 늘린 탓에 좌석 간격이 좁아서 키가 크거나 다리가 긴 사람들은 불편하게 앉아야 한다.[12] 적지 않은 요금을 내고 편리하게 목적지로 이동하려는 직행좌석버스의 본질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무조건 비용을 아끼려고만 하는 고양교통의 운영 방식 때문에 승객들의 불만이 많다.[13] 물론 공공버스로 전환되어도 기존 차량의 연식이 나쁘지 않은 편이라 그대로 운행하지만 다음에 신차를 출고시에는 어차피 뉴슈퍼에어로시티 고상형이 단종된데다가 무조건 유니버스를 출고해야 하기에 이제껏 지적받아온 차량 크기와 좁은 좌석간격 불편 문제는 어느 정도 해소될 예정이지만 아직까지는 불확실하다.
- 고양시와 파주시는 그동안 자신들이 관할하는 구역을 오래도록 넘나드는 명성, 신성교통, 신일여객에 비해 평판이 좋지 않은 회사로 보는 입장이다. 물론 다른 업체들도 과거에는 무정차와 불친절 및 난폭운전으로 시민들의 민원이 속출하였지만 지금은 열악한 근무환경을 개선하며 많은 요소들이 개선됐다.[14] 그러나 고양교통은 아직도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인해 기사들이 좋은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정확히는 명성, 신성교통[15], 신일여객의 문제점인 난폭운전과 불친절이 점차적으로 해결되자 고양교통의 문제점들이 수면 위로 드러난다고 보는 것이 적합하다.
5. 운행 노선 및 영업소
5.1. 영업소
<rowcolor=#fff> 영업소 | 소재지 | 노선 | 비고 |
본사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수길 105 (대화동 2328) | 88A, 88B, 1001 | |
문봉동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동국로 283-35 (문봉동 278-4) | 95 | |
김포 |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김포대로2970번길 117 (포내리 106-5) | 96, 97 | [16] |
5.2. 일반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96 ♿ [공공관리제][김포대학] | 식사동빌라단지 | 고양가구3단지 - 풍산역 - 저동초교 - 일산경찰서 - 일산동구청 - 백석동.요진와이시티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고촌역 - 풍무역 - 사우역 - 한강메트로자이 - 한강로사거리 - 장기본동행정복지센터 - 누산삼거리 - 백석마을 - 마송 - 통진성당 | 통진두레문화센터.청룡사 | 20~40분 |
97 ♿ [공공관리제][김포대학] | 김포대학교 | 고막리 - 오리정 - 마송 - 백석마을 - 누산삼거리 - 장기본동행정복지센터 - 검은다리 - 일산대교 - 킨텍스 - 대화역 - 주엽역 - 일산동구청 - 강촌마을 - 백석역.고양종합터미널 - 고양경찰서 - 샘터마을 - 무원마을 | 행신역 | 1일 16회 |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88A ♿ [본사] | 고양공영차고지 | 일산서부경찰서 → 대화역 → 주엽역 → 일산호수공원 → 일산동구청 → 호수초등학교 → 백석역.고양종합터미널 → 백송마을 → 국립암센터 → 밤가시마을 → 후곡마을 → 대진고등학교 → 대화역 → 일산서부경찰서 | 백석역 | 5~15분 |
88B ♿ [본사][공공관리제] | 고양공영차고지 | 일산서부경찰서 → 대화역 → 대진고등학교 → 후곡마을 → 밤가시마을 → 국립암센터 → 백송마을 → 백석역.고양종합터미널 → 호수초등학교 → 일산동구청 → 일산호수공원 → 주엽역 → 대화역 → 일산서부경찰서 | 백석역 | 5~15분 |
95 ♿ [문봉] | 식사동빌라단지 | 위시티 - 동국대병원사거리 - 하늘마을 - 중산마을 - 일산컨벤션고등학교 - 일산동구청 - 백석동.요진와이시티 - 고양경찰서 - 화정역.덕양구청 - 고양어울림누리 - 원당역 - 원흥역 - 도래울마을 | 이케아고양점 | 10~20분 |
5.3. 직행좌석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1001 [공공버스][본사] | 고양공영차고지 | 대화역 - 후곡마을 - 국립암센터 - 백석역.고양종합터미널 - 백석동.요진와이시티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아라대교 - 상야동 - 부천테크노파크 - 부천종합터미널 - 송내역 - 중동역 | 부천대학교 | 20~30분 |
