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28 22:14:28

부천 버스 23-5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부천23-5.jpg 파일:부천23-5고강.jpg
송내역이 종점이던 시절의 모습. 고강동으로 종점이 변경된 후의 모습.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5. 연계 철도역6. 관련 문서

1. 노선 정보

파일:부천시 CI_White.svg 부천시 일반형버스 23-5번
기점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소사본동(소사공영차고지) 종점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고강동(민속가든)
종점행 첫차 05:00 기점행 첫차 05:40
막차 22:50 막차 23:40
평일배차 15~20분 주말배차 20~25분
운수사명 소신여객 인가대수 5대
노선 소사공영차고지 - 범박힐스테이트입구 - 역곡남부역 - 역곡북부역 - 까치울역 - 성곡중 - 고강동국민은행 - 수주초교 → 서울농원 → 고강동철탑 → 민속가든 → 수주초교 → 이후 역순

2. 개요

소신여객에서 운행했던 시내버스 노선.

3. 역사

  • 2005년 3월 20일에 신설되었다. 당시 노선은 '다정한마을 - 라일락마을 - 부천시청 - 원미경찰서 - 원미구청 - 원미동 풍림아파트 - 소명여고 - 소사역 - 역곡역'이었다. 길주로 직통 노선이다보니, 나름 괜찮은 노선이었다. 당시에는 배차간격도 20분 정도였고, 차량도 BM090으로 운행했다.
  • 2007년 말 여월지구 입주가 시작되면서 여월지구를 경유하게 되었고, 역곡으로 가는 수요와 중동, 상동으로 가는 수요가 추가되었다.
  • 2012년 10월에 7호선이 부평구청까지 연장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까치울역에서 상동역까지 버스로는 20분 이상 걸리지만, 지하철로는 10분도 안 걸리게 된 것. 비록 지하철은 12분 간격으로 뜸하게 왔지만, 이 정도 간격은 시간만 잘 맞추면 상관없었기에 길주로를 오가는 수요 대부분을 빼앗기게 된다. 게다가 부천시청부터 부천종합운동장까지 완벽히 겹치는 23번이 30여 대로 빗자루질을 하면서 고전을 면치 못했다. 여월지구와 역곡역을 오가는 수요도 013-3번을 위시한 마을버스들에게 밀리면서 지속적으로 배차가 벌어졌고[1], 이는 수요를 더욱 줄여버렸다. 여기에 77번까지 겹쳐 여월지구-중동 구간 수요 분산은 덤. 2017년을 기준으로 하루에 25만원씩 적자를 보고 다녔다고.
  • 2015년부터 NEW BS090 10대로 운행 중이다.
  • 2015년 8월 이후에 '까치울역 - 송내역' 구간을 자르고 대신 고강동으로 변경할 예정이었으나 없던 일이 되었다(소신여객 공지사항)...가, 적자 심화 및 '고강동 - 까치울역 - 역곡역' 구간의 수요 분담을 이유로 2년 반만인 2018년 1월 20일에 '여월휴먼시아 - 부천종합운동장 - 춘의역 - 부천시청역 - 상동역 - 부천정보산업고 - 송내북부역' 구간이 '까치울역 - 성곡중 - 고강동국민은행 - 수주초교 → 서울농원 → 고강동철탑 → 민속가든 → 수주초교'로 변경되었다. 소신여객 공지사항 관련 게시물
  • 적자 및 운수종사자 충원의 어려움을 이유로, 2018년 5월 11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게시물

4. 특징

  • 과거엔 대형 차량도 있었으나 이후엔 중형 차량으로만 운행했다. 그나마 배차가 나름 개선되었는데, 3대만 운행하던 적도 있었으니... 2018년 1월 고강동 변경 전까지는 낮에도 7~8대 정도로 운행했다.
  • 여월지구 기준에서는 역곡역은 물론 중상동, 소풍터미널, 부천시청을 모두 연계하는 유일한 노선으로 과거 화곡, 당산역 가는 70-1번과 쌍두마차를 이뤘었다. 그러나 상기에 언급되었듯이 013번 마을버스 시리즈의 강세와 수도권 전철 7호선 개통, 77번의 등장으로 매리트를 잃어버렸으며 결국 폐선의 길을 걷게 되었다. 사실 77번만 없었어도 살아남아볼만 했다. 2008년 여월지구 경유 시작 이래로 여월지구 - 중상동 구간 수요가 이 노선의 주수요라고 해도 무방했는데 33번 폐선 후 77번이 등장하고 청우운수가 15~20분 간격으로 공세를 펼쳐 밀린 케이스. 배차간격도 7호선 개통 직후엔 전구간 3대만 운행하였으나, 이후 점점 간격이 개선되어 고강동 변경 전까지 평일 10대, 15~20분 간격으로 굴려줬으며, 출퇴근 시간에는 만차를 찍는 경우도 많았다. 송내역 - 반달마을 수요 주워먹기도 쏠쏠했던 편. 고강동으로 변경한 것은 무리수가 아니었나 싶다.
  • 송내역으로 가던 시절에는 주 수요처가 '송내역 ↔ 상동역'과 '여월지구 ↔ 중상동, 역곡역 ↔ 소사동', 그리고 부천정보산업고, 소사고, 심원고, 시온고 통학 수요였다. 다만, 모든 수요처에 경쟁 노선들이 많다보니, 승객들에겐 오면 타는 버스로 인식되었다.
  • 측면 행선판의 경유지가 '소사동 ↔ 역곡역 ↔ 까치울역 ↔ 성공중학교(성곡중학교인데 오타가 난 것이다.) ↔ 밤골 ↔ 역곡시장 ↔ 동남사거리 ↔ 고강동'으로 표기되어 있었는데, 이 경유지를 행정 구역으로 바꿔서 보면 소사동, 역곡동, 작동, 작동, 작동, 역곡동, 소사동, 고강동 순으로 뒤죽박죽으로 나열되어 있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전면 부행선판도 마찬가지. '소사체육센터 - 수주초교'까지는 정상적이지만, 마지막 부분에 소사중학 이 들어갔다.

5. 연계 철도역

6. 관련 문서


[1] 2014년 당시 출퇴근 시간에 3~4대가 운행하는 패기를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