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 강화군 | 군내버스 | ||
| 계양구 | 동화운수 | |||
| 남동구 | 부성여객 | 삼환운수 | 성원운수 | |
| 인천교통공사 | ||||
| 부평구 | 성산여객 | 강인교통 | 강인여객 | |
| 미래교통 | 청라교통 | 대인교통 | ||
| 태양여객 | ||||
| 서구 | 선진여객 | 세운교통 | 공영급행 | |
| 신동아교통 | 마니교통 | 마니버스 | ||
| 삼성여객 | 수정관광 | 시영운수 | ||
| 신강교통 | 신화여객 | 원진운수 | ||
| 청룡교통 | 해성운수 | |||
| 연수구 | 더월드교통 | 도영운수 | 성민버스 | |
| 중구 | 강화교통 | 미추홀교통 | 삼환교통 | |
| 송도버스 | 인천스마트 | 인천제물포교통 | ||
| 은혜교통 | 인강여객 | 신흥교통 | ||
| 영종운수 | ||||
| 범례 | ||||
|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 선진그룹 계열사 | 강인여객 계열사 | ||
| 동구와 미추홀구, 옹진군은 관내에 주사무소(본사)를 둔 업체가 없어 제외.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시내버스 | 검단버스 | 마니교통 | 마니버스 | 삼성여객 |
| 선진여객 | 세운교통 | 수정관광 | 시영운수 | ||
| 신강교통 | 신동아교통 | 신화여객 | 원진운수 | ||
| 청룡교통 | 해성운수 | ||||
| 공영버스 | 대곡교통 | ||||
| 인천광역시의 버스 회사 | |||||
| | |
| 1번 | 518번 |
| 신동아교통(합) Sindonga traffic | |
| <nopad> | |
| 정식 명칭 | <colbgcolor=#ffffff,#191919>신동아교통 합자회사 |
| 영문 명칭 | Sindonga traffic LP. |
| 국가 | |
| 설립일 | 1992년 7월 2일 |
| 업종명 | 시내버스 운송업 |
| 대표자 | 노승희, 장진수 |
| 기업 분류 | 중소기업 |
| 상장 여부 | 비상장기업 |
| 소재지 | 본사 : 인천광역시 서구 원당대로 227-10 (오류동) 신흥동지점 : 인천광역시 중구 축항대로291번길 42 (신흥동3가) 연수지점 : 인천광역시 연수구 아카데미로312번길 268 (송도동) 강화지점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중앙로 43 (남산리 222) |
1. 개요
인천광역시 서구의 버스 회사. 선진그룹의 계열사이다.[1]2. 역사
- 1992년 7월 2일에 신동아교통으로 설립되었다.
- 2002년 2월 1일에 남구 마을버스가 지선버스로 전환되었다. (6번 → 516번, 8번 → 518번, 8-1번 → 520번)
- 2002년 5월에 영풍운수로부터 17번을 양도받았다.
- 2002년 6월 28일에 영풍운수로부터 1번을 양도받았다.
- 2008년 10월에 70번에서 70-1번을 분리하였다.
- 2009년 2월 1일에 17번에서 17-1번이 분리되었다.
- 2009년 11월 1일에 70번과 70-1번이 시외완행버스에서 인천광역시 간선버스로 전환하였다.
- 2010년 3월에 강화선진버스로부터 60-2번, 70번, 70-1번을 양도받았다.
- 2010년 9월 22일에 김포운수로부터 66번을 양도받았다. 동시에 김포시 시내버스에서 인천광역시 간선버스로 전환하였다.
- 2010년 10월에 17번, 60-2번, 70번, 70-1번을 강화선진버스에 매각하였다.
- 2012년 3월 2일에 17-1번을 선진여객에 매각하였다.
- 2016년 3월 5일에 삼화고속으로부터 1200번을 양도받았다.
- 2017년 3월 29일에 1A번을 개통하였다. (수도권매립지 통제 시간에 운행하는 1번 계통)
- 2018년 9월 15일에 1A번이 폐선되었다.
