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고속 관련 틀 | |||||||||||||||||||||||||||||||||||||||||||||||||||||||||||||||||
|
주식회사 금강고속 | |
| |
주소 | <colbgcolor=white,#1f2023> 구리 본사 경기도 구리시 아차산로487번길 34(지번 교문동 354-2) |
홍천본점[1] 강원도 홍천군 홍천읍 홍천로 301(지번 희망리 393) | |
양평지점[2]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시민로 91(지번 공흥리 484-2) | |
대표이사 | 윤병훈 |
설립일자 | 1952년 6월 6일 |
업종 | 시외버스 및 농어촌버스 운송업 |
보유 대수 | 시외버스 229대, 농어촌버스 66대 |
기업 규모 | 중소기업 |
종업원 | 563명 |
홈페이지 | http://kumkangexpress.com |
1. 개요
金剛高速차량 사진 | |||||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 열기 / 닫기 ] | | | |||
시외버스 | |||||
| | ||||
양평군 농어촌버스 | 홍천군 농어촌버스 |
경기도 양평군 및 강원도 홍천군/인제군에서 농어촌 및 시외버스를 운행하는 버스 회사. 윗동네의 강원고속과 함께 강원도에서 복무하는 군인들에게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친구 중 하나.[3] 양평시외버스터미널, 홍천터미널, 원통버스터미널, 양양고속시외버스터미널을 운영하는 회사이기도 하다.[4] 본사는 경기도 구리시 아차산로487번길 34(교문동 354-2) 금호어울림아파트 근처에 있다.[5] 44번 국도 연선을 독점하고 있으며, 실제로 44번 국도를 주행하다 보면 빨간색 금강고속 차량을 허구한 날 볼 수 있을 것이다.
경기도 구리시에 본사가 있지만 운송 면허를 경기도 양평군과 강원도 홍천군, 인제군 세 곳에서 보유하고 있다 보니 세 지역에서 각각 농어촌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이 중 홍천군 농어촌버스는 경기도 버스와 똑같은 이비카드의 교통카드 단말기가 달려 있지만,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 적용이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양평군 청운면 용두리, 용문면 광탄리에서 버스를 이용할 때 주의할 필요가 있다.[6] 2014년 4월에는 인제군에도 캐시비 교통카드 서비스를 적용한다.
차량 전면에 동그라미와 번개가 겹쳐진 모양의 로고를 그리고 다니는데, 독일의 자동차 회사 오펠의 로고와 비슷하다.[7][8]
2. 연혁
- 1952년 : 강원도 홍천군에서 '금강운수'라는 사명으로 설립했다.
- 1973년 : 경기도 양주군 구리읍 교문리로 본사를 이전했다.
- 1999년 : 사명을 '금강고속'으로 개명했다.
- 2009년 : 원통버스터미널을 신축했다.[9]
- 2010년 : 본사를 홍천터미널로 이전했다가, 다시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으로 복귀했다.
- 2011년 : 9월 1일, 전세버스 영업을 개시했다.
- 2021년 : 동서울 ~ 속초 간 프리미엄 우등버스 운행을 개시했다.
3. 농어촌버스
3.1. 양평군
양평군 버스정보 |
- 2000-1(양평시외버스터미널 - 양평군청. 양평역 - 오빈리 - 아신역 - 아신대학교(후문) - 국수리.양평전자과학고 - 신원역 - 양서면사무소 - 양수리 - 조안면사무소 - 구.능내역 - 봉안마을 - 팔당역 - 도심역 - 덕소역 - 양정역 - 남양주제2청사 - 도농역 - 구리역.롯데백화점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구리시청 - 광나루역 - 강변역)
- 2000-2(양평시외버스터미널 - 양평시장 - 양평역, 양평군청 - 오빈리 - 아신리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정문) - 복포리 - 국수리 - 신원역 - 양수리 - 조안면사무소 - 6번 국도 - 팔당대교 - 미사리조정경기장 - 한강유역환경청 - 올림픽대로 - 잠실대교 - 잠실역)[10]
- 2000-3(양평시외버스터미널 - 양평군청. 양평역 - 오빈리 - 아신역 - 아신대학교(후문) - 국수리.양평전자과학고 - 신원역 - (← 목왕리 ←) - 양서면사무소 - 양수리 - 조안면사무소 - 구.능내역 - 봉안마을 - 팔당역 - 도심역 - 덕소역 - 양정역 - 남양주제2청사 - 도농역 - 구리역.롯데백화점 - 돌다리 - 교문사거리 - 구리시청 - 광나루역 - 강변역)
양평군에서 출발하는 시내버스 중에서는 여주시로 가는 노선도 있다. [11] 이 때문에 여주시는 이천시에 비해 KD 운송그룹의 점유율이 떨어지는 편. 대신 양평군 관내를 운행하는 KD 운송그룹 시내버스 노선도 많다.[12]
금강고속 농어촌버스, 특히 양평군 노선의 경우 구간요금을 칼같이 받아낸다. 환승제 이전부터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던 구간요금제 노선들이며, 환승제도의 시행 이후에도 거리비례제라는 이름으로 구간요금제가 유지되고 있고 하차태그 언제 하나 매의 눈으로 감시하니 절대 부정승차하지 말 것.
