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28 21:40:28

왕십리역

파일:Semi_protect.svg   로그인 후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ae193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고속철도 경부고속선 · 수서평택고속선
준고속철도 중앙선
일반철도 경부선 · 경원선 · 경인선 · 경춘선 · 인천국제공항선
탑승
행선지 등급 탑승역
부산 · 진주 파일:KTX BI_White, Red.svg 서울역 · 영등포역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부산 · 제천 무궁화호
목포 · 여수 파일:KTX BI_White, Red.svg 서울역 · 용산역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용산역 · 영등포역
무궁화호
익산 새마을호
무궁화호
부산 · 목포 파일:Untitled-1.png 수서역
안동 파일:KTX BI_White, Red.svg 청량리역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부전 무궁화호
제천 · 동해
강릉 · 동해 파일:KTX BI_White, Red.svg 서울역 · 청량리역 · 상봉역
춘천 파일:ITXCheongChun_WhiteLOGO.png 용산역 · 옥수역 · 왕십리역 · 청량리역 · 상봉역 }}}}}}}}}
왕십리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용산 방면
옥 수
← 3.2 ㎞
경춘선
ITX-청춘
춘천 방면
청량리
2.4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왕십리(성동구청)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5_icon.svg
외선순환
상왕십리
← 0.8 ㎞
2호선
(208)
내선순환
한양대
1.0 ㎞ →
방화 방면
행 당
← 0.9 ㎞
5호선
(540)

마 장
0.7 ㎞ →
왕십리역
파일:GJLine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문산 방면
응 봉
← 1.4 ㎞
경의·중앙선
(K116)
지평 방면
청량리
2.4 ㎞ →
용산 방면
옥 수
← 3.2 ㎞
경의·중앙선
'''
중앙선 급행
'''
용문 방면
청량리 방면
청량리
← 2.4 ㎞
수인·분당선
(K210)
인천 방면
서울숲
2.2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서울 경전철 동북선|
동북
]]
시·종착 동북선
(미개통)
상계 방면
마장축산물시장

0.8 ㎞ →
}}}}}}}}} }}}}}}}}}
다른 문자 표기[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마자 Wangsimni[2]
(Seongdong-gu Office)
한자 往十里(城東區廳)
간체자 往十里(城东区厅)
가나 [ruby(往十里, ruby=ワンシムニ)] ([ruby(城東区庁, ruby=ソンドングチョン)]) }}}}}}}}}
주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원선 분당선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광장로 17 (행당동 168-151)
2호선 5호선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지하 300 (행당동 192)
동북선
서울특별시 성동구 고산자로 지하 61 (도선동)
}}}}}}}}} ||
관리역 등급
경원선 보통역 / 3급
(청량리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분당선
운영 기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원선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분당선
2호선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5호선
동북선 파일:동북선도시철도_Logo.png
}}}}}}}}} ||
개업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원선 1911년 10월 15일
분당선 2012년 10월 6일
파일:ITXCheongChun_WhiteLOGO.png 2012년 11월 1일
수도권 전철
경원선
1978년 12월 9일
2호선 1983년 9월 16일
5호선 1995년 11월 15일
중앙선 2005년 12월 16일
경의·중앙선 2014년 12월 27일
분당선 2012년 10월 6일
수인·분당선 2020년 9월 12일
동북선 2026년 7월 예정 }}}}}}}}}
역사 구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지상 1층 경원선 분당선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
지하 2층[3] 2호선
지하 5층 5호선 }}}}}}}}}
승강장 구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면 7선 쌍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2호선, 5호선)
}}}}}}}}}
철도거리표
용산 방면
응 봉
← 1.4 ㎞
경원선
왕십리
백마고지 방면
청량리
2.4 ㎞ →
기점 분당선
왕십리
수원 방면
서울숲
2.2 ㎞ →
유실물센터
파일:Seoulmetro5_icon.svg 파일:Seoulmetro8_icon.svg | ☎ 02-6311-6765, 6768

1. 개요2. 역 정보
2.1. 지하철 개통 전2.2. 지하철 2호선 및 5호선 개통2.3. 민자역사 완공2.4. 분당선 개통2.5. 환승2.6. 미래
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버스7. 기타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왕십리역.jpg
왕십리역 전경
도시인의 일상을 함께하는 왕십리역
왕십리역은 1911년 10월 15일 독도역이라는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 1914년 용산 ~ 원산 간의 경원선 개통과 함께 역사가 건립되면서 왕십리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78년 용산 ~ 성북 간 전동차가 운행을 시작하였으며 1983년 지하철 2호선, 1995년 5호선이 개통되고 뒤이어 2012년 분당선이 개통, 수도권과 서울 동북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더불어 2008년 지하 3층, 지상 17층의 민자역사 준공으로 출퇴근, 문화체험, 스포츠, 쇼핑 등 일상생활의 모든 것을 함께할 수 있는 주민 친화적인 공간이 되었는데, 특히 역무 시설과 상업 시설 뿐만 아니라 지역 문화와 커뮤니티를 위한 광장이 있어 이벤트와 문화전시의 장으로 발전하였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파일:왕십리역 안내도.jpg
역 안내도

국내 최초의 지상 - 지하 환승역이다.[5] 그리고 최초의 3환승역이자 직접 4환승역, 그리고 서울 동북부의 중심지 중 하나이자 경기도 동부 및 남부 (구리, 남양주, 양평, 성남, 용인 등) 지역에서 서울 도심으로 진입하는 주요 교통 거점 중 하나이다.

서울 지하철 2호선수도권 전철 5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이 만나는 4환승역이다. 수도권 전철은 1978년에 용산 ~ 성북 구간[6][7]의 전동차 운행이 시작되면서 운영을 개시했으며, 1983년에 2호선, 1995년 5호선 영업을 시작하면서 국내 최초 3개 노선 환승역이 된다. 2012년 10월 6일에 분당선 연장과 함께 4개 노선 환승역으로 발전했다. 분당선 환승과 함께 관리역으로 승격이 되는 게 아닌가 했지만 수서역이 관리역으로 승격하면서 자리를 뺏겼다.