- 2020년 2월 15일에 93번을 개통하였다.
- 2020년 12월 31일에 93번을 신흥교통에 매각하였다.
- 2021년 2월 27일에 92번을 개통하였다.
- 2021년 10월 13일에 1200번을 선진여객에 매각하였다.
- 2021년 11월 27일에 66번에서 67번을 분리하였다.
- 2022년 9월 3일에 67번이 폐선되었다.
- 2023년 12월 2일에 92번이 한정면허 버스로 전환되었다.
- 2024년 4월 16일에 인강여객으로부터 M6405번을 양도받았다.
- 2024년 10월 1일에 선진상운으로부터 3000번을 양도받았다.
- 2025년 3월 24일에 M6461번을 개통하였다.
- 2025년 7월에 면허지를 서구에서 강화군(간선, 광역), 남동구(지선, M버스)로 분리 전환하였다. 다만 본사는 여전히 서구에 위치한다.
- 2025년 8월 4일에 3000번의 요금 체계가 변동되었다.[2]
- 2025년 9월 27일에 991번을 개통하였다.
3. 운행 지역
- 쉽게 생각해서 버스의 색깔에 따라 운행지역이 다 다른 곳이다. 마침 4개의 차고지를 두고 있고, 총 4종류의 버스를 운영하고 있는데 각 차고지에서 특정 종류의 버스만 운행하는 것이 특징. 다만 운영주체는 하술할 내용과 같이 선진그룹(간선, 광역, 광역급행)과 선진그룹과 별개인 신흥동지점(지선)으로 구분된다.
- 간선버스는 모두 서구 지역에 거점을 두고 있으며, 보유 노선 모두 검단에서 운행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 중 정상적인 준공영제 노선은 1번이 전부이며, 66번은 민영제, 92번과 991번은 한정면허 준공영제로 운영되고 있다. 주로 검단사거리역과 완정역 등 검단 내의 주요 전철역을 거점으로 하여 인접 지역을 연결하며, 이 중 92번은 김포시의 걸포북변역까지 운행한다. 사실상 서구와 인접 지역(부평, 계양) 정도로만 운행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 광역버스는 크게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선진상운으로부터 이관받은 3000번과 나머지 선진 계열사로부터 양도받은 M버스이다.
- 광역버스인 3000번은 강화터미널을 출발하여 김포시(통진, 한강신도시, 고촌)과 서울을 거쳐 신촌역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며, 대광위 준공영제 편입 당시 면허 문제로 선진상운의 3000-1번과 분리되면서 생겨난 노선이다. 한동안 선진상운이 두 노선을 운행했으나, 현재는 3000번이 신동아교통으로 매각되면서 강화지점으로 운영되고 있다. 현재 강화교통에서 운행중인 17번, 70번을 2010년 경에 매각한 후로 약 14년 만에 강화군에 재입성하게 되었다.
- 광역급행버스는 신규 노선인 M6461번을 제외하면 모두 선진 계열사로부터 양도받은 노선이다. M6405번은 인강여객에서 양도받았으며, M6439번은 인천제물포교통, M6450번은 인천선진교통이 차파트너스자산운용에 매각되기 직전에 신동아교통에 노선을 넘긴 것이다. 모든 M버스가 연수구 지역에서 출발하여 강남역과 역삼역으로 가는 것이 공통적이며, 대부분의 노선이 송도국제도시와 논현지구 등 2000년대 이후에 조성된 대규모 신규 택지지구를 거치는 것이 특징이다.
- 지선버스는 선진그룹과 별개인 신흥동지점이라는 주체에서 운영하며, 이전에는 본사가 학익동에 위치해있어 학익동지점으로 부르곤 했다. 사실상 신동아교통의 사명 유래가 된 곳인데, 바로 이쪽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들이 학익동의 신동아아파트를 기반으로 성장했기 때문.[3] 모두 남구(現 미추홀구) 마을버스 출신이며, 주로 학익동과 인하대학교에서 신동아아파트를 거쳐 주안역을 연결하는 노선이 주력으로 운영된다.