하차태그 미리하기를 하면 서울이나 다른 지역 기사들은 주의를 주거나 보통 공정한 승차요금 지불을 계도하며 심한 기사들도 차액 만큼만 현금 추가 지불을 요구하는데 반하여 금강고속 기사들은 먼저 선태그한 하차를 무효 조치하고 다시 승차 처리한 후 목적지에서 하차태그토록 조치한다. 그것도 부정승차 불이익 조치인 30배 요금지불을 강요한 후 취하는 조치이다. 특히 장거리 노선인 여주 대신 방면과 선어치 설악 노선이 심한 편이다.
|
전원일기에서 등장하던 버스들 상당수가 금강고속의 양평군 농어촌버스다. 그 이유는 양평군에서 전원일기를 상당기간 촬영해서 금강고속 양평군 버스가 나올 수 밖에 없었고 1990년대 후반~2002년 당시 금강고속 버스 외부 디자인이 그대로 방영되어 당시 버스의 모습이 그대로 담겨져 있다. [13]
3.2. 홍천군
3.3. 인제군
4. 시외버스
| |
경기면허 차량. (동서울 ~ 양평 ~ 홍천)[14][15] | 강원면허 차량. (동서울 ~ 대진) |
시외버스는 동서울, 상봉동[16], 홍천, 춘천, 원주, 속초, 안산, 수원, 성남, 인천, 고양, 의정부에서 출발하는 노선을 보유하고 있다. 양평에서 중간 승하차하는 노선들은 많으나, 정작 양평을 기점으로 삼는 시외버스 노선은 없다.[17] 또한 농어촌버스와 비슷하게 44번 국도를 제패하고 있으며 44번 국도 시외버스는 사실상 이 버스 밖에 없다.
주력 노선은 속초IC를 경유[18]하는 동서울 ↔ 속초(시외) 무정차 우등형 노선. 1999년부터 이 노선에 우등형 차량이 투입되고 있으며, 고속버스와 경쟁을 위해 유니버스 노블 우등형 차량과 그랜버드 파크웨이 우등형 차량만 투입되고 있다. 평일에도 매진이 매우 자주 일어나며[19] 고속버스를 압도하고 있다.[20] 원통에서도 일부 시간대에 동서울터미널까지 무정차로 운행하는 노선이 있으며, 이 노선에도 유니버스 노블 우등형이 들어간다.[21] 물론 100% 홍천 환승인 영남권 쪽 군인들에게 그림의 떡이지만, 목적지가 진주같은 서부 경남권이라면 이야기는 달라진다.[22]
그런데 굳이 금강고속을 안 타도 되는 게 서울 시내로의 접근성이 좋은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을 이용해야 하는 경우와, 속초해수욕장을 이용할 경우는 그냥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 타는 게 낫다. 서울 ↔ 속초(고속)[23] 노선은 요금도 그게 그거고, 학생 할인도 된다. 심지어 대학생 할인도 된다.(동서울 ↔ 양양/속초(고속) 노선만) 게다가 한동안 일반과 우등 요금을 같게 받았기 때문에[24] 모두 우등만 들어간다. 실제로 버스 동호인이 아니더라도 인터넷에 검색해 보면 대학생 할인을 이용해 갔다온 대학생, 특히 여대생들의 리뷰를 종종 볼 수 있다. 배차는 30분으로 금강고속과 비슷하다. 게다가 차급도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노블 유로6가 들어오면서 차이가 없어졌다. 다만 서울양양고속도로에서 서울고속버스터미널까지의 동맥경화를 생각하면...
또한 이 회사는 동서울 - 대진(고성군)이라는 노선도 굴리는데, 대진은 시외버스로 갈 수 있는 최북단 정류장이다. 지도 어플에서 위성으로도 안 보이고, 로드뷰로만 볼 수 있으며 종점인 대진터미널은 아무리 인터넷에서 눈을 씻고 찾아봐도 시간표가 안 나와 있는 곳이다. 실제로 대진터미널에 가 보면, 그냥 주차장에 민가 하나 있는 수준이다. 관련 게시물 뒤에 터미널 건물이었던 건물은 폐가로 변해 있고, 그 폐가 옆에 붙어 있는 민가에 주민 몇 분이 사는데, 이 곳 거실에서 승차권을 판다. 그래도 대진 쪽 해수욕장이나 김일성 별장(화진포의 성), 이승만 별장 등을 갈 때 유용하며, 동해안 자전거길을 종주하는 자전거 라이더들도 이 노선을 자주 이용한다. 대진터미널은 통일전망대에서 겨우 13km 거리에 있으며, 황해도의 사리원시와 위도가 비슷하다.
