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7px -0px" | <tablebordercolor=#004097>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6px -1px -36px; word-break: keep-all" | 특례시 | ||||||||||
[[고양시| 북 고양시]] |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80c84d 21%, #80c84d); font-size: 1em" ]] 수원시 | [[용인시| 본 용인시]] |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자치시 | |||||||
[[과천시| 본 과천시]] | [[광명시| 본 광명시]] | [[광주시| 본 광주시]] | [[구리시| 북 구리시]] | [[군포시| 본 군포시]] | |||||||
[[김포시| 본 김포시]] | [[남양주시| 북 남양주시]] | [[동두천시| 북 동두천시]] | [[부천시| 본 부천시]] | [[성남시| 본 성남시]] | |||||||
[[시흥시| 본 시흥시]] | [[안산시| 본 안산시]] | [[안성시| 본 안성시]] | [[안양시| 본 안양시]] | [[양주시| 북 양주시]] | |||||||
[[여주시| 본 여주시]] | [[오산시| 본 오산시]] | [[의왕시| 본 의왕시]] |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0aa4b5 21%, #0aa4b5); font-size: 1em" ]] 의정부시 | [[이천시| 본 이천시]] | |||||||
[[파주시| 북 파주시]] | [[평택시| 본 평택시]] | [[포천시| 북 포천시]] | [[하남시| 본 하남시]] | [[화성시| 본 화성시]]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자치군 | |||||
[[가평군| 북 가평군]] | [[양평군| 본 양평군]] | [[연천군| 북 연천군]] | |||||||||
미수복지역* | |||||||||||
개성시 | 개풍군 | 장단군 | |||||||||
*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 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 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다.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6fbc><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6fbc>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오산시의 행정구역 | ||||||||||||
가수동 | 가장동 | 갈곶동 | 고현동 | 궐동 | 금암동 | ||||||||
내삼미동 | 누읍동 | 두곡동 | 벌음동 | 부산동 | 서동 | ||||||||
서랑동 | 세교동 | 수청동 | 양산동 | 오산동 | 외삼미동 | ||||||||
원동 | 은계동 | 지곶동 | 청학동 | 청호동 | 탑동 | ||||||||
시청소재지 : 오산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 오산시 烏山市 Osan City | }}} | |||
<colbgcolor=#006fbc><colcolor=white> 시청 소재지 | 성호대로 141 (오산동)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하위 행정구역 | 24법정동 6행정동 | |||||
면적 | 42.71㎢ | |||||
인구 | 229,849명[1] | |||||
인구 밀도 | 5,381.62명/㎢ | |||||
시장 | | 이권재 (초선) | ||||
시의회 | | 5석[2] | ||||
| 2석[3] | |||||
도의원 | | 2석[4] | ||||
국회의원 | | 안민석 (오산 / 5선) | ||||
상징 | <colbgcolor=#006fbc><colcolor=white> 시화 | 매화 | ||||
시목 | 은행나무 | |||||
시조 | 까마귀 | |||||
지역번호 | 031 | |||||
홈페이지 | | |||||
링크 | |
| |
슬로건 | 시정구호 |
| |
마스코트 수달이 · 까산이 · 까오[5] | |
| |
오산시청[6] | |
| |
독산성 세마대지 |
[clearfix]
1. 개요
오산시 홍보 영상 |
오산시의 옛 캐릭터 '오나리'. 지금은 위의 까산이[8]로 변경되었다.
2. 역사
- 참고 항목: 화성시/역사
오산시로 승격한 1989년부터 2001년까지 사용한 옛 로고.
오산이라는 명칭의 유래는 의견이 엇갈린다. 인근에 있는 독산성(禿山城)에서 '禿→ (같은 음을 가진) 獨→ (같은 뜻을 가진) 孤→ (발음의 변화를 거쳐) 오' 테크를 탔다는 학설이 있고, 까마귀(까마귀 烏)가 유독 많아서 모여있는것이 산(山)의 모양을 갖췄다고 해서 오산시라는 학설이 있는데 일단, 오산시도 시조를 까마귀로 바꿨을 뿐 만 아니라 아예 마스코트도 까마귀로 바꾸는 등 까마귀 마케팅을 실시하면서 후자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대부분의 지역이 수원군에 속해 있었고, 지금도 오산은 수원 생활권에 속한다. 1914년 수원군 산성면·청호면·문시면·초평면이 통합되어 성호면(山城면과 淸湖면에서 한 글자씩 따 명명)이 설치되었고, 1941년 오산면으로 개칭되었다. 1949년 수원군이 화성군으로 개칭됨에 따라 화성군 오산면이 되었다.
1960년 오산면이 오산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970년 수원시내에 있던 화성군청[9]이 오산읍(현 롯데마트 오산점 자리)으로 이전했다. 1987년 화성군 동탄면 금곡리 일부를 편입했다(곧바로 은계리로 개칭). 경부고속도로 개통으로 오산IC가 설치되면서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계속적인 신도시 개발로 아파트들이 들어섰다.
1989년 오산읍을 관할로 오산시가 설치되기에 이른다. 1995년 평택시 진위면 갈곶리·청호리·고현리의 각 일부를 편입하여 현재의 오산시 영역이 완성되었고, 이 때문에 오산시 갈곶동, 고현동, 청호동과 평택시 진위면 갈곶리, 고현리, 청호리가 동시에 존재한다.
