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11:43:23

신길교통

파일:양천구 CI.svg 서울특별시 양천구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시내버스 관악교통 도원교통[a] 세풍운수
신길교통 양천운수 중부운수
마을버스 목동운수 신목교통 우리교통
없어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 화곡교통
[a] 양천구 이외 지역에 주사무소를 둔 회사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

파일:부천시 CI.svg 경기도 부천시 시내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부천시 도원교통 부일교통 부천버스 성광운수 성일운수
소신여객 청우운수 태현교통 뉴부일교통
서울특별시 신길교통
부천시 마을버스 회사 목록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신길교통 주식회사
新吉交通 株式會社
Singil Transportation Co., Ltd.
설립일 1970년 8월 11일[1]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이강식
모회사 ESG퍼블릭모빌리티
주요 주주 ESG퍼블릭모빌리티: 80%
신길운수: 20%
(2023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 중소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329명(2023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 30억 6,250만원(2023년 기준)
매출액 314억 5,817만 216원(2023년 기준)
영업이익 24억 2,474만 1,213원(2023년 기준)
순이익 12억 5,710만 8,875원(2023년 기준)
자산총액 488억 2,013만 6,834원(2023년 기준)
부채총액 191억 9,911만 9,718원(2023년 기준)
부채비율 64.82%(2023년 기준)
소재지 본사 - 서울특별시 양천구 월정로 117 (신월동)
부천영업소 -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부일로 158 (상동)

1. 개요2. 역사3. 특징4. 운행 노선
4.1. 신월1동(본사) 소속4.2. 부천영업소 소속
5. 운행 중지, 폐지, 변경 노선
5.1. 2004년 개편 이전5.2. 2004년 개편 이후
6. 면허 체계7. 보유차량8. 갤러리9. 지배구조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서울606.png 파일:서울652AJS.jpg
606번 652번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로, 6권역(양천구, 강서구 + 부천시)을 중심으로 활약하는 버스 회사다.

2. 역사

1970년 8월 11일 설립했으며, 창업 당시 사명은 세원버스(世原―)[2]였으나 이 회사의 간판 노선인 588번영등포구 신길동으로 차고지를 옮기면서 신길운수로 사명을 변경했으며, 신길동차고지가 폐쇄되고 양천구 신월1동으로 이전한 후에도 회사명은 바꾸지 않았다. 노선이 이래저래 바뀌고 신설과 폐선을 반복하다 보니, 어느 새 보유 노선 중 신길동에 들어가는 노선은 단 하나도 없다. 신길동에 안 들어가는 회사이지만, 그나마 신길동에 가장 가까이 가는 노선은 영등포로터리에서 회차하는 661번이다.

현재는 양천구 신월1동 본사[3]부천시 상동[4] 서촌사거리 부천자동차매매단지 옆에 상동영업소가 있다.

1980년대 남부운수좌석버스 62번[5]공동 배차로 운행했다가 1988년 남부운수가 공동 배차에서 철수해 본 회사가 단독 운행으로 변경과 동시에 남부운수 운행분 모두 양수받았다.

2004년 서울 시내버스 개편 전에는 시내버스 588번으로 유명한 회사였다. 물론 그 곳과는 관계없고, 604번 항목에도 있지만 최초 신설 당시 어린이대공원을 경유하는 노선에 500번대 번호를 붙인 데서 유래했다.[6] 588번의 성공으로 인해서인지 다른 노선의 번호도 뒷자리를 88로 만들었다. 488번, 388번[7]이 그 예. 이후 2004년 개편 전까지 신길교통의 일반버스 노선은 1985년 보성운수에서 사온 106번을 제외하고 전부 'X88번'이었다.[8] 현재 회사 이메일 주소 앞자리도 sinkil588이다. 지금도 종종 신길교통 본사를 588번 종점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604번으로 바뀐 오늘날에도 신길교통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하는 노선이다 보니 노년층 이용객이나 고참 승무원들도 604번을 588번으로 부르거나 신길교통의 대다수 직원들은 근무 중 본사를 칭할때 간단하게 588번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2004년 개편 당시 한국brt에 출자했으며, 대원여객, 대원교통, 범일운수, 세풍운수와 더불어 서울 버스 회사 중 전 차량 자일대우버스인 회사였으나 2014년 12월 에코라이프가 달린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저상버스를 출고하면서 100% 자일대우버스 기록이 깨졌다. 하지만 2015년 2월에 서울특별시 최초로 유로6 NEW BC211 CNG 2대를 출고하여 604번에 투입했고 CNG+입석형 조합으로는 최초였다. 이후 동년 12월에 뉴 슈퍼 저상을 도입하였고 2024년에는 자일대우버스의 공장 폐쇄로 인한 부품 수급 문제로 준저상버스는 9년만에 칼대차시켰다.

