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부천시 | 도원교통 | 부일교통 | 부천버스 | 성광운수 | 성일운수 |
소신여객 | 청우운수 | 뉴부일교통 | ||||
안산시 | 경원여객 | |||||
서울특별시 | 신길교통 | |||||
부천시 마을버스 회사 목록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목록 |
{{{#!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ffffff,#191919>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fff><colcolor=#000> 지주회사 | 에코모빌리티 | |
부천시 | |||
수원시 | |||
화성시 | |||
전세버스 | |||
충전소 | |||
기타 |
<colcolor=#fff> 소신여객자동차주식회사 素新旅客自動車株式會社 Sosin Transportation Co., Ltd. | |
| |
<colbgcolor=#19255f> 설립일 | 1928년(구 법인 설립일) 2015년 12월 22일(현 법인 설립일) |
업종 | 시내버스 운송업 |
대표자 | 권성욱 |
모회사 | 에코모빌리티 |
주요 주주 | 에코모빌리티: 90.43% 시흥교통: 3.00% (2024년 12월 기준) |
기업구분 | 중소기업 |
상장여부 | 비상장기업 |
보유대수 | 273대 |
직원 수 | 640명(2024년 12월 31일 기준) |
자본금 | 3억 원(2024년 기준) |
매출액 | 560억 9,863만 9,204원(2024년 기준) |
영업이익 | -6억 9,494만 3,313원(2024년 기준) |
순이익 | 13억 659만 8,584원(2024년 기준) |
자산총액 | 226억 786만 8,770원(2024년 기준) |
부채총액 | 270억 3,290만 1,026원(2024년 기준) |
부채비율 | 자본잠식(-610.90%)(2024년 기준) |
자회사 | 소신사랑 (지분율: 100%) 화성운수 (지분율: 100%) |
소재지 | 본사 -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부일로 490 (심곡동) 춘의동영업소 -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원미로 218 (춘의동) 대장동영업소 -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벌말로 43 (대장동, 대장공영차고지) 상동영업소 -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상동 618 소사동영업소 -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소사로 77 (소사본동, 소사공영차고지) 고강동영업소 -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봉오대로556번길 26 (고강동, 고강공영차고지) 전진아파트영업소 -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마니로 74 (송내동) |
홈페이지 | |
SNS |
1. 개요
| |
일반좌석버스 700번 | 일반시내버스 70-2번 |
경기도 부천시의 버스 회사. K1 모빌리티 그룹의 계열사이다.
자회사로는 화성운수와 소신사랑[2]이 있다.
2. 역사
2.1. 1928년 ~ 1978년 (설립 및 사세 확장)
- 1928년 : 합자회사 소신 자동차부로 시작해서 20[age(2000-01-01)]년 기준 무려 [age(1928-01-01)]년이나 된 회사이다.[3] 당시에는 소신자동차부 외에도 소신화물자동차부(당시 소신트럭부)로 화물업도 병행했다.
- 1930년 : 소사역(現 부천역)[4]에서 신천리를 잇는 노선을 필두로 부천에서의 운송 사업을 시작했다. 초창기에는 10인승 목탄차 2대로 해당 구간을 운행했으며, 1930년 말에는 이 노선을 군자면(안산)을 거쳐 안양까지 가는 노선으로 연장하여 안양, 군자 간을 하루 4회 왕복하기도 했다. 그러다
- 1934년 3월 22일 : 경수자동차부가 안양군자선을 인수했다. 그리고 1935년에 이 노선의 수요가 많아지자 노선을 포리까지 연장시켰다.
- 1938년 : 소사-신천-포리 노선은 1일 15회 왕복했으나 여전히 승객이 많아 동년 2월 18일 버스 1대를 추가 투입했다. 그로부터 1주일 뒤인 2월 25일에 소사-원종 간 노선 개통을 허가받아 1일 3회 왕복 운행했다.
- 1931년 5월 5일 : 군포장 - 반월장 노선을 개통하여 하루 3번 40전의 가격으로 운행하다가 6월 2일부터 30전으로 인하하여 운행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번대방정 앞에서 자전거를 치는 사고가 났다는 1938년 3월 30일 자 기사에 의하면 그 이전부터 서울 도심까지 운행하는 노선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일제강점기가 끝나갈 무렵에는 18인승 미니버스 4대를 추가 도입하여 운행했다. 광복 이후엔 32인승 버스를 도입하기도 했다. 이 당시 소신여객은 신천리, 포리 등 여우고개를 넘어가는 노선을 주축으로 동양장(동인천), 안산, 반월, 군포장, 서울 등 다양한 행선지의 노선을 보유하고 있었다.
- 1954년 : 교통부에게 그레이하운드 버스 10대를 임대하여 동인천 - 종로2가 간 노선을 운행하면서 서울 도심에도 진출했다. 경인국도를 타고 가는 노선이었으며 1957년에 한강대교 복구공사가 진행되면서 노량진으로 단축되어 운행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김포, 안양, 수원 등지로도 진출하면서 사업 면허를 발급받았다.
- 1958년 : 이후 사세를 계속해서 늘려갔고, 차량을 30대로 증차하여 주식회사로 전환하면서 이름을 소신여객자동차로 변경하여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다.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부천군 북부 지역으로도 사세를 확장했다.[5] 오정면, 계양면, 김포군, 오쇠리, 공항동, 방화동 등으로 진출하기 시작하여 동인천 - 방화동 간 노선과 소사 - 방화동 노선 등을 개통했다. 동인천 노선은 훗날 51번, 52번, 53번이 되었고, 소사 노선은 지금도 운행 중인 3번이다.
2.2. 1978년 ~ 2000년 (일부 영업소 분리 및 규모의 변화)
- 1990년대 : 중동과 상동의 신도시 개발과 함께 아주 공격적으로 투자를 해서 아주 큰 재미를 보았다. 이전에는 3번, 71번, 72번, 73번, 75번과 같이 부천 - 서울 간 수요 혹은 서울 내 이동 수요가 많은 노선과 51번, 52번, 53번과 같은 인천 노선을 주력으로 하고 있었고, 부천 내 수요로 자리 잡은 노선은 8번, 11번 정도가 전부였다. 하지만 중동이 개발되고 있을 시점에 맞춰 5번대 노선과 7번대 노선 등을 대거 개통했고 입주가 완료되자마자 공격적으로 투자를 하고 노선을 조정하며 확실한 캐시카우인 '중동신도시 - 경인선 라인' 수요를 완전히 꽉 잡을 수 있었다. 그 결과 부천역이나 송내역 등지에서 중동신도시로 향하는 버스는 3분 간격으로 와도 모든 버스가 꽉 차는 진풍경이 펼쳐졌고, 소신여객의 규모 또한 깊은 골목이 아닌 이상 부천 어느 곳을 가도 소신여객만 보일 정도로 커지게 되었다. 다만 IMF 사태 전후까지는 300번, 550번[8], 550-1번, 770번, 770-1번 등의 좌석버스 노선들이 여럿 있었으나, IMF로 인해 전부 폐선, 통합 혹은 형간전환 등의 운명을 맞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다소 주춤하기도 했으나 발 빠르게 노후 차량 처분, 노선 통폐합 및 조정을 하면서 큰 탈 없이 넘길 수 있었다.[9]
2.3. 2000년 ~ 2018년 (경쟁업체의 대거 등장)
- 2000년대 초반 : 공격적인 투자를 했던 90년대와 달리, 이상하리만큼 신 수요처엔 관심이 없고, 자신의 주 수요처에 눌러앉기만 하려는 태도를 보이는 등 상당히 소극적으로 경영을 하기 시작했다. 사실상 넓어진 영업권을 믿고 자기 밥그릇을 지키려는 의도인 셈. 이 당시에도 부천시청과의 유착관계와 부천시 관내 버스의 7~80%를 소신여객이 점유할 정도로 시내버스 독점을 하고 있었으나[10], 정작 부천시청이 소신여객을 견제하기 위해 여러 시도를 하게 되면서 소신여객이 휘청이기 시작하게 된다.[11]
- 2000년대 후반 : 소신여객의 독점을 해소하기 위해 부천시에서는 적극적으로 마을버스 업체를 시내버스 업체로 전환하는 것을 추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청우운수, 성광운수, 부일교통 등 마을버스 출신 시내버스 업체가 등장하였고, 도원교통 등 기존 버스 업체들도 부천시의 지원을 받아 규모를 불리게 된다.[12] 이미 시와의 유착관계가 깊기 때문에 독점 해소 효과가 있을까 하는 우려가 있었으나 7호선의 부천 연장과 후술할 소신여객의 경영난으로 인한 노선 및 차량 감축, 부천시의 적극적인 타 회사 지원으로 독점이 크게 해소되었다. 이때부터 소신여객은 오늘날에도 부천 제일의 버스 업체이라는 것은 분명하지만, 과거 부천 시내버스 전체를 꽉 쥐고 있던 시절에 비하면 이빨 빠진 호랑이로 변하게 된다.
- 소신여객이 아무리 소극적이라 한들 아예 가만히만 있던 것은 또 아니었다. 3번 직선화, 5-6번 신설, 6-1번 단축 후 증차, 6-2번 신설, 7-2번 작전동 진출, 7-3번 수 차례 변경 시도, 7-4번, 12번과 22번의 김포공항 연장, 8번 송내역 경유와 직선화 후 7-1번과 통합, 9번과 23-5번 신설, 16번과 33번(現 23번), 96번 인수, 23-1번의 지속적인 노선 변경 시도, 23-5번 고강동으로 노선 대폭 변경 등등 여러 시도를 하긴 했었다. 하지만 정말 이해가 안 되는 변경이거나[13] 괜찮은 변경임에도 수요가 예측보다 저조하다 싶으면 무한 감차를 하는 등 오판을 지속적으로 하게 되면서 사람은 더 줄어들게 되고, 그 결과 해당 노선에서 손을 떼는 경우가 부지기수다.[14] 위와 같은 시도로 성공한 노선은 6-2번, 16번, 23번이 전부인데 이마저도 직접 신설해서 성장시킨 노선은 6-2번 하나뿐이다.[15]
- 결국 소신여객은 타 업체의 견제와 부천시청의 압박 등으로 인해 휘청이면서 2000년대 후반부터 경영난을 겪기 시작하여 서서히 손익이 감소하더니 2010년부터는 적자로 전환되고 그 이후로 2013년까지 쭉 적자를 기록하게 되었다. 거기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2012년 7호선 연장 개통으로 인해 버스 이용 승객이 크게 감소하여 결국 자본이 잠식되기에 이르렀고, 그 이후부터 장기적으로 규모를 축소하게 된다. 규모를 감축하기 직전인 2010년 기준 보유대수는 무려 474대였으며 IMF로 노선 대거 조정 및 감차를 하기 이전인 1990년대 중반에는 50개에 육박하는 노선 개수를 갖고 있었다. 현재는 과거에 비해 규모가 심하게 줄어들었는데, 이는 2010년대 이후 조금이라도 적자가 나는 노선들과 가지 노선들을 타 회사로 이관하거나 모조리 통합 및 폐선시키고, 노후 차량을 대차하지 않고 말소시켰기 때문이다. 또한 이 때 대형 차량이 다니던 노선 중 일부가 중형급 차량으로 바뀐 바 있다. 이렇게 소신여객을 반토막으로 만들어낸 가장 결정적인 원인은 7호선 부천 구간의 개통이다. 7호선 연장 개통으로 기존 중동이나 상동에서 1호선을 이용했던 승객들이 대거 7호선으로 이동하면서 수요가 크게 줄어버린 것. 안 그래도 소신여객은 중동신도시와 상동에서 커다란 입지를 가졌던 업체이니만큼 그 타격도 막심할 수밖에 없었다.