3. 지리
3.1. 좁은 면적
1개 읍이 시로 승격된 경우이기 때문에 시 면적이 42.71㎢으로, 경기도 중에서도 면적이 좁은 시로 꼽힌다.[10] 그래서 시내라 할 수 있는 곳도 좁고 단순하지만 인구밀도는 높아서 국내 대형마트 3사 홈플러스, 이마트, 롯데마트가 전부 있다.그로 인해 시내 중심을 통과하는 1번 국도는 출퇴근시간이 아닌 평상시에도 극심한 정체[11]에 시달린다. 굳이 오산 시내에 들어갈 필요 없이 통과가 목적이라면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하는 것이 정신건강에 이롭다. 왜냐하면 구도심의 극심한 정체를 피할 수 있을 뿐더러 경부고속도로 하행선은 오산IC 이후부터 중앙버스전용차로를 평일에는 실시하지 않기 때문이다.
좁은 면적이 지역의 콤플렉스로 작용해서 그런지 2016년 20대 총선에선 더불어민주당 안민석 후보는 더 큰 오산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걸고 나왔고 다시 당선되었다. 크다라는 의미는 면적을 넓힌다기보단 도시를 발전시키고 규모를 키우겠다는 의미로 보여진다. 행정구역의 확장이라는 견해로 볼 수도 있으나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타 지자체의 행정구역을 편입해 행정구역을 넓히는 것은 세수 등의 문제로 싸움이 일어나기 때문에 어렵다. 만약 오산시가 더 커진다면 인근의 화성시 지역은 화성시 입장에서 금싸라기인 동탄, 병점이므로 그 쪽으로 커질 수는 없을 것이고 평택시 진위면 쪽으로 커질 가능성이 높다. 물론 이쪽도 평택시 입장에서는 LG전자가 위치한 지역이기 때문에 역시 쉽게 내 줄 수 없는 지역이라 할 수 있겠다.
3.2. 수원시, 화성시와의 관계
오산시는 과거 화성군에서 분리되어 나왔기 때문에 1989년에 화성군에서 오산시가 분리되었음에도 2000년까지 화성군청이 오산에 있었다. 또 교육지원청은 오산시 내삼미동(신장동)에 있는 '화성오산교육지원청'에서 두 시를 모두 관할한다. 경찰서도 최근까지 화성경찰서->화성동부경찰서였으나, 2019년 오산경찰서가 분리되면서 화성이라는 이름을 벗어났다. 반면 오산시를 관할하는 세무서는 '동수원세무서'이다. 이름대로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에 있지만, 화성시 동부(병점·동탄권)와 오산시까지 관할한다. 소방서도 1991년 설치된 오산소방서에서 2008년 화성소방서가 설치되기 전까지 화성시까지 관할했다.[14]이와 같이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까진 아니지만, 주소는 '오산'인데 명칭에는 '화성'이 먼저 나오는 소소한 사항이 있다. 이상의 경찰서, 세무서, 교육청을 통해, 수원, 화성, 오산의 역사적 단일성과 도시권, 생활권이 행정상에도 상당히 반영돼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통합 관련해서 화성시와 대립 관계에 있다. 오산시가 통합을 싫어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화성시가 서쪽(구 남양군)으로 아직 발전되지 않은 지역이 많기에 통합 시 해당 지역 개발에 세금을 쓸 것이므로 상대적으로 오산시 지역에 대한 투자가 감소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15] 경부고속도로가 오산시 정중앙을 지나가는 구조상 발생되는 지역명 광고 문제 때문일 수도 있겠으나, 고속도로 나들목 명칭의 경우 꼭 행정구역명 또는 행정구역 명칭에 맞출 필요는 없다.[16][17]
오산시는 화성 통합 말고도 수원 통합에도 반대하는데[18] 그 이유는 역시나 비슷하게 혐오 시설이 오산시 쪽으로 몰려올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수원시 측에서는 그런 혐오 시설은 화성시 서부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고 오히려 오산시는 수원 도심과 매우 가깝기 때문에 개발의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회유하고 있다.
3.3. 인구
(1965년~현재) |
1965년 20,511명 |
1970년 20,406명 |
1975년 30,211명 |
1980년 41,621명 |
1985년 46,513명 |
1989년 화성군 오산읍 → 오산시 승격 분리 |
1990년 59,475명 |
1995년 69,562명 |
2000년 105,933명 |
2005년 129,843명 |
2010년 182,516명 |
2015년 206,828명 |
2020년 229,725명 |
2022년 12월 229,84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0만 명 |
현재 인구는 23만 정도이며, 이천시와 인구가 비슷하다.
4. 교통
||<tablebordercolor=#0083cb><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오산시의 교통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철도 | ||||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서동탄 | ||||
| 오산대 · 세교· 오산 | ||||
동탄 도시철도 | 운암 · 오산시청· 오산 | ||||
일반철도 | 오산 | ||||
도로 | 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오산IC 평택파주고속도로 서오산JC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북오산IC | |||
국도 | 1 | ||||
지방도 | 82 · 310 · 311 · 314 · 317 | ||||
버스 | 버스 목록 | 광역급행 | 경기순환 | 직행좌석 | 일반좌석 |
일반시내 | 마을버스 | 시외버스 | 공항버스 | ||
버스 터미널 | 오산역환승센터 | }}}}}}}}} |
5. 경제
5.1. 산업
화장품 산업이 상당히 발달한 곳으로,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이 오산시에 위치해 있다. 또한 화장품 기업들의 본사와 생산시설들이 오산에 집적되어 있는데, 대표적으로 아모레퍼시픽 공장이 오산시에 위치해 있다. 가장산단에 이런 기업들이 많으며, 국내 화장품 기업들 뿐만 아니라 이탈리아 같은 외국계 기업들도 많이 투자한다.[19]또한 아모레퍼시픽 SCM통합기지, 대상 오산센터, 롯데물류센터 오산 등 제조업 외에도 물류센터 증축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물류운송의 거점으로도 발돋움하고 있다. 또한 평택시 진위면의 LG디지털파크가 시 경계에 바로 붙어 있고 삼성전자 사업장이 근처 화성시에 있어 이들 사업장으로 통근하는 직원들도 많다.
