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8 18:43:32

뉴부일교통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의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시내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경기고속2 경기버스 경기상운
경기여객2 경기운수 대원고속1
대원버스 대원운수 명진여객
이천시내버스 진명여객2 평안운수
평택버스 화성여객2 가평교통
김포운수 선진버스 선진상운
선진시내버스 연천교통 파주여객
포천교통 포천상운 경진여객
남양여객 소신여객 수원여객
용남고속 제부여객 화성운수
경원여객 써클라인 시흥교통2
태화상운 경남여객2 고양교통
과천여객 군포여객 금강고속
기흥여객2 뉴부일교통 뉴신일관광
대덕운수 대명운수 대양운수
더버스 도원교통 동부고속1
명성 백마운수 백성운수
보영운수 부일교통 부천버스
산본여객 삼경운수 삼영운수
서울여객 성광운수 성일운수
성남시내버스 성우운수 신성교통
신성여객 신일여객 양주교통2
여산교통2 오산교통2 와부버스2
용남고속버스라인 의왕교통2 청우운수
태산운수2 파주교통2 평택운수
평택여객 학의운수 협진여객
화영운수2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시외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경기고속 대원고속1 선진고속
경기공항리무진 경남여객 경일여객
금강고속 대화관광 동부고속1
동양고속1 삼화고속1 용남고속버스라인
중앙고속1 한일고속1
}}}}}}}}} ||
범례
1: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회원사
2: 마을버스 겸업 업체
<rowcolor=#fff> KD 운송그룹 계열사 선진그룹 계열사 K1 모빌리티 그룹 계열사 KST그룹 계열사

파일:부천시 CI.svg 경기도 부천시 시내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부천시 도원교통 부일교통 부천버스 성광운수 성일운수
소신여객 청우운수 뉴부일교통
안산시 경원여객
성남시 경기고속
서울특별시 신길교통
부천시 마을버스 회사 목록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이름 뉴부일교통(주)
주소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소사로102번길 55, 지층101호 (소사본동, 소사청구아파트상가)
설립일 2024년 5월 16일
대표이사 민맹호
업종 시내버스
인가대수 37대

1. 개요2. 역사3. 여담
3.1. 노선 관련3.2. 차량 관련
4. 차고지5. 운행 노선6. 면허 체계7. 현재 보유 차량

1. 개요

경기도 부천시에 연고를 둔 버스 회사. 본사는 대장공영차고지에 있으며, 총 2개의 노선을 운행중이다.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일교통(부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일교통(부천)#s-3|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일교통(부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2005년 9월 2일, 시민버스(주)가 부일교통으로 합병되었다. 동시에 019번이 53번, 019-2번이 56번으로 전환되었다.
  • 2008년 말, 53번에서 53-1번이 분리되었다.[1]
  • 2009년 말, 53-1번이 소신여객으로 이관되었다. 이후 33번으로 전환되었고, 지금의 23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8년 7월 28일, 56번에서 67번이 분리되었다.[2]
  • 2024년 7월 1일, 부일교통 작동지점이 뉴부일교통으로 독립하였다. 동시에 53번, 56번이 뉴부일교통으로 이관되었다.

3. 여담

3.1. 노선 관련

  • 부일교통 작동지점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실제로는 지점명과 달리 상동소사동 위주로 운행하고 있다. 여담으로 작동지점 노선들은 모두 대장공영차고지에서 관리하며, 정작 작동을 지나가는 56-1번은 소사지점 노선이다.
  • 전신은 019번을 운행하는 시민버스(주)이다. 이후 2005년에 삼신마을버스와 합병을 하여 부일교통으로 승격되었고, 시민버스의 주체는 작동지점으로 전환되어 53번, 56번, 57번(2대 지분)을 보유하게 된다.[3] 이후 계속 부일교통 명의로 운영을 하다가, 2024년에 작동지점의 두 노선이 뉴부일교통으로 독립을 하면서 현재에 이르게 된다.[4]
  • 전 노선 기본요금제 노선이다.[5]
  • 작동지점의 민맹호 대표는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시 부천시 마 선거구(상2동, 상3동)에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소속으로 부천시의원에 출마해 당선되어 부천시의회 제7대 후반기 부의장직을 맡았으며 가톨릭대학교 회계학과 현장교수에 임용되었다. 또한, 부천굴포항뉴스라는 지역 언론사도 운영하고 있는데, 그래서인지 부일교통 일부 차량에는 차내 창문에 부천굴포항뉴스 홍보물이 붙어있다. 그 외에도 부천 옥길동에 태현전기차충전소라는 전기차 충전소를 개업하여 운영 중이다.[6]
  • 작동지점 시절부터 고양교통, 김포 선진 못지않게 근무환경이 열악하고 평판도 좋지 않고 배차간격 미준수시 불이익이 있었다.[7] 단,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모든 영업소가 타사와 달리 소규모 회사임에도 감차 비율이 적었다.
  • 청우운수, 도원교통과 같이 무전기를 수시로 사용하는 업체이다.[8]

