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e7211a> 시내버스 | 강화교통 | 은혜교통 | 미추홀교통 | 삼환교통 |
| 송도버스 | 신흥교통 | 영종운수 | 인강여객 | ||
| 인천스마트 | 인천제물포교통 | ||||
| 마을버스 | 예성교통 | ||||
| 공영버스 | 신흥교통 | ||||
| 인천광역시의 버스 회사 | |||||
| {{{#!wiki style="margin:-10px -0px" | <tablebordercolor=#fff,#1c1d1f>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43c1f><colcolor=#fff> 서울 | ||
| 인천 | |||
| 대전 | |||
| 제주 | |||
| * 인수된 순서로 분류함. | |||
| 인천제물포교통 주식회사 仁川濟物浦交通 株式會社 Incheon Jemulpo Traffic Co., Ltd. | |
| 설립일 | 2009년 3월 4일 |
| 업종 | 시내버스 운송업 |
| 대표자 | 한강수 |
| 모회사 | 미추홀교통 |
| 주요 주주 | 미추홀교통: 100% (2023년 12월 31일 기준) |
| 기업구분 | 중소기업 |
| 상장여부 | 비상장기업 |
| 직원 수 | 150명(2023년 12월 31일 기준) |
| 자본금 | 5억원(2023년 기준) |
| 매출액 | 153억 9,977만 4,807원(2023년 기준) |
| 영업이익 | 11억 3,841만 9,967원(2023년 기준) |
| 순이익 | 10억 219만 5,351원(2023년 기준) |
| 자산총액 | 31억 8,344만 1,506원(2023년 기준) |
| 부채총액 | 14억 560만 9,531원(2023년 기준) |
| 부채비율 | 79.06%(2023년 기준) |
| 소재지 | 본사 - 인천광역시 중구 축항대로86번길 129, 1동 (항동7가) 왕길동차고지 - 인천광역시 서구 거월로 39 (왕길동) |
1. 개요
| 파일:인천제물포30_ELCT.png | |
| 30번 | 급행97번 |
2. 역사
- 2009. 03. 04. 선진그룹 산하의 인천제물포교통으로 설립되었다.
- 2009. 04. 03. 인천선진교통으로부터 30번, 75번, 78번을 양도받았다.
- 2016. 07. 30. 75번을 폐선하였다.
- 2019. 10. 23. M6439번을 신설하였다.
- 2020. 12. 31. 급행97번을 신설하였다.
- 2023. 01. 19. 신동아교통에 M6439번을 매각하였다.
- 2025. 01. 01. 전 노선이 현금없는 인천버스(교통카드 전용버스)로 전환되었다.
3. 특징
3.1. 업체 관련
- 선진교통에서 분리될 당시부터 ‘제물포교통’이라 칭해졌고, 이후 차파트너스 계열사로 편입된 후에도 사명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다만 실제로 제물포구를 지나는 노선은 전무하며, 제물포의 의미를 ‘인천’의 옛 지명으로 보더라도 78번을 제외하면 나름대로 부평구와 계양구 등을 경유하고 있긴 하다.
- 2007년 3월 2일, 71번(2기)을 방계업체인 선진여객에 이관하였고, 2009년 4월 3일에 30번, 75번(1기), 78번을 신규법인인 인천제물포교통에 이관하였다. 정확히는 선진그룹이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의 준공영제 찬성을 위해, 찬성파의 업체 수를 늘리는 과정에서 일부 노선을 제물포교통으로 분사시킨 것이다.[1] 그래서 제물포교통은 선진그룹 시절이나 현재의 차파트너스 계열사 중에서도 미추홀교통의 100% 자회사로 구분된다.
- 2009년에 미추홀교통으로 분리되면서, 대부분의 면허가 미추홀교통에서 그대로 이관되었다. 그래서 현재까지도 미추홀교통과 제물포교통의 면허가 모두 ‘26## ~ 28##’호대에 속하게 된 것. 일부 면허는 영종운수 출신인데, 미추홀교통이 영풍운수로부터 75번과 76번, 78번을 인수받으면서 면허가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사실상 미추홀교통과 제물포교통 모두 70번대 노선은 영풍운수에 전신을 두고 있다는 공통점이 존재한다.