ITX-청춘 열차가 이 역에 정차하여 운행 중이다. 다만 정차 횟수는 적은 편으로, 서울 동북부의 환승 중심지임에도 고작 일 왕복 6회 정차하고 있다.[8]

청량리행 일부를 제외한 수인·분당선 대부분의 열차는 이 역까지만 운행한다.

현재 4개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가동된다. 경의·중앙선은 2010년에 설치되었으며, 수인·분당선 승강장에는 2013년 말까지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다.[9]

이름은 '왕십리역'이지만 행정구역 상으로는 왕십리동이 아니라 행당동이다.[10] 해당 지역의 정확한 명칭이 아니라 인근 지역의 대표 지역명을 붙인 걸로 볼 때, 청량리역과 비슷한 경우라 할 수 있다.

분당선과 경원선을 잇는 연결선로가 있다. 따라서 분당선이나 신분당선, 그리고 경강선의 신차는 이 역을 반드시 거친다. 그 전에는 수서차량기지를 통해서 분당선 연결선로를 거쳤었는데 왕십리역 쪽에 새로 연결되면서 더 이상 쓸모 없게 되었고 SRT 수서역 건설로 인해 철거되었다.

편의점의 경우, 2호선 구역에 IGA 마트가 입점해 있다가 사라져 5호선 구역에 세븐일레븐과 코레일 구역에 스토리웨이가 남아있다. 민자역사 밖 1층에 바로 CU가 있으며, 역 뒤[11]가 한양대학교와 인접한 골목인 만큼 상권이 잘 형성되어 있어 편의점을 쉽게 찾을 수 있는 편이다.

해피스팟이 운영되어 보조배터리를 대여하는 것이 가능했던 곳인데, 해피스팟이 알 수 없는 이유로 운영 중지가 된 후 모바일타워에서 보조배터리 관련 기기를 설치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보조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비치된 보조배터리를 지정 대여소에 갖다 주거나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충전하는 동안에는 이 곳에만 머물러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의도치 않게 주변 상권에 기여하게 되는 상황이 만들어질 지도 모른다.

5호선 역사에는 지상에서 지하 4층 맞이방(운임구역)으로 바로 이어지는 엘리베이터가 있다. 지하 4층에서 내리자마자 옆에 있는 간이 개찰구에 교통카드를 대지 않으면 부정 승차로 간주된다.

2.1. 지하철 개통 전

파일:옛 왕십리역.png
수도권 전철 개통 전의 옛 역사
파일:external/www2u.biglobe.ne.jp/ozonephoto-cheong-wangshimni-hyou.gif
경원선 시절 옛 역명판[12]

경원선 개통과 함께 1911년 10월 15일에 독도역(纛島驛)[13]으로 열었다. 1914년 4월 11일 현재역명으로 바뀌었다. 전철 개통 전인 1975년의 모습

1930년에는 노면전차경성궤도가 개통되어 뚝섬이나 광장동까지 갈 수 있었다. 그러나 6.25 전쟁으로 큰 타격을 받고 운영난을 겪다가 1960년대에 폐선되었다.

이 때는 수 많은 측선 사이에 섬식 승강장 하나만 있었다.

1978년 4월 1일부터 서빙고역과 함께 전철 공사로 인해서 당분간 여객 취급을 중지한 적이 있다. 철도청고시 제5호

2.2. 지하철 2호선 및 5호선 개통

1978년에 수도권 전철 1호선 용산 ~ 성북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철 영업을 개시하였다. 전동차가 들어온 뒤로는 역사와 승강장을 잇는 과선교 정도만 설치하고 그대로 써 먹었다.
파일:wangsimni.png
2호선 개통 당시의 역명판[14]
파일:attachment/왕십리역/2013_08_31_16_13_28-1.jpg
2호선 승강장 옛 역명판. 8이라는 역 번호가 눈에 띈다.

양택식 서울시장1기 지하철 계획에서 2호선은 을지로에서 왕십리를 지나 강남으로 갔고, 5호선은 동대문 ~ 신설동 ~ 답십리 구간을 경유하고 일부 구간을 서울 지하철 1호선 선시공 부분과 공유할 예정이었지만, 2기 지하철 계획에서 철도 음영 지역을 최대한 줄이고자 금호동과 행당동을 경유하게 되면서 5호선도 왕십리역을 경유하게 되었다.

구자춘 시장이 계획을 뜯어 고치면서 2호선은 순환선이 되었지만 을지로 ~ 왕십리 경유는 안 바뀐다. 2호선 역은 1980년에 착공되어 1983년에 을지로입구역 ~ 성수역 구간과 함께 개통했다. 개통하면서 철도청이 운영하는 경원선은 역무 시설을 지하로 이전했는데, 이게 말이 이전이지 사실상 철도청 역사를 없애 버리고 창동역처럼 개찰 업무를 맡겨 버린 셈이다. 이 때문에 한동안 창동역처럼 화물 업무만 맡았다. 개찰구도 없어서 당시 서울지하철공사가 대신 해 주었다.

1995년에는 5호선 왕십리역 ~ 상일동역 구간이 개통하면서 5호선 역이 영업을 시작했다.

2.3. 민자역사 완공

파일:왕십리역민자역사.png
민자역사
민자역사
정식명칭 주식회사 비트플렉스
영어명칭 BITPLEX CO., LTD
설립일 1992년 4월 9일
업종명 부동산서비스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기업규모 중소기업
모회사 비트컴퓨터
홈페이지

1980년대에 철도청민자역사 사업을 시작하면서, 5호선 개통 전인 1990년대 초반부터 민자역사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했다. 그러나 두 번이나 사업주체가 망하는 불운을 겪어서 계획은 지연되었고, 다른 사업주체가 재개하여 2008년 9월에서야 간신히 완공되었다.