또한 제3가장산업단지를 구축함에 따라 이에 따른 기업들이 많이 입주가 기대된다.
5.2. 상권
5.3. 금융
오산시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 |||
제1금융권[괄호] | |||
국가기관 | |||
오산우체국 (3) | |||
국책은행 | |||
중소기업은행 (2) | |||
특수은행 | |||
농협은행(중앙회) (2) | |||
시중은행 | |||
신한은행 (1) | 우리은행 (3) | ||
하나은행 (1) | 국민은행 (3) | ||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 |||
농업협동조합 | |||
오산농협 (8) | 수원축산농협 (4) | ||
수산업협동조합 | |||
경기남부수협 (1) | |||
새마을금고 | |||
오산새마을금고 (4) | |||
신용협동조합 | |||
오산신용협동조합 (3) | 새오산신용협동조합 (2) | 오산제일신용협동조합 (1) |
6. 관광
7. 생활문화
7.1. 교육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가수초등학교 | 광성초등학교 | 금암초등학교 | 다온초등학교 | 대호초등학교 |
매홀초등학교 | 문시초등학교 | 삼미초등학교 | 성산초등학교 | 성호초등학교 | |
세마초등학교 | 세미초등학교 | 수청초등학교 | 양산초등학교 | 오산고현초등학교 | |
오산대원초등학교 | 오산원당초등학교 | 오산원일초등학교 | 오산초등학교 | 운산초등학교 | |
운암초등학교 | 운천초등학교 | 원동초등학교 | 필봉초등학교 | 화성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교 틀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대호중학교 | 매홀중학교1 | 문시중학교 |
성호중학교 | 세마중학교 | 오산원일중학교 | |
오산중학교 | 운암중학교 | 운천중학교 | |
윗첨자1: (구)오산여자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교 틀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매홀고등학교 | 성호고등학교 | 세교고등학교 | 세마고등학교 |
오산고등학교 | ◈ 오산정보고등학교 | 운암고등학교 | 운천고등학교 | |
푸른색 바탕은 남자고등학교, 붉은색 바탕은 여자고등학교. 기본 바탕은 남녀공학. ⊙: 자율형사립·공립고, ▣: 특목고, ◈: 특성화고, #: 각종학교, 이외 일반계고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교 틀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 종합대학 | ㅎ | |
전문대학 | ㅇ | }}}}}}}}} |
교육지원청은 오산시에 있는 '화성오산교육지원청'에서 두 도시를 모두 관할한다. 위의 경찰서와는 달리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까진 아니지만, 주소는 '오산'인데 명칭에는 '화성'이 먼저 나오는 소소한 사항이 있다. 이상의 경찰서, 세무서, 교육청을 통해, 수원, 화성, 오산의 역사적 단일성과 도시권, 생활권이 행정상에도 상당히 반영돼 있음을 알 수 있다. 원래 슬로건은 교육수도 오산이었지만 대구의 영향 때문인지 AI교육도시 오산으로 슬로건이 변경되었다.
비평준화 지역인데다가 신장동은 한 반에 30 ~ 40명씩 있어서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 화성오산교육지원청 (오산시 • 화성시 관할)
오산시 북삼미로 119
화성오산교육지원청 | |
상급 기관 | 경기도교육청 |
관할 지역 | 화성시, 오산시 |
주소 | 경기도 오산시 북삼미로 119 (외삼미동) |
도서관 목록은 아래와 같다.
오산시 공공도서관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rowcolor=#373a3c,#212121> 도서관명 | 소속 읍면동 | 주소 | 전화번호 | 비고 |
중앙 도서관 | 오산동 | 오산시 운암로 85 (오산동) | 031-8036-6140 | ||
꿈두레 도서관 | 세교동 | 오산시 세마역로 20 (세교동) | 031-8036-6520 | ||
초평 도서관 | 누읍동 | 오산시 발안로 1353-11 (누읍동) | 031-8036-6142 | ||
햇살마루 도서관 | 원동 | 오산시 오산로 132번길 28-6 (원동) | 031-8036-6500 | ||
청학 도서관 | 청학동 | 오산시 청학로 65 (청학동) | 031-8036-6490 | ||
양산 도서관 | 양산동 | 오산시 양산로 410번길 34 (양산동) | 031-8036-6143 | ||
소리울 도서관 | 원동 | 오산시 경기대로 102-25 (원동) | 031-8036-6670 | }}} |
작은 공공 도서관 목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rowcolor=#373a3c,#212121> 도서관명 | 주소 | 전화번호 | 기타 |
무지개 | 청호로 23-22 105동 놀이터 안 | 031-8036-6549 | ||
오산고현초꿈키움 | 남부대로 459(고현동) | 031-8036-6550 | ||
세마고 | 수목원로 559-17(세교동) | 031-370-5084 | ||
쌍용예가 | 내삼미로 110(내삼미동) | 031-8036-6548 |
7.2. 치안
오산경찰서 Osan Police Station | |
| |
약칭 | 오산경찰서 |
서장 | 총경 이창영 |
상급기관 | 경기남부지방경찰청 |
전신 | 오산경찰서[23] |
주소 | 경기도 오산시 동부대로 59 (부산동) |
홈페이지 | 오산경찰서 공식 홈페이지 |
3 지구대 , 1 파출소 |
7.3. 소방
| ||
오산소방서 | ||
영문 명칭 | Osan Fire Station | |
개서일 | 1991년 6월 15일 | |
소방서장 | 한경복 | |
주소 | 경기도 오산시 내삼미동 문헌공로 30 | |
상급기관 | 경기도 소방재난본부 | |
홈페이지 | |
7.4. 세무
오산시를 관할하는 세무서는 '동화성세무서' 이다. 화성시 동부(병점·동탄권)와 오산시까지 관할한다.동화성세무서 | |
동화성세무서 | |
관할 구역 | 동탄신도시, 병점, 오산 지역 |
주소 | 경기도 화성시 동탄오산로 86-3 |
7.5. 의료기관
보건소 | |||||||||
오산시 보건소 | 오산시 경기동로 59(오산시 오산동 25) | 보건소 | |||||||
오산한국병원 | 경기도 오산시 밀머리로1번길 16 (원동) | 종합병원 | |||||||
조은오산병원 | 경기도 오산시 오산로 307 (오산동) | 종합병원 |
오산한국병원(299병상)이 가장 큰 종합병원으로 지역 내에서 자리매김하였다. 조은오산병원(223병상)이 그 뒤를 잇고 있으며, 그 외 자잘한 병원들이 있다. 수원생활권이니만큼 문제가 있을 시 아주대학교병원으로 달려가며, 최근에 동탄에 자리를 잡은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으로 가는 경우도 있다.