그 외에도 원주, 홍천, 춘천, 속초발 부산광역시, 전주,
허나 춘천/홍천/원주발 지방행 장거리 노선들이 일반으로 전환되자 은근슬쩍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로 운행 중[28][29]이며, 요 근래 엘레강스에 맛들였는지 중장거리 노선에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를 투입하는 몇 없는 업체다.[30]
홍천군 농어촌버스 요금 단일화 당시, 홍천-내면 노선을 같이 운행하던 대한교통[31]은 농어촌버스로 전환했지만, 금강고속은 시외버스로 운행을 고수하고 있어서 주민들로부터 지탄을 받고 있다.
2018년 6월 1일에는 서울 - 홍천 노선이 폐지됨에 따라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 철수했다.
2022년 현재는 신차 도입과 프리미엄 버스 도입으로 인해 속초선 노블 차량이 남아돌아 춘천 - 원주, 동서울- 양구, 춘천-경주/포항, 춘천-울산 등 단거리와 장거리 노선 안가리고 다니고 있어 차급이 되려 올랐다.
4.1. 운행 노선
동서울발- 동서울 - 속초
- 동서울 ~ 현리 (홍천 · 고석평 경유, 일부 시간대에는 홍천 ~ 현리)
- 동서울 ~ 양구 (홍천 경유, 무정차로 구분 강원고속과 공동운행)
- 동서울 ~ 원통 (홍천 · 인제 경유와 무정차로 구분)
- 동서울 - 홍천 (양평 · 용문 · 단월 · 용두리 경유와 무정차로 구분, [32])
- 동서울 ~ 간성 (홍천 · 인제 · 원통 경유)
- 동서울 ~ 거진 (홍천 · 인제 · 원통 · 간성 경유)
- 동서울 ~ 대진 (홍천 · 인제 · 원통 · 간성 · 거진 경유)
- 동서울 - 횡성 (양평 · 용문 · 용두 · 갈운리 · 유현1리 · 풍수원 · 복지골 경유)
춘천발
- 춘천 ~ 수원 (무정차)
- 춘천 ~ 원주 (홍천 · 공근 · 횡성 경유와 무정차 직통으로 구분)(강원고속과 공동운행)
- 춘천 ~ 대구서부 (홍천, 횡성, 원주, 대구북부 경유, 강원고속 공동운행)
- 춘천 ~ 포항 (홍천 · 공근 · 횡성 ·원주 · 경주 경유)
- 춘천 ~ 울산 (홍천 · 공근 · 횡성 · 원주 경유)
- 춘천 ~ 부산(홍천 · 횡성 경유)
홍천발
원주발
- 원주 ~ 인천국제공항 (문막 · 김포국제공항 경유)
- 원주 ~ 상봉 (문막 · 구리역 경유)[34]
- 원주 ~ 수원(무정차)
- 원주 ~ 속초 (횡성 · 홍천 · 인제 · 원통 ·백담사경유)
- 원주 ~ 부산 (무정차)*
- 원주 ~ 여주 (문막 경유)
- 원주 ~ 청주시외버스터미널[35]
속초발
- 속초~ 수원(원통 · 홍천 경유)
- 속초~ 성남(원통 경유)
- 속초~ 용인 (양양 · 이천 경유)
- 속초~ 안산 (원통 · 홍천 경유)
- 속초~ 고양 (원통 · 홍천 경유)
- 속초~ 의정부 (인제 · 홍천 · 양평 경유)
- 속초~ 대전 (홍천 · 원주 경유)
- 속초~ 전주 (원통 · 인제 · 홍천 · 횡성 · 원주 · 유성 경유)
- 속초~ 인천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 경유)
5. 차량
FX212 슈퍼크루저.[36] |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CNG.[37] |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현대차는 극소수[38]였고, 나머지 차량은 전부 자일대우버스로 구성되어 있었다.[39]
하지만 2003년에 에어로 퀸 하이클래스 우등형을 출고하더니, 2004~2006년 사이에 현대 에어로 스페이스 LS를 다량 출고하면서 자일대우버스도 일부 뽑았지만 서서히 현대로 돌아서다가 시범적으로 뽑은 대우 BH116 로얄럭셔리 II, FX116, FX212의 잔고장이 심한 나머지 성질이 뻗치면서 조기 대차(단, 2006~2008년에 출고된 BH116은 대차하지 않고 경기도 면허로 전환한 후 예비차로 있었다가 대차되었다.)해 버렸고, 천일고속이 그랬던 것처럼 중고로 매각했다. 이후에는 농어촌 및 시외버스 할 것없이 전부 현대자동차만 뽑았다.[40]
본래 유니버스 엘레강스/프라임/노블만 출고했으나,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CNG 모델을 춘천-원주 노선에 도입했다.