완공하면서 철도청의 후신인 한국철도공사가 25년 만에 다시 자사 개찰구를 갖추었고 지하 역사도 약간 증축해서 자사 개찰구를 마련했다.

공사 업체와 사업 주체 간 갈등 때문에 몇몇 상가의 입점이 지연되었다. 2008년 8월에 입점한다고 하던 CGV 왕십리는 2008년 12월 24일에야 영업을 개시했다. 포시즌 워터파크 입점도 2009년 2월로 예정되었으나 같은 해 6월 9일에 개점했다.[15]

쇼핑몰 가운데 하나로 엔터식스(ENTER6)가 있는데, 내부 인테리어가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특히 원형분수대가 잘 알려져 있는데, 사실 도쿄 오다이바 비너스 포트에서 모방했고, 심지어 이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베네치안 호텔을 모방했다.

한 때는 불법 건물로 폐쇄될 위기에 처한 적도 있었다. 건설 과정에서 주변 부지를 매입해서 기부채납을 해야 했는데 이게 안 되어서 임시 승인만 받은 채로 영업하던 것이다. 결국 성동구는 2012년 연말까지 준공 승인을 못 받으면 퇴거 조치하겠다는 경고문을 보냈다.[16] 2013년 3월 25일에 운영사인 비트플렉스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이 기부채납을 위한 도로부지계약을 체결하였다.[17] 결국 2014년 4월 15일에 기부채납을 완료하여 준공 승인을 받았다.

정면에서 보면 상당히 거대하다. 규모가 서울역이나 용산역 급이다.

2.4. 분당선 개통

2012년에는 분당선이 연장 개통 하였다. 분당선이 현재의 왕십리 ~ 분당 경로로 확정된 1990년대부터 계획에 있었지만, 한강과 중랑천을 하저터널로 넘어가는 것이 확정되면서 난공사가 예상됐고, 이런저런 사정 때문에 설계만 해 놓은 채로 무기한 연기되다가 2003년에 공사를 시작해 2012년에야 개통한 것이다.

분당선 승강장은 민자역사를 완공하면서 마련했다. 분당선 개통 전에는 임시로 중앙선 용산 방면 타는 곳으로도 썼었다. 연장 개통에 맞춰서 안내 시설을 교체했는데 이 때 수 많은 오류가 난 적이 있다. 예를 들면 Tracks를 Trcaks로 오타 내거나[18] 전광판의 W자 불이 나가는 일도 일어나서 십리역이 된 적도 있다.

파일:attachment/angsi.jpg

2018년 12월 31일부터 분당선이 청량리역까지 연장되었지만 여전히 실질적으로는 대부분의 열차가 왕십리역에서 시·종착한다.[19]

2020년 9월 12일에 수인선이 수원역까지 완전 개통하면서 분당선과 수인선이 직결되었다. 덕분에 환승 없이 좀 돌기는 하지만 안산, 시흥, 인천 지역으로 갈 수 있다.

2.5. 환승

1기 지하철과 2기 지하철이 만나는 역 치고는 환승 거리가 평범하지만, 내부 구조가 상당히 복잡해서 까딱하다가 길을 잃는 경우가 꽤 많은 편이다.

한때 5호선에서 중앙선으로 환승할 때에는 반드시 2호선 타는 곳으로 들어 갔다가 다시 나와야 했던 적도 있다. 민자역사 공사 완료 뒤에는 안 거쳐도 되는데, 새로 생긴 통로가 2호선 외선순환 타는 곳 바로 옆에 붙어서 지나간다.

2호선 외선순환 열차에서 5호선으로 갈아탈 때의 원래 환승 동선은 5호선 개찰구 방향으로 돌아가도록 되어 있지만, 타는 곳 중간의 환승 통로 입구에서 바로 왼쪽 계단을 이용해서 내려가면 환승 거리가 상당히 줄어든다.

2호선 내선순환 열차에서 내리면 바로 경의·중앙선 / 수인·분당선 쪽으로 연결된다. 때문에 열차 시간 맞추려고 뼈 빠지게 뛰어 올라가는 대학생과 직장인들을 많이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경의·중앙선 / 수인·분당선 쪽과 2호선 외선순환 쪽도 연결되기 때문에 경의·중앙선 / 수인·분당선 열차가 도착하면 외선순환 쪽으로 내려가는 경우가 많다.

5호선은 지상에서 지하 4층 맞이방까지 바로 이어주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지하 4층 맞이방이 운임 구역이기 때문에 지하 4층 엘리베이터 옆에 간이 게이트가 있으니 꼭 교통카드를 대자.

한 때 중앙선이 분당선 공사로 인해서 1, 4번 타는 곳을 썼다. 분당선이 2, 3번 타는 곳을 쓰면 금정역 같은 개념환승이 될 것으로 기대했으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이는 회기역과 비슷한 케이스로 수인·분당선 선로는 이 역에서 벗어나자마자 남동쪽 지하 터널로 빠지지만 경의·중앙선 선로는 남서쪽 응봉역으로 빠지기 때문에 경의·중앙선 문산행과 수인·분당선 왕십리행[20]평면교차로 꼬이기 때문이다.