사실 자일대우버스의 서울 지정 정비공장인 만리공업사의 소유가 이 회사여서 한동안 자일대우버스만 운행한 이력이 있다.[9] 만리공업사 외에도 한 때 계열사로 신길주유소(송내역 부근)가 있었으나, 2010년 건영에너지에 매각했다.[10] 그러나 자일대우버스는 2015년에 도입한 NEW BC211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출고하지 않고, 완전히 현대자동차로 전향하였다. 현대 저상버스의 자동변속기는 ZF 미션을 사용하고 있다. 북부운수와 더불어서 자일대우버스가 많았던 회사였으나, 지금은 현대차가 100대 넘게 있어서 현대차 이미지로 변신한 회사이며 2020년에 전 차량 유로6 천연가스버스를 달성했고 서울에서 가장 먼저 BS110CN F/L을 완전히 대차한 회사다.

1998년 대우 BS106L 로얄시티 출시와 함께 서울특별시에서 무냉방 차량을 가장 먼저 전멸시킨 회사이기도 하다. 당시 아직 차령이 남아 있던 1993~1994년식 BS106L 하이파워 무냉방 차량들은 대전, 목포, 전주, 창원, 안동 등지로 대거 팔려 나갔다.

2022년 1월 1일에 사명이 신길교통으로 변경되었다. 정확히는 신설 법인인 신길교통으로 모든 자산을 넘기는 것이며, 기존 경영진[11]은 경영에서 손 뗌과 동시에 차파트너스 계열사로 합류했다. 관련 공문 다만 기존 경영진이 20%의 지분을 여전히 보유하고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자세한 내용은 하단의 지분구조 참고.

3. 특징

보유 노선이 모두 간선버스지만, 모두 수요에 비해 배차간격이 영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부천 시민들의 발이 되어 주는 606번, 661번, 673번배차간격영 좋지 않다. 특히 661번은 20분 이상 배차간격이 벌어지는 경우가 다반사.[12] 그나마 604번, 652번 정도가 배차가 좋은데, 특히 604번은 다들 알다시피 머나먼 옛날, 개편 전에는 588번이라는 번호로 맹활약한 전설의 노선이다 보니 오늘날에도 여전히 이 회사의 주력 노선으로 활약하고 있다. 신길운수 시절은 물론이고 신길교통으로 바뀐 지금도 이 회사의 주력 노선을 넘어서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하는 노선이며 배차도 5~15분으로 다른 회사들의 주력 노선들과 비슷한 편이다.

신길교통의 노선들은 큰 길을 경유하기보다 왕복 2~4차선의 영세한 도로망을 타고 가기 때문에 수요는 많아도 차량 대수 부족, 빡빡한 노선 다이어, 타 회사에 비해 열악한 노선 운행 환경, 교통 정체, 부천시 업체들에 비해 낮은 속도[13] 등으로 다른 회사의 노선들에 비해 배차간격이 좋지 않다. 즉, 간선버스라는 노선들이 신월동과 화곡동 주민들 입장에서는 마을버스 역할도 겸하는 셈이다.

유독 신길교통 소속 노선이 경유하는 정류장을 보면 마을버스가 다닐 법한 길이 많아서, 정류장 표시도 제대로 되어있지 않는 곳이 많다. 때문에 신길교통에 처음 입사한 신규 승무원들은 정류장을 미처 보지 못해 무시하고 지나치거나 탑승객에게 손을 흔들라고 승차표시를 권유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곳에서는 탑승객이 정류장을 찾지 못해 결국 길을 잃고 계속 같은 장소에서 해매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신길교통 임직원들이 자체적으로 말뚝이나 표지판을 박아서 정류장 폴사인을 만들거나 길을 잃어 해매고 있던 탑승객이 지정된 정류장이 아닌 다른 곳 어디서든지 손을 흔들어서 승차표시를 해도 자사 노선 차량에 탑승시켜주는 경우가 많았다. 회사 경영진들도 승무원들을 교육시킬 때 지리적 특성과 시설물과 주 이용객 명단도 암기시킬 정도였다. 특히 신길교통 차고지 주변에 거주하는 인근 주민이거나 매일같이 신길교통 노선을 애용하는 자사 단골 손님을 이 회사 승무원이 운행 중 길거리에서 목격한 경우에는 그 즉시 신길교통 버스를 탑승하는 게 맞든, 그냥 단순히 두 발로 걷는게 목적이라 탑승하지 않든 간에 일단 목격한 승무원이 버스를 몰고 빠르게 달려가서 문 열어주고 '어디 가시냐, 버스 탈거냐'면서 같이 가자는 말과 함께 그 자리에서 태워 주는 경우도 있었다.