- 2010년대 초반 : 꾸준히 굳건하게 1인자 자리를 지켰던 ‘부천 – 화곡역’ 수요도 청우운수의 등장으로 흔들리기 시작했다.[16] 심지어 청우운수는 마을버스 출신 업체인지라 엄청 견제를 심하게 하는 업체다. 이렇듯 경쟁 업체들이 무섭게 성장하면서 더 이상 소신여객의 독점 구간은 거의 없는 셈이 되었는데도 여전히 새 수요처를 발굴하지 못하고 있다. 이후 새롭게 떠오른 옥길지구 역시도 겉만 핥고 지나가고 안으로는 아예 들어가지를 않는다. 현재 옥길지구 내 버스 수요를 생각하면 대어를 놓친 셈. 이런 식으로 대수요처를 놓친 사례가 한 가지 더 있는데, 23-5번이 목동으로 연장될 예정이었으나 소신여객이 거부하면서 변경이 무산된 적이 있었다. 그리고 해당 구간은 결국 다른 노선을 신설해서 운행하게 되었는데 그 노선이 바로 98번이다.[17] 이 당시 소신여객은 딱 하나의 추가 진출을 이루어내는데, 바로 부천과 바짝 붙어있는 삼산동 하나가 전부다. 과거 영세업체에 불과했던 도원교통과 성광운수가 자사 노선을 크게 성장시키며 소신여객의 밥줄 노선을 건드려도 소신여객은 딱히 대처하지 않았고 오히려 이상한 노선 변경을 한다거나 감차를 시켜버리며 있던 수요마저 이탈시켰다.
2.4. 2013년 ~ 2018년 (경원여객의 개입)
- 2013년 : 소신여객 경영에 경원여객의 입김이 본격적으로 들어가기 시작했다. 사실 아주 오래 전부터 경원여객의 대표이사가 소신여객의 주주로 존재하긴 했지만 3.5%의 지분율로 경영권을 행사할 정도는 아니었다. 그러다 2008년부터 경원여객이 10%의 지분을 보유하게 되었고, 2011년에 시흥교통이 추가로 8%의 지분을 소유했으며, 2013년부터 시흥교통이 28%의 지분을 소유하며 대주주가 되었다.[18] 그에 따라 경원여객의 입김이 들어가면서 2013년에 경원여객의 전무이사가 소신여객의 대표이사로 선임됐다. 그래도 아직 방계회사 관계로 있을 뿐 지배권을 행사하지는 않았었다.[19]
- 2015년 12월 22일 : 신규 법인인 ‘소신여객자동차’가 설립되었다. 기존 소신여객자동차 법인은 소신홀딩스로 상호명이 변경되고 업종도 바뀌었고[20], 동시에 신 법인의 주주 구성이 거의 다 경원여객 측근 인물이나 법인으로 이루어지면서 소신여객은 확실하게 경원여객의 특수관계자, 피지배회사가 되었다. 그래서 소신여객이 90년 가까이 된 역사를 가지고 있음에도 여러 사이트에서 검색해 보면 업력이 8년밖에 안 된 신생회사로 나온다.
- 악명 높은 경원식 운영을 거치면서 소신여객의 모습이 많이 변했다. 차량이 대우에서 현대 주력으로 바뀐 것을 제외하면 외관 상으로는 큰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경영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변화가 훨씬 큰데, 안 그래도 주말 및 공휴일 감차가 심했던 소신여객인데 그보다 더 심한 감차가 이뤄졌다. 꼭 쉬는 날이 아니더라도 저수익 노선은 대놓고 파행 운행을 했고, 사람이 많은 노선이어도 인가대수가 과거에 비해 현저하게 줄었다. 또한 사람이 많든 적든 노선이 짧거나 조금이라도 수익이 안 나면 무조건 중형화를 하여 비정규직 기사의 비중을 크게 늘렸다.[21] 이는 고스란히 근무 환경 악화와 안정성 하락, 종사자 유출로 이어졌다. 기사 복지가 괜찮기로 꽤나 이야기가 많았던 회사에서 한 순간에 아오지가 되어버린 것이다. 게다가 회사 자체의 규모를 지속적으로 축소시키면서도 시흥교통과 경원여객의 규모는 불렸다. 이 과정에서 12번과 7-4번, 220번 노선이 넘어갔고 무려 약 33대의 차량도 시흥교통과 경원여객에 넘어갔는데, 이 중 7-4번과 220번은 폐선되고 12번만 살아남았는데, 정말 엄청난 파행 운행을 하고 있다. 이 때 넘어갔던 차량들은 현재 절반 정도가 말소되었고 살아남은 차들도 모두 대차되긴 했지만 인가는 그대로 살아남아 31-7번, 12번 노선 등에서 활약하고 있다. 사실상 소신여객을 활용하여 본진의 구멍을 메워준 셈이다.
2.5. 2018년 이후 (K1으로 변화)
- 2019년 12월 14일 : 뜬금없이 MC파트너스와 합작하여 화성운수를 인수하여 자회사로 편입하였다. 당시 시점으로 불과 2년 전만 하더라도 한 업체의 피지배로 있던 회사가 단숨에 지배회사가 된 것.
- 2021년 8월 26일 : 자비스자산운용이 수원시 업체인 용남고속, 경진여객, 수원여객과 화성시 업체인 남양여객, 제부여객의 지분을 인수함에 따라 소신여객의 권성욱 대표이사가 상기 업체들의 대표이사로 선임되었다. 동시에 K1 모빌리티 그룹이 출범되었다.
- 2022년 6월 기준 : 비수익 노선들인 11번, 23-1번 노선이 각각 3대, 2대씩 감차되었다. 기사 수급 문제가 가장 큰 것으로 보인다. 결국 동년 9월에 23-1번이 폐선되었고, 본격적으로 비수익 노선 정리를 시작하였다. 그 일환으로 23-1번이, 2023년에는 11번이 폐선되었다. 비록 두 노선이 기업체에 기여하는 바는 현저히 적긴 했지만, 이 노선들은 80~90년대부터 운행해온 나름 유서 깊은 노선들이었다. 하지만 결국 시대의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특히나 11번의 경우 도당동 구간의 대체 노선도 없이 폐선되어 큰 불편을 야기하기도 했다.[24]
- 2023년 상반기 : 자비스자산운용 내부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에코모빌리티에 인수된 것이 확인되었다. 단, 전혀 다른 주체로 매각된 것이 아니라 여전히 같은 그룹 산하에서 구조 관계만 변한 것이며 사모펀드만 다른 것이다.[25] 이 과정에서 소신여객과 용남고속, 수원여객 모두 모기업을 에코모빌리티에 두게 되었다.[26]
3. 회사 운영 특징
3.1. 사명
- 회사의 이름은 과거 부천군 소사리(素砂里)[27]와 신천리(新川里)[28]의 앞글자를 따 온 소신(素新)으로 일본 사철이나 한국의 경부선, 경원선, 경춘선, 경의선, 런던 언더그라운드 중 하나인 베이컬루선처럼 뭔가 좀 철도에서 주로 쓰이는 작명센스를 보여주고 있다. 정식명칭은 '소신여객자동차주식회사'로 상당히 길다.
- 본사는 부천역 북부에 있으며, 사옥이 시내버스 업체인 것을 감안하면 상당히 크다. 아예 회사 입구가 간판에 크게 적혀있고, 근처에 있는 세븐일레븐, GS25도 부천소신점이다. 또한 본사 앞에 터미널 방식으로 승차장이 마련되어 있다는 것이 큰 특징.[29]
- 이렇듯 역사가 깊다 보니 일부 노선의 역사 또한 굉장히 깊다. 3번같은 경우는 1958년 개통하여 변경이 되기 전인 2009년까지 50년 이상 운영한 노선이다. 비교적 최근인 2009년 여름에 3번과 3-1번으로 노선이 분할되고,[30][31] 이듬해인 2010년에는 3번을 비롯한 소신여객 방화동 노선의 전통이었던 방화동 루프 구간도 폐지하고 김포공항 경유로 변경했다. 그러나 2013년 8월 두 노선이 다시 통합되어 부천 구간 한정 과거 50년간 운행했던 기존 노선으로 환원되었다.[32] 이는 서울 지하철보다 더 오래된 시내버스 노선인 셈이며, 소신여객의 역사를 함께하는 대표 노선이라 볼 수 있다.
3.2. 번호 체계
- 1990년대까지만 해도 이 회사의 노선번호는 십의 자리와 일의 자리로 대략적인 운행 방향과 경유지 구분이 가능했다.[34] 199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특히 IMF 당시), 부천시가 더 이상 인천과 서울에 도시 기능을 의존하지 않게 되고 월미도, 방화동, 오쇠동의 차고지 폐쇄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인천과 서울을 잇는 대다수 노선들은 수요 감소로 단축 또는 폐선의 운명을 맞이했다.
- 20번대 노선 : 작동, 오쇠동, 삼정동 등 비교적 오정구 북쪽이 종점인 노선 (2번, 2-1번, 2-2번, 22번, 22-1번, 23번, 23-1번, 23-2번, 23-3번]
- 50번대 노선 : 인천 방면 (51번, 52번, 53번, 55번)[35]
- 70번대 노선 : 영등포구, 강서구 등 서울 방면[36]이었다.