7.6. 우체국
오산우체국 | |
| |
주소 | 18135 경기도 오산시 성호대로 85 오산우체국 (행정리) |
오산세교우체국 | |
| |
주소 | 경기도 오산시 문헌공로 37 (금암동 495-1) |
8. 정치
8회 지선 오산시 개표 결과 | |||||||
경기도지사 선거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김동연 | 김은혜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42,038 (51.07%) | 38,577 (46.87%) | + 3,461 (△4.21) | 83,231 (43.71%) | |||
중앙동[A] | 50.05% | 47.99% | △2.06 | 46.33 | |||
대원동[B] | 50.69% | 47.28% | △3.42 | 40.74 | |||
남촌동[C] | 46.48% | 51.08% | ▼4.59 | 25.91 | |||
신장동[D] | 52.70% | 45.41% | △7.29 | 41.28 | |||
세마동[E] | 51.89% | 46.35% | △5.54 | 46.24 | |||
초평동[F] | 49.66% | 48.52% | △1.14 | 41.57 | |||
후보 | 김동연 | 김은혜 | 격차 | ||||
거소투표 | 52.57% | 39.17% | △13.40 | ||||
관외사전투표 | 52.39% | 44.77% | △7.62 | ||||
국회의원 선거구 | 김동연 | 김은혜 | 격차 | 투표율 | |||
오산시[G][31] | 50.92% | 47.13% | △3.79 | 41.01 |
오산시장 선거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장인수 | 이권재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38,968 (47.45%) | 40,723 (49.59%) | - 1,755 (▼2.14) | 83,196 (43.70%) | |||
중앙동[A] | 45.53% | 50.90% | ▼5.36 | 46.32 | |||
대원동[B] | 47.59% | 49.67% | ▼2.08 | 40.73 | |||
남촌동[C] | 43.37% | 53.10% | ▼9.73 | 25.91 | |||
신장동[D] | 49.08% | 47.98% | △1.09 | 41.25 | |||
세마동[E] | 47.62% | 50.49% | ▼2.87 | 46.23 | |||
초평동[F] | 45.98% | 50.39% | ▼4.41 | 41.56 | |||
후보 | 장인수 | 이권재 | 격차 | ||||
거소투표 | 50.26% | 39.79% | △10.47 | ||||
관외사전투표 | 49.50% | 47.42% | △2.08 |
20대 대선 오산시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72,877 (54.43%) | 55,793 (41.67%) | + 17,084 (△12.76) | 135,108 (71.75%) | |||
중앙동[A] | 53.75% | 42.66% | △11.09 | 74.27 | |||
대원동[B] | 54.07% | 41.98% | △12.09 | 68.49 | |||
남촌동[C] | 54.15% | 41.38% | △12.77 | 53.18 | |||
신장동[D] | 55.20% | 41.09% | △14.11 | 69.27 | |||
세마동[E] | 53.65% | 42.56% | △11.09 | 76.62 | |||
초평동[F] | 55.86% | 39.98% | △15.88 | 69.86 |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50.94% | 40.00% | △10.94 | ||||
관외사전투표 | 54.61% | 41.23% | △13.38 | ||||
재외투표 | 67.36% | 28.98% | △38.38 | ||||
국회의원 선거구 | 이재명 | 윤석열 | 격차 | 투표율 | |||
오산시[G][45] | 54.38% | 41.77% | △12.56 | 69.21 |
21대 총선 오산시 개표 결과 | ||||||||||||
국회의원 선거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안민석 | 최윤희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61,926 (56.71%) | 44,834 (41.06%) | + 17,092 (△15.65) | 110,578 (60.60%)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중앙동[A] | 55.26% | 42.50% | △12.76 | 64.02 | |||||||
대원동[B] | 54.95% | 42.50% | △12.45 | 57.93 | ||||||||
남촌동[C] | 53.52% | 44.29% | △9.23 | 41.31 | ||||||||
신장동[D] | 57.26% | 40.59% | △16.67 | 58.96 | ||||||||
세마동[E] | 57.67% | 40.45% | △17.23 | 65.57 | ||||||||
초평동[F] | 54.19% | 43.68% | △10.51 | 58.56 | ||||||||
후보 | 안민석 | 최윤희 | 격차 | 투표율 | ||||||||
