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역 | ||
외선순환교 대 ← 0.7 ㎞ | 2호선 (224) | 내선순환방 배 1.7 ㎞ → |
역명 표기 | ||
2호선 | 서초 Seocho 瑞草 / [ruby(瑞草, ruby=ソチョ)] | |
주소 |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지하233 (서초동 700) | ||
소속 영업사업소 | ||
2호선 | 신대방영업사업소 서초역 | |
운영 기관 | ||
2호선 | 서울교통공사 | |
개업일 | ||
2호선 | 1983년 12월 17일 | |
역사 구조 | ||
지하 2층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clearfix]
1. 개요
서울 지하철 2호선 224번.[1]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지하233 (서초동 700) 소재.2. 역 정보
역 안내도 |
서초역의 강남구 시절 개통 당시 모습 |
개통 초기 시절 서초역 출입구의 역명판 |
역의 명칭인 서초는 역 소재지 동명인 당시 강남구 서초동에서 따왔다. 1977년 2호선 기본계획 당시에는 이 역이 없었으나[2] 1979년에 2호선 순환선 구간 역이 39개에서 43개로 늘어나면서 추가되었다.[3]
이 역과 방배역 사이에는 급곡선 구간이 있어 속도가 60km/h로 제한되어 있어 운행이 느리다.
2011년 장기간에 걸친 보수공사로 역의 리모델링을 마쳤으며, 2013년에 사랑의교회가 건물을 새로 지음에 따라 3, 4번 출구가 리모델링되고 사랑의교회와 통하는 연결통로가 마련되었다.
관련 영상 (지하철 2호선 보충(1983년))
3. 역 주변 정보
대법원, 대검찰청이 있으며, 별도로 이와 관련한 안내방송을 한다. 그 외에 서울중앙지방검찰청과 서울고등검찰청, 서울서초경찰서도 인근에 있다. 서울고등법원과 서울중앙지방법원은 교대역에서 더 가깝다.서초역 위를 지나는 반포대로 길에는 커다란 향나무 하나가 도로 한복판에 덩그러니 있다. 자세한 사항은 반포대로 항목 참조.
주변환경이 이렇다 보니 교대역과 더불어 재판을 받거나 취재/방청하러 오는 이용객들이 많으며 검찰조사를 받으러 가는 이용객들도 보인다. 변호사, 검사, 검찰수사관, 판사 등을 많이 볼 수 있다. 학원도 많아서 중고등학생이나 재수생도 많이 보인다. 대표적인 학원으로는 서초역 1번 출구에 서초종로학원, 서초역 8번 출구에 강남 스카이에듀 학원이 있다.
인근 학교로는 인문계 고등학교인 서초고등학교가 있다. 이 학교는 대법원 맞은편에 있다. 대법원이 이 동네로 이전해 온 지는 약 20년 정도로 그리 오래되지는 않았으나 가까이 있다는 이유로 법조계 인사들을 많이 배출한다는 말도 있었다. 요즘은 법조계보다 이공계가 조금은 세졌다. 대법원이 있는 서초역과 방배역 사이에는 지금도 남자 중학생들에게 인기가 많은 학교들인 서울고등학교와 상문고등학교도 있다.
북쪽으로 700m 정도 걸어가면 국립중앙도서관과 서울성모병원(구 강남성모병원)이 있다. 서울성모병원은 셔틀버스를 운행한다. 고속터미널역에서 국립중앙도서관과 서울성모병원 가기에는 동선이 긴 편이어서 2호선을 타고 온다면 서초역에서 내려 셔틀버스나 시내버스를 이용하는 편이 낫다.
5번 출구 대법원 방면으로 직진하다가 우측 언덕을 오르면 좌측으로 몽마르뜨공원이 나오고 계속 직진해서 내려가면 방배중학교 정문으로 갈 수 있다.
정문에서 밑으로 내려가면 유명한 서래마을이 있다. 서래마을과 지도상으로 가까운 지하철역 중 하나로 알려져 있지만 서초역에서 걸어서 서래마을에 가는 것은 그리 추천할 만한 코스는 아니다. 서래마을 언덕 아래로는 고속터미널역 7호선 출구에서 가는 편이 더 가깝다. 언덕 위 방배중학교 인근이 목적지라면 서초역에서 걷는 것이 가깝지만 좁은 언덕길인데 도로변 불법주차가 난무하고 심지어는 인도가 없는 곳도 있다. 혹은 이수역에서 서초13이나 서초14를 탈 수 있다. 서초13이 서초역에 서지만 고속터미널로 돌아가기 때문에 반포로가 정체되면 소요 시간이 늘어난다. 서초13은 고속터미널 7호선 6번 출구에서 정류장이 가깝다. 서울 버스 142는 고속터미널보다 반포역에서 이용하는 것이 편리한 방법이다.