하차시에도 정류장이 워낙 대충 표시되어 있다 보니 가끔씩 정류장이 아닌 노선 이용객의 출입처나 자택 앞에 정차하여 공식적으로 지정된 정류장 이외의 사적인 다른 장소에서도 탑승객의 차량 승하차를 진행하거나 자동 안내방송이 나온 후에도 기사가 운전석에 설치된 마이크를 이용하여 정류장 이름을 육성으로 방송했다. 물론 정해진 정류장을 정확하게 말하는 양진텔레콤의 자동방송과 달리 신길교통의 기사들은 그냥 정류장에 위치한 건물이나 시설물[14]을 가리키는 식으로 잡다한 이름을 부르며 자체적인 육성방송을 했다.

골목길을 탐험하는 간선버스라는 이색적인 노선이 많은 신길교통의 특성상, 신길교통의 대다수 이용객들은 간선버스의 목적인 대도시로 향하는 수요보다는 오히려 자신의 집 앞 정류장에 정차하는 신길교통 소속 간선버스를 짧은 시간 동안 타고 가까운 지하철역(까치산역, 화곡역)에서 지하철(5호선이나 2호선신정지선)로 환승하는 마을버스에서 볼 법한 모습을 연출하고 있다. 이용객들도 거의 다 본사 주변의 화곡동이나 신월동 주민들이 절반을 차지하기 때문에, 승무원과 승객들이 정겹게 이야기꽃을 피우며 운행하는 경우도 많다.

한동안 저상버스는 100% 상동착발 노선에만 투입했다. 신월동 본사에는 604번에만 BS110CN 저상버스가 소수 투입되었지만, 여러 운용상의 이유로 604번의 저상버스는 신월동 본사가 아닌 상동영업소에 주박했다가 결국 전량 상동착발 노선으로 트레이드됐다. 2017~2020년 사이에 상동착발 노선들의 일반 차량 대부분이 신월1동 본사로 이동했다. 내구연한이 도래한 본사 노선 구형차를 저상으로 대차시켜 상동으로 보내고 상동 주재 일반 차량을 신월동 본사 노선에 투입하는 식으로. 그렇게 되면서 상동 소속 노선은 모두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그러나 2018년 12월부터 저상버스 출고가 의무화되면서 이듬해 8월 말부터 604번에 다시 저상버스가 다니게 되었고, 2024년 9월에는 652번에도 NEW BS106과 BC211을 대차하면서 들어온 저상버스가 투입됐다. 참고로 신길교통 노선들은 저상버스 투입 불가 노선이 없다. 공동배차하는 653번의 경우 영인운수 차량만 저상버스가 있으며, 보광교통과 공동배차하는 674번에도 보광교통 차량만 저상이 있다.

신월1동 본사 소속 604번, 652번은 주로 낮 시간대에 양천공영차고지고강공영차고지에서 가스를 넣고 653번은 공동 배차하는 영인운수 소속 가스차량들과 같이 강서공영차고지로 편도운행 후 원정가서 충전하지만 일부 차량은 운행 시작 전, 종료 후 상동영업소로 가스 충전을 하러 가며 상동영업소에 주박하는 차도 있다.[15] 674번 신길교통 차량은 첫/막차 시간에 상동영업소에서 주박 및 가스충전을 한다.[16]

부천시에 차고지가 있는 업체 중 경기고속과 더불어 전기버스를 운용하지 않는 업체다. 두 업체를 제외한 부천시 내 영업소를 가진 모든 업체는 이제 전기버스만을 고집하고 있는 상황이며, 상동차고지의 협소한 부지 문제 때문에 추가로 부지를 구매하여 전기 충전소를 설치하지 않는 이상 이 현상은 당분간 유지될 것이다.