거소·선상투표 | 46.47% | 47.88% | ▼1.41 | |||||||||
관외사전투표 | 66.66% | 31.23% | △35.43 | |||||||||
재외투표 | 66.66% | 32.29% | △34.38 |
비례대표 선거 | |||||||||||||||
정당 | 미래한국당 | 더불어민주당 | 정의당 |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 | 격차 | 투표율 | ||||||||
득표수 (득표율) | 30,632 (28.93%) | 39,484 (37.29%) | 10,957 (10.34%) | 7,332 (6.92%) | 5,756 (5.43%) | - 8,852 (▼8.36) | 110,566 (60.57%)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중앙동[A] | 30.27% | 36.80% | 10.52% | 6.98% | 5.17% | ▼6.54 | 64.02 | |||||||
대원동[B] | 29.33% | 36.52% | 10.79% | 7.01% | 5.17% | ▼7.20 | 57.92 | ||||||||
남촌동[C] | 31.70% | 35.50% | 9.16% | 5.63% | 5.34% | ▼3.81 | 41.31 | ||||||||
신장동[D] | 28.94% | 38.02% | 9.95% | 6.97% | 5.23% | ▼9.08 | 58.95 | ||||||||
세마동[E] | 28.25% | 37.17% | 10.76% | 7.93% | 5.68% | ▼8.92 | 65.56 | ||||||||
초평동[F] | 30.38% | 37.71% | 9.00% | 5.79% | 4.93% | ▼7.33 | 58.56 | ||||||||
정당 |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 |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27.91% | 26.90% | 10.15% | 9.64% | 3.04% | △1.02 | |||||||||
관외사전투표 | 22.77% | 40.12% | 11.07% | 6.53% | 7.41% | ▼17.35 | |||||||||
재외투표 | 27.65% | 36.17% | 8.51% | 5.31% | 9.57% | ▼8.51 |
경기도 오산시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 ||
구분 | 선거구명 | 지역 |
국회의원 | 오산시 | 오산시 전역 |
도의원 | 오산시1 | 중앙동, 신장동, 세마동 |
오산시2 | 대원동, 남촌동, 초평동 |
국회의원은 원래 화성군과 같이 뽑았다. 그러나 오산과 화성 두 지역이 각자 성장함에 따라 2004년 17대 총선 때 분구되었고, 이 때부터 안민석 의원이 5선에 성공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 때 30대 이하 유권자 비율이 전국에서 제일 높아서 SBS 개표방송에 출연하였다. 인구구성 상 진보쪽이 좀 더 유리하긴 하지만, 30대 유권자가 많은 것 치고는 의외로 민주당계 정당과 보수정당이 상당히 주거니받거니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18대 대선도 박근혜 후보와 문재인 후보는 각각 49.2%, 50.4%를 득표하여 1,206표차로 생각보단 큰 차가 나지 않는 모습을 보여줬다.
민주당계 정당이 꾸준히 50% 이상 득표를 하긴 하는데, 이를 4선을 한 안민석 의원에 대한 지지율이라고 해야 할지 진보층이 두터워서인지는 지역민들도 잘 모르는 듯하다. 과거엔 한나라당 소속으로 2006년 ~ 2010년까지 오산시장을 지낸 이기하 전 시장이 건설붐을 일으키면서 꽤 인기를 얻기도 했었으나, 이기하 시장이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되었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후 보궐선거로 치뤄진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과반에 가까운 44.3%를 확보하여 2위 안철수 후보의 23.0%를 거의 두 배 가까운 차이로 물리치고 1위를 차지했다. 모든 동네에서 40%를 넘겼을 뿐만 아니라 가장 득표율이 낮았던 중앙동에서도 42.1%를 차지해, 모든 읍면동 단위가 전국 평균을 앞지른 지역이었다. 동네를 막론하고 비교적 고르게 40% 초중반대의 득표율을 가져갔다. 반면에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중앙동에서만 겨우 20%를 넘겼을 뿐, 나머지 모든 동에서 10% 후반대에 머물면서 안철수 후보에게 5% 가까이 밀려 3위를 차지했다.
21대 총선에서는 최윤희 전 해군참모총장이 출마했으나, 안민석의 벽을 넘지 못 하고 낙선했지만 40% 이상을 득표하여 인지도에 비해 선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54.43%를 득표해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41.67%)를 12%p 이상 앞섰다.
2022년 8회 지선에서는 국민의힘 이권재 오산시장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로써 오산시정은 12년만에 다시 국민의힘이 가져오게 되었다.
