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시내버스 | 군포교통[a] | 보성운수 | 서울매일버스[a] | 태진운수[b] | ||||||||
마을버스 | 개웅운수 | 고척운수 | 구로운수 | 서북교통 | |||||||||
수빈(수현)운수 | 신오류운수 | 오봉운수 | |||||||||||
없어진 버스 회사 | |||||||||||||
시내버스 | 광명운수[a] | ||||||||||||
[a] 주사무소는 경기도에 소재 / [b] 구로구 이외 지역에 면허를 둔 업체 | |||||||||||||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 |
서울매일버스 주식회사 Seoulmaeil Bus Co., Ltd. | |
설립일 | 1971년 4월 1일 |
업종 | 시내버스 운송업 |
대표자 | 정평조 |
주요 주주 | 정평조: 60% 정명희: 28% (2021년 12월 31일 기준) |
기업구분 | 중소기업 |
상장여부 | 비상장기업 |
직원 수 | 208명(2021년 12월 31일 기준) |
자본금 | 16억 2,820만원(2021년 기준) |
매출액 | 225억 5,436만 9,186원(2021년 기준) |
영업이익 | 1억 7,036만 182원(2021년 기준) |
순이익 | -4,596만 1,711원(2021년 기준) |
자산총액 | 127억 4,390만 890원(2021년 기준) |
부채총액 | 126억 3,973만 9,641원(2021년 기준) |
부채비율 | 12,134.78%(2021년 기준) |
소재지 | 본사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평촌대로 452 (비산동) 일산영업소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경의로789번길 3 (대화동) 면허등록지 - 서울특별시 구로구 고척로 128 (개봉동)[1] |
[clearfix]
1. 개요
경기도 안양시와 고양시에 연고를 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차고지는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평촌대로 452(舊 비산동 14-8)에 있으며, 면허등록지는 서울특별시 구로구 고척로 128(舊 개봉동 126-32)로 되어 있다.[2]1963년 금호그룹이 설립해서[3] 1968년 7월 10일에 급행10번(훗날 도시형버스 26번, 현 지선버스 5535번)을 한성운수로, 1969년 좌석버스 89번(훗날 도시형버스 104번, 현 지선버스 5623번)을 유진운수로 각각 분리 독립시켰다가 1971년 3월 29일 금호그룹에서 계열 분리[4]와 동시에 안양교통으로 재창립되었다.
금호그룹 자회사에서 계열분리와 동시에 안양교통으로 변경되었을 당시 면허등록지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교북동으로 되어 있었고, 차고지는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6동에 있었다. 1990년에 주사무소를 만안구 안양6동에서 현재의 동안구 비산3동으로 옮겼고, 1992년 10월 1일 면허등록지를 종로구 교북동에서 서대문구 충정로2가 113-1번지로 이전한 데 이어, 1993년 3월 4일 구로구 지역 마을버스를 오봉운수로 분리독립시키면서 마을버스 사업에서 철수하였다.
안양에서 출발하는 세 노선 모두 비산3동차고지 ~ 금천우체국까지 공통이다.[5] 모두 지선버스이고 5권역 노선이다.
비산3동차고지에는 가스 충전소가 없다. 5625번과 5713번은 안양공영차고지나 서울교통네트웍 소하동 영업소에서, 5626번은 회차지인 온수공영차고지에서 충전한다. 최근에 인수한 일산의 9703번과 9711번도 여전히 고양공영차고지나 동해운수 차고지에서 충전한다. 또한 비산동 노선들은 모두 다 면허순 배차를 실시하여 운행한다.[6]
잘 언급되지 않지만 이 회사는 차량 관리가 상당히 미흡하다. 특히 9711번의 경우 서울 신성교통 시절 차를 험하게 굴린데다가 이 회사도 차 관리가 부실해 해당 업체 소속 유니버스의 누수, 엔진 굉음은 기본이고[7] 한 달에 몇 번씩 차가 퍼지는게 일상이다. 또한 2010년식 유니버스 차량을 대차하지 않고 12년 넘게 굴리고있다.[8]2021년 말 기준 노사갈등도 있다.[9]
2021년 4월 27일 자로 대전광역시 택시업체인 매일상운에 인수되면서 사명이 안양교통에서 서울매일버스로 변경했다. 그런데 교체된 사명 글자체가 명조체다 보니, 너무 촌스럽고 어색하다는 평이 많다.