4. 특징
4.1. 회사 운영
- 지점은 네 개지만, 운영주체가 크게 두 개이다. 1번, 66번, 92번, 991번, 3000번, M6405번, M6439번, M6450번, M6461번은 선진그룹에서 운영하지만 516번, 518번, 520번은 과거부터 운영을 시작한 신흥동지점에서 운행한다. 그리하여 신흥동지점 노선들은 선진그룹이 경영에 관여하지 않고 차량에는 선진그룹 로고가 없다.
- 다만 이 회사에서 입찰한 경기도 회사인 선진버스 소속 M7119번과 선진버스 일산영업소는 신동아교통 운영주체 모두(선진그룹&신흥동지점)가 지분을 각각 50%씩 공동 출자해서 운행하는 노선이다. 그래서 한동안 일산엠버스라는 별도 법인을 두기도 했고, M7119번의 중앙로 경유 변경 당시에도 학익동지점의 대표가 신재호 회장에게 제안을 하여 바꾸는 등 상호 지분이 존재한다.[4]
- 본사는 한때 학익동에 위치했으나 2008년 6월 선진그룹이 회사를 인수하면서 본사를 서구 오류동으로 이전하고, 기존 운영진이 경영하는 지점은 학익동지점으로써 계속 존치되었다. 그러나 2014년 11월 13일에 학익동지점이 신흥동으로 이전하면서 명칭이 신흥동지점으로 변경됐다. 2016년 3월 21일에는 선진그룹 산하의 원창동지점이 설치됐고 2022년 12월 27일 송도동으로 이전하면서 연수지점으로 변경됐다. 연수지점은 기존 선진 계열사들에서 차파트너스로 매각이 제외된 광역급행버스 노선들 운행을 위해 설립되었다.
- 2025년 7월 면허등록지를 서구에서 간선버스, 광역버스 등은 강화군으로 지선버스는 미추홀구, 광역급행버스는 연수구로 각각 이전하였다. 동시에 간선버스는 본사 직영, 광역버스는 강화지점, 광역급행버스는 연수지점, 지선버스는 신흥동지점으로 각각 세분화를 하게 되었다. 다만, 선진그룹은 여전히 본사와 강화지점, 연수지점을 관리하며 신흥동지점은 이전처럼 기존 경영진이 가져가는 형태로 유지된다. 그런데 신흥동지점 기사 유니폼에는 선진그룹 로고가 새겨져있고 뒷문 명찰에 버스운전자격증명 하단에 회사 전화번호는 선진그룹에서 운영하는 본사 전화번호가 적혀있다.
4.2. 차량 출고
- 차량 출고방식도 상이한데 선진 소속 노선들은 과거에는 현대차 위주로 출고했지만 전기버스의 대중화로 선진그룹에서 수입해오는 스카이웰도 들여오며 비 선진 소속 노선들은 현대차와 자일대우버스를 혼용했다가 자일대우버스 공장 폐쇄 이후로는 아예 현대차만 출고하고 있다. 다만 선진그룹 내에서도 간선버스와 광역버스의 투입 방식이 달라지는 등 나름대로 노선 특성이 반영된다. 또한 지속적인 광역급행버스 인수로 타 사 출고분이 자주 유입된 것도 있다.
4.2.1. 선진그룹
- 2015년과 2016년에 좌석형버스를 일부 출고하였는데, 이 중 16년식 1대는 선진버스 취소분이다.
- 2017년에 대량으로 NSAC을 출고하여 1번에 투입하였다. 대부분 32석 LS 시트 좌석형버스지만, 이 중 7대는 입석형버스로 출고되었으며 소신여객 취소분 5대[5]와 메가페어 출신 차량 1대를 포함하여 로우백 차량 2대가 투입되었다. 좌석버스 역시 무지개 손잡이와 단색 손잡이를 혼용 출고했다.
- 2017년과 2018년에 출고된 유니버스는 모두 선진여객에서 운용하다가 M버스로 이적한 차량으로, 다른 유니버스와 동일하게 통유리와 MS-E 시트 44석이 적용되었다.