차파트너스 인수 전까지는 승무사원 채용이 서울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들 정도로 굉장히 깐깐하기로 유명했다.[17] 시내버스 경력 무사고 3년컷은 기본에 경찰서에서 발급받은 운전경력 증명서의 이력이 좀 화려하면 절대로 채용하지 않았다. 심지어 과거에는 자가차량 운행 도중 끼어들기 위반 이력이 있었다는 이유로 채용을 거부했었으며 자가용 아반떼로 신호위반 이력이 있다는 이유로 입사가 거절된 사례도 있었다. 그러므로 신길교통에 입사할 계획이라면 무조건 준법운전을 생활화했었어야 했다. 또한 체중이 많이 나가거나 몸집이 커도 채용하지 않았다. 한때는 노선 특성상 마을버스같은 회사 문화 때문인지, 한동안 차고지 근처인 신월동이나 화곡동 마을 주민을 우선 순위로 놓고 승무원 채용을 하는 경우도 많았다.

참고로 서울에서 기사 채용을 제일 깐깐하게 쓰는 업체는 한국brt다. 신길교통과 더불어 거의 바늘구멍에 낙타 들어가는 수준이었다.[18]

승차문의 위와 운전석의 창문 위에 차량 번호를 표기한다.

상동 노선은 부천시에서도 기후동행카드가 가능한 노선이다. 7호선도 가능하지만 하차에 한해서 가능하며, 승차가 가능한 노선은 소사구를 다니는 세풍운수 6614번, 6615번과 더불어 상동 소속 차량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4. 운행 노선

밑줄 표기 구간은 양방향이 동시에 경유하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는 버스 행선판으로 목적지를 확인한 후 이용해야한다.

4.1. 신월1동(본사) 소속

  • 본사 출발 노선은 차고지에서 승하차할 수 없다. 현재 정류장 노선도 등에서는 정식 정류소처럼 안내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미운용 정류소이며 향후 신월동기점 정류소 자체를 서류상 완전히 폐지할 것으로 보인다.관련 게시물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604 신월동 화곡대림아파트 - 화곡역 - 강서구청 - 염창역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로터리 - 공덕역 - 만리동고개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 남대문시장.회현역 - 충무로역 중구청 10~15
652 까치산역 - 화곡대림아파트 - 화곡역 - 발산역 - 양천향교역 - 가양역 - 강서구청 - 화곡역 - 신월중학교 - 서서울호수공원 - 신정현대아파트 - 개봉역 - (→ 디지털단지입구 →/← 에이스하이엔드타워5차 ←) - 가산디지털단지역 - 금천패션아울렛사거리 → 가산동주민센터 → 독산사거리 → 금천우체국 → 진도아파트 → 금천패션아울렛사거리 금천우체국 8~12
653[공동배차1] 외발산동 (→ 대한항공 →) - 강서면허시험장 - 신월중학교 - 화곡역 - 까치산역 - 강서한방병원 - 서서울호수공원 - 신정현대아파트 - 개봉역 - 구일우성아파트 → 디지털3단지 → 가산디지털단지역 → 에이스하이엔드타워5차 → 구일우성아파트 가산디지털단지역 10~20

4.2. 부천영업소 소속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606 상동 한아름마을.반달마을 - 중동역 - 부천역 - 춘의테크노파크 - 부천종합운동장역 - 원종역 - 고강사거리 - 신월중학교 - 화곡역 - 강서구청 - 염창역 - 마포구청역 - 연세대학교 - 경복궁 → 안국동 → 조계사 → 종로1가 → KT광화문지사 → 경복궁 조계사 12~18
661 한아름마을.반달마을 - 중동역 - 부천역 - 춘의역 - 도당사거리 - 여월중학교 - 원종역 - 고강사거리 - 신월중학교 - 화곡역 - 발산역 - 강서구청사거리 - 염창역 - 당산역 - 영등포시장 영등포 14~20
673 송내역 - 상동시장.중동시장 - 약대오거리 - 덕산고.봉오대로사거리 - 신월중학교 - 화곡역 - 강서구청 - 가양역 - 월드컵파크7단지 - 상암초등학교 - 성산2동주민센터 - 연세대학교 이대부고 13~18
674[공동배차2] 신월동[21] 까치산시장 - 목동3.4단지사잇길 - (→ 목동파라곤 → 목동운동장 → 이대목동병원 →/← 목동운동장 ← 목동파라곤 ← 목동1~4단지 ← 월촌중학교 ←) - 신목동역 - 마포구청 - 연세대학교경의선신촌역 → 신촌로터리 → 연세로 →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10~15

5. 운행 중지, 폐지, 변경 노선

기존에 운행하다가 현재 폐선되거나 변경된 노선은 다음과 같다.