- 뒷자리 1번대 노선 : '부천역 - 춘의사거리 - 심원고교 - 약대동 - 오정동' 구간을 경유하는 노선 (1번, 11번, 51번, 71번)
- 뒷자리 2번대 노선 : '부천역 - 춘의사거리 - 도당동 – 오정동 (2번, 2-1번, 12번, 12-1번, 22번, 52번, 72번]'을 경유하는 노선)
- 뒷자리 3번대 노선은 '부천역 - 원미동 - 춘의동 - 원종동' 구간을 경유하는 노선 (3번, 23번(초기 노선), 23-1번(개통 초기), 23-3번, 53번, 73번)
- 당시 폐선된 인천과 서울 구간을 운행하던 노선들은 1996년부터 1999년에 걸쳐 대부분 폐선 및 단축되었다. 1996년에 월미도와 방화동을 운행하던 52번이 가장 먼저 폐선의 길을 걸었고, 그 이듬해인 1997년, 지금의 약대아이파크인 약대주공과 방화동 사이를 운행하던 1번 노선이 폐선되었다[37], 그 뒤를 따라 인천을 회차점으로 했던 51, 53, 55번의 5X번대 버스노선들이 199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전부 폐지되었다.[38] 비슷한 시기에 71, 72-1, 73번과 같은 장거리 7X번대 노선도 칼질 혹은 폐선되었다. 당시 순환노선이었던 71번은 1997년 경인로, 공항대로 구간이 모조리 잘려나가면서 현재의 노선대로 바뀌었고, 72-1번은 1997년 폐지, 73번은 오쇠동 차고 폐지 이후 소사차고를 기점으로 변경하면서 뜸한 배차간격이긴 해도 순환 노선을 잘 유지하고 있다가 1999년에 결국 폐선되었다.
- 소신여객 특유의 번호 체계는 현재 그 의미가 많이 퇴색되었으나 여전히 90년대에 사용하던 체계를 어느 정도 유지하며 잔존하고 있다. 8번, 16번을 제외하면 모든 노선이 소신여객이 가지고 있던 번호 체계를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39]
- 뒷자리 1번 : 주로 약대동이나 오정동에서 부천역북부까지 운행하는 버스의 번호 그대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
11, 71) - 5번 계열 : 부천역북부와 중동신도시를 연결하는 버스들의 고유 넘버로 사용되고 있다. (5, 5-3, 5-4,
5-5) - 6번 계열 : 심곡본동(전진아파트) 일대에서 출발하여 부천역남부, 중동신도시를 연결하는 노선이다. (6, 6-2)
- 7번 계열 : 송내역북부에서 중동과 상동을 거쳐 부천테크노파크를 연결하는 노선이었으나, 현재는 7-1번을 끝으로 모두 폐선되었다. (
7, 7-1, 7-2, 7-3, 7-4, 7-5)[40] - 23번 계열 : 대부분 오정구(도당동, 고강동) 일대에서 부천시청역이나 상동역 일대(길주로)로 나오는 노선이다. 23-2번은 오정구로 올라가지 않지만, 예전에는 오정구까지 올라갔던 노선이다. (23,
23-1, 23-2,23-5, 25[41]) - 70번 계열 : 서울로 나가는 노선이다. 70번대는 화곡역을 통해 서울로 나가며[42], 71번은 김포공항, 75번은 오류동역(온수동), 700번은 신정동(양천구)으로 서울을 드나든다. (70,
70-1, 70-2, 70-3, 71, 75, 700)
3.3. 근무 체계
- 차량 이동이 매우 잦은 편이다. 모든 업체에서 봐도 상위권에 들며, 스티킹을 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차도 다시 예비로 격하시키거나 다른 노선으로 이동시키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 일정 기간마다 버스 기사들이 담당하고 있는 노선이 바뀐다. 바뀌는 이유는 비정규직 전담 노선이 일부 있는데 비정규직은 배차받는 고정차 없이 매일 받는 차량이 다르고, 노선 또한 고정 없이 비정규직 전담 노선 안에서 로테이션된다. 정규직 중 오래 일한 기사들이 신형 버스가 투입된 노선으로 투입이 된다고 한다.[43]
- 무경력 기사들도 받아주는 몇 안 되는 회사이다.[44] 본래는 1년 이상의 경력이 있어야만 지원이 가능했지만 경원여객 계열이 되었던 시절 이후부터는 경력이 없어도 받아주고 있는 듯 하다. 소신여객에 입사 시 약 1년간 계약직으로 중형 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그 이후 정규직으로 승격하면 대형 노선으로 올라가는 식의 구조이다.[45]
- 백범 김구를 암살한 안두희를 정의봉으로 두들겨 죽인 박기서도 당시 소신여객 소속 버스 기사였다. 해당 문서로. 이후 살인죄로 복역하느라 퇴사했다가 출소 후 소신여객에서 복직시켜주어 2002년까지 일했다고 한다. 2025년 사망 전까지 택시 기사로 활동했다. 박기서를 포함하여 소신여객에서 정년퇴직한 기사들 중 무사고 운전자에 한하여 개인택시를 1대를 주던 적이 있었다.
- 난폭운전 및 과속의 빈도가 상당히 높은 편으로 버스를 이용할 때 조심하자. 지금은 많이 완화되었지만, 과거에는 기본적으로 2000rpm 이상에서 변속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래서 소신여객의 대우버스에서는 잦은 혹사로 인하여 ‘휘파람 소리’가 들리는게 기본이었을 정도. 특히 700번의 경우에는 새벽에 타면 벨을 눌러도 쿨하게 세워주지 않고 그냥 지나치는 경우도 있었다. 대표적으로 75번을 비롯한 고강동 소속 노선의 난폭운전 빈도가 상당히 높고, 다른 영업소 노선들도 G8808번을 제외하면 웬만해선 김포운수나 협진여객을 능가할 정도의 운전 스타일을 보여준다.[46] 특히 중형 노선의 경우 기사 환경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편이라 차가 망가지지 않을까 우려될 정도로 밟는 경우가 종종 있었으나, K1 편입 후 나름대로 나아진 편이다. 물론, ‘나름대로’ 인지라 여전히 속도를 내는 기사는 많은 편.[47]
4. 차량 운영 특징
4.1. 차량 출고 변화
- 소신여객은 KD 운송그룹, 화영운수와 마찬가지로 자일대우버스 선호 업체로 유명했다. 2015년 3월에 출고한 카운티 6대를 제외하면 전 차량이 자일대우버스였을 정도. 과거 BD098, BF101 출고시절에는 새한자동차 프론트엔진 버스들이 전부였고 1986년에 신형 리어엔진 버스인 대우 BS105가 출시된 후부터도 계속 BF101, BS105만 출고했으며, 1988년부터 BS105를 대량 출고하면서 기존 프론트엔진 버스들을 급격하게 죽이기 시작했다. 1991년 BS106이 출시된 후부터는 쭉 BS106만 출고했다. 2004년 700번을 개통할 때는 소신여객 최초의 BH 시리즈 차량인 BH115E 로얄 이코노미를 출고하기도 했다. 한때 자일대우버스가 중형버스를 출시하지 않았던 시절에는 아시아자동차 코스모스[48]와 15번에 1987년식 아시아 콤비도 굴린 적이 있었다.
- 그만큼 현대자동차 버스와는 인연이 없었다. 다만 1970년대에는 현대자동차의 R182를 굴리기도 했었고[49], 이후 약 40년 만에 2010년에 부천버스에게서 16번과 96번을 인수하면서 뉴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형 5대과 동글이 저상을 일부 인수받게 되었다.[50] 이후 현대버스를 자체적으로 출고한 것은 2015년이 처음으로, 당시 경원여객 계열사 편입과 함께 카운티 6대를 출고한 것이다.[51] 그리고, 본격적으로 현대자동차 버스를 출고한 시점은 2017년이다. 70-2번과 700번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를 출고한 것을 시작으로 자일대우버스가 아닌 현대버스만 쭉 출고하는 것으로 바뀌었다.[52] 2017년부터 2019년까지 현대버스를 대량 출고하면서 점점 자일대우버스의 수를 줄여나갔다.
- 2020년 3월에는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럭셔리 4대를 출고했다. 소신여객 최초의 현대 고급형 차종이며 41석에 선반 옵션이 장착된 나쁘지 않은 옵션으로 출고했다.[53] 이후 G8808번의 안양 연장으로 인한 증차분인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라임 신차 3대도 동년 12월에 출고했다. 그러나, 2023년 11월에 G8808번 증차분 1대가 추가로 출고됐다.
- 2024년 10월과 12월에 걸쳐 2017년식, 2018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그린시티 일부가 조기폐차되어 말소되었다. 일부 차량은 화성운수로 중고 매각되기도 했다. 경남여객과 마찬가지로 전기버스 투입이 가속화되면서 기존 고상버스를 조기에 대차시키는 사례가 늘어난 것이다.
- 2025년 2월, 700번에 있는 NEW BS106 좌석형 차량 1대를 대차하기 위해 계열사인 제부여객 1004-1번에서 운행하던 뉴 슈퍼 에어로시티 개선형 좌석형 차량을 중고로 도입했다.[54]
- 평소에는 신차 출고를 고집하는 편이나, 회사가 조금 어려운 상황일 때는 중고차를 대거 출고하는 편이었다. IMF 시절 경기교통 출신 하이파워나 영풍운수 출신 하이파워, 로얄시티, 경향여객 출신 로얄시티 마이너스 옵션 등을 대거 들여왔었다.[55] 이후 2010년에는 부천버스 출신 좌석형 BS106, BS110CN F/L, 고양교통 출신 BS110CN F/L을 대거 도입, 2011년에는 부천버스 출신 뉴 슈퍼 에어로시티, 김포운수 출신 BS106을 도입했다. 게다가 이 때는 구입만 한 것이 아니라 원진운수나 선진시내버스 등으로 매각하기도 했다.
- 전기버스는 모기업(K1 모빌리티 그룹)의 영향을 심하게 받은 편이다. 시기에 따라 출고하는 차종이 시시각각 변하게 되면서, 현재 총 5개의 전기버스 차종을 보유하고 있을 정도.