오산시 국회의원 | |||||||
오산시·화성군 | |||||||
14대 | [[민주자유당| | ||||||
15대 | [[자유민주연합| | ||||||
16대 | [[새천년민주당| | ||||||
오산시 | |||||||
17대 | [[열린우리당| | ||||||
18대 | [[통합민주당(2008년)| | ||||||
19대 | [[민주통합당| | ||||||
20대 | 안민석,(4선), | ||||||
21대 | 안민석,(5선), |
오산시장 | |||||||
1기(95~98) | 유태형 ,(초선)[58], | ||||||
[[자유민주연합| | |||||||
2기(98~02) | [[자유민주연합| | ||||||
3기(02~06) | [[자유민주연합| | ||||||
4기(06~10) | 이기하 ,(초선), | ||||||
5기(10~14) | [[민주당(2008년)| | ||||||
6기(14~18) | [[새정치민주연합| | ||||||
7기(18~22) | 곽상욱 ,(3선), | ||||||
8기(22~26) | 이권재 ,(초선),, |
9. 군사
대한민국의 주요 공군 기지 중 하나로 꼽히는 오산 공군기지는 오산에 없다. 평택시 서탄면[60]에 있는데, 기지의 실제 주인인 주한 미 공군이 기지가 위치한 평택(Pyeongtaek)보다 오산이 더 발음하기 쉽고 철자도 간단하며 인근 지역의 오산(Osan)을 쓰면서 엉뚱한 명칭이 굳어진 것. 이곳에 근무하는 공군 및 카투사 장병을 면회하려면 송탄역으로 가자. 다만, 오산에서 오래 사신 나이 지긋한 어르신들 구전으로는, 공군 비행장이 지금의 공설운동장 위치에 실제로 있었다고 전해진다. 오산천 끄트머리 지점에 다른 곳에 비해 유난히 넓은 잔디밭이 있는데 그곳이 비행장 터라고 안내판이 꽂혀있다. 일제강점기 시절 만들어졌으니 경비행기나 왕복엔진을 부착한 소형비행기 정도는 이착륙이 가능했던 모양새이다. 여의도 비행장 다음으로 지어진 비행장이었다고 한다.현재 관내에 있는 군사시설은 외삼미동 북오산IC 방면에 있는 수원화성예비군훈련대(51사단 훈련대) 뿐이다.
10. 하위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6fbc><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6fbc>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오산시의 행정구역 | ||||||||||||
가수동 | 가장동 | 갈곶동 | 고현동 | 궐동 | 금암동 | ||||||||
내삼미동 | 누읍동 | 두곡동 | 벌음동 | 부산동 | 서동 | ||||||||
서랑동 | 세교동 | 수청동 | 양산동 | 오산동 | 외삼미동 | ||||||||
원동 | 은계동 | 지곶동 | 청학동 | 청호동 | 탑동 | ||||||||
시청소재지 : 오산동 |
| |
오산시의 법정동 | 오산시의 행정동 |
11. 사건사고
- 오산 청소년 테이저 진압사건 (2017년)
- 오산 모텔 살인사건 (2019년)
- 오산 야산 백골시신 사건 (2019년)
- 청학동 소재의 요양병원에서 코로나19 집단감염이 있기도 했다.
12. 여담
- 성호초등학교는 역사가 100년이 넘어서 자기가 태어난 년도 + 100회가 졸업생 회차가 된다. 가령 2018년 생이면 118회 졸업생이 된다. 트로트 가수 장윤정이 성호초 출신이라 TV는 사랑을 싣고에서 촬영도 해갔다.
- 간혹 '오산'이란 이름을 보고 이 지역은 까마귀가 산처럼 쌓일 정도로 많아서 '오산'이라는 지명을 가지게 되었다고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그렇게 생각했다면 큰 오산이다. 정확히 말하면, 일단은 유력한 학설이긴 하지만, 정설이라고 하기는 애매하다. 실생활중에 간혹 가다가 닭둘기처럼 행동하는 닭까치나 닭까마귀를 볼 수 있다. 오산시는 이름과 달리 까마귀 떼를 볼 기회가 생각보다 적은 편이었다.
- 하지만 2020년 무렵 들어서는 야간에 아파트 주변의 전선줄위에 까마귀가 좁은간격으로 잔뜩 늘어서 있는 광경을 자주 목격할 수 있어서 이름에 어울리게 까마귀산이 되었다. 근데 이 까마귀가 좀 많이 온다. 진짜 전선줄만 있으면 죄다 까마귀가 앉아 있는 풍경을 볼 수 있다. 겨울 철새인 떼까마귀가 원래 일본으로 가야 하는데 기후가 변해 한국에 머물러 있어 수원, 화성, 오산 등지로 날아온다. 곽상욱 시장 취임 이후 오산은 명칭에 어울리게 마스코트를 까산이로 바꾸는 등 까마귀를 시의 상징으로 삼는 사업을 펼쳤지만 정작 까마귀가 산처럼 쌓이니 주민들 입장에서는 온 길가에 새똥 천국을 만들어버려 그다지 달갑지 않은 존재가 되었다.
- 서울특별시 용산구 보광동에 오산(五山)중학교·고등학교가 있는데,[61] 사립학교이자 남중남고였고, 인지도 면에서 이 고등학교가 훨씬 더 높다.[62] 오산시에서 거주하는 학생들이 서울오산중학교·고등학교의 네임벨류를 경기오산중학교·고등학교의 것으로 착각해 들어갔다가 실망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역사는 둘 다 깊고 각자 지역에 영향력이 크니 뭐 크게 실망할 것까진 아니다.
- 최윤희가 합참의장이 됐을 당시 오산중고등학교에 플랜 카드가 걸려서 사람들이 최윤희를 오산시 출신이라고 착각하기도 했지만, 실제로는 화성시 출신이다. 다만, 오산중고등학교 출신이기에 학교 차원에서 축하했을 뿐이라고 한다.
- 2016년 8월 14일, 오산 평화의 소녀상 건립 시민추진위원회의 주도로 지역 시민들과 단체의 자발적인 모금과 후원, 참여를 통해 오산시청 만남의 광장에 평화의 소녀상이 건립되었다 관련기사
- 2016년 9월 9일, 제28회 오산시민의 날 이장희씨가 1대 오산시 홍보대사로 위촉되었다.