3.2. 차량 관련

  • 소사지점과 같이 자일대우버스를 주력으로 운용한다. 2005년 경 53번에 글로벌900 CNG를 운용한 적이 있었으나, 이때를 끝으로 계속 BS090만 출고중이다. 하지만 2020년 자일대우버스의 베트남 이전으로 인한 노사분규로 인해 대우버스 출고를 중단하였다. 참고로 BS090은 1-1-2-5 좌석 배열만 도입하였으며, 보유 차량이 모두 중형버스이다.[9]
  • 전국에서 마지막으로 페이스리프트 이전 BS090을 운행하던 회사였다. 특이하게도 2009년식이었는데, 사고가 아닌 출고 결함으로 이렇게 된 것.[10] 그러다 2020년 7월에 대차되면서 현대, 대우 막론하고 F/L 이전 영업용 차량은 모두 사라졌다.
  • 2019년 6월에 출고한 BS090부터 ‘NEW’ 네이밍이 삭제되고, 측면 센서와 앞 범퍼에 고무패킹 충격완화장치 옵션을 적용하여 출고한다. BS090은 2020년 조업중단 직전까지 출고하였다.[11]
  • 2022년 12월에 작동지점에서 처음으로 전기버스를 출고했는데 전국 최초로 일렉시티 타운을 출고했으며 해당 차량은 53번에 투입됐다. 2005년 출고한 글로벌900 이후로 최초의 현대버스가 되었다. 2023년과 2024년에도 구형 BS090을 대차하기 위해 출고하였다.
  • 차량 상태가 좋지 않은 편이다. 워낙 운행 시간이 타이트한 편인지라 대부분의 차량이 고알피엠 변속과 과속이 잦은 편이며, 과거 BS090 F/L이 운행하던 시절에는 한 차량에 5~6종의 시트가 달려있을 정도로 천 갈이가 매우 잦았다.
  • 행선지 표기도 매우 요란하게 하는 편이다. 차량 측면의 창문에 경유지를 붙여두며, 행선지 표기도 최대한 많은 곳을 욱여넣다보니 가독성이 그리 좋은 편은 아니다. 차량 전면에 붙이는 경유지 행선판도 과거 소신여객이 사용하던 양식과 비슷하지만, 두 줄로 여러 곳을 넣었다보니 가독성이 매우 떨어지는 편이다. 표기 방식도 특이한데, 삼산체육관역은 ‘삼산체육관’이라 표기하며, 대장공영차고지도 다른 업체와 달리 ‘대장동차고’로 표기하는 등 독창적인 표기 방식이 많은 편이다.

4. 차고지

5. 운행 노선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53 대장공영차고지 롯데마트계양점 - 작전동풍림아이원 - 삼산주공1단지 - 삼산체육관역 - 상동역.홈플러스상동점 - 복사골문화센터 - 송내역 - 중동역 - 부천역남부 - 소사역 - 소사구청 - 소새울역 청구아파트 7~15
56 부천터미널소풍 부천시청역 - 신중동역 - 원미구청 - 원미1동행정복지센터 - 소사역 - 소사구청 - 소새울역 청구아파트 8~9

6. 면허 체계

  • 경기 71 아 1174
    • 소신여객 면허. 구. 96번을 양도받으면서 넘어왔다.
  • 경기 71 아 35##호, 3636
    • 부천버스 면허. 구. 90-1번(현. 33번), 구. 95-1번을 양도받으면서 넘어왔다.
  • 경기 71 아 6206호 ~ 6213호, 6601호 ~ 6609호, 80## ~ 82##
    • 부일교통 면허. 53번, 56번이 이관되면서 넘어왔다.

7. 현재 보유 차량

7.1. 자일대우버스

7.2. 현대자동차


[1] 송내역을 기준으로 소사동행 53번과 부천시청행 53-1번으로 운행했다.[2] 형식상 분리지만, 실제 67번 운행은 성일운수(당시 상동지점)에서 담당했고 66번으로 흡수되었다.[3] 정평운수, 삼환운수, 성원운수 등과 같이 한 회사 내에 여러 주체가 존재하는 컨소시엄 개념으로 합병한 셈.[4] 참고로 소사지점과 작동지점은 경원여객처럼 부부 경영이다.[5] 소신여객, 부천버스, 도원교통 정도를 제외하면 부천시 시내버스 대부분이 마을버스 출신이며, 거리비례제 노선도 소신여객과 부천버스에만 존재한다.[6] 정작 작동지점 노선은 이용하지 않으며, 소사지점의 56-1번, 56-2번, 57-1번이 사용하는 곳이다.[7] 이 때문에 과속 및 신호 위반 등 난폭 운전이 심심찮게 보이며, 부천시민들은 물론 여러 회사들이 경유 중인 항동지구에서도 말이 많이 나왔다.[8] 소사동의 좁은 골목을 포함한 도로 상황 공유와 배차 조율에 목적을 두고 있다.[9] 소사동 구간의 도로폭이 너무 좁아 대형버스 투입이 제한되기 때문. 그래서 저상버스도 중형버스로 도입하였다.[10] 비슷한 사례로 대원버스에도 페이스리프트 이전의 BH116이 2009년식이었다.[11] 이전에 출고한 차량은 검은 손잡이가 적용되었으나, 19년식 이후로는 무지개 손잡이로 옵션이 바뀌었다.[12] 56번의 경우, 주간 대기에 한하여 부천터미널소풍에서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