더 놀라운 건 테스트삼아 도입한 차가 생각보다 잘 굴러다녀서 그런 것인지 몰라도 춘천~원주에 3대, 춘천~수원에 1대를 더 뽑는 걸로 끝날줄 알았더니만, 정말로 잘 굴러다니고 조용해서 그런지 춘천~수원에 있던 LS를 가스차로 교체한 후 춘천에서 출발하는 또 다른 중단거리 노선인 춘천~원주, 춘천~수원의 차량을 모두 가스차로 바꿨다. 충전은 춘천시외버스터미널 뒷쪽의 춘천고속버스터미널 옆에 있는 온의동CNG충전소에서 했다. 춘천~수원에 있던 차는 홍천~서울경부행 디젤 차량과 맞교환했다. 하지만 출고한지 5~6년만에 천연가스버스는 차량 운용에 각종 애로사항이 꽃펴 전부 경진여객, 신강교통에 매각했다.
신남발 농어촌버스[41] 고정으로 그린시티를 뽑았다. 참고로 이번에 출고된 그린시티는 그동안 대형 버스 위주였던 홍천, 인제 농어촌버스 사상 최초로 뽑은 중형 버스다. 홍천군, 인제군에 이어 2016년에는 양평군 최초로 그린시티가 출고되었는데, 이를 시작으로 기존의 자일대우버스가 빠른 속도로 그린시티로 교체되어 지금은 양평군에서도 그린시티를 매우 흔하게 볼 수 있다.
홍천군에 2014년 10월 1일 CNG/LPG 겸용 충전소가 생겼는데 홍천터미널에서 서쪽으로 홍천읍과 북방면 경계 근처에 있는 북방면 하화계리 소재 두원LPG충전소에 CNG 충전소가 겸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영업을 시작했고, 홍천읍 희망리에 있는 홍천터미널과 아주 멀지 않은 위치라서 운행 종료 및 대기할 동안 이 곳으로 이동하여 가스를 충전하면 된다.
2018년 4월 초에 뉴 그랜버드 파크웨이를 출고하였다. 기아의 출고는 1980년대에 있던 B버스와 1988년에 출고했던 AM 시리즈[42] 이후 30년만의 일이다. 춘천~부산(노포동)행, 원주~부산(노포동)행, 춘천발 울산행, 춘천발 포항행에 공동 배차 중인 강원고속과 춘천•홍천•횡성•원주~북대구•서대구 노선에 코리아와이드 경북이 빠지고 새로 들어온 코리아와이드 진안[43]과의 차급 동일화를 위해 출고했다고 밝혔다.
2021년 7월 26일에 동서울 - 속초 노선에 프리미엄 차량을 투입하기 위해 유니버스 프레스티지를 출고하였다. 2021년 9월에 유니버스 노블을 출고했다. 그랜버드는 유니버스보다 연비가 별로 좋지 않다는 악평으로 인해 한동안 출고하지 않았다.
2021년 12월에는 회사 최초로 일렉시티를 출고해 양평 농어촌 노선에 투입했다.
2022년 9월에는 오랜만에 기아 그랜버드 슈퍼 프리미엄 파크웨이를 5대 출고했다. 기아의 구매조건이 좋아서 구매했다고 한다.
2022년 11월에는 유니버스 프라임 3대 출고해 속초~전주 노선에 투입한다.[44]
2023년 2월 중순에 현대 일렉시티 타운이 출고될 예정이다. 운행 지역은 양평군이다.[45]
6. 주소
- 구리 본사 : 경기도 구리시 아차산로487번길 34(舊 교문동 354-2)
- 홍천 본점[46] : 강원도 홍천군 홍천읍 홍천로 301(舊 희망리 393)
- 원통 영업소 : 강원도 인제군 북면 원통로147번길 31(舊 원통리 657-10)
- 양양 영업소 : 강원도 양양군 양양읍 양양로 23(舊 남문리 3-52)
- 양평지점[47] :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시민로 91(舊 공흥리 484-2)
- 고성 차고지 :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용촌길 8 (舊 용촌리 74-4)[48]
7. 논란
- 폐수를 하천에 무단방류했다가 적발되었다. #
8. 기타
- 44번 국도와 6번 국도를 경유하는 노선이라면 시내, 시외를 막론하고 잘 밟는 걸로 유명한 업체다.[52] 시외버스 동서울-속초(시외)는 중앙고속, 동부고속 버스도 따고 다닐 정도로 잘 밟고 다니며, 120까지 밟을 때도 많다. 강원고속과 나란히 서울양양선에서 잘 밟고 다니며, 강원고속 - 금강고속 기사 서로 인사도 주고 받았지만 빈도가 많이 줄어든 편이다. 양평-여주 시내노선 기사들은 대부분 친절한 편이며 잘 밟는다.
- 다만 2013년 이후로 홍천-동서울
/센트럴 시티노선을 비롯해 속초 방면으로 가는 노선을 제외하고는 105km/h를 초과해서 달리지 않고 정속주행하는 경향이 있다. 동서울-속초만 경쟁이 심해서 110Km/h를 유지하는 듯 하다. 지금은 속초 노선도 105km/h 정도고 춘천-수원같은 노선은 100정도로 정속주행한다.