나중에 생길 동북선 왕십리역의 환승 통로는 5호선 승강장으로 연결되어 2호선 및 5호선과의 환승은 비교적 무난하지만 경의중앙선 왕십리역은 5호선 승강장을 통째로 건너야 나오기 때문에 막장환승 확정이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개최 직전 강릉선 KTX가 개통될 무렵에 코레일 측에서는 왕십리역도 KTX 정차역으로 만들려는 계획을 세웠으나 무산되었다. 대중교통 편리성, 유동인구, 상권 모두 왕십리역이 청량리역보다 더 뛰어난데도 불구하고 왕십리역과 청량리역 간의 선로 용량 포화로 인해 청량리역이 KTX 정차역으로 선정된 것이다. 또한, 수인·분당선 개통과 급행 편성으로 인해 KTX 열차가 왕십리역을 경유하도록 만드는 것이 쉽지 않았다. 결국 한 정거장 차이로 수도권 전철은 왕십리역을 이용해야 하고 KTX는 청량리역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2.6. 미래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서울 경전철 동북선[21]과 현재 추진중인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이 개통하면 6개 노선의 환승역이 되어 환승거점 역할이 더 강해질 것이다.

우이신설선 또한 연장하자는 이야기가 나온 바 있고, 실제로 연장이 되게끔 성동구와 연선주민들이 노력을 해봤지만 결국 무산되었다. 우이신설선 신설동역 지하에 광케이블이 자리잡고 있고, 왕십리 방향이 2호선 신설동역 유령 승강장 진입 터널에 가로막혀 있어서 시공 난이도가 어렵기 때문에 결국 우이신설선 사업자인 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와 서울시의 협의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다. 하지만 강북구 등 기존 우이신설선 연선에서 왕십리역 연장 재추진을 시도하고 있다. 실제로 이순희 현 강북구청장의 공약으로 우이신설선 왕십리역 연장 추진에 대해 언급되어 있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이 이 역 하부를 통과하는 노선으로 바뀌어 정차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타당성 조사 결과 공사비 3,000억이 추가되지만 향후 30년간 운임수입이 6,000억에 육박하고 일 예상 이용객은 8만 명으로 예상한다. 관련기사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의 민자 컨소시엄 3곳 모두 정차안을 제출하여 가능성이 매우 높다. 관련 기사

3. 역 주변 정보

인근에 성동구청을 비롯하여 성동구의회, 성동광진교육지원청, 서울성동경찰서, 성동청소년센터 등 각종 행정기관이 자리잡고 있다. 다만 성동구청 방향으로 출구가 안 나있기 때문에 조금 돌아가야 한다. 서울 경전철 동북선 개통 시 성동구청 앞에 출구가 하나 생길 예정이다. 주변에 서울숲삼부아파트, 소월아트홀, 행당1동 주민센터, 왕십리2동 행정복지센터, 동마중학교, 마장국민체육센터, 성동구육아종합지원센터, 왕십리문화공원도 있다.

금융기관도 밀집해 있다. 은행으로 NH농협은행 성동금융센터, KB국민은행 왕십리역, 신한은행 성동구청지점, 우리은행 왕십리역지점이 있다. 제2금융권 상호금융기구로는 성동우리새마을금고 본점, 무지개새마을금고 본점, 왕십리중앙새마을금고 본점, 무학교회 신용협동조합, NH저축은행 왕십리지점, 증권사로는 미래에셋증권 성동WM이 있다.

2010년대 들어 왕십리 일대의 단독주택들을 허물고 아파트를 올리는 크고 작은 재개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또한 2호선 한양대역성수지선 용답역과 더불어 한양대학교 주변상권에 속해 한양대 주변 술집·음식점·자취촌을 갈 때에도 편하다.[22][23] 또한 인근에는 한양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와 한양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가 자리한다.

2012년부터 주변 승객이 크게 늘어났다. 경기도 직행좌석버스가 들어온 정도였지만 구조적인 한계로 건대입구역으로 바뀌었다. 이 '구조적인 한계'란 곧 동부·내부순환로를 타고 나와서 왕십리역을 찍으면서 회차하여 다시 나가기가 어려운 구조라는 뜻이다.

그런데 사실 이 역은 전철 노선끼리의 환승은 참 좋지만, 버스 - 지하철 환승이 민자역사 바로 앞까지 들어 오는 성동구 마을버스들과 4211번을 제외하면 상당히 까다롭다.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들 수 있다.
  • 본체라고 할 수 있는 민자역사[24] 및 그 건물 1층의 수인분당선·경의중앙선 역사는 교차로에서 꽤 들어가 있기 때문이다.[25]
  • 교차로가 사거리도 아니고 오거리라서, 다양한 방향으로 향하는 버스 노선들을 모두 포괄하려면 좌회전할 공간을 확보해 주기 위해서라도 정류장을 교차로에서 멀찍히 떨어뜨릴 수밖에 없는데 그러면 역과는 멀어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 중에서도 왕십리로[26]야 앞뒤로 2호선 역들이 길 밑에 다닥다닥 있어서 차치하더라도, 도로 바로 밑에 있으면서 제대로 연계 되는 전철역은 동북선이 아직 공사 중인 현재 기준으로 저 북쪽 멀리의 고려대역 밖에 없는[27] 고산자로에게 이 점이 훨씬 크게 다가온다. 즉 고산자로를 지나는 버스 노선과 왕십리역 간의 버스 - 지하철 환승이 상당히 까다로워서, 아귀가 잘 안 맞으면 왕십리역에서 환승하다가 시간을 다 까 먹게 된다.

2015년에 들어서 성동구청에서 홍대거리건대 상권에 필적하는 한양대 주변 상권을 만들기 위해서 상왕십리역 - 왕십리역 - 한양대역 주변 재개발 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홍대·건대’ 부럽지 않은 ‘한양대’ 상권 만든다.
나가는 곳 Exit 出口
파일:지하철 출구_1.png 왕십리119안전센터
파일:지하철 출구_2.png 성동구보건소 방면
서울시장애인치과병원
파일:지하철 출구_3.png 도선사거리
서울성동경찰서 방면
파일:지하철 출구_4.png 서울성동경찰서 / 성동구의회 / 성동구청
서울특별시성동광진교육지원청 / 성동청소년센터
파일:지하철 출구_5.png 왕십리광장
파일:지하철 출구_6.png 동마중학교 / 한양대학교 / 한양대학교병원
한양대부속중·고등학교
6-1 왕십리광장
파일:지하철 출구_7.png 서울숲삼부아파트
왕십리광장
파일:지하철 출구_8.png 성동경찰서 교통정보센터
9 행당1동주민센터
성동소방서
동부수도사업소
서울행당초등학교
소월아트홀
10 성동우체국
무학중·여자고등학교
행당시장
11 하왕치안센터
상왕십리 방면
12 왕십리광장
왕십리로
13 한양대학교병원
한양대학교

6번 출구 옆에는 에스컬레이터가 하나 있었다. 가끔씩 에스컬레이터를 점검하는 모습은 보였지만 대부분 작동되지 않는 채로 방치되었다. 그러다가 2016년 9월 1일에야 철거되고 목제계단[28]이 설치되었다.