- 현재의 제물포교통은 면허지와 실제 운행지역이 다른 업체로 꼽힌다. 중구에 면허지를 두고 있지만, 실상 운행하는 지역은 정반대의 지역으로 제물포교통의 주 영업권은 서구라고 볼 수 있다. 그나마 12번이 중구를 경유하는 미추홀교통과 달리, 이쪽은 중구 경유 노선이 하나도 없으며, 심지어 미추홀구 경유 노선도 없다. 주로 보이는 지역은 검단 일대와 계양구, 부평구 등 인천 1호선 연선이 대부분이며, 그중에서도 전 노선이 ‘대우푸르지오 – 갈현동마을’ 구간을 공유한다. 심지어 미추홀교통보다 더 심한데, 면허지만 중구일 뿐 실질적인 본사 역할을 하는 것은 서구 왕길동의 영업소이다. 사실상 서구 시내버스 업체라고 보는 것이 맞을 정도이며, 미추홀교통의 75번과 76번, 77번 역시 제물포교통과 같은 회사로 취급될 정도이다.
- 광역급행버스는 M6439번을 운행했었다. 그러나 회사가 차파트너스로 매각되는 과정에서 M버스는 매각되지 않고, 선진그룹 내의 계열사 중 신동아교통으로 노선과 차량이 매각되어 현재는 일반 시내버스만 운행하고 있다. 그리고 선진교통 출신의 M6405번과 M6450번도 모두 신동아교통에 양도하면서, 사실상 선진그룹 출신의 M버스가 모두 신동아교통의 품으로 가는 엔딩을 맡게 되었다.
3.2. 차량 관련
- 여담으로 선진교통에서 양도받은 구형 뉴 슈퍼 에어로시티의 쪽창 부분에는 "가족같은 인천선진교통이 되겠습니다."라고 붙어있었다. 또한 제물포교통으로 넘어간 30번을 포함해 구형 뉴 슈퍼 에어로시티 후면 유리창에는 "정차시 기어중립 3초여유 승객안전" 이라는 문구가 있었다.
하지만 현실은 안 지키는 기사들이 많았었다.또한 선진그룹 계열사 시절에는 친절한 기사들도 많았으나, 차파트너스 매각 이후에는 난폭운전을 하거나 불친절한 기사의 비중이 매우 많아졌다.
- 미추홀교통과 제물포교통에서 운행하던 15년식, 16년식 좌석형버스는 하나의 개조 작업을 공통적으로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당시 선진그룹은 봉벨을 적용하지 않고 흔히 말하는 깡통 옵션(32석 LS시트, 단색 손잡이)만 출고하였는데, 봉벨을 적용하지 않으면 벽면의 벨의 개수도 줄어들게 된다. 그래서 두 업체의 차량에는 별도로 벨을 추가로 설치하여, 에어컨 송풍구가 있는 덕트 쪽에 부착해두는 것이 특징이었다.[2] 이후 17년식부터 하차벨이 추가되면서 개조를 하지 않고 있으나, 개조할 때 벨을 부착하는 위치가 벨이 추가된 위치와 거의 유사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 2015년과 2016년에 출고한 좌석형버스의 수가 월등히 많았다. 미추홀교통과 제물포교통 모두 2006년 경에 차량을 대거 출고하였고, 해당 차량들을 10년 후에 똑같이 대규모로 대차를 했기 때문이다. 이후 15년식과 16년식이 모두 대규모로 대차되는 시점에 전기버스를 투입하면서 또 한 번 대규모 대차를 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좌석형버스는 2017년에 출고한 1대를 끝으로 더 이상 출고하지 않는다.
- 2020년에 그린시티 개선형을 출고하여 11년식 그린시티 예비차를 대차하였다. 이때 출고한 그린시티를 끝으로 고상버스의 출고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었으며, 그린시티는 대차 후에도 예비차로 운용중이다.[3]
- 2023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수소전기버스를 출고하기 시작했다. 현대 일렉시티II FCEV를 대량으로 출고하여 기존의 좌석형버스를 대차시키기 시작하였고, 2024년에도 대량 출고하여 30번과 78번에 집중 투입되었다. 급행97번에도 일부 투입되었으나, 78번으로 모두 이동되었다. 현재 총 38대의 수소전기버스를 보유중인데, 단일 회사로는 대도운수 다음으로 가장 많은 수소전기버스를 운행중이다.[4]
- 2025년에는 다른 차파트너스 계열사와 같이 BYD eBus11을 출고하여 전량 급행97번에 투입하였다. 차량 자체는 2024년에 제작되었으나, 면허 등록은 2025년 9월에 이루어졌다.