- 동서울 - 속초시외 노선에 우등고속을 빗자루로 투입하고 있다. 이 노선에서 뛰고 있는 우등차량은 가끔 동서울 - 원통 우등고속 무정차 노선에도 들어간다.[53] 미시령터널과 46번 국도, 44번 국도에서 이 회사의 차량이 전력질주하고 있는 모습을 해당 도로상에 걸쳐 있는 군부대에서 복무하고 있다면 많이 볼 수 있다. 이 노선 때문에 동서울/서울 ↔ 양양/속초(고속) 노선도 시외버스로 전환해야 했으며, 우등과 일반 요금을 똑같이 받고 있다가 우등요금이 할증되었다.[54] 동부고속에서는 동서울 - 양양/속초 노선의 심야우등 운행을 철수하고 1일 9회로 감축했다.
- 여담으로 미시령터널로 코스가 바뀐 동부고속과 중앙고속의 속초/양양행 노선들이 동부고속이 양양읍 송암리 7번 국도변에서 운영 중이었던 양양 고속버스 간이 터미널 대신 2011년 7월에 양양고속시외버스터미널 착발로 통합 및 변경되자, 양양고속시외버스터미널을 운영 중인 금강고속은 이에 반발하여 한때 고속버스의 진입을 막은 적이 있었다.
- 2015년 7월에 44번 국도 미시령 인근에서 속초로 가던 자전거에 위협운전을 하여 한바탕 떠들썩한 사건이 있었다. (소위 금강고속 자전거 위협운전 사건) 각종 포탈과 금강고속 홈페이지에서는 난리가 났고 (주로 보배드림 VS 자전거 유저의 병림픽) JTBC등 뉴스에도 보도되었으며 이 사건으로 해당 영업소장 명의로 홈페이지에 사과 공지를 올리는 등의 조치가 취해졌는데, 이후 잠시나마 금강고속의 난폭운전이 줄어들었다고 한다. JTBC 관련뉴스 참고로 해당 사건이 발생한 44번 국도는 자동차전용도로가 아닌 일반 국도로, 자전거 통행이 엄연히 가능한 도로다.
- 2016년 1월에 경기고속에서 춘천(고속)~순천 노선을 홍천, 원주 경유로 고속노선도 아닌 시외노선 인가를 받아 개통했으나, 금강고속 측에서 개통하는 날부터 경기고속의 홍천터미널 진입을 막는 바람에 버스를 홍천터미널 내부가 아닌 야외 도로 한복판에서 승차하는 일이 벌어졌다. [55]
그런데 금강고속이 운영하는 양평시외버스터미널에는 경기고속이 잘만 들어와 있다. 양평군 내에서 금강고속과 KD 간의 관계를 생각해 보면 참 아이러니한 일. 2016년 3월 15일부터 순천행도 홍천에 진입 중이며, 2016년 5월 1일부터는 춘천고속버스터미널 착발이 아닌 춘천시외버스터미널 착발로 변경됐다.[56]
- 위 사건을 제외한 고속버스의 시외터미널 진입 차단의 경우 춘천과 서부산(괘법동)에서 일어난 적이 있으며, 춘천은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춘천고속버스터미널 문서를 참고하자) 수준으로 심각했다. 시외버스의 시외터미널 진입 차단의 경우 강릉시외버스터미널에서 일어났으며 이 진입 차단으로 인해 전국에서 오는 버스가 진입을 못하는 사태가 터지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봐서는 몇 년동안 일이 터졌던 춘천보다 덜하긴 했지만, 그래도 심각하다고 볼 수 있었다.
- 유니버스 노블, 프레스티지에 고속버스와 똑같은 LED 행선판을 달고 다니고 있다.[57]
- 차 관리를 상당히 잘하는 편에 속한다.
- 양평군 소속 서울선(2000-1, 2000-2, 2000-4, 1-4첫차)은 회차지에서 쉬지 않고 바로 출발하는 대신[58], 다음탕까지 쉬는시간이 많은 편인 것 같다. 물론 막히지 않을 때 기준. 터미널 도착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짧게는 3~40분에서 길게는 2시간 정도 평균적으로 1시간에서 1시간 반 정도.
- 2019년 8월 10일, 서울양양고속도로 창의터널에서 금강고속 버스가 전복하는 사고가 발생했다.[59] 이 사고로 승객 30명이 부상을 당했고, 사고를 낸 운전자는 음주운전자로 면허정지 수치였다.(가해차량은 승용차 운전자) #
- 2019년 하반기부터 양평군 면허 차량에 와이파이를 설치하여 운용 중이다. 그런데 창문에 부착된 안내문에는 양평군이 아닌 하남시로 되어 있다.
