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 강화군 | 군내버스 | ||
| 계양구 | 동화운수 | |||
| 남동구 | 부성여객 | 삼환운수 | 성원운수 | |
| 인천교통공사 | ||||
| 부평구 | 성산여객 | 강인교통 | 강인여객 | |
| 미래교통 | 청라교통 | 대인교통 | ||
| 태양여객 | ||||
| 서구 | 선진여객 | 세운교통 | 공영급행 | |
| 신동아교통 | 마니교통 | 마니버스 | ||
| 삼성여객 | 수정관광 | 시영운수 | ||
| 신강교통 | 신화여객 | 원진운수 | ||
| 청룡교통 | 해성운수 | |||
| 연수구 | 더월드교통 | 도영운수 | 성민버스 | |
| 중구 | 강화교통 | 미추홀교통 | 삼환교통 | |
| 송도버스 | 인천스마트 | 인천제물포교통 | ||
| 은혜교통 | 인강여객 | 신흥교통 | ||
| 영종운수 | ||||
| 범례 | ||||
|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 선진그룹 계열사 | 강인여객 계열사 | ||
| 동구와 미추홀구, 옹진군은 관내에 주사무소(본사)를 둔 업체가 없어 제외.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시내버스 | 검단버스 | 마니교통 | 마니버스 | 삼성여객 |
| 선진여객 | 세운교통 | 수정관광 | 시영운수 | ||
| 신강교통 | 신동아교통 | 신화여객 | 원진운수 | ||
| 청룡교통 | 해성운수 | ||||
| 공영버스 | 대곡교통 | ||||
| 인천광역시의 버스 회사 | |||||
| 주식회사 신강교통 Shinkang Transportation Co., Ltd. | |
| | |
| 본사 | 인천광역시 서구 원당대로206번길 11-8 (오류동 434-64) |
| 대표이사 | 홍경섭 |
| 설립일자 | 2012년 7월 2일 |
| 기업구분 | 중소기업 |
| 업종 | 시내버스 운송업 |
1. 개요
| | |
| 1100번 | 9501번 |
신강교통은 인천광역시 서구의 버스 회사다.
신백승여행사의 시내부가 분리되며 출범했으며, 광역버스만 운행하는 업체 중 하나이다.
2. 역사
- 2020년 8월 1일에 790번을 부성여객에 매각했다.
- 2022년 10월 1일에 전 노선이 교통카드 전용버스로 전환되면서 현금승차가 제한된다. 이후에 개통된 M버스 역시 교통카드 전용버스로 적용된다.
- 2024년 5월 10일에 M6457번이 개통했다.
- 2024년 10월 15일에 광역버스 준공영제가 시행되었다.
- 2025년 4월 23일에 M6659번이 개통했다.
- 2025년 8월 25일에 M6660번이 개통했다.
3. 상세
- 시작은 신백승여행사가 2005년 9월에 790번 한정면허 입찰을 받으면서 시내버스 사업을 시작하게 된 것이다. 당시 영흥도와 선재도는 영흥대교가 완공되면서 내륙과 연결되었으나, 태화상운의 비싼 시외버스로 인하여 불만이 심했고 인천광역시에서 주민 편의를 위해 좌석버스를 기획하게 된 것. 이후 2009년 10월에 검단 주민들의 교통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1900번을 추가로 개통하면서, 한정면허 버스로 운행하는 두 개의 노선만 보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삼화고속이 파업 후 경영난 등으로 광역버스를 대거 매각하면서, 신강교통이 1100번, 1101번, 9501번, 9802번을 인수하게 되었다. 동시에 검단행 광역버스 노선을 전부 독점하게 되었고, 1601번도 인수하면서 790번과 같이 용현동과 학익동 등 구도심 지역에도 노선을 두게 되었다. 현재는 1601번을 제외한 전 노선이 검단을 포함한 서구 지역에 기반을 두고 있다.
- 출범 초기에는 급하게 세가 확장된 탓에 인력난에 시달렸다. 당장 급하게 기사를 뽑아야 하는데 영세업체인 신강교통에서 대우가 좋을 리는 없으니 일단은 급하게 인력을 구하는 대로 투입했는데, 그러다 보니 주로 입사하는 기사들의 분포가 대부분 다른 회사에서 정년을 넘기고 퇴직한 기사들이 대부분이었다.[2][3] 또한 차량도 부족하여 신백승여행사와 삼화고속 양도 차량을 비롯하여 여러 전세버스 중고차를 자주 도입하기도 했다. 물론 이건 준공영제 이전까지만 그랬었고 준공영제가 된 현재 촉탁직 기사들은 대부분 퇴사했고, 현재는 대부분의 기사를 새로 고용했다.