청량리역과는 청계천을 건너는 신답철교로 연결되어 있다.

청량리역과의 사이에 있는 복선 선로극단적으로 노선이 밀집된 선로이다. 청량리 ~ 왕십리 구간을 이용하는 열차는 다음과 같다.

선로 하나를 저 열차들이 전부 공동으로 쓰고 있다. 하나라도 지연되면 다른 노선도 지연되어 상당히 골치 아프다. 때문에 수인·분당선이 선로 용량 포화로 인해서 대부분 여기에서 시·종착한다.

6-1번 출구와 6번 출구가 아예 다르다.[29] 개찰구도 분리되어 있으니 길을 잃지 않도록 미리 확인하고 가야 한다. 혹시 6번 출구로 가야 하는데 6-1번 출구로 나왔을 때에는 비트플렉스를 통과하여 12번 출구로 들어가서 13번 출구로 나오면 된다.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이로 인해 MBC 14F에서도 이에 대해서 취재했다. #

한때 역 남쪽에 행당 건널목이 있었는데, 현재 서울숲리버뷰자이아파트와 서울숲더샾아파트를 이어주는 육교가 위치한 자리에 있었다.[30] 여느 경원선 건널목들처럼 존치되었을 법도 하지만, 차량이 꼭 다녀야하는 루트도 아닐 뿐더러 분당선 지하 진출입램프와 저촉되는 위치라 유지하기가 힘들었던 것으로 보인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37b366><bgcolor=#37b366> 연도 ||
파일:ITX-청춘 BI.svg
|| 파일:Seoulmetro2_icon.svg || 파일:Seoulmetro5_icon.svg || 파일:GJLine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bgcolor=#37b366> 총합 ||<bgcolor=#37b366>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78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78년
파일:투명 10x10.png
1,143명
1979년 3,026명
1980년 3,270명
1981년 4,147명
1982년 5,119명
1983년 자료없음 6,905명 [31]
1984년
~
1993년
단독
개찰구
없음
1994년 31,047명
1995년 32,593명 자료없음
1996년 29,843명
1997년 23,265명
1998년 21,993명
1999년 자료없음
2000년 23,426명 10,450명 33,876명 비고
2001년 24,060명 10,436명 34,496명
2002년 24,646명 10,093명 34,739명
2003년 24,365명 10,194명 34,559명
2004년 25,855명 10,643명 36,498명
2005년 27,008명 11,177명 38,185명
2006년 27,756명 11,145명 38,901명
2007년 28,015명 10,884명 38,899명
2008년 29,868명 11,366명 13,004명 54,238명
2009년 31,334명 12,105명 16,812명 60,251명 }}}}}}}}}
2010년 33,306명 12,477명 19,162명 64,945명
2011년 35,088명 12,735명 20,319명 68,142명
2012년 275명 36,209명 12,695명 23,935명 72,839명 [32]
2013년 463명 37,948명 12,098명 36,302명 86,348명
2014년 605명 38,523명 12,050명 38,582명 89,155명
2015년 732명 38,136명 11,573명 39,457명 89,166명
2016년 726명 37,917명 11,445명 39,809명 89,171명
2017년 770명 36,460명 11,365명 39,561명 87,386명
2018년 933명 36,130명 11,332명 38,809명 86,271명
2019년 1,005명 36,479명 11,104명 38,769명 86,352명
2020년 890명 24,983명 7,989명 27,786명 61,648명
2021년 939명 24,447명 8,235명 27,512명 61,133명
2022년 1,007명 27,927명 9,004명 31,387명 69,325명
출처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5_icon.svg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33]
파일:ITX-청춘 BI.svg 파일:GJLine_icon.svg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2021년 기준으로 네 노선의 이용객을 합하면 61,133명이다.

이용객이 매우 극적으로 늘어난 얼마 안되는 서울 동북권 전철역이다. 2008년 민자역사의 준공이 중요한 변곡점으로서, 그 전까지는 후문 쪽의 한양대앞의 미미한 상권을 제외하면 별다른 시설물이 없어서 환승 거점으로서의 역할에 충실했던 곳이다. 그러나 민자역사가 들어서면서 엔터식스, 이마트 왕십리점을 필두로 수많은 상점들이 속속 오픈하여 성동구 일대 최고의 상권으로 주목받게 되었고, 덩달아 이용객이 급격하게 늘어났다. 2000년 기준 하루 평균 이용객은 33,876명에 불과했으나, 민자역사 개통 직후 승하차객이 1.5배나 증가하더니 2019년에 이르러서는 하루 평균 86,352명이 타고 내리는 주요역으로 성장했다. 19년 전과 비교하면 무려 2.6배나 승객이 늘어난 셈이다. 도심 한복판의 종각역과 비교했을 때 2000년 기준으로는 종각역의 승객 수가 3.3배나 앞질렀으나 2017년에는 오히려 왕십리역이 종각역을 추월했다.

