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3 20:57:14

구의교통


파일:광진구 CI.svg 서울특별시 광진구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시내버스 신흥운수
마을버스 광장운수 구의교통 한빛운수
사라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 신흥기업[c][d]
공항리무진 대원공항[a]
[a] 광진구 이외 지역에 주사무소를 둔 업체 / [b] 경기도에 주사무소를 둔 업체 / [c] 광진구 이외 지역에 면허를 둔 업체 / [d] 후신 법인인 신흥운수에게 노선과 회사 운영권 이관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성서교통 계열사
서울특별시 의정부시
성서교통 구의교통 금천운수 일상교통 가능교통
구의교통 주식회사
九宜交通 株式會社
Guui Transportation Co., Ltd.
설립일 1995년 6월 13일[1]
업종 마을버스 운송업
대표자 신을수, 주관채
기업구분 중소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보유대수 18대(2024년 12월 기준)
직원 수 14명(2025년 11월 13일 기준)
자본금 5,000만원(2023년 기준)
매출액 27억 7,396만원(2023년 기준)
영업이익 -3억 1,309만원(2023년 기준)
순이익 -1억 8,352만원(2023년 기준)
자산총액 28억 7,171만원(2023년 기준)
부채총액 15억 9,704만원(2023년 기준)
부채비율 125.29%(2023년 기준)
사무실 서울특별시 광진구 뚝섬로49길 36 (자양동)
차고지 서울특별시 송파구 한가람로 437 (풍납동)
전화번호 02-453-0388

1. 개요2. 역사3. 상세4. 면허 체계5. 운행 노선6. 현재 보유차량7. 과거 보유차량

1. 개요

서울특별시 광진구마을버스 업체로, 성서교통 계열의 마을버스 업체이다.

운행 노선은 광진02번광진03번, 광진04번이다.

본사 사무실과 차고지는 각각 광진구 뚝섬로49길 36, 송파구 한가람로 437에 위치하고 있다.[2]

2. 역사

  • 1990년대 중반: 중곡운수로 설립
  • 2004년 4월 26일: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

3. 상세

  • 한빛운수와 같이 과속, 난폭운전이 잦은 편이다. 특히 '광진경찰서 ~ 광진구청'의 구의동 구간은 커브길인데도 불구하고 빠른 속도로 달리는 것이 예삿일이며, 급하게 다니는 것이 일상이다. 이는 운행시간표가 지나치게 빡빡하기 때문인데 실제로 광진04번의 경우 중곡아파트와 강변역42분[4]안에 돌아야 하며 배차간격에 비해 차량대수가 부족하다 보니 휴식 시간도 매우 짧다.[5] 하지만 기사들은 대체로 친절한 편이다. 보통 차고지와 회차지에서 출발시각을 말하며 광진03번과 광진04번이 하나의 무전망으로 배차를 조율하는 형태이다.[6]
  • 수도권에서 보기 힘든 면허순 배차 업체이기도 하다.[7] 노선별로 면허가 고정되어 있는데, 광진03번은 3300호대, 광진02번과 광진04번은 1000호대로 일관되어 있다.
  • 중형버스가 운행하는 03번, 04번 승무사원들의 평균적으로 버스를 최소 20년, 길게는 30년 넘게 운전한 베테랑 기사들이다. 주로 오랜 시간동안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에서 근무하다가 정년퇴직 후 촉탁직으로 입사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회사 설립 당시부터 두 노선에서 오랫동인 몸 담고 운행해오는 기사들도 있다. 기사들의 연령대가 상당히 높다보니 BIS에 어색하고 무전기에 익숙한 중노년층 승무원을 위한 배려 차원으로 무전기를 아직도 고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8] 오랜 시간동안의 시내버스 경력으로 정년퇴직한 베테랑 승무원이 촉탁직으로 마을버스 운전대를 잡는다는 점은 한강 반대편의 신수동마을버스도 비슷한 케이스.[9] 두 노선과 반대로 광진02번은 버스를 처음 시작하는 무경력자들이 대다수이다.
  • 이전부터 현대버스 위주로 도입하였으며, 코스모스도 운용하였다. 이후 글로벌900부터는 현대버스만 도입하고 있으며, 2024년부터 전기 저상버스를 도입하여 광진04번에 투입하였다.[10]