- 광역버스의 측면 행선지 래핑 폰트가 'HY태백'체로 용남고속과 동일하다. 이 때문에 신강교통이 용남고속에 인수된 것인가 의문을 가지는 동호인이 많았다. 일단 알려진 바로는 광고 업체가 동일해서 같은 폰트로 래핑을 해준 것이다. 그리고 신강교통은 안쪽에서 붙였고 용남고속은 바깥에서 붙였다. 즉, 용남고속이 신강교통을 인수한 게 아니다. 이전에는 'HY울릉도B'체를 기울여서 노선번호 표기를 하는 등, 울릉도체를 자주 사용했으나 삼화고속 노선 인수 후에는 마니교통과 같이 전면 행선판에 한하여 삼화고속과 동일하게 Century Gothic체를 적용하고 있다. 측면 행선판은 숫자 폰트만 유지하고 양식을 바꾸어 적용하고 있으며, 이후에 개통한 M버스도 유사 양식을 적용하고 있다.
- 이 회사도 나름 스피드가 있다. 기사마다 속도 내는 차량도 있고 정속하는 차량도 있고 저속하는 차량도 있고 복불복이다. 평상시에는 80~90km/h으로 정속하지만 심야 시간대에는 100km/h까지 밟기도 한다. 올림픽대로 상에서 전성기 김포운수 못지 않게 속도를 잘 내는 업체 중 하나이다.
4. 차량
- 2012년에 처음 출범했을 당시에는 대부분 신백승여행사에서 넘어온 차량이 대부분이었고, 이후 삼화고속 노선을 인수하면서 자체 출고분보다는 중고 차량이 더 많았다. 주로 에어로 스페이스 LS[4]와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가 대부분이었다. 신강교통으로 이름을 바꾼 후에는 2012년에 유니시티 45석 옵션을 출고하였고, 주로 1100번과 1101번에서 운용하다가 대차하였다.[5] 이때를 제외하면 모든 차량을 유니버스로 도입중이다.
- 2016년에 순회 전시차량 출신 뉴 그랜버드 블루스카이를 도입하였다.[6] 광역버스 입석금지 제도에 대비하여 무려 53인승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며, 중고차가 아닌 자체 생산분 기준 최초의 그랜버드 광역버스가 되었다.[7]
- 2016년부터 한동안 스포일러가 올라간 차량을 투입했는데, 뉴 그랜버드를 제외하고는 스포일러 올린 유니버스들은 중고 차량이다.
- 2018년과 2019년에 790번에서 운행하던 에어로 스페이스 LS를 일부 대차하면서 뉴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를 자체 출고하였다. 인천에서 흔한 최후방 개폐창 옵션과 운전석 파티션이 적용되었으며, 44석 MS-E 시트가 적용되었다. 이후 790번을 부성여객에 매각하면서 해당 차량들은 모두 9501번으로 재도색 후 투입되었다.[8] 이때 투입한 차량이 신강교통 최후의 CNG 자체 도입분이다. 참고로, 2019년 6월에 대차한 차량은 인천 시내버스 최후의 에어로 스페이스 LS이며, 790번 예비차량으로 있었다.
- 2020년에는 금강고속(시외부) 출신의 14년식 유니버스를 중고로 매입하였다.[9] 초기에는 41석으로 그대로 유지했으나, 2020년 하반기에 일부 차량들이 45석으로 개조됐다. 그래도 시외버스 갱웨이, 선반 옵션이 남아있어 상대적으로 상위 옵션이었다.
- 2023년에는 삼화고속 출신 10년식 유니버스 럭셔리를 대차하면서 처음으로 유니버스 프라임(일명 삼각유니)를 도입하게 되었다. 총 6대 도입했으며, 경기도 공공버스와 비슷하게 44석 옵션의 디럭스 시트가 적용되었다.[10] 이때부터 차량 경유지 랩핑을 적용하지 않고 있으며, 추가 옵션 없이 기본 옵션만 적용하고 있다.
- 2023년부터 전세버스 출신 차량과 신백승여행사 시절 출고한 유니버스를 대거 숙청하기 시작했다. 당시 인천광역시에서 수소전기버스 도입을 적극적으로 하고 있었기 때문에, 9501번을 제외한 모든 노선에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를 대거 투입하였다. 현재는 9501번에만 CNG 차량이 투입되며, 이 15대를 제외한 모든 차량이 수소전기버스로 운행중이다.
- 2024년부터 준공영제가 적용되었고, 이후에는 경기도 공공버스와 같이 차량 측면에 잔여좌석 표시기를 설치하였다. 광역버스 입석금지 제도 부활과 함께 차량의 잔여좌석 확인을 쉽게 할 수 없었기 때문. 이후 전 노선이 입석금지로 전환되었다.
