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5 11:42:17

용남고속버스라인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bordercolor=#ffffff,#191919><tablealign=center>
파일:용남로고.png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000> 시외버스
수원시, 오산시
전세버스
}}}}}}}}} ||
<colcolor=#fff> 주식회사 용남고속버스라인
Yongnam Express Bus Lines Co., Ltd.
파일:용남로고.png
설립일 2006년 9월 27일
업종명 시내버스 운송업
시외버스 운송업
대표자 조인행
주요 주주 조인행 및 특수관계인 100.00%
기업 분류 중소기업
상장 여부 비상장기업
소재지 본사: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매송고색로506번길 18 (오목천동)
서부영업소: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온정로 107 (호매실동 1407)
수원영업소: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경수대로 270 (권선동 1189)
동서울영업소: 서울특별시 광진구 강변역로 50 (구의동 546-1)
오산영업소: 경기도 오산시 동부대로 349 (갈곶동 330)
천안영업소: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만남로 43 (신부동 354-1)
아산영업소: 충청남도 아산시 번영로 225 (모종동 555-5)
슬로건 고객과 함께 발전하는 기업!
Yongnam Express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여담4. 차고지5. 보유 노선
5.1. 직행좌석버스5.2. 광역급행버스5.3. 시외·공항버스
6. 면허 체계7. 보유 차량
7.1. 현재 보유 차량
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용남3003_UNVLX.png 파일:용남5300_ELDD.png
직행좌석버스
3003번
직행좌석버스
5300번
파일:8837 6616.png 파일:용남1309_UNVNB.png
공항버스
8837번
시외버스
1309번

경기도 수원시를 연고로 하는 버스 회사.

2. 역사

1948년부터 용남여객자동차부라는 기업에 대한 기록이 존재하는 오래된 업체이다. 용인시에 사는 남씨 집안의 회사였다. 그래서 '용남'이라는 이름이 붙었고, 최초에는 '용남교통'이라는 이름으로 시작해 이후 '용남여객'으로 변경됐다가 '용남고속'으로 변경돼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남씨 집안은 그 유명한 남경필 전 경기도지사로 대표되는 집안이며 경기도에서 첫번째로 버스회사를 세운 것이 용남이다. 이후 90년대 초반에 그 남씨 집안은 용남고속에서 철수했고, 현재는 경남여객의 경영에 집중하고 있다.

용남여객은 원래 시외버스만 굴리던 회사로 서울~천안 직행, 서울~안양~수원~평택~천안 완행 등의 노선을 운행하며 RB585, RB600 등의 현대버스를 운용하던 업체였다. 그러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3000번, 동서울~수원, 동서울~천안, 수원 - 의정부, 수원 - 고양 등의 노선을 개통했고 경진여객으로부터 777번을 넘겨받는다.

이후 1997년에 부도난 삼성여객으로부터 1007번을 인수한 것을 시작으로3007번 등의 노선을 개통시키며 직행좌석버스를 본격적으로 운행하고, 2004년에 신원여객이 부도로 인해 폐업하자 신원여객에서 운행하던 시내버스 노선 대다수를 인수하면서 일반시내버스도 운행하기 시작했다. 다만 777번은 경진여객에[1], 2000년에 2007번삼경운수에 양도했고, 2002년에는 1007번, 1007-1번, 1009번KD 운송그룹에 양도하고(1309번, 1312번 경기/대원고속 운행분과 맞교환) 2005년엔 신원여객 출신 110번을 경원여객에 넘기며 90년대에 인수했던 노선들 상당수는 현재 용남이 운행하지 않고 있다.

이후 2006년 9월에 용남고속에서 시외부를 '용남시외버스'로 분리한 뒤 2009년 6월에 '용남고속버스'로 사명을 변경하고 나중에 다시 '용남고속버스라인'으로 사명을 바꾸었다. 이런 이유에서, 시외버스 전체와 일부 직행좌석버스와 광역급행버스는 시외부 용남고속버스라인 관할이고 나머지 직행좌석버스와 일반형버스는 시내부 용남고속 관할이다.[2] 2007년부터 뉴삼성자동차운전학원을 인수했으며[3][4], 2008년 12월에는 용남고속제부여객의 지분 100%를 인수하여 자회사로 만들었다.