- 2018년식과 2019년식 개선형 좌석버스는 모두 66번에서 운행중인 차량으로, 공영급행의 한정면허 만료와 동시에 중고로 차량을 매입한 것이다. 모두 단색 손잡이가 장착된 2 X 1 배열의 32석 LS 시트 옵션이다.[6]
- 2019년에 출고된 유니버스는 F/L이 이루어진 후 처음 출고한 것이며, 인천제물포교통 M6439번 개통 당시 출고되었으나 노선 매각과 함께 양도되었다. 이후 2020년식 미추홀교통 출신 차량 3대가 유입되었다.
- 2021년식 현대 일렉시티 이층버스는 전국 최초의 2층 전기버스로, 선진교통에서 출고되어 M6450번 매각과 함께 양도되었다. 또한 인천 최초의 리오네도 보유중인데, 모두 더월드교통에서 중고로 운용하다가 M6405번에 투입된 것이다.[7]
- 2024년에는 자사 최초의 현대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 10대를 출고하여 투입하였다. 모두 신강교통 취소분이다. 또한 3000번의 유니시티를 대차하면서 현대 유니버스 프라임을 6대 출고하였고, 리오네 역시 2대 출고하여 운행중이다.[9] 이 밖에도 3000번을 양도받을 때 선진상운 출신 19년식 럭셔리 1대와 22년식 리오네 1대도 추가 유입되었다.
- 2025년 9월에 991번 투입을 위해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를 출고했다. 모두 순증차분이며, 한정면허가 적용되었다. 또한 동년에 3000번 증차분으로 리오네 3대를 추가 투입하였다.
4.2.2. 비선진그룹(신흥동지점)
- 학익동지점 시절에는 BM090과 BS090의 비중이 많았으나, 점차 그린시티로 대차했다. 그린시티는 모두 스펀지 시트만 적용하며, 개선형 차량에 한하여 무지개 손잡이를 장착하는 옵션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다만 성민버스나 성원운수(소래지점)처럼 518번에 한하여 대형버스를 투입하는 것이 특징이다.
- 2017년에 기존 서울 취소분 NSAC을 대차하면서 NSAC 입석형 2대와 뜬금없이 NEW BS106 입석형 1대를 출고하여 전량 518번에 투입하였다. NSAC은 로우백 시트가 적용되었으며, 이때 출고된 NEW BS106은 해성운수와 같이 인천 최후의 자일대우버스가 되었다.[10]
- 2018년에는 NSAC 개선형 2대를 출고하였고, 마찬가지로 로우백 시트를 적용하였다. 이후 2019년과 2021년, 2022년에는 지속적으로 그린시티를 출고하여 자사 지선버스의 NEW BS090을 대차하였다.
- 2022년에 NSAC 개선형을 1대 출고했는데, 항상 출고하는 입석형이 아닌 좌석형을 출고한 것이 특징. 32석 LS 시트가 장착되었다.