5.1. 2004년 개편 이전

  • 62(좌석) (신월동-시청앞) : 신월동-화곡역-강서구청-염창동-성산대교-연세대-/이대입구-충정로/-광화문-시청앞을 운행하던 좌석버스. 5호선 개통 후 상동으로 연장했다. 추후에 9600번으로 개편되었고, 6711번과 합쳐진 607번이였다가 이대부고까지 단축되면서 673번으로 변경되었다.
  • 62-1(좌석) (상동-시청앞) : 화곡시장-시청앞 구간은 62번과 동일. 화곡시장-상동 구간은 588-2번과 거의 동일. 버스 개편 당시 광역버스 9601번으로 변경되었다. 2004년 12월경에 여의도, 마포, 충정로 구간으로 변경되었다가 수요 감소로 2005년 4월 1일에 여의도로 단축됐을 때 간선버스로 형간 전환되었고, 번호도 661번으로 바뀌었으며, 2013년 3월 19일에 영등포역으로 다시 단축되면서 현재에 이른다.
  • 106 (신월동-가리봉역) : 현재 652번의 발산역-양천향교역-가양역-강서구청 구간은 106번의 구간. 시흥동(기아대교)까지 운행하다가 가리봉역(현.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단축. 653번의 가산디지털단지 회차 방식이 106번의 회차 방식이다. 유일하게 호돌이공원(현. 화곡전화국 근처 먹자골목) 경유 노선. 하지만 정말 거길 앞두고 곰달래길로 들어간다는 게 함정 개편 후 388과 합쳐지며 6634번으로 다니다가 652번으로 다니고 있다. 석수역, 시흥동까지 내려가도록 조정되었다가 환원되었다. 보성운수와 신길교통에서 운행 중인 서울 74사 1381~1386호는 이 때문에 유입된 차적들. 개편전 신길교통(당시 신길운수)의 일반버스 노선 중 유일하게 'X88'번이 아니었는데, 이는 106번이 보성운수에서 넘겨받은 노선이기 때문이다.
  • 388 (신월동-시흥동) : 106번의 발산역-강서구청 구간이 아닌 발산역-88체육관-강서구청 구간으로 운행하였으며 시흥동(기아대교)까지 다니던 노선. 추후에 6634번으로 개편되었다가 시흥대로 중앙차로 이용을 위해 652번으로 변경 후 시흥동-독산사거리 구간 단축. 그냥 예전의 106번처럼 환원되었다. 추후 구로고가차도 철거로 디지털단지오거리~독산사거리 구간 회차 방식이 변경되었다.
  • 488 (신월동-양천구청) : 마을버스 5번으로 운행하다가 488번 지역순환버스로 변경. 개편 후에는 기점이 문래동이 되어 중부운수에서 운행한다. O88 시리즈 중 유일하게 운수업체가 바뀌며, 사실상 둘로 쪼개진 노선이다. 1~4단지 구간은 6624번이, 화곡역 쪽 구간 일부가 김포교통의 22-1번과 혼합된 형태로 6625번이 되었다.
  • 588 (신월동-스카라) : 588 시대의 시초라 불리는 노선이다. 신길교통과 역사를 같이하는 노선으로 구 사명이던 세원버스 때부터 운행했었던 88번 버스이다. 그 때는 신길동-서울역이였는데, 서울어린이대공원까지 연장되며 588번을 부여받았다. 청량리를 가지 않음에도 588이 된 이유는 서울어린이대공원을 경유하는 버스는 5로 시작된 철칙이 있었다. 1970년대 말에는 송파구 풍납동(!)까지 갔었다가 동대문운동장까지 단축되었고, 회차 문제로 스카라극장까지 단축된다. 중구청 인근이 스카라극장이 있던 곳이니... 개편 후에는 노선 변경 없이 604번으로 다니고 있다.
    한때 적청제를 시행했는데, 화곡동 구간과 청계천로 정차 정류장이 달랐다. 적색 노선은 하이웨이주유소~현대주유소 구간을 화곡로로 경유했고, 청색 노선은 하이웨이주유소~현대주유소 구간을 까치산로로 경유했다.
  • 588(좌석) (신월동-스카라) : 번호만 같은 좌석형 노선. 이건 급행 개념이라, 서울역 고가차도를 경유했었으나 수요 부족으로 1997년에 폐선되었다. 대우 BS105 스텐바디 차량, BS106 하이파워 하부냉방 차량이 주력 차종이였다.
  • 588-1 (상동-신촌로터리) : 현재 6648번의 강서한방병원~신월3동우체국 구간 / 652번의 신월3동우체국~강서구청 구간 / 606번의 강서구청-연세대 구간 / 연세로(버스전용지구) 경유 후 604번의 신촌현대백화점-동교동삼거리 구간 이후 연남동을 통해 신월동으로 오던 노선. 1993년에 상동으로 연장. 상동 연장 전에는 신월동-종로1가 구간을 운행하다가 연세대-화신앞 구간이 단축되어 신촌오거리까지 운행하게 되었다. 연장 후에는 상동-신촌 구간을 운행하였고 2004년에 6711번으로 개편되었으며 고강로 경유에서 오정대로 경유로 변경되었다. 이후 9600번과 통합되어 607번으로 바뀌었고, 지금은 이대부고로 단축되어 673번으로 다니고 있다.
  • 588-2 (상동-종로1가) : 1987년 5월에 신설되었으며, 초창기에는 원종동 종점에 종로2가까지 운행하다가, 종로1가로 단축되면서, 상동으로 연장되었고, 606번으로 개편되었다.