특이 사항은 경의·중앙선의 승하차객이 가장 많다는 점이다. 수인·분당선과 게이트를 공유하는데다 왕십리역의 주 이용객은 민자역사 및 한양대학교와 일대 상권을 방문하는 사람들이다. 역에서 한양대학교 방면으로 난 출구는 2호선 쪽의 6번 출구와 경의·중앙선 / 수인·분당선이 공유하는 13번 출구인데, 이들 가운데 6번 출구의 계단 높이가 상당하여 13번 출구를 이용하는 승객들이 많은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2호선 대합실과 경의·중앙선 / 수인·분당선 플랫폼 사이, 그리고 플랫폼과 12/13번 출구 사이는 모두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이동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따라서 2·5호선을 이용하면서 동시에 민자역사에 방문 목적이 없는 경우에도 경의·중앙선 / 수인·분당선 게이트를 이용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이다. 비슷한 수치의 2호선은 34위로 중하위권 정도, 5호선은 43위로 하위권이다.

5. 승강장

왕십리역은 2호선과 5호선,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 등과 같이 환승역이 되었다. 네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호선과 5호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어진 지하 역이며, 경의·중앙선 및 수인·분당선 승강장은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어진 지상 역이며 매우 좁기 때문에 한 줄 서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실제로 보통 방식으로 한 줄을 서면 반대편은 줄을 설 공간도 나오지 않는다.

5.1. 경의·중앙선, ITX-청춘수인·분당선 (지상 1층)

파일:왕십리역 경의중앙선.jp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및 ITX 청춘 승강장
파일:경의중앙선 왕십리역 역명판.jp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및 ITX 청춘 역명판
파일:수인분당선 왕십리역 승강장.jp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승강장
파일:K210_왕십리_20201025_완.jpg
수인·분당선 역명판
청량리
1 2 3 4
응봉 서울숲
1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완행·급행 청량리·상봉·덕소·지평 방면
1 경춘선 파일:ITX-청춘 BI.svg 청량리·평내호평·가평·춘천 방면
2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완행·급행 옥수·이촌·용산·문산 방면
2 경춘선 파일:ITX-청춘 BI.svg 용산 방면
3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완행 당역 종착
청량리 방면
4 완행 선릉·수서·죽전·수원·인천 방면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지평 방면)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7-1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문산 방면)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8-2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1-1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3-4

이 역은 구배가 평지(L)이다. 특이하게도 지하로 다니는 2호선 열차가 들어오는 소리를 지상 승강장에서 뚜렷하게 들을 수 있다.

수인·분당선의 경우 연장 개통되면서 선릉역과 수서역이 더 이상 주박 기능을 안 하기 때문에 심야에 4대가 주박하여[34][35] 다음 날 새벽에 출발한다.[36][37]

5.2. 서울 지하철 2호선 (지하 2층)

파일:왕십리역_승강장.jpg
2호선 승강장[38]
파일:왕십리역_역명판.jpg
2호선 역명판

2호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어진 지하역이다. 2호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은 상왕십리 방면으로 7퍼밀 상구배가 있다.

내선순환 기준 2호선 강북 구간의 마지막 지하역이다.[39]
상왕십리
한양대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당·을지로입구·시청·홍대입구 방면
성수·잠실·교대·사당 방면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내선: 잠실 방면)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6-1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내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2-3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외선: 신촌 방면)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5-4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외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8-4

5.3. 수도권 전철 5호선 (지하 5층)

파일:왕십리역 5호선.jpg
스크린도어 교체 전 5호선 승강장의 모습
파일:FB_IMG_1569057058731.jpg
스크린도어 교체 후 5호선 승강장의 모습
스크린도어 설치 전 5호선 승강장의 모습
파일:역명판왕십리역5.png
5호선 역명판

5호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어진 지하역이다. 지하 깊은 곳에 만들어져 승강장이 2-arch 공법으로 설계되었다. 5호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행당
마장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청구·충정로·공덕·여의도·김포공항·방화 방면
군자·천호·하남검단산·마천 방면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하남검단산, 마천 방면)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7-2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방화 방면)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2-3

이 역 부터 양평역까지 승강장이 기본 지하 4층이라서 심도가 깊어진다.

2019년 1월부터 스크린도어 재설치를 진행하였다. 방화 방면 및 하남검단산/마천 방면 승강장 모두 스크린도어는 이미 완공되었으며 가동 중이다.

5호선 구형 스크린도어 (일명 띵동이) 중에 특유의 띵동 소리가 잘들렸었다. 광화문역, 군자역도 있긴 있었지만 안들려서 사실상 무음이었고 광화문역은 아예 안들렸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띵동이 스크린도어는 우장산역만 유일하게 현역중이었으나, 이 역마저 2019년 6월 8일부로 스크린도어 교체공사에 들어갔다.

열릴 때에는 원래 '발빠짐 주의x3'에서 '승객이 다 내리신 후 타시기 바랍니다'로 바뀌었다가 다시 '발빠짐 주의x3'로 바뀌었다. 닫힐 때에는 경고음이 포함되어 있다.

이 역에서 행당역 방향으로 왕십리행으로 운행한 열차들의 회차를 위한 선로 변환기 및 측선이 존재하는데 열차가 통과할 시 굉장히 시끄럽다. 하남검단산행 / 마천행 열차를 타고 왕십리역을 진입하거나 방화행 열차를 타고 왕십리역을 출발할 때 느낄 수 있는데 특히나 방화행 열차는 승강장에서 들으면 얼굴이 찌푸려질 정도로 엄청난 굉음을 내면서 출발한다. 상일동행 열차의 경우 승강장에서는 왠지 모르게 그렇게 두드러지게 느껴지지는 않으나 열차를 타고 진입할 때는 확실히 느낄 수 있다.