2009년부터 전세버스를 운행하기 시작했다. 자일대우버스현대자동차를 적절히 섞어 운행하던 시내부, 시외부와는 달리,[5] 전세부는 모든 차량이 그랜버드인 것이 특징이었는데, 기아 통근버스를 운행했기 때문. 하지만 재계약이 불발되자 2010년에 전세버스 사업부를 폐지하고 그랜버드는 전부 팔았다.[6] 대신 전세버스 업체인 여산관광의 지분 50%를 인수하면서 상법상 자회사로 만들었다가 지분을 정리했다.[7] 이 외에도 CNG 충전소인 수원서부CNG와 송탄터미널 지분 50%를 보유하고 있으며, 한강 이남과 충남 지역에서는 나름 영향력이 있는 회사다.

2016년에는 경영 위기에 빠진 경진여객을 인수했고[8], 아산여객도 용남고속버스라인에서 인수하여 자회사로 만들었다. 2018년에는 용남공항리무진을 설립하여 경기공항리무진이 운영하던 노선들을 전부 인수했으나, 대법원 판결 이후 다시 뱉어내야 했다.[9]

코로나 사태 이후로 계속된 시내버스의 적자와 용남공항리무진 청산 등의 악재가 겹치면서 2020년에 한양고속에 아산여객을 매각했으며, 2021년에 용남고속제부여객, 경진여객소신여객을 운영하는 자비스인베스트먼트의 대표인 권성욱에게 넘기고 만다. 용남고속버스라인은 기존 오너인 조인행이 그대로 소유한다. 다만, 시내부 3사와 여전히 남남은 아닌 것이 자비스인베스트먼트 대표인 권성욱이 대표이사라고는 해도 자비스와 용남고속버스라인이 운영하는 합작 회사인 에코모빌리티의 지분이 5대 5이며, 이 회사가 용남고속, 경진여객, 제부여객 등 용남고속버스라인에서 소유하던 시내부의 지분 100%를 가지고 있다. [10] 또한 승무사원들도 이전부터 용남고속이라는 공동체 안에 있었기 때문에, 용남고속버스라인이나 용남고속 소속끼리 인사하는 경우가 아직까지도 잦다.[11]

정황상 용남공항리무진 청산과 무리한 확장으로 인해 경영이 어렵던 용남고속버스라인(조인행 회장)이 코로나 19까지 덮치자 자본 유치를 위해 자비스 인베스트먼트를 끌어들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온라인에 공개된 기업정보상으로는 K1 계열과 연관이 있다고 나와 있으며 완전한 남남은 아닌 것으로 보여진다.[12]

용남고속 오너 입장에서는 수원여객 등과 경쟁 관계인 시내부 지분을 사모펀드에게 절반을 넘겨 시외부 적자와 용남공항리무진으로 생긴 큰 손실을 만회할 자본을 수혈 받을 수 있었고, 때 마침 사모펀드에서 경영 갈등을 겪다가 아예 다른 사모펀드 손아귀에 들어갔었던 수원여객까지 인수해 준 덕분에 용남고속 - 제부여객 - 경진여객 - 화성운수와 수원여객 - 남양여객이 법인만 다를 뿐 사실상 한 회사가 되어버리자, 각 회사들이 중복으로 운행하던 노선의 구조조정을 이루며 경영 효율화를 이룰 수 있었던 셈이다.[13]

그렇게 에코모빌리티의 지분 50%, 뉴삼성자동차운전학원 지분 50% 가량만 들고 있다가 2023년 3월 1일에 군포시 시내버스 업체인 산본여객의 지분 일부를 인수했다.

3. 여담

파일:attachment/충남고속/yongnam.jpg
1999년식 에어로 스페이스 LS와 2005년식 BH120F. 현재는 두 차량 모두 대차됐다.

2000년대 중반 충남고속으로부터 안양-서산, 천안-보령(-군산), 서산-송탄[14] 등의 노선을 인수했는데, 페이크 인수였다. 차량은 경기도 면허로 바꾼 후 충남고속 글씨에서 자만 자로 바꿔 용남고속으로 둔갑시키고[15], 기사는 서류상으로는 충남고속을 퇴사하고 용남고속에 이직한 기사들. 나중에는 차량이 모자랐는지 진짜 남고속 차량을 몇 대 끌어와서 쓰기도 했다. 물론 이때도 기사는 남고속 출신. 표면적으로는 용남고속 소속 차량, 기사였지만 실제 소속은 충남고속이었기 때문에 관리는 물론 충남고속에서 했다.[16]