- 서울 ↔ 양양/속초 고속노선의 프리미엄 버스에 맞대응하여 프리미엄 버스를 운행할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2020년 7월 17일에 동서울 ↔ 양양/속초 노선에 프리미엄 버스 투입이 확정되어, 자사 노선인 동서울-속초(시외) 노선에 프리미엄형을 2021년 7월 30일부터 투입한다.
- 나무경영아카데미 강사인 김현식 회계사가 고려대학교에 입학하면서 강원도에서 서울로 상경할 때 탔던 버스가 금강고속이라고 한다. '금강'이란 단어가 자신의 대학 시절 꿈을 함께 했던 뜻깊은 단어로 여겨졌는지, 자신이 저술하는 교재에 '금강'을 반드시 넣는다고 한다.
- 1996년 4월 3일 오후엔 양평군 강상면에서 금강고속 소속 시내버스가 남한강변에 추락하는 사고로 15명이 사망하였다.
9. 면허 체계
- 경기 78 바 80##호, 265#호[60](양평군 농어촌버스)
- 강원 77 자 10##호(홍천군 농어촌버스)
- 강원 77 자 70##호(인제군 농어촌버스)
- 경기 78 바 60##호(시외버스)
- 강원 72 아 10##호(시외버스)[61]
- 강원 77 아 10##, 11##, 12##호(시외버스)
- 강원 72 바 51##호(전세버스)
10. 보유차량
10.1. 현재 보유차량
10.1.1. 현대자동차
- 현대 뉴 카운티 디젤
- 현대 그린시티 디젤
- 현대 그린시티 F/L 디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디젤
- 현대 일렉시티 전기버스
-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디젤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프라임 디젤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라임 디젤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디젤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노블 디젤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레스티지 디젤
10.1.2. 기아
10.2. 과거 보유차량
10.2.1. 현대자동차
- 현대 FB500 디젤
- 현대 RB520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540L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SL 디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디젤
- 현대 에어로 600 디젤
- 현대 에어로 이코노미 디젤
- 현대 에어로 하이데커 디젤
- 현대 에어로 스페이스 LS 디젤
- 현대 에어로 익스프레스 HSX 디젤
- 현대 에어로 퀸 하이클래스 디젤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천연가스버스
- 현대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프라임 디젤
- 현대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디젤
10.2.2. 자일대우버스
- 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디젤
- 새한 BD098 디젤
- 새한 BU110 디젤
- 대우 BF101 디젤
- 대우 BF101Q 디젤
- 대우 BF105 디젤
- 대우 BV113 디젤
- 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F/L 디젤
- 대우 BH115Q 디젤
- 대우 BH115H 로얄익스프레스 디젤
- 대우 BH116 로얄럭셔리 디젤
- 대우 BH116 로얄럭셔리Ⅱ 디젤
- 대우 BH120F 로얄크루져 디젤
- 대우 FX116 크루징애로우 디젤
- 대우 FX212 슈퍼크루져 디젤
10.2.3. 기아
11.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KD 운송그룹 계열사 | |||||||||||
경기고속[광] 대원고속[광] | ||||||||||||
비 KD 운송그룹 계열 버스 회사 | ||||||||||||
[광] : 광주시 면허인 회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 0 -10px" | <colbgcolor=#ffffff>춘천시 | 춘천시민버스 | 원주시 | 동신운수 · 대도여객 · 태창운수 |
철원군 | 제일여객 | 횡성군 | 명성교통 | |
화천군 | 산천어운수 | 영월군 | 영월교통 | |
양구군 | 현대운수 | 평창군 | 평창운수 | |
인제군 | 금강고속 · 대한교통 | 정선군 | 정선군 와와버스 | |
홍천군 | 금강고속 · 대한교통 · 현대교통 | 태백시 | 영암고속 · 화성고속 | |
양양군 | 강원여객 · 동진버스 | 삼척시 | 강원여객 · 영암고속 · 화성고속 | |