열차의 진입 속도가 굉장히 빠르다. 거의 60~65km/h 정도의 속도로 진입하는데, 이로 인한 열차풍 때문에 스크린도어가 덜컹 소리를 내며 흔들리기도 한다. 5호선이 왕십리역 앞뒤로는 잘 뻗은 직선 구간이라 속도를 어느 정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5호선에서는 이 역에서 시·종착하는 첫차와 막차가 평일에는 방화 방향으로 각 2대가 존재하고[40] 주말에는 양 방향 모두 각 1대씩 존재한다.[41]

5.4. 서울 경전철 동북선 (예정)

파일:D101.jpg
동북선 왕십리역 조감도
시·종착
마장시장
서울 경전철 동북선 당역 종착
서울 경전철 동북선 미아사거리·하계·상계 방면

성동지하차도 앞에 들어설 예정이다. 개통되면 김포공항역처럼 5개의 노선이 만나게 되며, 자세히 보면 동북선 승강장은 환승 통로로 인해 두단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복선으로는 남측 연장이 어려운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6. 연계 버스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왕십리역(04133)
* 9번 출구 뒤. 행당1동주민센터.성동소방서 방면 노선이다. 인근에 소월아트홀이 있다.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간선
심야
지선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왕십리역(04134)
* 8번 출구 뒤. 2222번(성동구청 방면)을 제외한 노선은 코스모타워. 서울신용보증재단성동지점(1번 출구 방향) 방면 노선이다.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간선
심야
지선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왕십리역(04135)
* 10번 출구(성동우체국) 앞. 무학여고 방면 노선이다.
||
간선
지선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왕십리광장.왕십리역7번출구(04301)
* 7번 출구 앞. 성동경찰서 맞은편. 광장 쪽에 가까운 정류장이다.
  • 4211(한양대앞, 한양시장 방면)은 전방 삼거리에서 우회전한다.
  • 마을버스 노선은 전방 삼거리에서 왕십리민자역사(04510) 방면으로 좌회전한다.
  • 성동03-1은 왕십리민자역사(04510)에 정차한 뒤 회차하여 성동구청 방면으로 진행한다.
  • 성동08은 왕십리민자역사(04510)에 정차한 뒤 회차하여 건너편 정류장(04302)에 정차한다.
||
지선
마을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왕십리광장.왕십리역7번출구(04753)
* 위의 04301 정류장보다 7번 출구에 더 가까운 위치의 정류장이다.
  • 성동03-1은 왕십리민자역사(04510)에 정차한 뒤 회차하여 무학중학교. 무학여고 방면으로 진행한다.
  • 성동03-2는 전방 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왕십리역6-1번출구(04897)에 정차한다.
  • 성동08은 왕십리민자역사(04510)에 정차한 뒤 회차하여 건너편 정류장(04302)에 정차한다.
||
마을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왕십리광장.왕십리역4번출구(04302)
* 4번 출구 엘리베이터(성동경찰서) 앞. 무학여고 방면 노선이다.
||
지선
마을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왕십리역6-1번출구(04897)
* 행당동서울숲더샵 방면으로 가는 성동03-2와 고산자로2길 일대 아파트 단지를 경유하여 응봉역으로 가는 성동14가 정차한다.
||
마을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왕십리민자역사(04510)
* 민자역사 1층. 고가도로 앞에 있는 정류장이다.
||
마을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왕십리역(04781)
* 인천공항으로 가는 공항버스가 시·종착한다.
||
공항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성동구청(04574)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간선
지선
마을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성동구청(04112·04671)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간선
지선
마을 }}}}}}}}}

7. 기타

  • 사회복무요원 복무지 중 헬무지에 해당한다. 시·종착역과 환승역이기에 이용객도 많고 할 일도 많지만 그에 비해 배치된 직원은 적어서 대부분의 일을 사회복무요원이 맡아서 해야 하기 때문에 힘든 복무지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 경의·중앙선 및 수인·분당선 2층 역사의 경우 화장실이 게이트 밖에 있는 점을 악용하여 화장실에 가겠다고 하고 개인 용무를 보는 경우가 많다. 왕십리역 민자역사 특성 상 이마트와 상점을 이용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적발 시 부과금 30배를 징수한다는 경고장이 비상게이트에 붙어 있다.
  • 민자역사 입점 직후, 빅뱅의 "붉은 노을" 뮤직비디오에 나왔던 적이 있다.
  • 2012년 5월 14일 비트플렉스에서 진행된 디아블로 3 한정판 D-1 이벤트로 인하여 일대가 크게 붐볐다.