- 송도버스와 같이 차량 전면의 라이트 위쪽에 노선번호를 원형으로 부착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만 송도버스는 하얀색 바탕을 사용하지만, 미추홀교통과 제물포교통은 노란색 바탕을 사용한다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4. 영업소 및 소속 노선
| <rowcolor=#fff> 영업소 | 소재지 | 노선 | 비고 |
| 항동7가 | 인천광역시 중구 축항대로86번길 135 (항동7가 73-1) | - | 상법상 본사 |
| 왕길동 | 인천광역시 서구 거월로 39 (왕길동 61-8) | 30, 78, 급행97 | 실질적 본사 [5] |
| 마전동 | 인천광역시 서구 세자봉로 141 (마전동 66-8) | 78 | [6] |
5. 운행 노선
5.1. 간선버스
|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30 ♿️ | 왕길동차고지 | 왕길고가 - 완정역 - 원당사거리 - 유현사거리 - 장기동 - 계양역 - 귤현역 - 박촌역 - 임학역 - 계산역 - 경인교대입구역 - 작전역 - 갈산역 - 부평구청 - 부평시장 - 부평역 - 백운역 - 부평삼거리역 - 간석오거리역 - 간석사거리 - 모래내시장역 - 만수역 - 만수종합시장 - 수현마을 - 근로복지공단인천병원 | 송내역 | 8~10 |
| 78 ♿️ | 마전지구버스차고지 | 마전고등학교 - 검단동행정복지센터 - 마전역 - 완정역 - 당하초등학교 - 원당사거리 - 유현사거리 - 장기동 - 드림로 - 개화역 - (→ 김포공항 →) | 송정역 | 19~26 |
5.2. 급행간선버스
|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급행97 ♿️ | 왕길동차고지 | 왕길고가 - 완정역 - 원당사거리 - 유현사거리 - 장기동 - 계양역 - 귤현역 - 박촌역 - 임학역 - 계양경찰서 - 삼산사거리 - 굴포천역 - 동수치안센터 - 광일아파트 - 풍림아파트 | 금마초등학교 | 19~22 |
5.3. 과거 운행 노선
- 간선버스
- 인천 버스 75(폐선) : 갈현교 - 목상교 - 목상동 - 다남동 - 계양역 - 귤현역 - 백승아파트 - 귤현감리교회
- 광역급행버스
- 광역급행버스 M6439 : 인천터미널 - 선수촌사거리 - 서창도서관 - 서창센트럴푸르지오 - 센타빌딩/신한빌딩 - 서창2휴먼시아7단지후문 - 서초아트자이아파트 - 서초동삼성아파트 - 서초역 - 교대역 - 강남역.역삼세무서 - 역삼역 - 럭키아파트 - 양재역.강남베드로병원 - 서초구청
6. 보유 차량
6.1. 현재 보유차량
6.1.1. 현대자동차
6.1.2. BYD
6.2. 과거 보유 차량
6.2.1. 현대자동차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천연가스버스
- 현대 유니버스 럭셔리 천연가스버스
6.2.2. 자일대우버스
7. 면허 체계
미추홀교통에서 분사되었기 때문에, 미추홀교통 면허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8. 지배구조
2023년 12월 기준| 주주명 | 지분율 | 비고 |
미추홀교통 | 100.00% | 모회사 |
9. 관련 문서
[1] 인천시의 준공영제 추진 당시 인천광역시 버스운송사업조합은 조합원 투표를 통해 준공영제 수용 여부를 결정하고자 하였는데, 조합이라는 특성상 30대짜리 업체나 300대짜리 업체나 1사 1표라는 허점이 있어서 선진그룹을 비롯한 준공영제 찬성 대형업체들은 폭풍 물적분할로 찬성 업체 수를 늘려 준공영제 도입을 관철시켰다.[2] 차량마다 위치가 조금씩 달랐지만, 크게 출입문 쪽 두 개와 운전석 쪽 한 개를 부착했다.[3] 과거 75번의 정규차로 운행하였으나, 예비차로 격하된 차량이다. 한때 78번의 정규차량으로 승격된 적이 있었으나, 현재는 다시 예비차로 격하되었다.[4] 하지만 대도운수에 있는 CNG 차량은 내구연한이 많이 남았으나 인천제물포교통의 CNG 차량은 내구연한이 도래된 차량들이 대다수이다. 만일 해당 차량들이 전부 수소전기버스 차량으로 대차되면 전국 단일 회사 중 수소전기버스를 가장 많이 운행하는 업체라는 타이틀을 달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모회사인 미추홀교통 보유분까지 합하면 총 53대로, 압도적인 1위가 된다.[5] 자사 노선 중 항동을 경유하는 노선이 없어, 실질적인 본사 기능은 왕길동차고지에서 담당하고 있다. 추가로 충전은 수도권매립지 내의 CNG 충전소를 사용한다.[6] 운행중에만 대기용도로 사용하며, 운행 종료 후에는 왕길동으로 회송한다.[7] 부천버스 출신 차량이었다.[8] 선진교통 당시 78번을 인수하면서 유입되었고, 그대로 제물포교통으로 분사되면서 일부가 넘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