- 2017년 3월 6일, 가수 겸 배우 임창정과 K팝 밴드 제이모닝이 2대 오산시 홍보대사로 위촉되었다. 앞으로 3년 동안 각종 축제나 행사, 문화·관광 등의 홍보활동을 통해 시를 널리 알리는 역할을 하게 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 이 지역은 수원 방언권에 속하여 화성시 대부분 지역과 수원시 전역과 사투리가 같다.[63]
- '잘못 계산함, 또는 그 계산'을 뜻하는 오산(誤算)과 동음이의어격인 지명이라, 잘못 된 계산이 있을 때 대신 소환되어 아재 개그 격의 의미로 쓰이고는 한다. '그렇게 생각했다면 크나큰 경기도 오산이야' 라는 식.
13. 자매우호 도시
13.1. 국내
13.2. 국외
[1] 2022년 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2] 오산시 가선거구 (중앙동, 신장동, 세마동): 송진영, 전도현
오산시 나선거구 (대원동, 남촌동, 초평동): 전예슬, 성길용
비례대표: 정미섭[3] 오산시 가선거구 (중앙동, 신장동, 세마동): 이상복
오산시 나선거구 (대원동, 남촌동, 초평동): 조미선[4] 오산시 제1선거구 (중앙동, 신장동, 세마동): 김미정 (초선)
오산시 제2선거구 (대원동, 남촌동, 초평동): 조용호 (초선)[5] 2015년 7월 30일부터 시조(市鳥)와 시화(市花)를 비둘기, 개나리에서 까마귀와 매화로 바꾸었다. 오산(烏山), 오매천(烏梅川)등의 지명과 효의 새, 지조의 꽃이라는 의미에서 따왔다고 한다.http://blog.naver.com/osan_si/220435091286[6] 현재 증축 공사 중이다. 여름에는 분수가 작동하며, 겨울에는 스케이트장이 설치된다.[7] 용인시와도 접할 것 같이 생겼지만, 용인시와의 경계 사이를 화성시, 평택시가 감싸고 있기 때문에 접하지 않는다.[8] 까마귀 烏, 뫼 山이라는 오산시의 유래에서 따왔다.[9] 화성행궁 앞 지금의 후생병원 자리에 있었다. 가 보면 군청이 있었음을 알리는 표석이 있다. 참고로 수원시가 분리되기 전의 수원군청은 화성행궁 안의 낙남헌이었다.[10] 서울특별시에서 가장 면적이 넓은 서초구 보다도 작다.[11] 남쪽부터 원동 ~ 오산동, 내삼미동 ~ 세교동이 특히 심하다.[12] 다만 진위권 통합을 한다면 오산보다 평택 쪽에 LG전자가 있다는 근거가 있기 때문에 오산보다 평택이 진위를 다 편입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13] 최근 민선8기 시장으로 당선된 이권재 시장은 행정구역 통합을 골자로 한 공약을 내걸었는데, 오산시 북쪽에 있는 외삼미동의 일부인 서동탄역 더샵 파크시티아파트 일대를 화성시로 떼주고 오산 서쪽에 위치한 정남면 가운데 황구지천 동쪽에 있는 9개리를 오산으로 붙이는 공약을 추진하려 하고 있다.[14] 1999년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 사고의 진압이 늦어진 데에도 화재는 화성시(당시 화성군) 서쪽 끝자락에서 났는데 출동은 화성시 동쪽에 있는 오산소방서에서 해야 한 것도 한몫했다.[15] 이 점은 구리시와 남양주시의 관계와 상당히 유사하다. 남양주시도 동북부지역이 대부분 미개발된 상태이므로 만약 두 도시가 통합한다면 구리시민이 낸 세금이 해당 지역 개발에 쓰일 것이기 때문에 구리시에서는 통합을 반대한다.[16] 오산IC가 있는 오산시가지가 예로부터 '오산'이라고 불린 이상, 화성시와 통합되었다고 해서 '화성IC'로 개칭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 그리고 통합할 경우 오산구를 설치하든지 할 것이므로.[17] 현재 대한민국 행정의 흐름상 신규 행정구역 창설을 막는 분위기이기는 하지만, 창원시와 청주시의 전례와 같이 둘 이상의 기초자치단체가 통합할 경우 그 특례로서 새로운 일반구를 설치할 수 있다.[18] 이쪽은 딱히 입장을 표명하진 않았다.[19]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23] 화성동부경찰서에서 개칭[A] 법정동 오산동(일부) · 부산동[B] 법정동 오산동(일부) · 원동 · 갈곶동 · 청호동 · 고현동. 오산역 상권이 있는 중심지[C] 법정동 궐동(일부) · 청학동 · 가장동 · 오산동(일부)을 관할하며, 오산대학교가 있는 동네[D] 법정동 궐동(일부) · 수청동 · 은계동 · 금암동 · 내삼미동[E] 법정동 세교동 · 외삼미동 · 양산동 · 지곶동 · 서량동. 한신대학교가 있는 동네[F] 법정동 가수동 · 누읍동 · 탑동 · 두곡동 · 벌음동 · 서동[G] 관외투표 제외[31] 지역구 국회의원: 안민석 (더불어민주당, 5선)[A] [B] [C] [D] [E] [F] [A] [B] [C] [D] [E] [F] [G] [45] 지역구 국회의원: 안민석 (더불어민주당, 5선)[A] [B] [C] [D] [E] [F] [A] [B] [C] [D] [E] [F] [58] 96.9.17. 별세[59] 96.11.8. 재보궐선거[60] 오산에서 그리 멀리 있지는 않다. 다만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할 경우 길이 험난하다.[61] 이 학교는 원래 평안북도 정주시에 있던 학교였다.[62] 공립학교로 착각하기 쉬운 경기오산중학교·고등학교도 사립학교인 점을 감안하고 공통적이며, 서울오산중학교·고등학교와 달리 남녀공학이다.[63] 즉 의문형으로 쓰일 때 '~하는 거?', '~함?'라고 쓰이는데, 이는 비단 수원뿐만 아니라 용인 처인구 일대, 그리고 여주시까지도 동일하다.[64] 다만, 오산 구도심을 기준으로 서울특별시보다 충청남도 쪽으로 살짝 치우쳐 있기는 하다.