예술의 전당에 갈 때 매우 편리하다. 3번 출구에서 5413번, 405번, 서초11번 버스를 타면 네다섯 정거장이면 바로 앞에 도착한다. 바로 예술의 전당에 가려면 서초11번을, 그 주변을 가려면 5413번 또는 405번을 타는 게 좋다.
역 3,4번 출구, 사거리 기준 남서쪽에 있는 서초역 바로 옆 부지에 거대한 사랑의교회가 있다. 부지 2개를 합친 규모라서 중간의 길이 없어지는 대신 교회를 통과하는 길이 새로 생기고, 서초역 3번과 4번 출구를 리모델링하고 교회 지하로 통하는 새로운 출입구를 새로 만들었다. 교회가 이사오기 전에 비하여 일평균 승차량이 3,000명이나 늘어난 것은 전적으로 사랑의교회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사랑의교회 옆에 대법원과 서초고등학교 사이 부지에는 주거복합단지(아파트 2개동, 오피스 2개동)인 마제스타 시티 힐스테이트 서리풀이 들어섰다. 지하에는 대규모 할인점인 롯데마트 서초점과 유니클로가 입점했다. 이마트 역삼점, 홈플러스 서울남현점, 코스트코 양재점, 킴스클럽 강남점 등이 그나마 가까운데 모두 거리가 애매하거나 교통이 혼잡해 밀린다.
눈여겨보지 않고서는 알아채기 어렵지만 4번 출구에서 서울고등학교로 이어지는 좁은 길은 서초구에서도 손꼽히는 고급 아파트촌이 있다.[4] 효령대군묘(청권사)와 국군정보사령부로 인해 그 주변이 개발되지 않고 녹지로 남아 있는 것이 그 이유 중 하나일 듯하다.
4, 5번 출구 근처 서리풀터널이 2019년 4월 22일 개통되었다. 이 지역은 1970~80년대 강남 개발 당시부터 국군정보사령부가 있던 탓에 길이 끊기고 개발이 묶여 있던 소위 '강남의 마지막 금싸라기 땅'으로, 터널이 뚫려 서초대로가 연결되면서 거리상으로 가까운 내방역-서초역 간을 돌아가야 했던 불편함이 크게 줄어들었다.
3.1. 출구 정보
서초역 출구 정보 | |
1,2,7,8번 출구 | |
1 | 교대역 방면 서초3동 개인회생파산 종합지원센터 지방공기업평가원 |
2 | 반포대로 |
7 | 서울고등검찰청·서울중앙지방검찰청 중소기업진흥공단 서울동남부지부 한국사학진흥재단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간호대학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반포동 방면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방면 |
8 | 서울법원청사·서울회생법원 서울고등법원·서울중앙지방법원 서울지방변호사회 서울중앙지방법원 등기국 |
3~6번 출구 | |
3 | 예술의전당 방면 서초3동우체국 서초중·고등학교 고용노동부 서초고용안정센터 |
4 | 방배동 방면 서울고등학교 서리풀공원 서초보건지소 서초책그림도서관 |
5 | 대법원 서리풀공원 서래마을 방면 |
6 | 법원행정처·대검찰청 한국건강가정진흥원(양육비이행관리원) 서울지방조달청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장애인도서관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a84d><bgcolor=#00a84d> 연도 || ||<bgcolor=#00a84d>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94년 | 33,966명 | |||
1995년 | 37,638명 | ||||
1996년 | 37,476명 | ||||
1997년 | 35,661명 | ||||
1998년 | 34,177명 | ||||
1999년 | 자료없음 | ||||
2000년 | 34,869명 | 비고 | |||
2001년 | 34,519명 | ||||
2002년 | 33,226명 | ||||
2003년 | 32,842명 | ||||
2004년 | 34,175명 | ||||
2005년 | 34,912명 | ||||
2006년 | 34,461명 | ||||
2007년 | 35,722명 | ||||
2008년 | 36,376명 | ||||
2009년 | 37,503명 | }}}}}}}}} | |||
2010년 | 38,366명 | ||||
2011년 | 39,784명 | ||||
2012년 | 40,209명 | ||||
2013년 | 40,308명 | ||||
2014년 | 46,420명 | ||||
2015년 | 46,192명 | ||||
2016년 | 45,637명 | ||||
2017년 | 44,899명 | ||||
2018년 | 45,534명 | ||||
2019년 | 46,877명 | ||||
2020년 | 33,638명 | ||||
2021년 | 33,229명 | ||||
2022년 | 36,899명 | ||||
2023년 | 40,257명 | ||||
출처 |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5] |
2000년대까지는 이용객이 그리 많지 않았다. 하루 평균 3만 명대 초반~중반이 서초역을 찾았다. 환승역인 교대역과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 역세권이 많이 겹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강남권에 기업이 점점 몰리면서 업무지구가 서쪽으로 확장되고, 반포대교-고속터미널-우면산터널을 연결하는 반포대로가 완성되어 이곳을 경유하는 버스가 증가하자 서서히 이용객이 늘어났다.