- 2024년 9월에 일렉시티 타운을 4대 출고하여 516번과 520번에 투입했다.[11]
5. 영업소
| <rowcolor=#fff> 영업소 | 소재지 | 노선 | 비고 |
| 본사 [선진] | 인천광역시 서구 원당대로 227-10 (오류동 434-154) | 1, 66, 92, 991 | [13] |
| 연수 [선진] | 인천광역시 연수구 아카데미로312번길 268 (송도동 323) | M6405, M6439, M6450, M6461 | [15] |
| 강화 [선진]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중앙로 43 (남산리 222) | 3000 | [17] |
| <rowcolor=#fff> 영업소 | 소재지 | 노선 | 비고 |
| 신흥동지점 [비선진] | 인천광역시 중구 축항대로291번길 42 (신흥동3가 33-38) | 516, 518, 520 | [19] |
6. 운행 노선
6.1. 선진그룹 소속
6.1.1. 본사(검단)
|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1 | 뷰티풀파크버스공영차고지 | 검단지식산업센터 - 검단오류역 - 왕길동 - 검단사거리역 - 검단초등학교 - 불로대곡동행정복지센터 - 원당사거리 - 당하푸르지오 - 독정역 - 검암역 - 검바위역 - 공촌마을 - 인재개발원 - LH웨스턴블루힐 - 가정역 - 인천국민안전체험관(북측) - 신현쇼핑 - 석남역 - 산곡역 - 부평구청 → 부원여중.동아아파트 → 부평역 → 부평시장역 → 부평구청 | 부평역 | 13~17 |
| 66 | 금호어울림아파트 | 완정역 - 독정역 - 검암역 - 서곶지구대 - 인재개발원 - 공촌마을 - 교통연수원 - 경인교대입구역 - 작전역 - 화전초등학교 - 계양경찰서 → 신대진중앙아파트 → 오조산공원 → 계양구청 | 오조산공원 | 60~210 |
| 92 | 뷰티풀파크관리공단 | 트러스 - 검단산업지식센터 - 검단오류역 - 왕길동 - 검단사거리역 - 검단초등학교 - 불로대곡동행정복지센터 - 우저서원 | 걸포북변역 | 30~45 |
| 991 ♿ | 뷰티풀파크관리공단 | 공단사거리 - 검단오류역 - 오류왕길동행정복지센터 - 검단1교차로 - 완정사거리 - 마전동행정복지센터 - 검단초등학교 - 불로대곡동행정복지센터 - 신검단중앙역2번출구 - 인천이음초등학교 - 아라동행정복지센터(서부고용센터) → 유현사거리 → 검단신도시우미린리버포레 → 아라역4번출구 → 아라동행정복지센터(서부고용센터) | 검단신도시우미린리버포레 | 15~22 |
6.1.2. 연수지점
| <rowcolor=#00b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M6405 | 송도웰카운티 | (인천대학교 ←) - 센트럴파크역 - 송도자이하버뷰 - 송도풍림아이원 - 한진아파트 - 제3경인고속화도로 - 제2경인고속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봉담과천로 - 선바위역 → 우면산터널 → 서초역 → 교대역 → 강남역 → 양재역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양곡도매시장 → 선바위역 → 이후 역순 | 강남역 | 6~20 |
| M6439 | 인천터미널 | 구월아시아드 - 서창도서관 - 서창센트럴푸르지오 - 서창퍼스트뷰 - 비류대로 - 시흥대로 - 제3경인고속화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봉담과천로 - 우면산로 → 서초역 → 교대역 → 강남역 → 역삼역 → 도곡한신아파트 → 양재역 → 경부고속도로 - 우면산로 → 이후 역순 | 역삼역 | 30~100분 |
| M6450 ♿ | 송도e편한세상 | 랜드마크시티센트럴더샵 - 송도달빛축제공원역 - 센트럴파크역 - 인천대입구역 - 송도더샵센트럴시티 - 테크노파크역 - 캠퍼스타운역 - 아암대로 - 제3경인고속화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봉담과천로 - 우면산로 - 양재대로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양재역 - 강남역 - 선릉역 | 삼성역 | 20~50 |
| M6461 | 소래포구역종점 | 논현12.13단지 - 논현8단지 - 논현2동행정복지센터 - 논현3단지 - 논현주공1.2단지 - 도림육교 - 비류대로 - 제2경인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 강남순환도로 - 사당역 → 서초역 → 교대역 → 강남역 → 역삼역 → 양재역 → 예술의전당 → 사당역 → 이후 역순 | 역삼역 | 60~150분 |