속초시 | 동해상사 · 강원여객 | 동해시 | 강원여객 · 동해상사 | |
고성군 | 동해상사 | 강릉시 | 동진버스 · 동해상사 | |
녹색은 영서 지역, 주황색은 영동 지역임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시내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경기고속 | 경기버스 | 경기상운 | ||
경기여객2 | 경기운수 | 대원고속1 | |||
대원버스 | 대원운수 | 명진여객 | |||
이천시내버스 | 진명여객2 | 평안운수 | |||
평택버스 | 화성여객 | 가평교통 | |||
김포운수 | 선진버스 | 선진상운 | |||
선진시내버스 | 연천교통 | 파주선진 | |||
포천교통 | 포천상운 | 경진여객 | |||
남양여객 | 소신여객 | 수원여객 | |||
용남고속 | 제부여객 | 화성운수 | |||
가온누리엠 | 경남여객2 | 경원여객 | |||
고양교통 | 과천여객 | 군포여객 | |||
금강고속 | 대명운수 | 대양운수 | |||
도원교통 | 동부고속1 | 명성운수 | |||
백성운수 | 보영운수 | 부일교통 | |||
부천버스 | 비티에스 | 산본여객 | |||
삼경운수 | 삼영운수 | 서울고속 | |||
서울여객 | 성광운수 | 성일운수 | |||
성남시내버스 | 성우운수 | 시흥교통2 | |||
신성교통 | 신성여객 | 신일여객 | |||
써클라인 | 양주교통2 | 오산교통2 | |||
용남고속버스라인 | 의왕교통2 | 청우운수 | |||
태산운수2 | 태화상운 | 평택여객 | |||
학의운수2 | 협진여객 | 화영운수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시외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경기고속 | 대원고속1 | 선진고속 | ||
경기공항리무진 | 경남여객 | 경일여객 | |||
금강고속 | | 동부고속1 | |||
동양고속1 | 삼화고속1 | 용남고속버스라인 | |||
중앙고속1 | 한일고속1 |
범례 1: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회원사 2: 마을버스 겸업 업체 | ||
<rowcolor=#fff> KD 운송그룹 계열사 | 선진그룹 계열사 | K1 모빌리티 그룹 계열사 |
[1] 상법 상 본점[2] 상법 상 지점[3] 실제로 아침 시간대에 동서울터미널로 들어오는 금강고속 차량을 보면, 휴가 나온 군인들로 전 좌석이 꽉 차서 들어오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4] 터미널에 전화해 보면, 터미널명 대신 "금강고속입니다"라고 응대한다.[5] 본사는 사무실과 차고지가 있는데, 차고지는 주로 동서울 발 시외노선들이 이용한다.[6] 홍천 - 용문 노선은 홍천군 면허 버스로 양평군 면허와 달리 노선 도색이 달라 구분은 가능하다. 원래는 양평군 버스들도 전부 홍천군 버스 도색처럼 하고 다녔다.[7] 수도권 내에서만 운행하는 양평 농어촌버스의 경우는 경기도 시내버스 도색으로 적용된 관계로 제외.[8] 다만 시기상으로는 오펠이 먼저 사용했는데, 1930년 출시된 오펠 블리츠부터 사용되었고 금강고속은 창립 초기부터 사용되어 왔다.[9] 기존 터미널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신축한 것. 그쪽에서 복무해 보았던 사람들은 알겠지만, 옛 터미널은 낡은 건 둘째치고 거의 가건물이었다.[10] 초기에는 양수리에서 출발하던 2000-1번의 보조 노선이었다.[11] 이 외에는 가평군으로 가는 노선도 있으며 전산 번호는 6-10번. 여주행 노선은 양평 1번대 지선에 속한다.[12] 주로 지평면(987번대), 강상면(38번대, 940번대), 용문면(987번대), 강하면(38번대), 양동면(988, 989번대), 양서면(167번, 56번)에서 볼 수 있다. 또한 양평시외버스터미널-곤지암터미널을 운행하는 940번대도 비중이 있다.[13] 일부 장면은 남양주시 덕소에서도 촬영되었는데, 그때도 간간히 나오기도 했다.[14] 동서울 ~ 홍천은 직통과 양평 경유로 나뉘는데 직통은 바로 고속도로로 달리고 양평 경유는 6번 국도로만 달리며 양평, 용문, 용두리, 단월, 양덕원을 경유해서 홍천으로 간다. 직통은 1:05 양평 경유는 1:50 소요된다. 홍천터미널까지 가는 요금은 국도 경유가 훨씬 비싸다. 동서울에서 홍천으로 가거나 그 반대의 경우 기사들이 직통 노선 타라고 유도한다.[15] 현재는 유니버스 엘레강스로 대차되었다.[16] 2020년 기준 상봉터미널에서 운행 중인 유일한 시외버스 노선인 상봉 - 원주 노선을 단독 운행한다. 강원여객이 2014년에 상봉 - 강릉 노선을 폐지하며 철수한 이후에는 나머지 노선들도 금강고속에서 단독 운행하고 있었지만, 원주행 노선을 제외하면 2018년 5월 1일 부로 모두 폐지되었다.[17] 참고로 KD는 양평-청주, 양평-천안 노선이 있다.[18] 서울양양고속도로 완전 개통 전에는 미시령터널 경유.