5.4. 과거 운행 노선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98 | 뉴고려병원 | 장기사거리ㆍ북변동ㆍ풍년마을.김포고ㆍ풍무동ㆍ고촌ㆍ평교다리ㆍ상야동ㆍ하야동ㆍ부천자원순환센터ㆍ부천터미널소풍ㆍ송내역ㆍ중동역 | 부천대학교 | -분 |
99 | 식사동 | 중산마을ㆍ탄현마을ㆍ탄현역ㆍ주엽고교ㆍ현대백화점ㆍ일산역ㆍ저동중.고교ㆍ국립암센터ㆍ강촌마을8단지ㆍ백신고교ㆍ백석역ㆍ백마역ㆍ풍산역 | 식사동 | -분 |
- 인천 1000번(2기): 구)북변터미널 ~ 인천국제공항
- 김포 1004번(1기): 뉴고려병원 ~ 부천터미널
6. 면허 체계
7. 현재 보유차량
7.1. 현대자동차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일렉시티 전기버스
- 현대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
7.2. BYD
8. 과거 보유차량
8.1. 자일대우버스
- 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110CN F/L 천연가스버스
- 대우 BC211M 로얄하이시티 천연가스버스
- 대우 BH116 로얄럭셔리 디젤
- 대우 BH116 로얄럭셔리 천연가스버스
8.2. 현대자동차
9. 지배구조
2023년 12월 기준주주명 | 지분율 | 비고 |
온영환 | 30.00% | 감사 |
온영삼 | 20.00% | 공동대표이사 |
조남선 | 20.00% | 공동대표이사 |
기타 | 30.00% | 4인 |
10.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시내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경기고속2 | 경기버스 | 경기상운 | |||
경기여객2 | 경기운수 | 대원고속1 | ||||
대원버스 | 대원운수 | 명진여객 | ||||
이천시내버스 | 진명여객2 | 평안운수 | ||||
평택버스 | 화성여객2 | 가평교통 | ||||
김포운수 | 선진버스 | 선진상운 | ||||
선진시내버스 | 연천교통 | 파주여객 | ||||
포천교통 | 포천상운 | 경진여객 | ||||
남양여객 | 소신여객 | 수원여객 | ||||
용남고속 | 제부여객 | 화성운수 | ||||
경원여객 | 써클라인 | 시흥교통2 | ||||
태화상운 | 경남여객2 | 고양교통 | ||||
과천여객 | 군포여객 | 금강고속 | ||||
기흥여객2 | 뉴부일교통 | 뉴신일관광 | ||||
대덕운수 | 대명운수 | 대양운수 | ||||
더버스 | 도원교통 | 동부고속1 | ||||
명성 | 백마운수 | 백성운수 | ||||
보영운수 | 부일교통 | 부천버스 | ||||
산본여객 | 삼경운수 | 삼영운수 | ||||
서울여객 | 성광운수 | 성일운수 | ||||
성남시내버스 | 성우운수 | 신성교통 | ||||
신성여객 | 신일여객 | 양주교통2 | ||||
여산교통2 | 오산교통2 | 와부버스2 | ||||
용남고속버스라인 | 의왕교통2 | 청우운수 | ||||
태산운수2 | 파주교통2 | 평택운수 | ||||
평택여객 | 학의운수 | 협진여객 | ||||
화영운수2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시외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경기고속 | 대원고속1 | 선진고속 | |||
경기공항리무진 | 경남여객 | 경일여객 | ||||
금강고속 | | 동부고속1 | ||||
동양고속1 | 삼화고속1 | 용남고속버스라인 | ||||
중앙고속1 | 한일고속1 |
범례 1: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회원사 2: 마을버스 겸업 업체 | |||
<rowcolor=#fff> KD 운송그룹 계열사 | 선진그룹 계열사 | K1 모빌리티 그룹 계열사 | KST그룹 계열사 |
[1] 본래 본사는 식사동이었으나, 문봉동으로 차고지를 이전하면서 현재의 대화동에 본사를 두게 되었다.[2] 이전에 출고한 고상버스에는 스펀지 시트, 저상버스에는 하이백 시트를 적용하였다.[3] 고양교통에 단 한대 남아있던 2009년식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SE 대차분이다.[4] 출고된 eBus-12는 88A번과 95번에 대량으로 투입되었다.[5] 예비차량 포함[6] 88B번에도 가스 저상차량이 남아있으나, 모두 예비차량이다. 따라서 예비차량 제외한 남은 가스 저상 정규차량들도 대부분 연식이 6~7년이 되었기 때문에(2025년 9월 기준 가장 오래된 연식이 2017년식이다. 2016년 이전 출고된 저상차량은 현재 전부 대차되었다.) 