6.1.3. 강화지점
|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 3000 | 강화터미널 | 강화병원 - 성동검문소 - 김포대학입구 - 매수리마을 - 통진중고교 - 장기본동행정복지센터 - 한강로사거리 - 걸포북변역 - 북변환승센터 - 사우역 - 풍무역 - 고촌역 - 개화역 - 송정역 - 마곡역 - 발산역 - 강서구청사거리 - 염창역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역 | 신촌로터리 | 25~35 |
6.2. 비선진그룹
6.2.1. 신흥동지점
|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516 ♿ | 현광아파트 | 인천병무지청 - 인하대역 - 인하대정문 - 햑익풍림아이원 - 학익시장 - 인천지방법원 - 신동아아파트 - 신기.남부종합시장 - 시민공원역 → 주안역 → 인천가정법원 → 석바위시장 → 시민공원역 → 이후 역순 | 주안역 | 13~16 |
| 518 | 병무청종점 | (← 학익풍림아이원 ← 인하대역 ← 학익풍림아이원 ← ) - 학익고등학교 - 신동아아파트 - 신기.남부종합시장 - 시민공원역 → 주안역 → 인천가정법원 → 석바위시장 → 시민공원역 → 이후 역순 | 주안역 | 8~11 |
| 520 ♿ | 현광아파트 | 인천병무지청 - 학익고등학교 - 신동아아파트 - 관교여자중학교 - 신비마을아파트 → 인명여자고등학교 → 인천터미널 → 신비마을아파트 → 이후 역순 | 인천터미널 | 12~15 |
6.3. 과거 운행 노선
- 1A번: 왕길동 ~ 인천성모병원
- 17번(2기): 김포우리병원 ~ 수봉공원
- 17-1번(2기): 수봉공원 ~ 동인천역
- 60-2번: 온수리 ~ 송정역
- 67번(2기) : 원당중고등학교 - 발산초등학교 - 당하농원 - 효성산업 - 드림로갈산교 - 인혜학교후문 - 장기동 - 계양역 - 귤현감리교회 - 계양센트레빌2단지 - 계양3동행정복지센터 - 당산초등학교 - 상야동 - 하야동 - 개화검문소 - (→ 김포공항국제선 → 한국공항공사 → 김포공항국내선 →/← 방화중학교 ←) - 송정역
- 70번: 강화터미널 ~ 인천터미널
- 70-1번: 양곡 ~ 인천터미널
- 1200번 : 범양아파트 - 가좌초등학교 - 가림고등학교 - 건지사거리 - 삼보아파트 - 산곡동입구 - 산곡동천주교회 - 청천푸르지오아파트 - 부평구청 - 굴포천역 - 인천삼산월드체육관 - 중동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서운JC - 경인고속도로 - 국회대로 - 목동교 - 강서세무서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로터리 - 신촌역 - 이대역 - 종근당 - 서울역 (선진여객으로 이관되었다.)
7. 면허 체계
- 간선버스와 광역버스는 강화군에 면허지를 두고 있으며, 지선버스는 미추홀구에, 광역급행버스는 연수구 면허로 등록되어 있다.
7.1. 선진그룹 소속
- 인천 70 바 24## ~ 25##호: 영종운수 면허.[20]
- 인천 70 바 37##호: 신동아교통 면허.[21]
- 인천 70 바 6106, 6131, 6142호: 인강여객 면허.[22]
- 인천 72 아 11## ~ 12##호: 중구 증차 면허.[23]
- 인천 72 아 126# ~ 128#호: 인천제물포교통 면허.[24]
- 인천 73 아 1588 ~ 1590호: 서구 증차 면허.[민영제][26]
- 인천 73 아 1610 ~ 1612호: 서구 증차 면허.[27]
인천 73 아 2201 ~ 2203호: 서구 증차 면허.[민영제][29]- 인천 74 사 13##호: 연수구 증차 면허.[30]
- 인천 75 아 10## ~ 12##호: 연수구 증차 면허.[31]
- 인천 78 바 14##호: 강화군 증차 면허.[32]
7.2. 비선진그룹(신흥동지점 소속)
8. 보유 차량
8.1. 현재 보유 차량
8.1.1. 현대자동차
- 현대 그린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일렉시티 타운 전기버스
- 현대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천연가스버스
- 현대 유니버스 럭셔리 천연가스버스
- 현대 유니버스 프라임 천연가스버스
- 현대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엘레강스)