2021년 5월 1일 부로 신수교통이 운행하던 9703번과 9711번 노선을 넘겨받았다. 관련 공문[10] 물론 당연하게도, 안양이라는 이름을 달고 고양 지역을 돌아다니면 혼선이 있을 수 있고 회사의 정체성에도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이 노선 인수로 인해 이름을 바꾼 것이라고 회사에서도 밝혔다. 특히 이번 사명 및 업체변경은 회사에서도 특별히 공을 들인 것이, 노선변경이 아닌 운행업체 변경을 차내 승객에게 게시하는 경우가 대단히 드문 현상임을 생각하면 이례적인 일이다.
2021년 12월 넷째주 본사 차고지에 전기버스 충전소를 설치하였다.
2. 운행 노선
2.1. 안양본사 소속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5625 | 비산동 | 안양종합운동장 - 비산사거리 - 안양역 - 관악역 - 시흥사거리 - 금천우체국 - 구로디지털단지역 - 신풍역 - 우신초등학교 - 신길역 | 영등포역 | 8~15 |
5626 | 비산동 | 안양종합운동장 - 비산사거리 - 안양역 - 관악역 - 시흥사거리 - 금천우체국 - 디지털단지오거리 - 구로구청 - 구로역 - 개봉역 - (← 개봉푸르지오 ←) - 오류동역 - 온수역 | 온수동종점 | 7~14 |
5713 | 비산동 | 안양종합운동장 - 비산사거리 - 안양역 - 관악역 - 시흥사거리 - 금천우체국 - 구로디지털단지역 - 신풍역 - 영등포공원 - 여의도역 - 여의나루역 - 광흥창역 - 신촌로터리 | 신촌기차역 | 8~17 |
2.2. 일산영업소 소속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9703 | 탄현역 | 탄현마을 - 중산마을 - 하늘마을 - 동국대병원사거리 - 고양시청 - 원당역 - 원흥동 - 스타필드고양 - 구파발역입구 - 연신내역 - 불광역 - 홍제역 - 독립문역 → 경복궁역 → 세종문화회관 → 숭례문 → 서대문경찰서 → 독립문역 | 서울역 | 15~25 |
9711 | 일산동부경찰서 | 일산동구청 - 백석역 - 행신동 - 항공대입구 - DMC첨단산업센터 - 서울월드컵경기장 - (→ 강변북로 →/← 올림픽대로 ←) - 신사역 - 강남역 - 양재역 | AT센터 | 9~18 |
3. 차량 관련
창립 초기부터 현대자동차 차량을 주로 출고해왔으며, 1970년대에 아시아 P9AMC와 1980년대에 새한 BF101이 투입되었던 적도 있었다. 2006년 초까지는 디젤 버스만 뽑았다가 그 해 중반부터 천연가스버스를 첫 도입했다. 저상버스는 2015년 11월 5626번에 처음으로 투입되었다. 자동변속기는 ZF 에코라이프 6단이다. 뉴 슈퍼 에어로시티 SL 디젤 일부는 파주 신일여객에 중고로 매각했다.2021년에는 신수교통으로부터 광역버스를 넘겨 받으면서 고급좌석인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도 넘겨받아 운행한다.
여담이지만 당산철교 셔틀버스 중 유일하게 에어로시티로 운행한 업체이기도 하다.
2022년 1월 5일에 자사에서 전기버스로 30년만에 현대차 이외의 브랜드를 출고했으며[11] CRRC 그린웨이를 도입했다. 또한 하이퍼스를 수입하는 업체와 그린웨이를 수입하는 업체가 서로 계열관계라 하이거 하이퍼스1611도 도입했다.