충남고속과 함께 몇몇 노선 개통을 위해서 이런 방식을 취했다고 하며, 몇년 후 모두 원상복귀했다. 이때 개통한 노선 중 대표가 성남-평택-군산.[17] 일설에는 두 회사가 장거리 노선 개통을 염두에 두고 이 일을 벌였지만 뭔가 맘대로 되지 않았다는 말이 있다. 이런 거래에서 서로 얻은 거라곤 성남~군산 노선, 충남고속은 안산~서산 노선의 공동 배차 참여, 용남고속은 안산~서산, 안양~서산 노선의 태안 연장 정도. 이거 하자고 저런 식의 편법을 저질러야 하는지는 의문. 어떻든 결과적으로 보면 서로에게 윈윈하는 형태가 되었다.[18]

아무래도 시외버스 노선을 운용하는 회사다 보니 배차 간격과 차량 관리, 친절도 등에서 호평을 받는데, 그래서 같은 시외버스 출신 회사인 태화상운이 까이는데 일조했다.[19] 같은 수원시 업체인 수원여객도 용남고속으로 인해 좀 까이지만 현재는 용남고속이나 수원여객이나 비슷하다. 요즘은 수원여객도 나름 차량 관리는 잘 하는 편에 속한다.

시외버스는 주로 수원이나 천안 발착인 노선이 많고 거의 중단거리 노선이며, 경기도 남부와 충남 서북부에 위치한 천안시, 아산시 이외에는 운행하지 않는다. 과거에는 강화~청주, 평택~군산같은 중장거리 노선도 운행하였으나 현재는 충북리무진, KD 운송그룹 등 타사에 모두 넘기고 철수했다.

4. 차고지

<rowcolor=#fff> 영업소 소재지 노선 비고
본사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세화로 220 (서둔동 9-13) - 경진여객과 공유
서부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온정로 107 (호매실동 1407) 3003 경진여객, 용남고속, 제부여객과 공유
남부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덕영대로1368번길 2 (곡반정동 88-12) 7002
오산 경기도 오산시 동부대로 349 (갈곶동 330) 5200, 5300, M5532,
R8327, A8837
동서울 서울특별시 광진구 강변역로 50 (구의동 546-1) R1309, R1312
천안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만남로 43 (신부동 354-1) R1309, R1312, R8327
아산 충청남도 아산시 번영로 225 (모종동 555-5) R1312

5. 보유 노선

5.1. 직행좌석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3003
[공공]
서부공영차고지 권선구청 - 웃거리 - 율현중학교 - 정자3동행정복지센터 - 성균관대역 - (→ 경수대로 →) - 봉담과천로 - 의왕TG - 선바위역 - 서초힐스아파트 → 서초역교대역강남역양재역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서초힐스아파트 → 이후 역순 강남역 10~20
5200
[공공]
청호동 오산청호아파트 - 오산시티자이 - 은계주공아파트 - 세미초등학교 - 교육지원청사거리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신논현역강남역양재역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경부고속도로 → 이후 역순 강남역 40~60
5300
[공공]
갈곶동 원영화남아파트 - 오산역 - 오산시청 - 경부고속도로신논현역강남역양재역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경부고속도로 → 이후 역순 강남역 10~20
5300-1 갈곶동 원영화남아파트 - 오산역 - 오산시청 - 경부고속도로서울남부터미널교대역강남역양재역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경부고속도로 → 이후 역순 강남역 1일 4회
7002
[공공]
남부공영차고지 수원시청역 - 수원월드컵경기장 - 수원광교박물관.광교이마트 - 서수지IC입구 - 용인서울고속도로 - 새터마을 - 서울구치소 인덕원역 20~50
광역콜버스
[대광위]
당수지구상업부지 당수초등학교 사당역 30~60

5.2. 광역급행버스

<rowcolor=#00b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M5532
[대광위]
갈곶동 오산역 - 세교13단지 - 세마역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서울남부터미널 - 방배동래미안타워 사당역 25~30

5.3. 시외·공항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1309 동서울터미널 잠실역 - 가락시장 - 장지역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가천대 - 경부고속도로 천안터미널 15~20
1312 동서울터미널 잠실역 - 가락시장 - 장지역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가천대 - 경부고속도로 - 천안터미널 - 봉강교정류소 아산터미널 20~40
8327 수원터미널 아주대입구 - 청현마을 - 경부고속도로 천안터미널 1일 8회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8837
[공동배차]
호수부영3차.우미린2차 동탄역 - 라마다호텔 - 메타폴리스 - 능동주공단지 - 병점중심상가 - 봉영로 - 오산화성고속도로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봉담과천로 - 평택파주고속도로 - 제3경인고속화도로 - 송도해안도로 - 제2경인고속도로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인천공항1터미널[A] 인천공항2터미널[B] 15~40