8.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 지하철 5호선|{{{#!wiki style="display:inline-block"]] 본선
[[마천지선|{{{#!wiki style="display:inline-block"]]
하남선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 }}}}}}}}}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 (병기역명) : 서울교통공사 측 병기역명[2] Wangsipri가 아니다. 자세한 것은 자음동화 문서 참조.[3] 엘리베이터에서는 지하 3층이라고 적혀 있다.[예정] 예정[5] 1983년에 2호선 을지로 구간이 개통하면서 당시 1호선이던 용산 ~ 성북 지선 간의 환승이었다.[6] 1978년에서 2005년까지 27년 동안 1호선 소속이었다.[7] 현재는 경의·중앙선 소속이다.[8] 정차 횟수 당 승하차량은 청량리역보다도 높다고 한다.[9] 2019년 1월 3일부터 4월 18일까지 5호선의 스크린도어를 재설치했다.[10] 진짜 왕십리에 있는 역은 바로 전 역인 상왕십리역이다.[11] 6번 출구쪽[12] 당시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구분하기 위해서 '국철'이라고 했다.[13] '뚝섬'의 한자 음차표기로, 울릉군 독도(獨島)와는 관련이 없다.[14] 현재의 로마자 표기와 차이가 없는데, Wangshimni 역으로 쓰던 것은 1년 뒤인 1984년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이 정해지고 나서의 일이었다.[15] 영등포구 씨랄라에 이은 서울 내 2번째 실내 워터파크였으나, 2013년에 영업을 종료하였으며 그 자리에는 웨딩홀이 영업중이다. 워터파크 부속으로 딸려 있던 찜질방과 목욕탕은 한동안 유지되다가 2017년에 폐점했다.[16] [집중현장]-왕십리민자역사, 불법 건물로 전락하나?(1)(2011-10-21, 뉴스캔)[17] 왕십리민자역사 준공 움직임 빨라진다(2013-03-25, 아시아경제)[18] 관련 게시물 저 오타는 개통 직전 수정되었는데, 그것도 ca를 잘라내고 그 자리에 ac를 인쇄한 스티커로 땜질했다. 결국 2012년 12월 1일에 망포역까지 연장 개통하면서 새 것으로 교체했다.[19] 추후 청량리역이 시·종착 역할을 맞게 되는 건 미래의 일이다.[20] 2번을 종착으로 3번을 출발로 썼다고 가정한다.[21] 고산자로, 고려대, 종암동, 장위동, 월계로, 상계동·중계동·하계동 수요까지 합쳐서 이곳으로 내려온다. 헬게이트는 심해지면 심해지지 약해지지는 않을 것이다. 게다가 기존에 환승되던 노선들은 절대 노원, 강북방향으로 안 가므로 이 노선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며, 강북구쪽은 강남방향으로 가는 더욱 빠른 루트가 생겼기 때문에 수요가 늘 것이다.[22] 학교 캠퍼스로 갈 때에는 캠퍼스 바로 안에 있는 한양대역을 쓰는 것이 더 편하지만, 한양대학교병원 등 지하철역과 반대방향에 있는 곳으로 갈 때에는 왕십리역이 더 편할 수 있다.[23] 한양대 캠퍼스는 산을 깎아 만든 언덕지형에 자리해서 언덕길을 올라야 한다. 또한 2호선 이외의 노선으로 이 역에 도착하면 2호선으로 환승해서 가는 시간이나 걸어서 혹은 마을버스로 한양대에 도착하는 시간이나 비슷할 때도 있다.[24] 연혁으로 따져도 2호선에 훨씬 앞선 1911년, 즉 일제강점기 초기에 경원선(現 경의·중앙선의 전신)이 개통했고, 또한 CGV, 이마트, 영풍문고, 엔터식스 등을 포함한 민자역사가 규모나 상권 기능의 측면에서도 주변 지역에서 랜드마크의 역할을 하고 있는 점이 확실하기 때문이다.[25] 교차로에는 2호선 출입구들만 가득하고, 나머지 노선들과 통하려면 일단 무조건 2호선 플랫폼을 거쳐야 하는데다가, 그나마 5호선 플랫폼은 2호선과 비스듬하게 옆에 있는데, 수인분당선·경의중앙선 플랫폼은 교차로와는 아예 동서 방향으로 2호선 플랫폼의 정반대에 있어서 2호선 플랫폼 전체를 지나가야 한다.[26] 직결되는 퇴계로 포함[27] 제기동역은 경동시장사거리에서 꽤 서쪽으로 비껴 나가 있고 (즉, 동북선 개통 시 막장환승이 불가피하게 예고되어 있다는 얘기도 된다.) 용두역은 이 길 밑의 동대문구청 사거리 바로 밑이라 제대로 연계되어 있기는 하지만, 성수지선이라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28] 난간과 하부는 에스컬레이터에 설치되어 있던 것을 그대로 쓰고 있다.[29] 민자역사의 완공으로 12, 13번 출구가 추가되었다. 6-1번 출구는 더 나중에 추가되었는데 기존출구번호 규칙대로 7번으로 정하면 7~13번 출구번호가 바뀌기 때문에 더 난잡해진다. 6번과 6-1번 출구는 민자역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 자리하니 주의하자.[30] 대중교통으로는 성동14를 타고 '서울숲리버뷰자이아파트제2주차장' 정류소에서 하차하면 일대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31] 9월 16일부터 2호선에 모든 여객 업무를 이관함에 따라서 모든 이용객이 2호선으로 집계된다.[32] ITX-청춘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2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 308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며, 10월 6일에 개통된 수인·분당선의 자료는 경의·중앙선의 자료에 합산되어 집계된다.[33] 옛 자료 출처: 지하철 수송계획, 서울지하철경영[34] 평일 6228 (죽전발), 6598 (인천발), 6600 (인천발), 6234 (죽전발)[35] 토요일 및 공휴일 6198 (죽전발), 6566 (인천발), 6200 (고색발), 6568 (인천발)[36] 평일 6011 (고색행), 6511 (인천행), 6513 (인천행), 6023 (고색행)[37] 토요일 및 공휴일 6505 (인천행), 6005 (고색행), 6507 (인천행), 6009 (고색행)[38] 현재 분당선 표기는 수인·분당선 표기로, 5호선 하남풍산 표시는 하남검단산 표기로 교체되었다.[39] 다음 역인 한양대역반지하 역에 가깝고, 뚝섬역부터 완전한 지상역이 된다.[40] 막차 두 대 모두 마천발 열차인데, 5706(하계 5696, 구 동계 5714) 열차는 00시 08분 도착해 회차선으로 들어가 다음 날 하남검단산행 5003 열차로 운행하며, 5710(하계 5700, 구 동계 5718) 열차는 00시 59분 도착해 회차선으로 가지 않고 다음 날 방화행 5006 열차로 운행한다.[41] 방화발 5187(명절 5159) 열차는 00시 08분 도착해 회차선으로 가지 않고 다음 날 하남검단산행 5003 열차로 운행하며, 하남검단산발 5186(명절 5160) 열차는 00시 59분 도착해 회차선으로 가지 않고 다음 날 방화행 5006 열차로 운행한다.[42] 한양대학교병원 본관3층 응급실앞 → 한양대학교 후문 → 왕십리역 → 성동노인종합복지관 → 한양대학교 후문 → 한양대학교병원 본관1층 #[43] 성동03-2를 타고도 한양대학교병원으로 갈 수 있다.