4. 면허 체계
- 서울 74사 6701 ~ 6798호[12]
- 서울 74사 7405호, 7435호, 9919호, 9921호, 9922호 [13]
- 70사 17##, 24##, 70##[신수]
- 75사 12##, 14##, 26##[신수]
5. 보유차량
5.1. 현재 보유차량
5.1.1. 현대자동차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천연가스버스
5.1.2. 하이거
5.1.3. CRRC
5.2. 과거 보유차량
5.2.1. 현대자동차
- 현대 R182 디젤
- 현대 HD160 디젤
- 현대 HD170 디젤
- 현대 FB485 디젤
- 현대 RB520 디젤
- 현대 RB520L 디젤
- 현대 RB520S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520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520S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540S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S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SL 디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SL 디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5.2.2. 자일대우버스
5.2.3. 기아
6. 지배구조
2021년 12월 기준주주명 | 지분율 | 비고 |
60.00% | 대표이사 | |
28.00% | ||
9.00% | ||
3.00% |
7.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시내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안양시 | 보영운수 | 삼영운수 | 화영운수공공 | |
군포시 | 군포여객 | 산본여객 | 경기고속공공 | 보영운수공공 | |
과천시 | 과천여객 | ||||
의왕시 | 의왕교통공공 | 학의운수 | |||
서울특별시 | 군포교통 | 대원여객 | 서울매일버스 | 우신버스 | |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목록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마을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안양시 | 학운교통 | 호계운수 | 동안운수 | 만안교통 |
편안운수 | 대성운수 | 평촌교통 | 신안운수 | ||
군포시 | 군포운수 | 행복운수 | 사랑교통 | 오성교통 | |
과천시 | 과천운수 | ||||
의왕시 | 덕장운수 | 백운여객 | 의왕운수 | 의왕교통 | |
청계운수 | 학의운수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고양시 | 가온누리엠 | 고양교통 | 명성운수 | 서울여객 | 선진버스 |
서울특별시 | 동해운수 | 서울매일버스 | 선진운수 | 신촌교통 | ||
고양시 마을버스 회사 목록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colcolor=#fff> 강남구 | 도선여객 | 정평운수 | |
강동구 | 서울승합 | |||
강북구 | 동아운수 | 선일교통 | 삼양교통 | |
영신여객 | 한성운수 | |||
강서구 | 공항버스 | 김포교통 | 영인운수 | |
정평운수 | 다모아자동차 | |||
관악구 | 관악교통 | 보성운수 | 한남여객운수 | |
광진구 | 신흥운수 | |||
구로구 | 군포교통 | 보성운수 | 서울매일버스 | |
태진운수 | ||||
금천구 | 범일운수 | 보영운수 | 신인운수 | |
노원구 | 흥안운수 | 삼화상운 | 한성여객 | |
진아교통 | 태릉교통 | |||
도봉구 | 서울교통네트웍 | 아진교통 | ||
마포구 | 다모아자동차 | 유성운수 | ||
서대문구 | 서부운수 | 신촌교통 | 원버스 | |
현대교통 | ||||
서초구 | 대흥교통 | 삼성여객 | 우신운수 | |
우신버스 | ||||