- 2019년, 경기도 최초로 하이거의 하이퍼스를 출고하면서 중국산 전기버스를 최초로 도입하였다. 이후 2021년 초까지는 오직 하이퍼스만 출고하였다. 이후로도 2023년까지 하이거를 많이 도입하였고, 2023년에는 하이퍼스1611P를 출고했다. 2024년에는 700번에 투입할 하이퍼스 HP를 출고하였고, 기존 그린시티 차량을 대차하기 위해 2025년 8월에 하이거 하이퍼스 1609P 차량 17대가 출고했다.
- 2021년 1월, 일시적으로 일렉시티를 출고하였으나, 본격적으로 출고한 시점은 2022년 10월이다. 약 1~2년 간 하이거와 병행하며 출고하였으나, 2023년 이후로는 일렉시티를 더 많이 투입하였다. K1 모빌리티 그룹에서 일렉시티를 운용하는 업체 중 유일하게 힙레스트 옵션을 적용하는 업체다.[56]
- 2023년 11월, K1 모빌리티 그룹에서 외산 전기버스를 BYD도 추가하면서 소신여객 최초로 BYD eBus-12를 출고해 75번에 투입했다.[57] 이후 2024년 10월, 2017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조기대차분으로 BYD eBus11 3대를 출고해 5번에 투입되었다.
- 2024년 9월, 현대, 하이거, BYD에 이어 우진산전의 전기버스도 도입하였다. 우진산전 아폴로 1100를 7대 출고하여 전량 70-2번에 투입하였다.
- 2025년 5월, 700번에 있는 NEW BS106 좌석형 차량 4대를 대차하기 위해 부천시 최초이자 수도권 최초로 스마트 110E 4대를 출고했다. 동시에 KGM커머셜 차종도 운행을 시작하였으며, 나머지 차량들도 전부 스마트 110E로 교체되면서 소신여객의 많고 많았던 자일대우버스 차량들은 사라졌다.
- 2018년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개선형 일반 차량에 ZF 자동변속기가 달린 차량을 2대 출고한 이후 반응이 좋았는지 2020년부터 뉴 슈퍼 에어로시티에 한해서 오토 차량으로만 출고하기 시작했다. 700번에 시범적으로 투입한 좌석형 1대를 제외하고, 대부분이 75번에 주로 투입되었으며 초장거리 노선에 굴곡도 심하고 상습 정체 구간을 지나가며 사람도 많은 이 노선에 4탕이나 뛰어야 하는 열악한 환경에 찌든 75번의 기사 피로도를 조금이나마 덜어주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58] 이후 75번의 오토 차량은 BYD 전기버스 투입과 함께 23번과 70번으로 격하되어 운행중이다. 참고로 자동변속기는 앨리슨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해당 오토 차량을 출고한 시점부터 ZF 변속기로 전향하였다.[59]
- 2022년 8월, 2012년식과 2013년식 대우 NEW BS090 경유 차량 4대 모두가 휴차됐다.[60] 또한 일부 차량은 폐차를 앞두고 있었다. 이 차량들은 5-3번, 5-4번, 6번, 6-2번 등에서 마지막까지 운행하고 있었으나 해당 노선들 모두 타 노선 출신 중형 가스차량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다음 달인 9월에 2012년식 NEW BS090 경유 차량 14대가 면허만 남긴 채 폐차되며 창사 이래 처음으로 자일대우버스 보유대수가 현대자동차 보유대수보다 적어진 것은 물론이고 중국 하이거보다도 적어졌다.
- 2024년 12월 수도권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BS110CN F/L이 대차된지 얼마 안 돼 2015년식 NEW BS090까지 대차되었다.[61] 그리고 2024년 1월에는 입석형 BS106이 전멸했다.[62] 참고로 이 차량들이 부천시 최후의 BS106과 BS110CN이다.
- 현재 예비차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천연가스버스는 부천역과 고강동, 상동 소속 노선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동 소속 노선은 700번 단 하나이고, 상동차고지의 부지가 매우 협소할 뿐더러 좌석버스 노선만을 운영하고 있기에 전기버스를 배치할 일은 당분간 없을 법했으나, 2024년에 상동에도 전기버스 충전기를 설치하고 700번에 투입할 하이퍼스 HP를 인도받았다.[63]
4.2. 차량 수명 연장
- 소신여객은 버스 차량을 정말 오래 쓰기로 유명한 편이다. 정식 내구연한인 9년만 채우는 경우는 극히 드문 편이고, 기본 10년을 사용하며 대부분 11년 6개월까지 꽉꽉 연장시켜서 꾸역꾸역 쓴다. 특히나 2009년식과 2010년식은 코로나 특례연장으로 1년 더 사용하여 각각 2021년, 2022년까지 멀쩡히 돌아다녔다. 예외로 디젤 차량들은 2020년부터 빠르게 대차시키더니 2023년에 다 대차시켰다.[64] 하지만 이마저도 어디까지나 상대적일 뿐 최소 차령인 9년 이상을 사용하는 업체이다. 다만, 2024년 가을에 조기 대차가 이루어졌는데, 2017년과 2018년에 출고한 현대버스 다수가 전기버스로 조기 대차되거나 말소된 사례가 있었다. 또한 현재는 2017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 고상 차량은 700번 차량 2대를 제외하고 모두 조기대차 및 면허말소하였다.[65]
- 사실 소신여객이 원래부터 차를 그렇게까지 오래 쓰던 회사는 아니었다. 2006년 정도까지만 하더라도 9년 정도만 쓰고 칼대차하던 회사였으며, 심지어 심심하면 7~8년만 쓰고 조기대차하던 곳이었다. 특히 소신여객이 보유하고 있던 프론트엔진 버스들 중 가장 최신 연식이 1987년식 BF101Q였는데 1994년을 전후로 전멸했고, 코스모스는 7년 정도만 사용하고 모두 말소시켰다. 당시 소신여객에는 유독 1988~1989년식 BS105가 많았는데, 이 차들이 모두 BF를 일찌감치 대차하고 대량 도입된 차들이다. 그리고 이 연식의 차들 역시 1996년에 칼대차된 차들이 상당히 많았다.
- 다만 1997년 외환 위기를 겪으면서 96년 이전에 대차되지 않은 일부 88~89년식 BS105 차량들은 해당 시기에 싹 다 감차되었고 1990~1992년식 하이파워들의 대차 시기도 10년 정도로 길어졌다. 그 후 2000년부터 2001년 경에 90~92년식 대차분으로 1997년식 중고 하이파워[66]도 들여오면서 소신여객에는 1996~1997년식 하이파워가 즐비하게 되었는데, 이 하이파워들은 오래 굴리지 않고 2005~2006년에 걸쳐 모두 칼대차시켰다.[67] 그러다 1999년식 차량부터 기본 10년 이상 사용하는 추세를 보이기 시작했다.[68]
- 차량을 오래 쓰는 것과 달리, 의외로 차량 관리를 잘하던 업체 중 하나였다. 부팸 급으로 차관리를 잘하는 수준은 아니지만, 차량을 10~11년씩 오래 쓰는 업체인 데다 대부분의 차량이 부식이 많기로 유명한 자일대우버스임에도 부식된 모습을 보여준 경우는 드문 편이며 잦은 주기로 차량 판금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차량 재도색 주기도 매우 짧으며, 2018년부터는 BS106 측면의 몰딩을 제거하고 있다. 다만 깔끔하게 유지한 외관과는 달리 내부에선 종종 관리 미흡의 흔적이 보이기도 한다.
- 하지만 사모 펀드로 매각된 이후, 특히 2020년대부터 차량 관리가 상당히 허술해진 편이다. 본래 대차를 앞둔 차량이어도 멀끔한 외관을 유지했으나 케바케가 심해졌고 특히 다수의 자일대우버스 차량들은 상태가 맛이 갔다. 분명히 가스 차량임에도 디젤과 같은 우렁찬 소리가 난다거나 외부에는 퍼티 자국과 찌그러진 자국, 부식이 고스란히 남아 있고 어디서 긁혀서 온 자국도 제거하지 않고 재도색을 할 때까지 놔둔다. 현대 차량도 예외는 없다. 한동안 NSAC 개선형 차량의 가니쉬가 빠진 상태임에도 다시 부착하지 않고 방치하는 등 과거의 모습과는 상당히 달라진 모습이다. 하술하겠지만, 행선판 가독성도 매우 떨어지게 되었다.
4.3. 차량 안내 표기
- 소신여객의 차량에는 항상 전면에 경유지를 표기해두는 것이 특징이었다. 하얀색 바탕에 적색과 청색을 번갈아쓰며 헤드라인체로 경유지 5~6곳을 표기하고, 창문 하단에 노란색 바탕에 적색으로 중요 경유지를 추가로 강조하는 경우가 많았다. 워낙 차량 관리를 잘하는 업체답게 측면 경유지 표기도 매우 깔끔하게 하는 것이 특징이었다.
- 2019년부터 소신여객의 부착물 디자인이 바뀌었다. 노선도의 경우 정류소명이 한글과 영어가 병기되었으나 한글로만 표기하는 식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고유 도색을 사용하던 시절부터 사용한 헤드라인체에서 윤고딕 계열의 폰트로 바꾸어 제작하여 부착한다. 또한 보조행선판의 경우, 5번, 5-3번, 8번 등 일부 노선에 한하여 경유지마다 색상을 번갈아 쓰던 것이 좌우측 맨 끝 경유지만 빨간색, 나머지는 전부 파란색으로 표기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보조행선판 외에도 측면 행선판 역시 기존에는 기종점 표시를 명료하게 표기했던 것과 달리 2018년부터 2019년 중엽까지 '부천체육관북문', '소사공영차고지', '김포공항국내선', '부개역.상동차고지' 등 정류소 이름이 긴 편인데도 이름 전체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바꾼 적이 있었다. 다만 업체 측에서 긴 단어의 장평을 잔뜩 줄여서 욱여넣은 표기 방식의 가독성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는지 행선판을 제작 및 다시 인쇄할 때 기존 표시 방식을 따르거나 간단히 표기 후 밑에 괄호를 다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소신여객 소속 대부분의 차량들의 전면 LED가 2차로 개정되었다. 개정된 차량은 전방 BLU를 제거했으며 LED에 노선번호를 항시 송출하는 방식으로 대체했다.[69]
- 2021년 봄부터 소신여객 특유의 전면부와 측면부 보조 행선판을 부착하지 않고 있다. 또한 경기도 표준 양식이 변경된 이후부터 기존의 양식이었던 윤고딕과 센츄리 고딕을 사용하지 않는다.[70] 그렇다고 현 표준 양식인 Noto Sans나 나눔고딕도 아닌 알 수 없는 한글 폰트를 채택했고, 숫자는 HY울릉도체 혹은 서울에서 주로 사용하는 Din 폰트를 사용하고 있다. 2022년 초, 5-3번과 5-4번의 행선판을 새로 디자인하여 인쇄했는데, 윤고딕 폰트가 돌아오긴 했으나 비율이 마치 부일교통의 행선판을 연상시키듯 글씨가 측면 패널을 완전히 뒤덮을 정도로 커졌다. 2022년 중반부터는 노선에 따라 사용하는 폰트가 달라지는 등, K1 모빌리티 그룹 인수 후에는 행선판의 가독성이 매우 떨어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K1 모빌리티 그룹 계열사 중에서 유일하게 창문광고를 붙이고 있다.