5.2. 2004년 개편 이후

  • 607 (상동 ↔ 서울시청) : 2012년에 이대부고로 단축되어 673번으로 운행 중이다.
  • 6634 (신월1동 ↔ 석수역) : 2005년 12월 30일 시흥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과 함께 652번 간선버스로 전환되었다. 이후 석수역까지 노선 연장되었다가 독산사거리 회차로 변경되었으나 구로고가차도 철거로 인하여 디지털단지오거리~독산사거리~금천우체국~진도아파트 회차 방식이 변경됨.
  • 6711 (상동 ↔ 신촌오거리), 9600 (상동 ↔ 광화문, 서울시청) : 2008년 10월에 두 노선을 통합하여 607번 간선버스로 전환되었다.
  • 9601 (상동 ↔ 광화문, 서울시청) : 초창기에는 부천시 구간을 제외하고 9600번과 동일해 부천시에서 노선 변경 요구가 있자 연세대학교 정문, 마포구청 구간을 여의도, 마포로 구간으로 변경했다. 그러나 이것이 결정적인 수요 감소를 가져와 2005년 4월에 서울시청-마포 구간을 단축한 후, 661번 간선버스로 형간 전환하여 운행 중이다.

6. 면허 체계

  • 서울 70 사 7901 ~ 7903, 7917 ~ 7922, 7932 ~ 7933, 8015 ~ 8018, 8021, 8024
    • 양천구 소재 시내버스 회사 증차 면허.
  • 서울 74 사 4762 ~ 4831
    • 신길교통 주 면허.
  • 서울 75 사 1401 ~ 1419, 1421 ~ 1430호, 1951 ~ 1961호, 2692 ~ 2696
    • 신길교통 증차 면허. (1420호는 결번)

===# 타 회사 출신 면허 #===
  • 서울 74 사 1381 ~ 1383호
    • 공항버스 면허. 본래는 보성운수가 구.106번을 인수하면서 받은 면허였다. 해당 노선이 신길교통으로 재매각되면서 면허도 같이 넘어왔다.
  • 서울 74 사 2713, 2742 ~ 2743, 2754, 2767, 2833, 2856, 2880호
    • 보성운수 면허. 구.106번을 인수하면서 받았다.
  • 서울 74 사 6070 ~ 6071호
  • 서울 74 사 6957, 6959호
    • 구.영일교통 면허. 보성운수와 흡수합병되면서 넘어온 면허다. 구.106번을 보성운수로부터 인수하면서 면허도 같이 넘어왔다.
  • 서울 74 사 9507, 9550, 9554, 9567, 9572, 9574호
    • 구.화곡교통 면허. 구.화곡교통의 감차과정에서 면허가 넘어왔다.
  • 서울 74 사 9882, 9884 ~ 9885호
    • 구.남부운수 추가 면허. 구.남부운수가 구.62번(좌석) 공동배차에 철수하면서 면허 그대로 넘어왔다.
  • 서울 75 사 2624 ~ 2625호
    • 구.화곡교통 증차 면허. 구.화곡교통의 감차과정에서 면허가 넘어왔다.