4. 면허 체계

  • 서울 71 사 10##호 : 광진구 마을버스 면허
  • 서울 75 사 33##호 : 광진구 마을버스 면허

5. 운행 노선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광진02[11] 긴고랑종점 중앙상회 - 벨마트 - 긴고랑입구 → 용마초등학교 → 중곡보건지소 군자역 20~30
광진03[12] 중곡119안전센터 대원고 - 대순진리회 - 신성시장입구 - 영화사입구 - 아차산역사거리 - 선화예중고 - 구의사거리 - 광진경찰서 - 광진구청 - 구의역 강변역.
테크노마트(C)
8~16
광진04[13] 중곡아파트 면곡시장 → 중곡역입구 → 용마사거리 - 중곡우체국 - 중곡보건지소 - 대공원후문.아차산역 - 선화예중고 - 구의사거리 - 광진경찰서 - 광진구청 - 구의역 10~16

6. 현재 보유차량

6.1. 현대자동차

7. 과거 보유차량

7.1. 현대자동차

7.2. 기아


[1] 중곡운수 설립일. 구의교통 법인 설립일은 2004년 4월 26일이다.[2] 원래는 차고지와 사무실 둘 다 광진구 용마산로 101에 있었다가 최근 토지 계약이 종료되어 새로운 사무실로 옮겼다.[3] 또 다른 한 곳은 광장운수. 다만, 구의교통은 구형이지만 영어 방송이 나오며, 광장운수는 상대적으로 신형이지만 영어 방송이 나오지 않는다.[4] 출퇴근 시간에는 아무리 빨리 달려도 30분 정도가 걸린다. 주말에 차가 안 막히고, 승하차량이 적으면 그나마 편도 20~22분 정도를 찍고 42분을 지킬 수 있다. 현재 통용되는 시간표를 보면 편도 25분, 그래도 왕복 50분이다. 그나마 2024년 이후로는 나아져서 60분 이상을 주는 편.[5] 예전에는 광진04번은 쉬지 못하고 계속 돌 정도로 빡빡했으나 두 노선 모두 나름대로 차량 교체 후 상황이 나아졌다. 보통 5분 ~ 10분 정도는 쉴 수 있다고 한다.[6] 차고지에서 출발할 때는 몇 호 몇 분, 강변에서 출발할 때는 강변 몇 분이라 한다.[7] 주로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에서 보이는 방식으로, 신한여객이나 신성여객에서 자주 보인다. 서울에서는 신인운수, 서울매일버스, 한서교통, 신흥운수 정도에서만 보인다. 경기도에서도 협진여객 외에는 시행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다.[8] 이렇게 된 이유는 일단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도 80~90년대나 개편전에는 무전기로 배차간격을 조절했다. 그러다가 준공영제 도입도 있거니와 시내버스 자체가 지자체의 관리나 간섭을 직접적으로 받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흐르고 BIS 도입과 함께 무전기를 가급적 철거하고 지양하며 BIS로 차츰 바꾸어 나가고, 설령 일부 시내버스 회사들이 무전기를 계속 사용해도 차량에 장착해서 사용하는 배차조율 목적의 차량용 무전기가 아닌 흔히 손에 들고다니는 무전기로써, BIS의 먹통이나 고장나서 비상용으로만 무전기를 사용하는 추세이나, 마을버스는 그다지 지자체에서 회사 상대로 간섭을 그다지 하지도 않고 도로 사정도 잦은 급경사나 골목길, 주민들의 갑툭튀, 불법주차, 쓰레기 무단투기 등으로 매우 열악하기 때문에 생생한 정보가 필요하며, 2020년대 이후로 시내버스에서 정년퇴직한 개편전 출신의 기사들이 마을버스에 재입사하는 일도 많음을 간과한 배려 차원으로 무전배차를 고수하는 부분이 있다.[9] 하지만 신수동마을버스의 기사들은 난폭운전이 심한 구의교통과는 달리 모범적인 운행 태도를 위해 소속 승무원에게 안전운전과 정속을 독려하기 때문에 아무리 20년이 넘는 베테랑 승무원이 많다 하더라도 무사고 경력의 기사들 위주로 매우 깐깐하게 승무원을 채용한다. 상황에 따라서는 그 유명한 신길교통, 한국brt, 선진운수, 서울 KD와 비슷한 난이도로 승무원을 채용한다고 한다.[10] 광진03번은 신성시장 골목길의 좁은 폭으로 인하여 투입이 제한되며, 광진02번은 소형버스로만 운행중이다.[11] 구 1번[12] 구 2번[13] 구 3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