4.4. 기타 특징
- 2006년 중반부터 2008년 중반까지 기존 차량부터 새로 출고하는 차량까지 기존 회색 손잡이를 위와 같은 컬러 광고손잡이로 교체하였다. 2009년 경에 매각된 일부 원진운수, 선진시내버스 차량을 제외하면 오직 소신여객에서만 볼 수 있는 특징적인 손잡이였으나 현재 위 손잡이로 교체되었던 차량은 2019년을 마지막으로 모두 대차되었다.[71]
- 2012년, 2015년에 걸쳐 당시의 회사 방침 중 중형 노선 확대의 일환으로 NEW BS090을 대량 출고한 적이 있었다. 이후 그린시티로 대차하면서, 주로 수익이 적은 3번, 5-3번, 5-4번, 6번, 6-2번, 25번 등에 집중적으로 투입되었다. 전기버스 투입이 가속화되면서 일부 노선에도 전기버스가 투입되면서 대형화가 이루어졌으나, 2025년부터 다시 하이거 하이퍼스1609P를 투입하면서 현재는 3번[H], 5-3번, 5-4번, 6번, 6-2번[H], 8번[H], 25번[H]이 중형버스 전용 노선으로 운용하고 있다.
5. 노선
5.1. 영업소 및 소속 노선
<rowcolor=#fff> 영업소 | 소재지 | 노선 | 비고 |
부천역터미널 |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부일로 490 (심곡동 170-2) | - | 소신여객 본사 |
춘의동 |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원미로 218 (춘의동 57) | 3, 5-3, 5-4, 70-2 | 경원여객 공유[76] |
대장공영차고지 |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벌말로 43 (대장동 703-1) | 6, 6-2, 8, 16, 70-3, G8808 | |
고강공영차고지 |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봉오대로556번길 26 (고강동 597) | 5, 23, 70, 75 | |
소사공영차고지 | 경기도 부천시 소사로 77 (소사본동 52-1) | 23-2, 25, 71 | |
상동 |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부일로 118 (상동 618) | 700 | [CNG] |
전진아파트 |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마니로 74 (송내동 623-1) | 6, 6-2 | 운행중만 사용[GAR] |
- 부천에서 가장 큰 버스회사답게 부천시 관내 업체 중 보유 영업소가 가장 많다. 과거에는 훨씬 더 많은 영업소가 존재했으나 1990년대 이후 급격한 개발로 많은 차고지들이 폐쇄되었다. 소신여객이 과거 사용했던 차고지로는 아래와 같다.[79]
- 계수동차고지 : 경기도 시흥시 시흥시 범안로336번길 4-1 (계수동 103)[80]
- 작동차고지 :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작동 9-6 인근[81]
- 삼정고가차고지 :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송내대로 450 (삼정동 366-1)[82]
- 범박차고지 :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범박동 일대[83]
- 오쇠동차고지 :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오정동 일대[84]
- 약대주공차고지 :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평천로 679 (약대동 216-1) 인근[85]
- 넘말차고지 :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부흥로 174 (중동 680) 일대[86]
- 벌응절종점 :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안곡로 322 (역곡동 200-10) 인근[87]
- 월미도차고지 : 인천광역시 중구 월미로233번길 7 (북성동1가 98-210) [88]
- 방화동차고지 :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로 22 (방화동 846) 인근[89]
- 천연가스 충전이 가능한 곳은 대장공영차고지, 고강공영차고지다. 상동 소속 700번은 신길교통 상동차고지의 충전소를 이용한다.[90] 상동영업소가 두 정류소 차이로 가깝기 때문에 이용하는 것이다.[91] 과거에는 온수공영차고지[92], 강서공영차고지[93]에서 충전하기도 했다.
- 전기버스는 소사공영차고지, 대장공영차고지, 춘의동영업소 소속 노선에 집중적으로 투입된다. 해당 차고지에 충전기 설치를 완료하고, 전기버스를 투입했으며 다수의 노선이 전기버스로 운행중이다.
5.2. 운행 노선
5.2.1. 일반시내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23-2 ♿ | 소사공영차고지 | 시흥대야역 - 밤비천물길공원 - 옥길동입구 - 범학힐스테이트 - 소새울역 - 소사본주민지원센터 - 부천역남부 - 부천대학교 - 신중동역 - 부천시청역 - 상동역 | 라일락마을 | 5~12 |
25 ♿ | 소사공영차고지 | 옥길자이아파트 - 양지마을 - 범박휴먼시아 - 역곡역 - 소사초등학교정문 - 부천역남부 | 깊은구지사거리 | 10~20 |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3 ♿ | 소사공영차고지 | 부천대학교 소사캠퍼스 - 소새울역 - 소사종합시장 - 부천역남부 - 중동역 - 부천역북부 - 조마루삼거리 - 부천종합운동장역 - 원종역 - 오쇠동삼거리 - 국립항공박물관 → 방화중학교 → 김포공항역 → 김포공항국제선 → 김포공항국내선 → 국립항공박물관 → 이후 역순 | 김포공항 | 13~20 |
5 ♿ | 고강공영차고지 | 수주초등학교 - 새보미아파트 - 신작동사거리 - 까치울역 - 역곡역북부 - 소사역 - 부천역북부 - 부천대후문 - 복사골마을 - 부천시청역 - 덕유마을 - 약대동행정복지센터 | 부천테크노파크 | 5~20 |
5-3 ♿ | 부천역북부 | 부천보건소 - 신중동역 - 설악마을.중흥마을 → 한라마을 → 상인초등학교 → 상동역 → 한라마을 → 이후 역순 | 상동역 | 8~12 |
5-4 ♿ | 부천역북부 | 부천보건소 - 미리내마을 - 부천시청 - 상동역 - 다정한마을 - 부천테크노파크 | 부천실내체육관 | 20~30 |
6 | 전진아파트 | 왕궁빌라.대진아파트 - 정명고.경기경영고 - 깊은구지사거리 - 부천역남부 - 부천대학교 → 중동시장 → 부천시청역 → 신중동역 → 루미아트 → 부천대학교 → 이후 역순 | 신중동역 | 9~12 |
6-2 ♿ | 대장공영차고지 | 부천축산물공판장 - 부천테크노파크 - 상동역 - 부천터미널 소풍 - 중동역 - 깊은구지사거리 - 부천남부역 - 극동아파트 - 소림사 - 정명고.경기경영고 - 왕궁빌라.대진아파트 | 전진아파트 | 11~13 |
8 ♿️ | 대장공영차고지 | 삼정동중소기업협동화단지 - 부천테크노파크 - 부천실내체육관 - 부천시청역 - 한아름마을.반달마을 - 송내역 - 중동역 - 부천역북부 - 춘의테크노파크 - 부천종합운동장역 - 원종역 - 수주도서관 → 고강사거리 → 진영아파트 → 고강동우체국 → 수주도서관 → 이후 역순 | 고강동우체국 | 7~20 |
16 ♿ | 대장공영차고지 | 부천테크노파크 - 서해그랑블 - 삼산푸른솔마을 - 미래타운1.2단지 - 삼산농산물시장 - 서해그랑블 - 상동역 - 한아름마을.반달마을 | 송내역 | 7~19 |
23 ♿ | 고강공영차고지 | 가로공원 - 화곡역 - 신월중학교 - 수주초등학교 - 고강동우체국 - 원종역 - 부천종합운동장역 - 춘의역 - 신중동역 - 부천시청역 - 반달마을.법원.검찰청 | 송내역 | 6~11 |
70 | 고강공영차고지 | 강서한방병원 - 까치산역 - 화곡역 - 신월중학교 - 욱일아파트 - 원종역 - 성곡파출소 - 도당사거리 - 내동사거리 - 약대동행정복지센터 - 부천시청역 - 상동역 - 상동우체국 - 복사골문화센터 | 송내역 | 10~15 |
70-2 ♿ | 춘의동 | 조마루삼거리 - 부천역북부 - 춘의역 - 도당사거리 - 여월중학교 - 원종역 - 고강사거리 - 신월중학교 - 화곡역 - 강서구청 - 염창역 - 당산역 - 영동초교 | 국회의사당역 | 6~15 |
70-3 ♿ | 대장공영차고지 | 부천테크노파크 - 부천터미널소풍 - 송내역 - 중동시장 - 신중동역 - 약대오거리 - 덕산고.봉오대로사거리 - 신월중학교 - 화곡역 - 강서구청 - 염창역 - 당산역 - 영등포구청 | 영등포소방서 | 8~18 |
71 ♿ | 소사공영차고지 | 부천대학교소사캠퍼스 - 소새울역 - 소사역 - 부천역북부 - 춘의역 - 샛별어린이공원 - 약대오거리 - 부천우편집중국 - 오쇠동삼거리 - 공항동송정중학교 → 국립공항박물관 → 김포공항역 → 김포국제공항 → 송정역 → 공항동천주교회 → 공항동송정중학교 → 이후 역순 | 김포국제공항 | 8~11 |
75 ♿ | 고강공영차고지 | 수주초등학교 - 원종역 - 부천종합운동장역 - 춘의역 - 부천역북부 - 중동역 - 부천고교.현대아파트 - 깊은구지삼거리 - 부천역남부 - 소사종합시장 - 괴안사거리 - 역곡역 - 유한공고.성공회대 - 오류동역 - 개봉역 - 가산디지털단지역 - 독산역 - 하안119안전센터 - 가리대사거리 - 소하2동행정복지센터 - 기형도문화관 | 광명역 | 7~10 |
5.2.2. 일반좌석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700 | 상동차고지 | 송내역 - 부천터미널소풍 - 부천시청역 - 신중동역 - 춘의역 - 부천종합운동장역 - 까치울역 - 궁동사거리 - 신정현대아파트 - 신트리아파트 - (→ 양천구청 → 목운초등학교.목운중학교 → 목동운동장 → 이대목동병원 →/← 양천문화회관 ← 목동8단지 ← 목1동주민센터 ← 목동1~4단지 ← 월촌중학교 ←) - 선유도역 - 당산역 - 영등포시장 - 영등포역 → 전경련회관 → 한국거래소 → 여의나루역 → 63빌딩 → KBS별관 → 여의도역 → 영등포역 → 이후 역순 | 63빌딩 | 12~16 |
5.2.3. 직행좌석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G8808 | 대장공영차고지 | 부천터미널소풍 - 복사골문화센터 - 송내역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시흥TG - 제2경인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 광명역 - 안양대교 - 안양1번가 - 비산사거리 | 범계역 | 30~40 |
5.3. 과거에 운행했던 노선
- 1 (약대동-방화동)
- 2 (약대동-오쇠동)
- 2-1 (한다리-오쇠동) - 한다리는 현재 삼정동 인근에 있던 동네였다.