7. 보유차량

7.1. 현재 보유차량

7.1.1. 현대자동차

7.1.2. 자일대우버스

7.2. 과거 보유차량

7.2.1. 자일대우버스

7.2.2. 현대자동차

7.2.3. 기아

8. 갤러리

파일:신길본사1.jpg
파일:신길본사2.jpg
신월1동 차고지 모습.[23] 흔히 588종점이라 불리는 그 곳이다.

9. 지배구조

2023년 12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비고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ESG퍼블릭모빌리티
80.00% 모회사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신길운수
20.00% [24]

10.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0px"<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차파트너스자산운용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43c1f><colcolor=#fff> 서울
인천
대전
제주
* 인수된 순서로 분류함.
}}}}}}}}}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colcolor=#fff> 강남구 도선여객 정평운수
강동구 서울승합
강북구 동아운수 선일교통 삼양교통
영신여객 한성운수
강서구 공항버스 김포교통 다모아자동차
영인운수 정평운수
관악구 관악교통 보성운수 한남여객운수
광진구 신흥운수
구로구 군포교통 보성운수 서울매일버스
금천구 범일운수 보영운수 신인운수
노원구 흥안운수 삼화상운 한성여객
진아교통 태릉교통
도봉구 서울교통네트웍 아진교통
마포구 다모아자동차 유성운수
서대문구 서부운수 신촌교통 원버스
현대교통
서초구 대흥교통 삼성여객 우신운수
우신버스
성동구 태진운수 대원교통 대원여객
성북구 대진여객 도원교통 상진운수
송파구 남성버스 동성교통 대성운수
서울버스 송파상운 진화운수
한국brt 한서교통
양천구 관악교통 도원교통 세풍운수
신길교통 양천운수 중부운수
은평구 보광교통 신수교통 선진운수
원버스 유성운수 제일교통
종로구 동해운수
중랑구 경성여객 대원교통 메트로버스
보광운수 북부운수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동대문구 동작구 영등포구 용산구
범례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흥안운수 계열사 다모아자동차 계열사 KD 운송그룹 계열사
서울특별시 관외에 차고지를 둔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colcolor=#fff> 광명시 범일운수 보영운수 세풍운수 한성운수
고양시 동해운수 서울매일버스 선진운수 신촌교통
부천시 신길교통
안양시·군포시·의왕시 서울매일버스 군포교통 우신버스
성남시 남성버스 동성교통
구리시 대원여객
남양주시 태릉교통
의정부시 대원여객
범례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KD 운송그룹 계열사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목록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1] 신길운수 설립일. 신길교통 법인 설립일은 2021년 10월 27일이다.[2] 경상남도 양산시 시내버스 업체인 세원(버스회사)하고는 관계 없다.[3] 가스 충전소가 없으며, 본사에서 가까울 법한 양천공영차고지에는 오전, 오후 시간대에만 충전하러 간다. 신월동 본사 소속 노선 중 653번영인운수와 공동배차로 운행하기 때문에 강서공영차고지에서 넣는다. 신월동~상동 공차거리는 무려 동성교통의 상대원~구미동 공차거리(15km)보다 조금 더 길다. 아무래도 양천공영차고지도 입주한 회사들과 충전하러 오는 회사들의 수가 매우 많기 때문에 충전소 용량 사정상 어쩔 수 없었던 듯. 고강공영차고지도 이용하는 모양이다.[4] 가스 충전소가 있다. 가스 장사를 하려고 충전소를 설치한 것이다. (소신여객 상동영업소 버스를 비롯해 일부 회사가 여기서 가스를 충전한다. 가스 충전소는 2008년 10월에 설치되었다.) 송내역에서도 멀지 않다.[5] (훗날 광역버스 9600번, 간선버스 607번, 현 간선버스 673번)[6] 서울 강서구와 양천구 신월동 일대에서 '588번'(종점)이라고 하면 신길교통의 신월1동 차고지를 가리킨다.