- 나름대로 전세버스 출신인지라, 전반적인 차량 옵션은 광역버스 치고는 좋은 편인데 특히 신백승여행사 시절 출고한 2009년식 유니버스는 갱웨이, 오버항 시트 옵션이며 2011년에 출고한 유니버스 또한 갱웨이 옵션이 적용된 것이 특징. 다만, 삼화고속 노선을 인수하면서 매입한 럭셔리는 깡통 옵션 그대로 적용되었다. 그래도 이후 꾸준히 전세/시외출신의 차량들을 가져오고 있어 깡통 옵션으로 가져오는 다른 광역버스 업체들에 비해서는 좋은 옵션의 차량들이 다수 있다. 신강교통 법인 신설 이후 자체 출고한 차량은 2012년식 유니시티 10여대와 790번 출신 및 9501번 증차분 유니버스 10대, 수소 유니버스 정도로 수소 유니버스를 제외하면 모두 기본 옵션 수준의 차량이다. 그만큼 자체 출고분이 적고, 타사 매입 차량이 더 많은 편이었다.
- 다른 인천 광역버스 운행 업체가 그러하듯이, 차내에 손잡이를 적용하지 않는다. 다만 2012년에 출고했던 유니시티나 2016년에 출고했던 뉴 그랜버드에는 회색 손잡이를 적용했던 적이 있다. 해당 차량을 제외하면 손잡이를 일체 적용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 인천과 강남역을 운행하는 광역버스 노선 중 하이패스가 없는데, 전부 자동차전용도로의 무료구간만 다니기 때문에 굳이 설치 및 옵션으로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11]
5. 차고지
| <rowcolor=#fff> 영업소 | 소재지 | 노선 | 비고 |
| 오류동 | 인천광역시 서구 원당대로206번길 11-8 (오류동 434-64) | 1100, 9802 | 본사[CNG/FCEV] |
| 마전동 | 인천광역시 서구 세자봉로 141 (마전동 66-1) | 1101, 9501, M6457, M6659, M6660 | [CNG/FCEV] |
| 신흥동 | 인천광역시 중구 축항대로290번길 126 (신흥동3가 60-4)[14] | 1601 | 구. 인천여객 차고지[15] |
6. 운행 노선
6.1. 광역버스
|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기준] |
| 1100 | 검단산업단지 | 검단지식산업센터 - 단봉초등학교 - 왕길유승아파트 - (→ 검단하나아파트 →/← 신명아파트 ←) - 검단사거리역 - 마전역 - 완정역 - 보람프라자 - 유현사거리 - 장기동 - 드림로 - 올림픽대로 - (→ 당산역광역환승센터 →)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20~25 |
| 1101 | 마전지구버스차고지 | 마전풍림아이원 - 검단초등학교 - 월드아파트 - 파라곤보타닉파크 - 인천영어마을 - 이음대로.대성베르힐 - 드림로 - 올림픽대로 - (→ 당산역광역환승센터 →)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25~30 |
| 1601 | 인하대학교 | (→ 학산소극장 →/← 학익시장 ←) - 용일사거리 - 시민공원역 - 석바위 - 인천시청후문 - 구월2동행정복지센터 - 태진.두진아파트 - 힘찬병원 - 인천미래생활고등학교 - 상동역.부천터미널소풍 - 부천시청역 - 신중동역 - 약대사거리 - 경인고속도로 - 국회대로 - 선유고등학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50~60 |
| 9501 | 마전지구버스차고지 | 마전풍림아이원 - 검단초등학교 - 월드아파트 - 홈플러스김포점 - 김포북변산호아파트 - 사우역 - 풍무역 - 고촌역 - 올림픽대로 - (← 구반포역 ← 신반포역 ←) - 고속터미널 - 반포역 - 논현역 - 신논현역 - 강남역 - 양재역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20~25 |
| 9802 | 검단산업단지 | 검단지식산업센터 - 검단오류역 - 단봉초등학교 - 왕길유승아파트 - (→ 검단하나아파트 →/← 신명아파트 ←) - 검단사거리역 - 마전역 - 완정역 - 보림프라자 - 유현사거리 - 장기동 - 드림로 - 올림픽대로 - (← 구반포역 ← 신반포역 ←) - 고속터미널 - 반포역 - 논현역 - 신논현역 - 강남역 - 양재역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35~40 |
6.1.1. 광역급행버스