- 2-2 (작동-춘의동)
- 3-1 (소사동-고강동) - 2009년 3번에서 분리되었으나 2013년 8월 5일 다시 통합되었다.
- 3-1 (오쇠동-포도마을) - 2013년에 통합된 3-1번과는 다른 별개의 노선이었다.
- 5-1 (부천역-부천체육관)
- 5-2 (춘의동-삼산지구) - 2012년 10월 25일 폐선.
- 5-5 (춘의동-상동) - 2019년 5월 13일에 5-3번과 통폐합.
- 5-6 (부천역-부천터미널 소풍) - 2015년 10월 13일에 5-4번과 통폐합.
- 6-1 (송내역-소사역) - 2016년 6월 30일에 폐선.
- 7 (송내역-중앙도서관)
- 7-1(송내역-부천테크노파크 쌍용3차) - 2019년 8월 12일에 8번과 통합되었다.
- 7-2 (송내역-한림병원) - 2013년 폐선. 16번이 대체노선 역할을 하고 있다.
- 7-3 (송내역-화곡역) - 2016년 7월 15일에 폐선.
- 7-4 (송내역-김포공항) - 2016년 3월 23일부로 경원여객으로 이관.
- 7-5 (송내역-한라마을)
- 8-1 (대장동-청소사업소) - 노선거리 700m. 정류장 2개만이 있는 국내 최단 노선이었다.
- 9 (소사동-덕산고교) - 2012년 8월 31일 폐선.
- 11 (대장동-부천역북부) - 2023년 5월 22일 폐선
- 11-1 (약대주공-부천역)
- 12 (계수리-대장동) - 2000년에 12-2번에 통합된 1기 노선. 자세한 내용은 시흥 버스 12 문서로.
- 12 (계수리-역곡역) - 2003년에 신설된 단거리 노선. 2006년에 12-2번과 통합되어 사라졌지만 번호는 유지.
- 12 (계수동-김포공항) - 2016년 4월 6일 부로 시흥교통으로 이관.
- 12-1 (대장동-계수동) - 2002년에 22-1번과 통합 후 도원교통으로 매각.
- 12-2 (대장동-계수동) - 2006년 12월에 12번과 번호가 통합되었다. 다만 12번이 아닌 12-2번 노선을 사용한다.
- 15 (역곡북부역-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 부일교통 15번과는 다른 노선이었으며, 학교 측과의 갈등으로 운행에 차질이 생겨 사라졌다. 현재는 가톨릭대학교 셔틀버스와 51-2번으로 대체 되었다.
- 22 (대장동-소사동) - 2013년 3월 김포공항으로 연장 후 김포 22번과의 번호 중복으로 220번으로 변경.
- 22-1 (소사동-중흥마을) - 2002년에 12-1번과 통합.
- 23 (작동-역곡3동) - 현 23번과는 무관. 원미구청앞 경유.
- 23-1 (범박휴먼시아-오정동) - 2013년 2분할.
- 23-1 (대장동-송내역) - 2022년 9월 1일 폐선.
- 23-2(계수동-오쇠동) - 현 23-2번과는 무관.
- 23-3 (작동-역곡3동) - 2004년에 75번과 통합. 춘의동 경유.
- 23-5 (소사본동-고강동) - 2018년 5월 11일 폐선.
- 33 (화곡역-송내역) - 2016년 12월 27일에 폐선.
- 51, 52, 53 (월미도-제물포역-부평역-부천역-방화동) - 51번은 약대동, 52번은 도당동, 53번은 원미동, 원종동 경유. 현재 정원운수, 부일교통의 동일 번호 노선들과는 전혀 다른 노선이다.
- 55 (구미마을-만수동) - 1995년 인천대공원 단축, 1997년 중앙병원 단축 이후 1998년에 12-1번과 통합. 현재 부일교통 55번 노선들과 전혀 다른 노선이었다.
- 70-1 (춘의동-증미역) - 2013년 3월 3일 폐선 후 23번과 통합되었다.
- 70-4 (약대동-영등포역) - 2000년 폐선. 원종동, 고강동을 경유했으며, 이에 70-3번이 폐선 대책으로 잠시 원종동, 고강동을 경유한 적도 있다.
- 72, 73 (오쇠동-부천역-오쇠동-공항동-송정역-당산역-영등포역-오류동역-부천역-오쇠동) - 52, 53번과 부천 구간은 동일했다. 71번도 순환 노선이었으나 현재의 노선으로 대거 단축하여 운행 중. 72번은 이후 공항대로를 경유하는 72번과 경인로를 경유하는 72-1번 두 노선으로 분리되었다가 폐선.
- 72-1 (계수동-당산역) - 당산철교 공사 때문에 수요 감소로 폐선.
- 96 (범박휴먼시아-송내역) - 부일교통으로 매각.
- 96-1 (송내역-삼산동)[94] - 부일교통으로 매각.
- 220 (소사본동-김포공항)[95] - 2016년 3월 23일부로 경원여객으로 이관.
- 300 (소사동-김포공항) - 3번의 김포공항 경유 좌석버스 버전이었다.
- 550 (월미도-부천역-김포공항) - 현 도원교통 50번(송내역-김포공항)의 전신이다.
- 550-1 (송내역-부천시청-김포공항) - 과거 월미도까지도 운행했었다.
- 770 (부천역-영등포) - 70-2번의 좌석버스 버전이었다.
- 770-1 (송내역-영등포) - 70번의 좌석버스 버전. 초기에는 약대동이 기점이었다.
6. 면허 체계
7. 논란
- 원종운수(현 원종여객)가 시내버스 업체로 전환될 예정일 때 전 차량 앞에 현수막을 내걸었다. 원종운수의 시내버스 업체 전환은 결국 무산되었다.
- 2020년 12월 14일 노조[101][102]에서 회사 측에 임금 인상 및 근무 여건 개선 등의 조건을 요구했다가 결렬되자 무기한 파업에 돌입했고 19일부터 파업이 잠시 중단되어 정상 운행을하다 23일 재차 파업에 돌입했다. 파업 해당 노선은 5, 16, 23, 23-2, 70, 70-2, 70-3, 71, 75번 총 9개로 대다수가 부천과 타 도시를 잇는 노선이며 소신여객 내에서도 수요가 높은 노선들이다.[103][104][105] 때문에 해당 노선을 이용하는 부천시민들에게는 불편함이 따를 수밖에 없다. 심지어 파업 시기가 강추위가 몰려온 시점과 맞물려 시민들이 한파 속에서 벌벌 떨며 대체 노선만을 하염없이 기다릴 수밖에 없게 만들어 더 큰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었고, 짧은 배차 간격으로 운행하던 노선들이 임시 전세버스 투입도 없이 대부분이 운행 중단됨에 따라 대체 노선으로 사람이 전부 몰린 탓에 대체 노선 버스 안은 인산인해를 이루어 거리두기 시대에 사람들과 초밀착으로 붙어가게 하는 방역 취약 환경을 만들기도 했다. 그럼에도 원인제공자인 사측은 교대 없이 격일로 강도높은 노동을 하고 있는 버스 노동자들의 처우를 개선할 의지는 없는 듯하다.