6. 면허 체계

  • 경기 70바 68## ~ 70##호 전반부
  • 경기 70사 60##, 64## ~ 68##호 전반부[29]
  • 경기 74자 94##호 전반부

7. 보유 차량

7.1. 현재 보유 차량

7.1.1. 현대자동차

7.1.2. 기아

7.1.3. MAN

8. 둘러보기

파일:수원시 CI.svg 경기도 수원시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시내 삼경운수 성우운수 수원여객
용남고속공공 경진여객공공 대원고속공공
용남고속버스라인공공
마을 광교운수 남경운수 동방운수
서부여객 율전버스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파일:오산시 CI.svg 경기도 오산시 버스 회사
시내 오산교통 경기고속공공
대원고속공공 용남고속버스라인공공
마을 오산교통 우남여객
오산마을버스 한신운수
금암마을여객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의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시내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경기고속2 경기버스 경기상운
경기여객2 경기운수 대원고속1
대원버스 대원운수 명진여객
이천시내버스 진명여객2 평안운수
평택버스 화성여객 가평교통
김포운수 선진버스 선진상운
선진시내버스 연천교통 파주여객
포천교통 포천상운 경진여객
남양여객 소신여객 수원여객
용남고속 제부여객 화성운수
경원여객 써클라인 시흥교통2
태화상운 가온누리엠 경남여객2
고양교통 과천여객 군포여객
금강고속 대명운수 대양운수
도원교통 동부고속1 명성
백성운수 보영운수 부일교통
부천버스 비티에스 산본여객
삼경운수 삼영운수 평택운수
서울여객 성광운수 성일운수
성남시내버스 성우운수 신성교통
신성여객 신일여객 양주교통2
오산교통2 와부버스2 용남고속버스라인
의왕교통2 청우운수 태산운수2
평택여객 학의운수2 협진여객
화영운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시외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경기고속 대원고속1 선진고속
경기공항리무진 경남여객 경일여객
금강고속 대화관광 동부고속1
동양고속1 삼화고속1 용남고속버스라인
중앙고속1 한일고속1
}}}}}}}}} ||
범례
1: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회원사
2: 마을버스 겸업 업체
<rowcolor=#fff> KD 운송그룹 계열사 선진그룹 계열사 K1 모빌리티 그룹 계열사 경원여객 계열사