| <rowcolor=#0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M6457 | 검암역로열파크씨티푸르지오1단지 | 검암역로열파크씨티푸르지오 - 독정역 - 서구영어마을 - 인천영어마을 - 아라동행정복지센터 - 유현사거리 - 드림로 - 올림픽대로 - 고속터미널 - 반포역 - 논현역 - 신논현역 | 강남역 | 60~80 |
| M6659 | 검단초등학교 | 불로대곡동행정복지센터 - 고산터널 - 이음5로 - 인천영어마을 - 이음대로 - 드림로 - 공항대로 - 염창역 - 당산역 | 여의도 | 30~50 |
| M6660 | 검단초등학교 | 불로대곡동행정복지센터 - 고산터널 - 이음5로 - 인천영어마을 - 이음대로 - 드림로 - 남부순환로 - 가산디지털단지역 - 디지털3단지 - 패션단지 - 지하이시티 - 디지털1단지 | 구로디지털단지역 | 30~50 |
6.2. 과거 운행 노선
|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기준] |
| 790 | 옹진군청 | 숭의역 - 숭의로터리 - 제물포역 - 시민공원·문화창작지대 - 석바위 - 인천시청후문 - 구월2동행정복지센터 - 모래내시장역 - 만수역 - 남동구청 - 소래포구입구.논현푸르지오 - 풍림아파트상가 - 월곶주민센터.월곶포구 - 오이도역 - 모아아파트 - 고합아파트 - 신동아1단지 - 동보아파트 - 국궁장앞 - 스틸랜드 - 방아머리선착장 - 대부고등학교 - 대부동행정복지센터 - 선재대교입구 - 문말삼거리 - 수협공판장입구 | 영흥도 | 50~90 |
| 1900 | 금오동 | 검단원흥아파트 - 월드아파트 - 원당지구 - 유현사거리 - 장기동 - 올림픽대로 - 합정역 -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 | 서울역 | 15~30 |
7. 면허 체계
- 인천 70 바 45## ~ 47##호 : 삼화고속 출신 면허
- 인천 73 아 16##호 : 광역급행버스 증차 면허 (서구 면허)[18]
- 인천 78 바 19##호 : 신백승여행사 면허 (서구 면허)
8. 보유 차량
8.1. 현재 보유 차량
8.1.1. 현대자동차
8.2. 과거 보유 차량
8.2.1. 현대자동차
8.2.2. 자일대우버스
8.2.3. 기아
[1] 정확히는 적자노선에 대한 폐선요청 후, 재운행 사업자 공모를 통해 신강교통이 1601번을 입찰한 것.[2] 흔히 촉탁직이라고 불리우며 타 사에서 정년돼서 온 기사들이 천지라 사고관이 엄청 답답할 정도로 고리타분하다.[3] 물론 젊은 중장년 기사들도 있지만 대부분 경력채우기 위해 입사를 한 이유라 근속기간이 굉장히 짧은편이다.[4] 790번에서 주로 운용하였는데, 스윙도어였던 것이 특징이다. 일부는 용남고속 출신이기도 하다.[5] 신강교통 최초의 자체 출고분이다. 당시 인천에서 처음으로 유니시티를 도입한 업체로, 이후 강인여객을 비롯한 계열사들이 공항좌석버스에 대거 투입하면서 인천의 유니시티 보급 비율이 대폭 증가하게 된다.[6] 출고는 2016년에 했지만, 실제로는 2015년식이다.[7] 블루스카이가 12.5m로 당시 국내 최장 모델 중 하나였으나, 53인승을 적용하면서 무리클 시트를 도입하게 되었다. 이밖에도 현대 유니버스와 동일하게 풍뎅이 하차벨과 손잡이를 적용했던 것이 특징.[8] 이 과정에서 일부 차량은 삼화고속 면허로 전환되었다. (78바 1911~1914)[9] 금강고속의 시외버스로 운행했으나, 강원도에 CNG 충전소가 매우 적어 운용상 제한이 생겨 광역버스로 매각하게 되었다. 신강교통 외에도 경진여객이 일부 차량을 매입하였다.[10] KD 운송그룹에서 출고하는 프라임과 옵션이 거의 동일하다. 다만 손잡이를 장착하지 않았다는 것이 차이.[11] 마니교통은 경인고속도로의 인천TG를 통과하기 때문에 하이패스를 적용하며, 이외의 광역버스 업체들도 모두 무료 구간만 운행하여 별도로 하이패스를 설치하지 않는다. 오히려 인천국제공항으로 가는 공항좌석버스들이 하이패스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CNG/FCEV] 천연가스버스는 왕길동차고지에서, 수소 충전은 매립지 내의 별도의 충전소를 사용한다.[CNG/FCEV] [14] 신흥교통의 본사가 바로 옆에 위치한다. CNG와 FCEV 충전 모두 바로 옆의 신흥교통 본사에서 해결한다.[15] 이 곳에서 1km 가량 떨어진 항운아파트에서 민원이 들어왔었다.[기준] 평일[기준] 평일[18] 1622호 ~ 1624호, 1639호 ~ 1652호가 존재한다.[19] 인천광역시 최후의 에어로 스페이스 차량.[20] 시제차 출신으로, 53인승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