8. 보유차량
8.1. 현재 보유차량
8.1.1. 현대자동차
- 현대 그린시티 천연가스버스[106]
- 현대 그린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일렉시티 전기버스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럭셔리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라임 천연가스버스
8.1.2. 하이거
8.1.3. BYD
8.1.4. KGM커머셜
8.1.5. 우진산전
8.2. 과거 보유차량
8.2.1. 자일대우버스
- 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천연가스버스[A]
- 대우 NEW BS090 디젤
- 대우 NEW BS090 천연가스버스
- 신진 FB100LK 가솔린
- 신진 DB102LC 디젤
- 신진 DB105LC 디젤
- 새한 BD50DL 디젤
- 새한 BD098 디젤
- 새한 BD101 디젤
- 새한 BF101 디젤
- 대우 BF101(Q) 디젤[108]
- 대우 BS105 디젤
- 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106 로얄시티 F/L 디젤
- 대우 BS106L 로얄시티 F/L 디젤[109]
- 대우 BS106 로얄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대우 NEW BS106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110CN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110CN F/L 천연가스버스
- 대우 BH115E 로얄이코노미 천연가스버스
- 대우 BH115E 로얄이코노미Ⅱ 천연가스버스
8.2.2. 현대자동차
8.2.3. KG모빌리티
8.2.4. 기아
9. 사진
| |
2003년 무렵의 대장동공영차고지. (출처: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113] | 춘의차고. |
| |
부천역북부 소신여객터미널. |
10. 지배구조
2022년 12월 기준.주주명 | 지분율 | 비고 |
STL자비스2018의1사모투자 | 90.43% | 모회사 |
시흥교통 | 3.00% | |
기타 | 6.57% | 6인 |
11.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시내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경기고속2 | 경기버스 | 경기상운 | |||
경기여객2 | 경기운수 | 대원고속1 | ||||
대원버스 | 대원운수 | 명진여객 | ||||
이천시내버스 | 진명여객2 | 평안운수 | ||||
평택버스 | 화성여객2 | 가평교통 | ||||
김포운수 | 선진버스 | 선진상운 | ||||
선진시내버스 | 연천교통 | 파주여객 | ||||
포천교통 | 포천상운 | 경진여객 | ||||
남양여객 | 소신여객 | 수원여객 | ||||
용남고속 | 제부여객 | 화성운수 | ||||
경원여객 | 써클라인 | 시흥교통2 | ||||
태화상운 | 경남여객2 | 고양교통 | ||||
과천여객 | 군포여객 | 금강고속 | ||||
기흥여객2 | 뉴부일교통 | 뉴신일관광 | ||||
대덕운수 | 대명운수 | 대양운수 | ||||
더버스 | 도원교통 | 동부고속1 | ||||
명성 | 백마운수 | 백성운수 | ||||
보영운수 | 부일교통 | 부천버스 | ||||
산본여객 | 삼경운수 | 삼영운수 | ||||
서울여객 | 성광운수 | 성일운수 | ||||
성남시내버스 | 성우운수 | 신성교통 | ||||
신성여객 | 신일여객 | 양주교통2 | ||||
여산교통2 | 오산교통2 | 와부버스2 | ||||
용남고속버스라인 | 의왕교통2 | 청우운수 | ||||
태산운수2 | 파주교통2 | 평택운수 | ||||
평택여객 | 학의운수 | 협진여객 | ||||
화영운수2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시외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경기고속 | 대원고속1 | 선진고속 | |||
경기공항리무진 | 경남여객 | 경일여객 | ||||
금강고속 | | 동부고속1 | ||||
동양고속1 | 삼화고속1 | 용남고속버스라인 | ||||
중앙고속1 | 한일고속1 |
범례 1: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회원사 2: 마을버스 겸업 업체 | |||
<rowcolor=#fff> KD 운송그룹 계열사 | 선진그룹 계열사 | K1 모빌리티 그룹 계열사 | KST그룹 계열사 |
[1] 현재는 관리가 안 되고 있다.[2] 구내식당업으로 등록된 소신여객의 자회사이다.[3] 여기보다 더 오래된 회사는 1927년에 설립된 강원도의 동해상사고속, 1921년에 설립된 강원여객, 1920년에 설립된 전라북도의 전북고속 뿐이다.[4] 당시 소사역은 지금의 부천역으로, 경원선 개통 때 소사읍으로 칭했기 때문이다. 이후 1974년에 부천시 승격과 함께 부천역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부천역 남부광장 자리가 과거에는 소신자동차부 승차장이었다. 지금의 소사역은 1997년에 신설한 역사[5] 이 이전에는 주로 부천군 남쪽인 소사읍, 소래면 혹은 일제강점기 당시 부천군 소속이었던 현 미추홀구 지역을 주로 운행했다.[6] 당시 인천광역시는 출범하기 전이었으며, 경기도 인천시였다. 송도버스가 선진그룹에 인수된 시점은 2007년이며, 이후 2021년에 차파트너스자산운용에 인수되었다.[7] 현재의 경원여객은 안산과 시흥에 면허를 두고 있지만, 이때 분사되면서 안양시 면허를 먼저 받은 것이 시작이다. 그래서 경원여객은 소신여객과 같이 1928년에 개업했다고 칭한다.[8] 현 50번. 도원교통(舊 성민버스)이 12-1번과 같이 양도양수를 받았으며, 일반버스로 형간전환되어 송내역까지 단축되었다.[9] 이 당시 소신여객은 90년대 중후반부터 부천시 버스 노선의 90%를 독점하고 있었고, 보유 차량의 수도 300대를 진작에 넘겼을 정도였다.[10] 또 다른 업체인 부천버스와도 차량 보유대수는 3배 가까이 차이가 나며, 노선 수 역시 소신여객이 월등히 많다.[11] 단, 부천에서 도심.강남 등의 부도심권으로 진입하는 직행좌석버스는 소신여객 관할이 아니다. 이유는 부천에 광역버스는 과거 시외.고속버스 시절부터 삼화고속의 독점이였다. 과거 부천버스 905번과 소신여객 700번 직행좌석버스 시절에 서울시가 승인 및 인허가를 내줘서 광화문으로 연장하려고 했으나 부천 광역버스를 독점하던 삼화고속의 심한 반발과 행패로 인해서 실패했다는 사실도 있을 정도다.[12] 원종여객(구 원종운수)도 전환될 예정이었으나 소신여객의 극렬한 반대로 무산되었다.[13] 팀킬 혹은 중복 노선이 많은 노선 경로, 수요가 날 수 없는 노선 경로[14] 실제로 6-2번, 8번, 16번, 23번 외 다른 노선은 폐선되거나 타 업체로 매각됐다.[15] 다만 23번은 부일교통 33번 시절 그저 그랬던 노선을 소신여객의 입맛대로 노선을 조정하고 이후 화곡역으로 연장시키면서 대성공을 거둔 노선이기 때문에 소신여객이 직접 성장시킨 노선이라 볼 수 있다.[16] 대표적으로 고강공영차고지와 화곡역에 기반을 둔 59번, 59-1번, 60-1번 등.[17] 98번의 개통과 성공으로 성광운수는 부천버스에서 일부 노선을 인수하여 순식간에 규모를 불리게 되었다.[18] 경원여객 관계자들의 지분까지 더하면 훨씬 더 커질 수 있다.[19] 경원여객 문서에도 언급되어 있지만, 소신여객의 안양 쪽 노선이 갈라져 나온 것이 경원여객이다.[20] 부동산, 토지업종 업체. 소신여객의 차고지, 토지, 건물 등을 소유하고 있으며 소신여객이 이 업체에 토지사용료, 임대료 등을 지불하는 구조. 소신홀딩스는 경원여객 계열에서 분리된 소신여객과 달리 여전히 경원여객의 계열사로 남아있다. 그래서 소신과 경원이 계열이 분리됐어도 61번 차량이 춘의동차고지에서 주박이 가능한 것.[21] 경원여객과 시흥교통 등의 계열사는 중형화를 통해 노선 정리를 자주 하는 편이다. 아예 사측에서 기사들을 중형노선으로 격하시키거나 촉탁직 위주로만 구성하여 계약직 기사들에게 여러 제한을 주는 경우가 많다.[22] 하지만 2022년 기준으로 시흥교통이 3%의 지분을 가지고 있어 주주로는 남아 있다.[23] 기존 넷버스여행사가 운행하던 8808번이 비수익 노선으로 폐선되면서, 경기도 준공영제 노선에 포함된 것이다.[24] 현재는 58-2번이 해당 구간에 투입되었으나 고작 삼정동 일부만 대체 중이다.[25] 소신여객과 화성운수는 ‘에스티엘자비스2018의1사모투자’, 나머지 수원과 화성의 업체들은 ‘자비스엠씨모빌리티’이며 만기일도 소신 쪽이 300일 정도 빠르다.[26] 다만 에코모빌리티가 지분을 100% 보유한 용남고속, 수원여객과 달리 소신여객은 시흥교통 지분이 일부 남아있다.[27] 現 소사동[28] 現 시흥시 신천동[29] 부천역 본사를 경유하는 노선은 타고 내리는 승객이 없어도 내부를 경유하여 운행한다.[30] 3번은 소사역에서 바로 원미로로 직통했다가 이후에 변경되어 부천북부역 소신터미널을 경유해서 운행하도록 하고, 중동역을 경유하는 ㄷ자 구간을 3-1번이 대체했다.[31] 문화재가 불에 타고 복원하면 문화재가 아니듯이 분리되고 다시 합쳐도 분리 이전 기록만 인정되지 통합 이후 기록은 인정하지 않는다.[32] 단, 방화동 폐지 및 김포공항 경유는 그대로 유지[33] 직행좌석 9대, 일반좌석 14대, 일반시내 279대, 예비차량 16대, 견습차량 1대, 휴차차량 4대.[34] 중간에 4번대 노선이 비는데, 불운을 의미하는 死가 연상되어 그런 것인지 소신여객 노선 중에는 숫자 4를 번호에 넣은 경우가 부번호에 들어가는 5-4번, 7-4번, 70-4번을 제외하곤 단 한 번도 없었다.[35] 업체는 다르지만, 도원교통이 운행하는 50번, 50-1번 역시 소신여객 시절에 만들어진 노선인지라 해당 번호 체계를 따르고 있다. 성일운수의 52번, 뉴부일교통의 53번, 청우운수의 59-1번도 우연의 일치로 해당 체계에 부합한다.[36] 70번, 70-1번, 70-2번, 70-3번, 70-4번, 71번, 72번, 73번, 75번[37] 1번이 원래 결번이었던 것이 아니다. 그저 이제 사용하지 않는 번호일 뿐.[38] 51번은 1999년, 나머지는 1998년에 폐선되었다.[39] 8번도 나름대로 규칙이 있는데, 대장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는 노선이었는데, 8-1번이 사라지면서 큰 의미는 없어졌다. 반대로 16번은 부천버스 시절 개통한 노선으로, 90-2번으로 운행하던 것을 16번으로 변경한 것이 전부.