[1] 이후 2020년에 다시 용남고속이 3000번과 교환하면서 인수.[2] 두 회사는 2006년 9월부터 2011년까지 약 5년간 소유주만 조인행 회장으로 동일할 뿐 양 사간의 지분 연결고리는 존재하지 않았다. 이유는 용남고속버스라인이라는 회사가 물적분할이 아닌 인적분할을 통해서 생긴 회사이기 때문. 이후 2011년에 지분구조를 정리하여 용남고속버스라인이 용남고속의 지분 50%를 들고 지배하는 구조로 바뀌게 되었다.[3] 용남고속의 자회사이기 때문에 이 학원의 대형면허 시험 차량 중 3대는 계열사인 소신여객 출신 차량으로 추정. 최근에는 51번 출신 차량 한대도 셔틀버스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학원장 말로는 원래는 부지를 차고지로 쓰려고 매입했는데 어쩌다 보니 학원이 됐다고. 그래서 용남고속이나 제부여객 일부 차량과 심지어 경진여객 차량 일부에도 이 학원의 광고가 붙어 있다.[4] 2007년부터 용남고속(시내부)의 업종이 여객운송업 외에 운전면허학원업이 추가된 것에서 짐작할 수 있다.[5] 다만 시내버스의 경우 예전에는 자일대우버스를 더 많이 출고했는데, 2012년 이후로는 자일대우버스 출고가 아예 없다. 51번에 2012년식 NEW BS106을 투입한 것이 마지막.[6] 장의차 등 다양한 용도로 팔려나갔다.[7] 다만 지분만 정리했을 뿐 모종의 관계는 여전히 있었는지, 공동운수 협정도 체결했는데, 광역버스 입석금지 제도로 인해 체결한 것이다. 그래서 용남고속의 직행좌석 노선에 투입되는 전세버스 차량은 모두 여산관광 차량. 오후 6시에 사당역으로 가면 질리게 볼 수 있다. 수원시 내 곳곳에도 여산관광 차량들이 주차되어 있다.[8] 정확히는 용남고속과 용남고속버스라인이 5:5로 합작하여 KJ홀딩스라는 법인을 만들고 인수하게 되었다. 이 때 경진여객 대표를 맡은 사람은 여산관광 이장호 대표이사. 용남고속이 여산관광 지분만 없을 뿐이지 커넥션 자체는 여전했음을 보여주는 부분으로 이 때 여산관광은 휘하에 화성운수도 거느리고 있었다. 화성운수에 용남고속에서 쓰던 차들이 유입된 것은 덤.[9] 동서울 - 천안 - (아산) 노선이나 직행좌석버스에 뜬금없이 들어간 우등버스는 용남공항리무진 매각 때문에 남는 차를 처리할 수 없어서 기존 차량의 대폐차분으로 투입한 것이다.[10] 에코모빌리티가 용남고속, 수원모빌리티(수원여객)을 지배, 다시 수원여객남양여객을 지배하며, 용남고속은 KJ홀딩스(경진여객)과 제부여객을 지배한다.[11] 다만, 광역버스는 그렇다하더라도 시내버스는 인사하지 않는 경우가 자주 보인다.[12] 현재도 K1 계열 용남고속과 교류가 잦으며, 사실상 경영진과 지배구조만 달라진 형태로 보고 있다. 차고지, 공공버스 요금통이나 차량 옵션 등을 고려했을 때 지금도 두 업체 사이에 큰 차이가 없다. 단지 기사 유니폼만 달라졌다고 해도 무방. 자비스의 지분이 100%인 소신여객화성운수를 제외하고는 K1 계열 회사에 지분을 들고 있다고 해도 무방하다.[13] 게다가 광역버스 준공영제의 여파로 시내버스 인력 유출이 심했다는 점을 보면 중복되던 노선을 없애서 인력을 다시 배치하는 것이 효율적이기도 했었다.[14] 현재 당진-평택으로 단축[15] 여담으로 호남고속에서 금남고속의 고속버스 노선(서울호남-부안, 서울호남-고창)을 인수 했을 때 1993년~1994년식 BH120F에다가 금남고속 구도색에다가 금남고속의 자에 호남고속의 자로 바꿔서 운행했으나 이 차량들은 얼마 못 가 내구연한 만료로 대차했다.[16] 다만 서류상으로는 용남고속 차량과 기사가 맞기 때문에 불법은 아니었다.[17] 당시 성남~군산 직통노선은 대원고속에서 운행하고 있었는데, 이 노선이 생긴 뒤 몇 년 후에 성남-군산 노선에 충남고속과 용남고속이 추가로 참여하고, 성남-평택-군산노선은 송탄-평택-군산으로 변경해 대원고속이 추가로 참여했다. 용남고속은 두 노선 다 금남고속에 매각해 현재는 운행하지 않는다. 이외에 보령-김포공항-고양, 보령-오산-서수원 등 일부 노선이 생기긴 했으나 대부분 성공한 노선은 아니었다.[18] 나중에 한양고속경남여객이 똑같은 짓을 벌였다. 경남여객이 남서울-보령을 인수한 뒤, 남서울-수원-보령으로 바꿨다가 수원~보령으로 단축하고 한양고속으로 재매각했다.[19] 태화상운의 차량들은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녹슨 차들이 태반이며, 대부분의 노선들은 하나같이 배차 간격이 길다. 또한 기사들도 불친절하고 무엇보다 과속이 심하다. 이후 707번8467번의 사고로 인해 어느 정도 정속은 하는 편.[공공] 경기도 공공버스 노선[공공] [공공] [공공] [대광위]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준공영제 노선이다.[대광위] [공동배차] 대원고속과 공동 배차[A] 하차: 3F, 승차: 1F 8A홈[B] 하차: 3F, 승차: B1F 38번홈[29] 이 중 경기 70바 6801 ~ 7000호, 70사 6001 ~ 6099, 6401 ~ 6800호 등인데, 6700 ~ 6800호는 종전 계열사였다. 흡수합병된 용남공항리무진 주 면허이다. 공번(6611 ~ 6756, 6758, 6766 ~ 6800호) 및 중간에 말소된 면허들이 일부 존재한다.[30] 2009년에 출고한 이후 14년 만에 다시 그랜버드를 2대 출고했는데, 전부 8837번에서 운행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2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2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