성동구 | 태진운수 | 대원교통 | 대원여객 | |
성북구 | 대진여객 | 도원교통 | 상진운수 | |
성원여객 | ||||
송파구 | 남성버스 | 동성교통 | 대성운수 | |
서울버스 | 송파상운 | 진화운수 | ||
한국brt | 한서교통 | |||
양천구 | 관악교통 | 도원교통 | 세풍운수 | |
신길교통 | 양천운수 | 중부운수 | ||
은평구 | 보광교통 | 신수교통 | 선진운수 | |
원버스 | 유성운수 | 제일여객 | ||
종로구 | 동해운수 | |||
중랑구 | 경성여객 | 대원교통 | 메트로버스 | |
보광운수 | 북부운수 | |||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 ||||
동대문구 | 동작구 | 영등포구 | 용산구 | |
범례 | ||||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 흥안운수 계열사 | 다모아자동차 계열사 | KD 운송그룹 계열사 | |
서울특별시 관외에 차고지를 둔 시내버스 회사 목록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colcolor=#fff> 광명시 | 범일운수 | 보영운수 | 세풍운수 | 한성운수 |
고양시 | 동해운수 | 서울매일버스 | 선진운수 | 신촌교통 | |
부천시 | 신길교통 | ||||
안양시·군포시·의왕시 | 서울매일버스 | 군포교통 | 대원여객 | 우신버스 | |
성남시 | 남성버스 | 동성교통 | |||
구리시 | 대원여객 | ||||
남양주시 | 태릉교통 | ||||
의정부시·양주시 | 대원여객 | 제일여객 | |||
파주시 | 신수교통 | 제일여객 |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목록 |
[1] 상법상 본점[2] 해당 주소에는 현재 평범한 상가 건물이 들어서 있다. 정확히는 5626번이 정차하는 개봉푸르지오아파트 앞의 작은 상가다. 또한 여기에 얽힌 이야기로 원래는 안양이 속한 시흥군에서 면허를 발급받으려다가 퇴짜를 맞아서 할 수 없이 종로구 교북동에 사무실을 차려 놓고 서울특별시 면허로 설립했다는 설이 있다.[3] 금호타이어의 옛 이름인 삼양타이어공업이 삼양여객과 같은 이름이었다.[4] 유수현씨에게 양도했다. #[5] 5626은 금천우체국 이후 남문시장.청춘삘딩, 독산고개 순으로 가고, 5625와 5713은 비산3동차고지 - 우신초등학교까지 공통이지만 5625는 영등포농협.신길2동새마을금고, 5713은 영등포공원 방향으로 간다. 5625번은 이후 영등포역으로 가고, 5713번은 여의도와 서강대교를 거쳐 경의선신촌역으로 간다. 5626번은 시흥IC에서 구로동, 고척동을 거쳐 온수공영차고지로 간다.[6] 주로 부산에서 많이 보이는 형태로 신한여객, 유한여객, 신성여객 등이 해당 배차순번을 실시한다. 서울에서는 보기 드문 케이스. 이 회사 외에 면허순 배차를 하는 서울 회사라면 신흥운수도 하는 방식이다.[7] 이는 다른 노선에서 넘어온 NSAC 차량도 그렇다. 다만 이 차량도 2012년식으로 노후차는 맞다.[8] 다만 9711번의 이런 문제는 미흡한 차량 관리 때문이기는 하지만 장거리 노선과 좋지 않은 근무환경으로 인한 기사들의 난폭운전 때문이기도 하다.[9] 이후 9711번의 장거리 혹사 운행과 출퇴근 시간을 휴식시간으로 지정하는 등 근로기준법 관련한 논란이 일어 여러 뉴스에 보도되었다. 신수교통과 달리 아직 경기교통의 망령이 약간이나마 남아있는 셈. 노사갈등과 기사 처우 열악함 등. 막장성이 서울에서도 끝판왕인 선일교통, 선진운수, 우신운수, 태릉교통, 범일운수나 그나마 막장성이 덜하고 개선중인 한성운수, 북부운수, 동아운수, 송파상운 정도는 아니지만 서울매일버스도 당분간 웬만해서는 입사를 거르는게 나을 듯. 증거자료[10] 1997년에 703번 좌석버스가 형간 전환된 이후로 24년만에 운행하는 좌석버스다.[11] 전기버스를 뽑기 이전만 해도 현대차 이외 제조사는 구로01번에 투입할 코스모스를 뽑은 것이 마지막이었다.[12] 본 회사 주면허[13] 구.우성버스 출신 면허로, 모두 5713번에서 운행중이다.[신수] 신수교통으로부터 넘어온 면허.[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