[40] 본래 7번대 노선 모두가 테크노파크를 경유한 것은 아니나 상동지구 개발, 버스 개편 등으로 모두 테크노파크를 경유하게끔 변경되었다. 따라서 2000년에 일찌감치 폐선된 7-5번(송내역-한라마을)은 테크노파크를 경유하지 않았다.[41] 23-1번에서 갈라져 나온 노선으로 뿌리는 23번대에 두고 있다. 다만, 이전에는 송내역 인근까지 운행했으나 공공관리제 전환과 함께 심곡동으로 단축되었다.[42] 70번이 고강동으로 단축되기 이전에는 70번, 70-2번, 70-3번, 700번 모두 당산역을 경유했다.[43] 현직 소신여객 기사가 알려준 것이다.[44] 다른 곳으로는 경원여객, 김포운수, 대명운수, 선진버스, 성남시내버스, 시흥교통, 양주교통, 화영운수가 있다.[45] 인근의 화영운수를 포함한 경기도 버스 다수의 업체들이 해당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46] 내리는데도 레버를 올려버려 사람들이 내리는 동안 계속해서 부저가 울리는 경우도 있다.[47] 주로 75번이나 700번 등 장거리 노선이나 배차가 짧은 노선 위주로 이런 현상이 많이 보인다.[48] 92, 93, 95년식 코스모스가 있었으며 2-2번, 6번, 7번 등지에 투입을 했었으나 1999년부터 92년식 코스모스를 폐차하기 시작했고, 2001년 BM090을 출고한 시점 전후부터 연식이 되고 상태 좋은 코스모스는 타 회사에 매각, 이외에는 폐차시켰다.[49] 주로 인천에서 방화동을 운행하는 노선에 투입되었다.[50] 좌석형버스는 2012년에 추가로 구매하였고, 2010년에 넘어온 차량은 2007년에 출고했던 저상버스. 그러나 차를 끝까지 굴리던 소신여객답지 않게 좌석형 차량들은 2013년 12월에 조기 말소 및 수출, 저상은 2015년에 수명 연장 없이 말소되었다.[51] 이후 해당 차량들은 모두 시흥교통으로 이관되어 운행중이다.[52] 70-2번은 사각 로얄시티 06년식 가스차, 07년식 디젤 대차분으로, 700번은 로얄 이코노미2 대차분으로 출고했다.[53] 용남고속 계열과 달리 전면 개폐창이 아닌 최후방 개폐창이 적용되었다. 또한, 베이지색 계열의 시트 커버를 적용하는 등 독자적인 인테리어를 적용하였다.[54] 2020년식 차량으로, 수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용남고속은 고상차량에 자동변속기를 적용하지 않았기 때문.[55] 경향여객 출신 차량은 상태가 그다지 좋지 않았는데, 도입 당시 무냉방 버스들이 즐비했던 시점임을 감안하면 오히려 훨씬 나았다.[56] 수원과 화성, 용인, 오산 등 경기 남부권에서는 힙레스트를 적용하지 않는 옵션을 더 많이 사용한다.[57] 현재도 75번에서만 BYD eBus-12가 운행중이며, 이외의 노선에서는 5번과 70-2번에 극소수 운행중이다. 75번이 사내에서 가장 장거리 시내버스인지라, 배터리 용량이 큰 BYD 차량을 75번에 집중적으로 투입하였다.[58] 700번에 들어가는 차량은 경기도 최초이기도 하지만, 수도권 최초의 일반좌석버스 오토 차량이다. 그러나, G8808번 노선의 정규 차량 고장 및 사고를 대비하기 위해 G8808번 전용 예비차량으로 격하되었다.[59] 같은 K1의 용남고속 계열사와 수원여객 계열사 모두 앨리슨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2017년 이후로 ZF로 바꾸어 출고중이다.[60] 18대 중 16대가 폐차되었다.[61] 이로써 BS110CN F/L은 김해 동부교통에만 남게 되었으나 현재는 대차되었다.[62] 이로써 현재 소신여객의 BS106은 모두 좌석형이며 전량 700번에서 운행한다.[63] 700번 소속 차량 중 CNG 버스는 단 3대이며, 현재는 1대를 제외하고 모두 전기버스로 운행중이다. (2대 휴차)[64] 부천시의 전기버스 도입 방침으로 인해 대차 시기를 당긴 듯하다.[65] 비슷한 사례로는 경남여객이 있다. 경남여객 역시 차령을 길게 잡는 편이지만, 해당 시기에 도입한 고상버스를 대거 조기 대차하였다.[66] 경기교통, 영풍운수 출신. 97년식 하이파워 외에도 영풍운수에게서 1998년식 로얄시티도 사들였다.[67] 그래서 유독 소신여객에 2005~2006년식 BS106이 굉장히 많았던 것이다. 비슷하게 수가 많았던 BS106 F/L 차량은 증차분이 대다수였다. 영풍운수 출신 초기형 로얄시티는 2008년에 칼대차시켰다.[68] 2010년에 조기 폐차된 2002년식, 2003년식 BS106 CNG와 2010년과 2013년, 2015년에 걸쳐 폐차된 부천버스 출신 차량들은 예외.[69] 수원여객과 비슷한 양식이다. 다만 녹색 계열을 주로 사용하는 수원여객과 달리, 소신여객은 적색 계열을 주로 사용한다.[70] 노선번호에 센츄리고딕, 행선판 글자폰트에 윤고딕은 GBUS 1기도색 기본 가이드라인이다.[71] 기존 손잡이가 유실된 자리에 해당 손잡이가 2개 장착되어 있는 차량이 23-2번에 딱 1대 존재하여 2019년 이후에도 볼 수 있었으나 2021년에 대차되었다.[H] 하이거 하이퍼스 투입. (10.5m 초기 모델)[H] [H] [H] [76] 61번 일부 차량이 주박한다.[CNG] 신길교통의 상동차고지에서 가스충전을 한다. 다만, 대부분의 차량이 전기차량으로 교체되어 소수만 이용한다.[GAR] 주차장으로 오해하나, 컨테이너 박스에 중형 차량 네대 가량만 주차가 가능한 소규모 형태의 영업소이다. 요금 정산이나 이런 것들은 여기서 이루어 지는 편.[79] 대부분 80년대에 도시개발로 사라지거나, 90년대 이후에 남아있던 차고지는 인근의 공영차고지로 기능이 이전된 경우가 많다. 그래서 오래 전에 사라진 차고지는 위치와 관련된 기록이 남아있지 않은 경우가 매우 많다.[80] 12번, 23-2번 등이 사용했던 곳으로, 12번의 이관과 23-2번의 노선 변경 이후 소신여객은 신천리에서 철수하였다. 그나마 23-2번이 은행동과 계수동에서 잠시 모습을 보이고 G8808번이 시흥요금소에 정차할 뿐이다.[81] 신작동사거리 인근에 위치한 곳으로 23-3번, 70-1번, 75번 등의 기점이었고, 현재는 해당 차고 폐쇄 후 전 노선이 고강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다. 017번이 경유하는 작동로터리 인근에 ‘종점어린이공원’이 그 흔적을 가지고 있다.[82] 5-4번, 8번이 주박하던 곳으로 삼정고가 아래에 위치하며 BMW 전시장 건물 옆 도로변을 차고로 썼다. 현재는 대장공영차고지가 그 역할을 이어 받았다.[83] 23-1번, 96번이 주박하던 곳이다.[84] 포도마을이 종점이었던 구 3-1번, 구 23-1번과 23-2번, 71번, 72번, 73번 등이 사용하던 차고.[85] 1번, 2번, 5번, 11번, 70번, 70-3번, 70-4번, 770-1번이 사용했다. 삼정동이나 약대동 방향으로 나가는 노선은 약대주공아파트 바로 앞쪽에 세웠고, 시청이나 송내역 쪽으로 내려가는 노선은 체육관 앞쪽에 세웠다. 삼정고가 종점과 마찬가지로 차고지의 형태라기보단 길가에 주차해놓은 것에 가까운 형태였다. 차고지 규모에 비해 사용하던 차량이 상당히 많았다. 2010~2013년 경 상동차고지 포화 당시 길 바깥까지 줄줄이 차량을 빼놓은 것과 유사하다.[86] 1번, 2번, 5번 등이 사용했으며 영안아파트 인근에 있었으나 현재는 신도시 개발로 인해 흔적이라곤 하나도 남지 않은 차고가 된지 상당히 오래다. 넘말차고가 폐쇄되면서 해당 종점 노선들은 약대주공으로 연장되었고, 이후 약대주공차고지도 사라지면서 대장공영차고지로 이주했다.[87] 80년대 5번의 회차지 및 종점으로 쓰였다. 현재의 역곡고 인근에 있었으며 당시에는 역곡로의 종점이 이곳이었다.[88] 51번, 52번, 53번, 550번, 550-1번이 사용하던 곳으로, 현재는 동화운수의 월미도 노선이 사용하는 곳이다.[89] 개화산역 인근에 위치했으며 주로 1번, 월미도까지 운행하던 5x번대 노선들이 이용했으나 이후에 월미도영업소로 이전했다.[90] 동성교통 구미동차고지 및 동해운수 본사차고지와 비슷한 경우다. 가스 장사를 해먹으려고 충전소를 세운 것이다.[91] 6번 등 그린시티로 운행하는 일부 노선은 공차회송으로 상동까지 와서 충전하기도 한다. 이외에도 경원여객이나 성일운수 노선 등 다른 회사도 이 충전소를 이용한다.[92] 주로 소사동의 3번, 71번이 사용하였으나, 전기버스로 교체 후 사용하지 않는다.[93] 12번이 소신여객 소속이던 시절. 시흥교통 이관 직후 사용하지 않는다.[94] 2013년 5월 96번을 송내역을 기준으로 노선을 양분하여 신설되었다.[95] 구 22번. 2013년 3월 3일 김포공항으로 연장되었으나, 김포시 소속으로 김포공항에 들어오는 22번과 노선번호가 중복되어 2013년 3월 22일 220번으로 변경된 후 이관되었다가 2018년 폐선되었다.[96] 이 중 2000호대는 좌석버스 면허이다.[97] 1174호는 부일교통으로 매각되었다.[98] 70##호는 좌석버스 면허였다.[99] 현재에도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에는 해당 기사에서 지적한 사항인 첫차 중간출발이나 막차 중간종료가 있지만 엄연히 정식으로 인가를 받았다는 점이 다르다.[100] 기사에 나온 업체는 과천시 G여객, 양주시 Y교통·J여객, 안성시 B운수, 양평군 K고속, 수원시 N여객, 안양시 S운수·B운수, 평택시 H여객·S고속·P여객, 부천시 S 여객이 있다.[101] 한국노총 주도에 민주노총이 참여하는 형태로 보인다. 소신여객은 여타 다른 버스업체와 다르게 한국노총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가 공존하는 복수노조이다.[102] 민주노총 소신여객지회가 최근 사무실을 개소하자 기존 제1노조인 한국노총에서 위기감을 느껴 파업을 결의했다는 이야기가 있다.[103] 일반버스는 10m급의 장축 차량들이 투입[104] 저상버스는 11m급의 장축 차량들이 투입[105] 좌석버스 노선들은 정상운행[106] 좌석형 차량은 선진여객 취소분[A] 부천버스 출신[108] BF101Q는 수도권 지역으로서는 아주 드물게 전중문 폴딩형으로 운행했다.[109] 안양 삼영운수 취소분.[110] 시흥교통으로 넘어갔다.[A] [A] [113] 사진에 보이는 저 노란색의 천연가스버스 차량은 2002년에 도입한 초기 도입분으로 동일 패턴의 흰색 도색과 같이 도입했으나(주로 노란 도색은 11번, 흰색 도색은 8번에 투입되었다.) 2003년 10대를 추가 도입한 이후로 한참 동안 천연가스버스 출고가 없었다가 2005년에야 다시 소신여객에 천연가스버스가 들어오는데 이 때부터는 다시 기존의 소신여객 고유 도색으로 출고하여 저 도색의 차량은 20대밖에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