[19] 요금 자체는 동부고속 노선이 일반은 500원,우등은 800원 저렴하다.[20] 속도도 동부고속을 압도한다. 동부고속은 절대 105km/h를 넘기지 않아서 2시간 10분 전후가 소요되나, 금강고속은 서울양양고속도로 개통 이후 동서울까지 1시간 40분대에 끊을 때가 있다.[21] 그 전에는 에어로 퀸 하이클래스 우등형이 투입되었다. 아침 8시 시간대에 출타를 위해 원통버스터미널로 가 보았다면 알겠지만, 터미널에 우등형 차량이 떡 하니 서 있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22] 원주 - 진주 노선이 신설되고 동서울 - 진주 노선이 있긴 하나, 각각 1일 2/5회밖에 없어서 그 외 시간대에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로 가야 하기 때문이다.[23] 서울 ↔ 속초 노선은 일부 시간대에 양양 무정차로 다닌다. 심야우등은 모두 양양 경유다.[24] 시외버스라서 우등 할증이 불가능했지만 2017년 3월 10일부터 할증이 가능해졌다.[25] 속초 - 광주 노선을 광신고속 및 강원여객과 공동배차했지만 광신고속만 양방향 1회로 운행 중이다. 광주 주박이라 속초에는 오후에만 출발하므로, 아침에 내려가고 싶은 군인들은 빼도박도 못하고 동서울로 가야 한다.[26] 전부 전북고속, 코리아와이드 경북, 강원고속 등과 공배로 운행 중이다.[27] 그러나 대구에서는 금강고속을 정말정말 보기 어렵다. 군인들이 주로 이동하는 시간대에는 강원고속이나 KD가 걸린다.[28] 공동배차하는 코리아와이드 경북과 강원고속이 각각 FX120과 유니버스 노블 ,럭셔리 그리고 파크웨이를 투입하는 것과 비교된다. 물론 셋 다 일반이다.[29] 부산행은 시외 우등버스 도입으로 다시 차급이 올라갔다.[30] 금강을 제외하면 전북고속이 수도권행 노선에 엘레강스를 투입하기도 한다.[31] 차이가 있다면 대한교통은 시외일반, 금강고속은 시외직행이다.[32] 양평•용문 경유는 경기도 소속 차량 한정으로 중간승차지에서 교통카드 이용이 가능하다.[33] 1일 4회 세종 경유[34] 2018년 5월 1일부터 이 노선을 제외한 상봉터미널 착발 시외버스 노선들은 모두 운휴에 들어갔다.[35] 강원고속, 서울고속 공동 배차[36] 그러나 잦은 고장 때문에 유니버스 엘레강스로 조기 대차하고 매각했다.[37] 춘천-수원, 춘천-원주 노선으로 운행하다가 전부 매각하고 경진여객과 신강교통으로 넘어갔다.[38] 1996년식 유선형 에어로 HSX와 양평군 농어촌버스에서 다니던 에어로시티가 전부였다.[39] 돌고래 BH116, BH115H, 쇠창틀의 하이파워, BM090이 주력이었다.[40] 그런데 금강고속의 홍천읍 희망리 홍천터미널 차고지는 자일대우버스 지정 정비공장이다.[41] 관대리, 수산리, 신월리, 정자리[42] 물론 1980년대 당시에는 기아가 아닌 아시아자동차였다.[43] 정작 해당 회사분은 대원고속으로 매각했다.[44] 엘레강스 18년식 3대 교체분으로 기존 차는 전세부로 차적을 옮긴다.[45] 홍천군 농어촌버스는 추후 전기버스 추진 예정이다.[46] 상법 상 본점[47] 상법 상 지점[48] 속초에서 운행을 종료한 후, 운전 승무원의 식사 및 휴식을 위해 이 곳으로 공차회송한다.[49] 기사에 나온 업체는 과천시 G여객, 양주시 Y교통·J여객, 안성시 B운수, 양평군 K고속, 수원시 N여객, 안양시 S운수·B운수, 평택시 H여객·S고속·P여객, 부천시 S 여객이 있다.[50] 참고로 금강고속은 G9311번에 입찰했다 떨어진 회사다.[51] 터미널 리뉴얼로 인해 세븐일레븐으로 변경되었다.[52] 2000번 시리즈나 동서울 - 속초시외를 아침이나 저녁 시간에 타 보면 느낄 수 있다.[53] 동서울-홍천 우등에도 가끔씩 속초선 차량이 들어간다.[54] 웃긴 것은 이 노선에 새로 생긴 일반시간대에도 서비스우등이 투입되며, 13,000원대의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서울에서 속초를 저렴하게 가려면 참고하자.[55] 이건 KD의 잘못인게 출발 지역인 강원도청의 인가를 받고 개통했어야되나 자신들의 면허지인 경기도청의 인가만 받은상태에서 무리하게 개통해버렸다.[56] 순천행을 홍천에 진입시켜 주는 조건으로 KD 운송그룹에서 운영하는 하남터미널 경유 권한을 얻음과 동시에, 인천행 버스가 하남을 중간 경유하기 시작했다. 금강고속 시외버스가 하남을 경유할 수 있는 운수권을 얻기 위해 일부러 이 사건을 일으켰을 수도 있다.[57] 프라임, 엘레강스에도 소수 달려있다. 춘천-수원 차량은 LED 행선판이 있다.[58] 2000-2번은 회차지(잠실역)에서 조금이나마 휴식할때도 있다![59]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시외버스라는 언급은 하나도 없고 대부분의 언론사가 전세버스라고 표기하고 있다. 그나마 교통부 기자들처럼 뭔가 아는 기자들은 고속/시외버스라고 표기한다.[60] 양평군 행복버스 차량 면허.[61] 강원여객과 같이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