보통 10년 정도 운용하는 고양교통 특성상 앞으로 최소 3~4년 정도 운행하다 전부 대차될 것으로 보인다.[7] 전량 88B번 투입분이다.[8] 김포운수, 선진버스, 선진상운도 대다수의 기사들이 경력을 쌓고 다른 업체로 이직하려고 잠시 거쳐가는 점이 고양교통과 동일하다. 과거 삼영운수와 보영운수도 이러한 경향이 있었으나 나중에 회사의 사정이 개선되었다.[9] 이중에서도 97번의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10] 애초에 기업에서 인력부족 문제는 기업 측이 근무 여건을 개선해야 해결될 수 있다.[11] 이 문제는 선진운수에서 운행했던 9701번, 9707번과 현재도 운행중인 신일여객의 9710번도 가지고 있는 문제이다. 예비까지 넓히면 KD 운송그룹 소속 대원운수의 NEW BS106 직행좌석버스와 포천시 선진시내버스와 포천교통, 연천시 연천교통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에 투입되는 뉴 슈퍼 에어로시티 예비차 등의 문제도 있다. 하지만 이 노선들과 업체들은 주변 경쟁업체의 반발이라던지 등 이유가 조금은 있는 반면(괜히 선진운수가 일산권 광역버스 업체의 최대 피해자라는 불명예가 나온 것이 아니다.), 고양교통은 아무런 이유도 없이 투입한 상황이기 때문에 더욱 심하게 까인다.[12] 에어로시티 차량은 전장이 11m라서 좌석이 맨 뒷줄 포함 10줄을 초과하면 간격이 매우 좁아진다. 과거에 운행했던 에어로시티 차량의 경우 맨 뒷줄 포함 10줄(2×2배열 34인승) 차량이여서 간격이 일부 자리를 제외하면 괜찮았으나 새로 출고한 차량들은 좌석이 1줄 늘어난 38인승이여서 좌석간격이 매우 좁다. 쿠션 크기도 고정식 시트보다 리클라이닝 시트가 더 크기 때문에 체감상 더 좁게 느껴진다.[13] 다만 타 업체랑 비교했을 때 9701, 9707, 9714번은 문제가 되는 1001번보다도 옵션이 나쁜 편이다. 1001번은 맨 뒷줄 포함 11줄인 38인승이라 좌석 간격이 좁고, 여유공간이 많이 부족하지만 나름 구형 차량을 신형 차량으로 꾸준히 대차하고, 유일하게 리클라이닝 시트이다. 두번째로 사정이 괜찮은 제일여객의 9714번도 좌석은 무리클이지만, 2014년식 이후의 차량들을 투입하기도 했다. 가장 문제가 심각한 건 선진운수 노선들인데, 2011~2013년에 출고한 구형 차량들이 주력이다. 역시 전차량 및 전좌석 무리클인건 덤. 몇 년 전에는 서울 신성교통 일산영업소 출신의 서울매일버스 9703번, 9711번, 동해운수, 신촌교통의 일부 노선들도 이 문제가 있었으나, 이 회사들은 주력 차종 자체는 현대 유니버스며, 동해운수와 신촌교통은 전부 일반시내버스로 전환했기 때문에 어느 정도 개선이 된 편으로 둔다. 다만 현재는 상황이 많이 달라졌는데, 우선 제일여객의 9714번은 폐선되어 운행했던 차량들은 신차로 교체된 뒤 타 노선으로 이동했고, 선진운수도 9701번은 간선버스로 형간전환된 뒤 신차로 교체되었으며 9707번도 신차로 교체되었다. 현재 7권역에서 유일한 뉴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버스 운행사는 고양교통 뿐이다.[14] 특히 명성운수의 경우 과거에는 근무환경이 열악했었고, 이러한 기사들의 처우와 노선 운영상의 문제점들을 따로 문서까지 생성될 정도였지만 근무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현재는 처우가 그리 나쁘다고 볼 수 없다. 기사 수급에 어려움을 겪어 무경력자도 채용하는 다른 업체들과 달리 명성운수가 여전히 경력자만 채용하는 점이 그 증거이다. 또한 명성운수 특유의 강성노조로 인해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전까지는 명성은 경기도에서 복지가 좋은 회사였다.[15] 다만 신성교통은 임금체불과 4대 보험 미납으로 다시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16] CNG 충전은 문봉동 본사에서 실시한다. 97번은 행신역 종료 후 공차회송을 실시한다.[공공관리제] 공공관리제 노선[김포대학] [공공관리제] [김포대학] 김포대학영업소 소속[본사] [본사] [공공관리제] [문봉] 문봉영업소 소속[공공버스] [본사] 일산본사 소속[27] 고양교통 주 면허.[28] 고양시의 시내버스와 마을버스에게 부여되는 증차 면허이다.[29] 김포시 면허로 선진버스에서 받은 면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