- 현대 일렉시티 이층버스 전기버스
8.1.2. 스카이웰
8.1.3. 자일대우버스
8.2. 과거 보유 차량
8.2.1. 자일대우버스
- 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천연가스버스
- 대우 NEW BS090 디젤
- 대우 NEW BS090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 대우 BS106L 로얄시티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
- 대우 BH116 로얄럭셔리 II 디젤
8.2.2. 현대자동차
- 현대 에어로타운 디젤
- 현대 글로벌900 디젤
- 현대 글로벌900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유니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디젤
8.2.3. 기아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1] 면허지는 강화군(간선, 광역), 남동구(지선), 연수구(광역급행)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 중 지선버스를 제외한 노선은 선진그룹 산하에 있다.[2] 해당 시점부터 인천광역시 광역버스 요금으로 전환되었다.[3] 비슷하게 아파트 명칭을 사명으로 따온 곳은 만수동 삼환아파트를 경유하는 삼환운수와 여기서 분사된 삼환교통과 삼환여객이 있다.[4] 다만 이쪽은 선진버스의 명분이 있어 선진 로고를 붙이고 다닌다. 차량만 보면 선진의 영향이 큰 것 같지만, 일산영업소에 한하여 신동아교통 지분이 계속 영향을 끼치는 셈.[5] 모두 스펀지 시트와 단색 손잡이가 적용되었다.[6] 18년식은 3대, 19년식은 5대이며 공영급행에서 이관될 때 면허가 전환되었다.[7] 22년식 리오네 3대도 모두 더월드교통 중고 차량이다.[8] 기존 차량은 모두 1번에 증차되었다.[9] 3000번에서 운행중인 차량은 모두 선진상운 시절에 출고된 것이다.[10] 다만 해성운수에서 출고한 3대는 모두 좌석형이지만, 이쪽은 입석형이다. 입석형으로써는 유일한 셈.[11] 최초는 삼환운수이며, 지선버스는 선진그룹 소속이 아니기 때문에 스카이웰을 출고하지 않았다.[선진] 선진그룹의 계열이다.[13] CNG 충전은 김포운수 대포리차고지에 위치한 충전소에서 한다.[선진] [15] CNG 충전은 항동7가차고지에서 한다.[선진] [17] CNG 충전은 인천 강화군 선원면 중앙로 219-1 소재 선진CNG충전소에서 한다.[비선진] 선진그룹의 간섭을 받지 않으며, CNG 충전은 항동7가차고지에서 한다.[19] 가스 충전은 항동7가차고지에서 실시한다.[20] 1번과 17번을 인수받으면서 일부 유입되었으며, 현재도 1번에만 존재한다.[21] 1번과 17번을 인수한 후 발급받은 간선버스 면허로, 사실상 신동아교통(선진)의 주 면허다.[22] M6405번 인수와 함께 3대의 면허를 넘겨받았다.[23] M6405번이 인천선진교통 시절이던 소속 발급받았으며, 이후 인강여객으로부터 M6405번 인수와 함께 일부 유입되었다.[24] 127#호, 128#호는 미추홀교통 출신 면허이다. 모두 M버스를 양도받으면서 유입된 것으로, 미추홀교통에서 제물포교통이 분사된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같은 범주로 볼 수 있다.[민영제] 민영제 노선인 66번에서만 사용된다.[26] 면허 발급과 함께 72아 1097호(1588), 72아 1085호(1589), 72아 1113호(1590)가 말소되었다.[27] 92번의 한정면허 전환으로 발급받은 면허이다.[민영제] [29] 2025년 9월 29일부로 폐차말소 되었다.[30] M버스의 면허지가 연수구로 이전하면서 발급되었다. M6405번과 M6461번의 수소전기버스가 사용주이다.[31] 인강여객 M6405번 양도와 함께 유입되었다. 이 중 10##호와 11##호는 더월드교통, 선진여객 출신을 이관받으면서 기존 면허를 전환한 것이다.[32] 선진상운으로부터 3000번을 양도받으면서 유입되었고, 이후 간선버스 면허지를 강화군으로 이전하면서, 991번의 한정면허로도 발급되었다.[33] 대다수는 간선버스에서 운행중이지만, 4대만 신흥동지점에 존재한다.[34] 마을버스 시절부터 사용한 지선버스 주 면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