오산시 나선거구 (대원동, 남촌동, 초평동): 전예슬, 성길용
비례대표: 정미섭[3] 오산시 가선거구 (중앙동, 신장동, 세마동): 이상복
오산시 나선거구 (대원동, 남촌동, 초평동): 조미선[4] 오산시 제1선거구 (중앙동, 신장동, 세마동): 김미정 (초선)
오산시 제2선거구 (대원동, 남촌동, 초평동): 조용호 (초선)[5] 2015년 7월 30일부터 시조(市鳥)와 시화(市花)를 비둘기, 개나리에서 까마귀와 매화로 바꾸었다. 오산(烏山), 오매천(烏梅川)등의 지명과 효의 새, 지조의 꽃이라는 의미에서 따왔다고 한다.http://blog.naver.com/osan_si/220435091286[6] 현재 증축 공사 중이다. 여름에는 분수가 작동하며, 겨울에는 스케이트장이 설치된다.[7] 용인시와도 접할 것 같이 생겼지만, 용인시와의 경계 사이를 화성시, 평택시가 감싸고 있기 때문에 접하지 않는다.[8] 까마귀 烏, 뫼 山이라는 오산시의 유래에서 따왔다.[9] 화성행궁 앞 지금의 후생병원 자리에 있었다. 가 보면 군청이 있었음을 알리는 표석이 있다. 참고로 수원시가 분리되기 전의 수원군청은 화성행궁 안의 낙남헌이었다.[10] 서울특별시에서 가장 면적이 넓은 서초구 보다도 작다.[11] 남쪽부터 원동 ~ 오산동, 내삼미동 ~ 세교동이 특히 심하다.[12] 다만 진위권 통합을 한다면 오산보다 평택 쪽에 LG전자가 있다는 근거가 있기 때문에 오산보다 평택이 진위를 다 편입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13] 최근 민선8기 시장으로 당선된 이권재 시장은 행정구역 통합을 골자로 한 공약을 내걸었는데, 오산시 북쪽에 있는 외삼미동의 일부인 서동탄역 더샵 파크시티아파트 일대를 화성시로 떼주고 오산 서쪽에 위치한 정남면 가운데 황구지천 동쪽에 있는 9개리를 오산으로 붙이는 공약을 추진하려 하고 있다.[14] 1999년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 사고의 진압이 늦어진 데에도 화재는 화성시(당시 화성군) 서쪽 끝자락에서 났는데 출동은 화성시 동쪽에 있는 오산소방서에서 해야 한 것도 한몫했다.[15] 이 점은 구리시와 남양주시의 관계와 상당히 유사하다. 남양주시도 동북부지역이 대부분 미개발된 상태이므로 만약 두 도시가 통합한다면 구리시민이 낸 세금이 해당 지역 개발에 쓰일 것이기 때문에 구리시에서는 통합을 반대한다.[16] 오산IC가 있는 오산시가지가 예로부터 '오산'이라고 불린 이상, 화성시와 통합되었다고 해서 '화성IC'로 개칭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 그리고 통합할 경우 오산구를 설치하든지 할 것이므로.[17] 현재 대한민국 행정의 흐름상 신규 행정구역 창설을 막는 분위기이기는 하지만, 창원시와 청주시의 전례와 같이 둘 이상의 기초자치단체가 통합할 경우 그 특례로서 새로운 일반구를 설치할 수 있다.[18] 이쪽은 딱히 입장을 표명하진 않았다.[19]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23] 화성동부경찰서에서 개칭[A] 법정동 오산동(일부) · 부산동[B] 법정동 오산동(일부) · 원동 · 갈곶동 · 청호동 · 고현동. 오산역 상권이 있는 중심지[C] 법정동 궐동(일부) · 청학동 · 가장동 · 오산동(일부)을 관할하며, 오산대학교가 있는 동네[D] 법정동 궐동(일부) · 수청동 · 은계동 · 금암동 · 내삼미동[E] 법정동 세교동 · 외삼미동 · 양산동 · 지곶동 · 서량동. 한신대학교가 있는 동네[F] 법정동 가수동 · 누읍동 · 탑동 · 두곡동 · 벌음동 · 서동[G] 관외투표 제외[31] 지역구 국회의원: 안민석 (더불어민주당, 5선)[A] [B] [C] [D] [E] [F] [A] [B] [C] [D] [E] [F] [G] [45] 지역구 국회의원: 안민석 (더불어민주당, 5선)[A] [B] [C] [D] [E] [F] [A] [B] [C] [D] [E] [F] [58] 96.9.17. 별세[59] 96.11.8. 재보궐선거[60] 오산에서 그리 멀리 있지는 않다. 다만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할 경우 길이 험난하다.[61] 이 학교는 원래 평안북도 정주시에 있던 학교였다.[62] 공립학교로 착각하기 쉬운 경기오산중학교·고등학교도 사립학교인 점을 감안하고 공통적이며, 서울오산중학교·고등학교와 달리 남녀공학이다.[63] 즉 의문형으로 쓰일 때 '~하는 거?', '~함?'라고 쓰이는데, 이는 비단 수원뿐만 아니라 용인 처인구 일대, 그리고 여주시까지도 동일하다.[64] 다만, 오산 구도심을 기준으로 서울특별시보다 충청남도 쪽으로 살짝 치우쳐 있기는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