2000년대 초반에는 이용률이 감소하여 2003년에 3.2만 명으로 저점을 찍었지만, 그 후로 반등하여 한해에 약 1천 명씩 승객이 늘어갔고, 2012년에 하루 평균 4만 명을 돌파하였다. 기름값이 가장 높았던 2014년에는 전년도에 비해 6천 명이 증가하여 최고의 성장세를 보였으나 다음해부턴 약간의 감소세로 돌아섰다. 2019년에는 다시 이용객이 증가했다가 2020년에 코로나 바이러스가 대유행하면서 다시 이용객이 급격하게 감소했다가 2022년에 들어서부터 이용객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
5. 승강장
2호선 승강장 |
교대 ↑ | |||
내 | ㅣ | ㅣ | 외 |
↓ 방배 |
외 | 서울 지하철 2호선 | 교대·잠실·성수·왕십리 방면 |
내 | 사당·신림·신도림·홍대입구 방면 |
6. 연계 버스
6.1. 1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서초역1번출구(22136[서울]·31007[인천])
서초대로 동쪽 방면으로 운행하는 노선이 정차한다.
경기 남부나 인천에서 우면산터널을 통해 강남역 방면으로 넘어가는 광역버스들의 경유지이다. ||
서초대로 동쪽 방면으로 운행하는 노선이 정차한다.
경기 남부나 인천에서 우면산터널을 통해 강남역 방면으로 넘어가는 광역버스들의 경유지이다.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
간선 | |
지선 | |
심야 | |
경기도 광역버스 §가 붙어 있는 노선은 강남역을 경유하지 않는다. | |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
인천광역시 광역버스 | |
광역급행 | |
광역 | |
시외버스 | |
시외 |
6.2. 2~8번 출구
서초역2번출구(22579) | |
마을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서초역3번출구(22379[시내]·22879[마을]) ||
간선 | |
지선 | |
마을 |
서초역4번출구(22870) | |
마을 |
대법원앞(22426) 5번 출구 앞에 있다. | |
간선 | |
심야 | |
마을 |
서초역.서울중앙지법등기국(22135) 7번 출구 연계. | |
간선 | |
지선 | |
마을 |
7. 둘러보기
서울 지하철 2호선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84d> | 시청 - 을지로입구 - 을지로3가 - 을지로4가 - 신당 - 상왕십리 - 한양대 - 뚝섬 - 성수 - 건대입구 - 구의 - 강변 - 잠실나루 - 잠실 - 잠실새내 - 종합운동장 - 삼성 - 선릉 - 역삼 - 강남 - 교대 - 서초 - 방배 - 사당 - 낙성대 - 서울대입구 - 봉천 - 신림 - 신대방 - 구로디지털단지 - 대림 - 신도림 - 문래 - 영등포구청 - 당산 - 합정 - 신촌(지하) - 이대 - 아현 - 충정로 - |
성수 - 용답 - 신답 - 용두 - | ||
신도림 - 도림천 - 양천구청 - 신정네거리 - | }}}}}}}}} |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
[1] 개정 전 24번.[2] "地下鐵2號線 39個驛 확정발표", 매일경제, 1977.12.09.[3] "地下鐵Ⅱ驛위치 확정, 동아일보, 1979.03.28[4] 「서초 ‘트라움하우스5’ 57억원으로 가장 비싼 공동주택」, 파이낸셜뉴스, 2014-04-29[5] 옛 자료 출처: 지하철 수송계획, 서울지하철경영[서울] [인천] [시내] [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