[7]652번. 번호가 똑같은 김포시 버스인 388번과는 무관하다.[8] 다만 예외로 288번은 이 회사가 아닌 동성교통신진운수진화운수 노선이었다.[9] 만리공업사 회장과 신길운수 회장이 서로 사돈관계였다가 사돈이 작고하면서 사위인 신길운수 측의 계열사로 편입됐다.[10] 신길주유소는 건영에너지에 매각과 동시에 가나주유소로 상호가 변경된데 이어, 2011년 자영주유소로 바뀌면서 은성주유소로 상호가 변경되었다. 2012년 유카스에너지가 인수해 다시 직영주유소로 복귀와 함께 은성주유소에서 상동셀프주유소로 상호가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11] 신길운수주식회사[12] 그러면서도 구간 수요가 상당히 많아서 대당 승객이 2023년 기준 무려 약 473명(8,052명)으로 상당히 많은데, 이 정도면 2023년 기준 12,779명 이용하는 범일운수505번과 대당 승객 수가 똑같을 정도다.[13] 부천시소신여객이나 부일교통, 부천버스 등의 업체들은 경기도 시내버스 특성상 서울에 비해 더 빠를 수 밖에 없다. 물론 신길교통도 서울에서는 꽤 빠른 업체에 속한다. 멀리 가는 상동 노선 때문인 점도 있고, 워낙 노선 운행 여건이 열악하다 보니 속도를 내는 기사들이 상당히 많은 편이다. 그러나 STN(온수영업소)나 동해운수처럼 저속이 심각하지는 않다. 특히 소신여객 노선과 조우할 경우에는 과거 소신여객과 직접적으로 경쟁하던 시절이 떠올라서 무섭게 속도를 내는 승무원도 가끔씩 있다(30km/h 도로에서 70km/h를 밟기도 한다.). 신월동 본사 노선들도 골목길을 투어하는 경우가 많다 보니, 시내에 나가기 전에는 테너지를 끄고 고알피엠으로 운행하거나 신호위반하는 경우가 많다.[14] 가게(XX구멍가게나 YY슈퍼), 아파트 N동, XX목욕탕, OO방앗간, OO정육점, XX노래방, 24시 편의점, 카센터 등.[15] 사실 신길교통도 과거에는 양천공영차고지에서만 충전했으나, 관악교통갑작스러운 차고지 이전 때문에 양천공영차고지 충전소의 용량이 부족해져 버린 탓에 양천공영차고지에서 자리를 뺀 후, 자사의 상동영업소중부운수 신월7동 차고지 등 여러 군데에서 가스 충전을 하고 있었다. 그러다 최근 고강공영차고지에서 전기충전소가 설치되고 전기버스가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가스 충전 용량에 여유가 생겨서 고강공영차고지로 가스 충전 원정을 올 수 있게 되었다.[16] 674번 보광교통 차량은 은평공영차고지에서 주박 및 가스충전을 한다.[17] 이외에는 한국brt선진운수, 대원여객, 대원교통이 깐깐하기로 소문난 회사였다. 하지만 선진운수는 둘에 비하면 그나마 양반인 셈인데, 여기는 입사 조건이 고작 50대 이상이라는 점이 전부였으며 2010년대 후반 이후로는 40대 이상도 입사가 가능하게 완화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선진운수는 깐깐하게 뽑는 대신 처우가 엉망이었다. 서울권 KD 2사는 당시 KD 운송그룹의 방침상 깐깐했던 것이었다. 마을버스까지 포함하면 신수동마을버스(신수교통의 모기업)도 승무사원 채용을 굉장히 깐깐하게 본다. 반대의 사례로는 도원교통경성여객, 서울버스, 신흥운수, 선일교통, 북부운수의 사례가 있다. 이 회사들은 서울에서 무경력자를 잘 받는 회사이기 때문이다.[18] 애초에 신길교통은 한국brt의 현재 대주주이자 설립 당시 원년멤버 중 하나다. 지금은 또 다른 원년 멤버인 동아운수구. 성원여객과 함께 셋이서 같은 계열사이기도 하다.[공동배차1] 영인운수와 공동배차.[공동배차2] 보광교통과 공동배차.[21] 신월1동 본사 출발이지만, 상동영업소 소속 차량을 투입한다. 따라서 상동까지 공차회송하여 주박하고, 가스도 상동에서 충전한다.[22] 488번 출신으로 개편 이후 중부운수에 매각했다.[23] 이 차고지는 주로 652번이 사용한다.[24] 양수 법인인 신길교통에 여객자동차운송사업 면허와 종업원을 포함한 관련 자산부채 일체를 양도했던 그 법인이다. 대표이사는 김유승이며 지배구조로는 김유승 대표이사가 지분 전량을 보유하고 있다. 여담으로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529-6번지에 신길타워(가칭) 신축 공사를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